• 맑음속초7.5℃
  • 맑음0.1℃
  • 맑음철원-0.7℃
  • 맑음동두천0.6℃
  • 맑음파주1.4℃
  • 맑음대관령-2.7℃
  • 맑음춘천0.6℃
  • 맑음백령도8.8℃
  • 맑음북강릉6.8℃
  • 맑음강릉6.2℃
  • 맑음동해7.2℃
  • 맑음서울4.5℃
  • 맑음인천5.7℃
  • 맑음원주2.7℃
  • 맑음울릉도7.8℃
  • 맑음수원4.7℃
  • 맑음영월2.0℃
  • 맑음충주1.6℃
  • 맑음서산5.3℃
  • 구름조금울진6.5℃
  • 맑음청주4.4℃
  • 맑음대전4.4℃
  • 맑음추풍령4.2℃
  • 안개안동1.3℃
  • 맑음상주2.0℃
  • 구름조금포항8.7℃
  • 맑음군산4.7℃
  • 구름많음대구5.5℃
  • 맑음전주5.5℃
  • 구름많음울산7.6℃
  • 구름많음창원9.7℃
  • 맑음광주5.9℃
  • 맑음부산11.8℃
  • 구름조금통영10.7℃
  • 구름많음목포7.5℃
  • 구름많음여수9.8℃
  • 맑음흑산도11.8℃
  • 구름많음완도9.0℃
  • 맑음고창3.2℃
  • 맑음순천3.4℃
  • 박무홍성(예)2.3℃
  • 맑음2.9℃
  • 흐림제주11.0℃
  • 구름조금고산11.9℃
  • 구름조금성산12.2℃
  • 구름많음서귀포12.3℃
  • 구름조금진주6.4℃
  • 맑음강화3.8℃
  • 맑음양평2.2℃
  • 맑음이천2.4℃
  • 맑음인제-0.9℃
  • 맑음홍천-1.1℃
  • 맑음태백-2.0℃
  • 흐림정선군-0.8℃
  • 맑음제천1.9℃
  • 맑음보은1.4℃
  • 맑음천안1.2℃
  • 맑음보령5.8℃
  • 맑음부여2.2℃
  • 맑음금산1.7℃
  • 맑음3.5℃
  • 맑음부안4.4℃
  • 맑음임실2.3℃
  • 맑음정읍4.0℃
  • 맑음남원3.3℃
  • 맑음장수2.7℃
  • 맑음고창군5.1℃
  • 맑음영광군4.6℃
  • 맑음김해시8.7℃
  • 맑음순창군3.1℃
  • 구름조금북창원9.0℃
  • 맑음양산시10.8℃
  • 구름조금보성군7.6℃
  • 구름조금강진군6.9℃
  • 구름조금장흥5.7℃
  • 구름조금해남5.9℃
  • 구름많음고흥9.2℃
  • 구름조금의령군7.0℃
  • 맑음함양군4.1℃
  • 맑음광양시9.4℃
  • 구름많음진도군9.2℃
  • 맑음봉화1.0℃
  • 맑음영주1.7℃
  • 맑음문경2.5℃
  • 맑음청송군-1.2℃
  • 맑음영덕5.9℃
  • 맑음의성1.5℃
  • 맑음구미4.8℃
  • 구름조금영천2.7℃
  • 구름많음경주시6.7℃
  • 구름조금거창2.3℃
  • 구름조금합천4.6℃
  • 구름조금밀양7.4℃
  • 구름조금산청2.8℃
  • 구름조금거제10.8℃
  • 구름많음남해8.4℃
  • 맑음11.0℃
기상청 제공

2024년 11월 24일 (일)

論으로 풀어보는 한국 한의학 (160)

論으로 풀어보는 한국 한의학 (160)



李鍾馨의 血府逐瘀湯論 “血府逐瘀湯의 임상활용방안을 정리해 보자”



kni-web



李鍾馨 敎授(1929〜2008)는 1929년 황해도 평산에서 태어난 후 한의학 연구의 뜻을 품고 1949년 晴崗 金永勳 선생의 문하생이 되기 위해 서울로 와서 지도를 받기 시작한 후 경희대 한의대의 전신 동양의약대학에 입학한 후 졸업하면서 1955년 한의사 국가고시에 수석합격했다.

그의 논문으로는 「동양학의 원리」, 「동의학개발론」, 「한의학의 현재와 미래」, 「소화계 질환의 한의학 원리」 등이 있고, 저술은 『韓方病證分類』, 『韓方內科學』, 『現代東醫學史』, 『晴崗醫鑑』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특히 『晴崗醫鑑』은 스승 김영훈의 평생동안의 진료 기록 가운데 유효처방을 모아서 만든 역작이다. 『現代東醫學史』도 근현대 한의학의 역사를 거의 최초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훌륭한 논문이다.



이종형은 스승으로부터 『의학입문』을 배울 때 모두 암송하도록 지도를 받아 그 내용을 모두 암송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실력을 바탕으로 의서에 대해 해박했다. 그는 1968년부터 1975년까지 대한한의학회 이사 및 이사장을 역임하는데, 이것은 그의 학문적 권위를 말해주는 것이다. 1971년부터 1973년까지 경희대 교수를 했던 경력도 있다.

1994년 간행된 『松齋 李鍾馨 停年退任 論文集』에 「血府逐瘀湯의 臨床應用」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견하였다. 血府逐瘀湯은 중국 청대 王淸任의 『醫林改錯』에 기재된 처방으로서 胸中血府血瘀之症 즉 頭痛, 胸痛, 胸任重物, 焚悶, 焦燥, 不眠, 不安, 煩燥, 乾嘔 등 神經性 疾患에 잘 응용하는 처방이다.

아래에 이 논문에서 정리하고 있는 血府逐瘀湯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2217-23-1○ 處方構成: 當歸, 赤芍藥, 川芎, 生地黃, 柴胡, 枳實

○ 方意: 本方은 즉 桃紅四物湯合四逆散에 桔梗, 牛膝을 加한 것으로 活血祛瘀에 목적을 두고 創方되었다. 當歸의 活血, 芍藥, 地黃의 凉血, 川芎의 生血, 桃仁, 紅花의 破血, 牛膝의 通血脈, 柴胡의 疏肝解鬱, 枳殼, 桔梗의 開胸行氣, 甘草의 調和로 鬱滯不活하는 不純瘀血을 氣血共調로서 升降流暢시키어 祛瘀生新케하는 名方이다.

○ 對象症狀: ① 顔面 및 皮膚觀察에서 蒼黑色, 瘀斑, 血淋, 舌紫, 唇暗, 皮膚乾澁 등이 있다. ② 刺痛, 鈍痛, 痺痛, 灼痛, 熱痛, 重痛, 壓痛, 瘙痒痛 등을 수반한다. ③ 怫鬱, 不安, 焦燥, 躁動, 不眠, 心煩, 幻覺, 健忘 등의 神經症도 兼發한다. ④ 특히 婦人科에서 月經異常, 痛經, 婦人更年期失調 등이 있다.

○ 適應執證: ① 發病部位가 上體(上焦 卽 頭, 胸, 脇)에 현저한 경우. ② 발병시간이 午後 또는 夜間에 尤甚할 것. ③ 病情이 稍實症이며, 熱症이 있을 것. ④ 病變이 대개 肉體上(痺鈍, 拒按, 靑紫), 精神上(不安, 焦燥, 健忘)으로 구현한다. 즉 瘀血氣滯型의 病狀이다.

○ 方劑配伍: ① 加 香附子, 烏藥, 靑皮: 五十肩, 肩背重痛. ② 加 香附子, 釣鉤藤: 頭痛, 偏頭痛, 三叉神經痛. ③ 加 荊芥, 防風, 細辛: 瘀血性頭風, 眩暈, 鬱冒. ④ 加 丹蔘, 茯苓, 酸棗仁炒: 神經過敏, 躁鬱, 健忘. ⑤ 加 竹茹, 石菖蒲, 木通, 釣鉤藤: 心悸亢進, 高血壓, 煩躁. ⑥ 加 酸棗仁炒合甘麥大棗湯: 不眠, 安靜劑常用症. ⑦ 加 杏仁, 桑白皮, 貝母, 瓜蔞仁: 咳嗽, 老痰. ⑧ 合 導痰湯: 濕痰人胸結痰出. ⑨ 去 地黃 加 香附子, 蒼朮, 半夏: 肥濕人, 頭重, 痺痛. ⑩ 加 三稜, 蓬朮 合 平胃散: 萎縮性胃炎. ⑪ 加 茵蔯, 靑皮, 車前子: 肝臟病, 慢性肝炎. ⑫ 加 澤瀉, 猪苓, 茯苓, 瞿麥, 燈心: 腎臟疾患, 脹滿. ⑬ 加 王不留行: 前立腺肥大. ⑭ 加 白蒺黎, 牛蒡子, 蟬退: 皮膚發疹瘙痒症. ⑮ 加 玄胡索, 烏藥, 靑皮: 痛經, 經滯不行. ⑯ 加 澤蘭葉: 經滯長期出血. ⑰ 加 大黃: 瘀血便秘. ⑱ 加 玄胡索, 桂枝, 續斷: 挫閃腰痛. ⑲ 加 連翹, 黃芩, 梔子: 口內炎. ⑳ 加 金銀花, 玄蔘, 連翹, 皂角刺: 咽喉腫痛.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