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승 교수
(전 우석대한의대)
#편저자주 : 한약물 이용 치료법이 한의의료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에도 불구하고, 최근 상황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모든 문제 해답의 근본은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통처방의 진정한 의미를 이 시대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응용율을 높이는 것이 절대적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에서는 2단계 첩약 건강보험 시범사업의 알레르기 비염에 응용될 수 있는 약물처방(49회∼)을 소개함으로써 치료약으로서의 한약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아울러 효율 높은 한약재 선택을 위해 해당 처방에서의 논란 대상 한약재 1종의 관능감별 point를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은 鼻炎이 만성으로 진행되면, 鼻점막이 만성적으로 腫脹하고 점액성 분비 또는 膿性이나 膿血性의 분비를 나타내며 鼻孔은 좁아져서 수면시 코골이 등이 나타난다. 주로 바이러스감염에 의한 축농증 등으로 진행되는데, 한의학적으로는 風熱에 진입한 鼻塞 濁涕 發熱咳嗽 脈浮數의 단계를 말하며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시기이다. 탁한 콧물을 흘리는 증은 風熱에 속하는데(回春), 대개 風은 熱에서 기인한 것으로 熱이 極하면 風이 나는 법이요, 燥는 風에서 기인한 것으로 風이 動하면 燥가 생기니 熱·風·燥의 실상은 한 원류라고 보고 있다. 病因病機를 보면, 내부에 熱이 쌓여 津液을 졸이므로 口苦 口乾 便秘 尿赤 등이 나타나면서, 風熱이 上焦(肺)를 치솟으므로 咽喉不利 胸膈痞悶 咳嗽喘滿을 비롯해 콧물과 침이 끈적이는 涕唾粘稠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의 風熱에 기인한 鼻炎을 다스리는 처방으로 黃連通聖散이 소개돼 있다.
1. 黃連通聖散
黃連通聖散은 防風通聖散의 邊方으로, 明나라 龔廷賢의 古今醫鑑과 우리나라 조선시대의 東醫寶鑑에서 鼻淵 처방으로 소개하고 있다. 기본처방인 防風通聖散은 대표적인 瀉火派인 金나라 劉完素의 宣明論方에 기재돼 있으며, 구성약물 중 發散風熱의 薄荷 용량을 높이고, 여기에 淸熱燥濕의 黃連을 추가하고 붙여진 이름이 黃連通聖散이다.
위의 구성 한약재 18품목에 대해 膿性鼻炎을 적응증으로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寒6(微寒3 大寒1) 溫5(微溫1) 平2로서 寒性처방으로 정리되는 바, 따라서 實熱 증상의 膿性鼻炎에 적합한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熱生風 및 風生燥하는 원리로 설명되어진다. 한편 여기에서의 溫性 약물은 反佐의 의미로 정리된다.
2) 味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苦味9(微苦1) 辛味8 甘味6 淡味1로서 苦辛甘味로 정리된다. 苦味의 淸熱降火燥濕, 辛味의 發散行氣, 甘味의 滋補和中緩急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風熱에 대하여는 苦味와 辛味로서 적극적으로 대처하면서, 향후 점차적으로 나타나는 虛症에 대한 보완의 의미로서 甘味를 배합하고 있다.
3) 歸經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및 臟腑表裏 포함), 肺10(大腸4) 胃9(脾5) 肝8(膽2) 心5(心包2 小腸1) 膀胱3 三焦1로서 歸經이 넓은 편이다. 이는 본처방이 發汗 利尿 通便 등과 같은 다양한 散瀉法을 주로 했고 아울러 보조적인 효능을 추가하고 있는 점에 기인한다.
4) 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淸熱藥6 解表藥4 補益藥3 攻下藥2 利水滲濕藥1 化痰藥1 理血藥1로서, 補益藥3과 理血藥1을 제외하고는 모두 發汗 利尿 通便을 이용해 불필요물질의 배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구나 補益藥에서의 甘草는 和平之劑의 역할이라는 제한성을 가지고 있으며, 白朮은 補氣劑로서 (健脾)化濕하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淸熱藥과 利水滲濕藥 역시 化濕으로 재분류된다는 점에서 濕에 대한 보완성격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補益藥의 배합은 격렬한 散瀉法에 대한 보완수준의 反佐法으로 해석함이 마땅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구성약물을 용량대비하여 재분류하면, ①君藥-利尿 淸熱 發汗 ②臣藥-利尿보조 ③佐藥-兼證보조를 위한 通便 淸熱 및 鑑制역할의 養血活血 健脾燥濕 ④使藥-調和諸藥으로 배치하고 있다. 한편 風熱에 속한 鼻淵에서 응용된 荊芥連翹湯(한의신문 2444호 참조)의 의미를 많이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구성약물의 세부 분류
1) 君藥(3종): 滑石 黃連 薄荷로서 소변과 땀으로 風熱을 배설시킨다.
① 滑石: 利水滲濕藥으로서, 裏熱을 소변으로 배설하는 역할(利水道風熱之在膀胱者→由溺而泄)을 담당한다. 佐藥인 梔子와 함께 배합됨으로써 효력이 증대된다(예:八正散).
② 黃連: 淸熱燥濕藥으로서, 肺胃의 熱邪를 淸解(發汗과 利尿)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문헌에 따라 酒炒함으로써 緩急을 조절하고 있기도 하다.
③ 薄荷: 發散風熱藥으로서 風邪가 表 및 上焦에 있을 때 發汗시키는 역할로서 疏風解表 역할을 담당한다. 문헌에 따라 코를 통한 배설로 설명하고 있기도 하다(淸上焦風熱之在顚頂者→由鼻而泄).
2) 臣藥(3종): 石膏 黃芩 桔梗는 君藥인 黃連의 淸解力을, 防風 麻黃 荊芥는 君藥인 薄荷의 發汗力을 보완해 준다.
① 石膏 黃芩: 淸熱藥으로서 각각 瀉火와 燥濕 역할을 담당한다. 石膏는 胃火를 흩어뜨리고, 黃芩은 肺火를 흩어뜨림으로써, 肺胃의 熱邪를 淸解(發汗과 利尿)할 수 있다.
② 桔梗: 淸化熱痰藥으로서 石膏와 더불어 肺胃를 맑게(淸肺胃之邪)해 주는데, 특히 舟楫之劑로서 引經上行하여 淸熱劑의 약효를 코 부위로 끌어올려 준다.
③ 防風 麻黃 荊芥: 發散風寒藥으로서 發散風熱의 薄荷와 더불어 表에 있는 風邪를 發汗시키는 역할(解風熱之在皮膚者→由汗而泄)을 담당한다.
3) 佐藥(8종): 4부분으로 나뉘어 兼證 鑑制 反佐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① 川芎 當歸 芍藥: 모두 肝經에 작용해 活血養血하여 血分을 침입한 邪氣를 和血祛風하는(和血以平肝) 兼證 치료 부분에 해당된다. 아울러 溫性인 川芎과 當歸는 風熱로 인한 혈액손상을 보상하고(火熱灼其血 則川芎當歸芍藥 可以養之), 微寒한 芍藥은 反佐를 포함해 鑑制기능을 나타내며, 赤芍藥(瀉)과 白芍藥(補)의 구분활용이 가능하다.
② 大黃 芒硝: 瀉下藥으로서, 風熱이 胃腸과 大腸에 있는 것을 대변으로 배설하는 역할(通腸胃風熱之在內部者→由後而泄)을 담당한다. 調胃承氣湯 등에서와 같이 다양한 응용이 있는 배합이며, 아울러 凉膈散 등에서와 같이 發散風熱의 薄荷와 淸熱燥濕의 黃芩과 함께 胸中의 熱邪를 흩어지게 할 수 있다.
③ 連翹 梔子: 淸熱藥으로서 각각 解毒과 瀉火로써, 君藥인 黃連을 보좌하는 역할(祛諸經之火)을 담당한다. 특히 連翹는 淸熱 및 消腫의 역할로써 코의 熱毒을 없애주며, 梔子는 三焦의 實熱을 淸熱하는 목적으로 각종 처방에서 보조약물로 이용된다.
④ 白朮: 補脾氣藥으로서, 補氣藥에 속하는 使藥인 甘草와 더불어 火血로 인해 무너진 脾氣를 배양(火熱壞其氣 則白朮甘草 可以益之)시킬 수 있다.
4) 使藥(1종): 甘草가 해당되며 諸藥調和의 역할을 담당한다.
전체적으로 黃連通聖散은 소변과 대변을 통한 淸熱과 通便 그리고 發汗을 통한 解表로 表裏의 邪氣를 풀어주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여기에 虛症에 대한 대비로 和血과 益脾의 보조약물이 배합된 利尿 淸熱 疏風解表 通便의 처방으로 정리된다.
3. 정리
이상을 종합하면 黃連通聖散은 實症의 膿性鼻炎에 활용되어질 수 있는 처방으로서, 裏의 實熱 특히 風熱의 노폐물과 독소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해서 다양한 통로(소변, 땀, 대변)를 활용하고 있다. 즉 利尿·淸熱 ·解表의 주된 방향으로 風熱燥를 兼治하는 처방이라고 할 수 있다. 기본처방인 防風通聖散의 주된 효능에 淸熱과 解表의 기능을 보강하였는 바, 허약한 체질과 같이 表裏가 모두 實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여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