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최근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이민호 박사가 중국 중의계의 지난 5년 동안의 코로나19와의 전투 경험을 담은 ‘코로나19, 5년의 기록-중국의 응전과 중의약 예방·치료 보고서’를 출간했다. 본란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중국 중의약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본다.
코로나19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새로운 종(new strain)으로 역시 급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며 인간에게 다양한 방식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유행성 전염병(pandemic)이다.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처음 발병했으며, WHO에 의해 1968년 홍콩 독감, 2009년 신종플루에 이어 2020년 3월11일 3번째로 팬데믹으로 선포됐다.
◇ 2002년 SARS서 교훈 얻은 중국
병원체의 명칭은 초기 우한에서 발발해 우한 코로나바이러스라고도 불렸으며, 유행성 전염병의 명칭에 지역 이름을 붙이지 않는다는 것을 근거로 2020년 1월, 2019 novel coronavirus(2019-nCoV)라고 명명했다가, 2020년 2월11일 SARS-CoV과 염기서열 유사성이 약 86.9%에 달해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로 변경했다.
2019년의 팬데믹에 중국은 2002년의 SARS를 경험한 것이 역경을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사람들을 격리하고, 전염병을 다루는 전문적인 의료기관을 운영하고, 국가 차원에서 각종 치료 방안을 마련하는 등 조치가 신속하게 이뤄졌다. 특히 서양 의학과 더불어 중국 전통 중의약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중국에서는 코로나19 유행 초기, 이전 SARS나 MERS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해결책을 찾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아 몇몇 논문들이 발표되기도 했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질병 발생의 원인(病因)과 그것이 체내에서 작용하는 메커니즘(病机)을 이해해야 한다. 이에 중국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병인(病因)·병기(病机)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됐으며, 관련 논문들도 발표됐다.
중국의 연구자들은 코로나19가 중의의 ‘역병’, 즉 병이 빨리 생기고, 전염력이 강하며, 쉽게 유행하는(发病急, 传染强, 易流行)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중국의 중앙정부에서 제시한 ‘코로나19 진료방안’ 제3판에서부터 중의가 참여하고 있는데, 거기에서도 중의 ‘역병’의 범주에 포함했고, 병인은 ‘역려(疫戾)의 기(气)’를 받은 것으로 판단했다.
◇ 중국, 코로나19 진료방안에 중의약 포함
중국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코로나19 진료방안(新型冠状病毒感染的肺炎诊疗方案)’을 마련해 반포했는데, 변이 발생과 환경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중국은 코로나19 치료 과정에서 중국 전통의약과 서양 의학을 결합한 치료 방법을 채택했으며, 커다란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했다.
중국 정부에서 코로나19 진료방안을 처음 발표한 것은, 2020년 1월16일이며, 곧바로 제2판을 반포했고, 1월22일에는 국가위생건강위와 더불어 국가중의약관리국이 함께 참여해 제3판을 발표했는데, 이때부터 중의약 내용이 첨가되기 시작했다.
코로나19를 중의의 역병 범주에 속한 것으로 인식하고 환자의 임상증상 경중에 따라 치료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후 코로나19 진료방안은 2020년 3월4일까지 약 두 달이 안 되는 기간, 제7판까지 반포한 이후 제8판은 동년 8월18일, 2021년 4월14일에 제8판의 수정판, 그리고 2022년 3월14일 제9판, 그리고 약 1년이 지난 2023년 1월5일 제10판을 선보였다.
2020년 1월27일과 2월5일, 연이어 발표한 진료방안 제4판과 제5판의 중의약 치료 내용은 같다. 코로나19는 중의 역병의 범주에 속하며, 병인은 ‘역려지기(疫戾之气)’를 받은 것으로, 병의 위치는 폐에 있고, 병기(病机)의 특징은 ‘습, 열, 독, 어(湿, 热, 毒, 瘀)’로 표현했다. 각 지역의 병정(病情)에 근거해, 지리적, 그리고 기후 특징에 따라 병의 정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음 변증논치 방안을 참조해 치료하도록 했다. 중의 치료는 크게 의학 관찰기와 임상 치료기로 나누었으며, 확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 치료기는 다시 초기, 중기, 중증기, 회복기로 구분했다.
◇ 중의약 적극 활용으로 효과적 대응
코로나19라고 하는 전염성이 대단히 강한 질병의 ‘도전’에 대해 중국의 ‘응전’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전통의약인 중의약을 적극 활용했다는 사실이다. 중국은 유행 초기 중앙정부 차원에서 진료방안을 마련해 국가 차원에서의 대응책을 마련할 때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서양 의약과 더불어 중의약 치료를 권장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중의약 관련 국가 기구인 ‘국가중의약관리국’이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국은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중용과 별도로 지방 정부 차원에서도 중의약을 예방과 치료에 적극 이용했다. 지방 정부는 지역 특성에 맞는 각종 ‘지도 의견’ 등을 통해 중의약을 활용한 예방과 치료를 독려했다. 쓰촨성의 사례에서처럼 지역 의료 기관에서 개발한 중약 제제를 과감하게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지역 중의계의 의사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중국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중국 문화의 보물’, 곧 전통의약 문화를 세계에 홍보하는 수단으로 삼기도 했다. ‘일대일로’를 통해 세계와 소통하고자 하는 중국이 그들의 전통문화 가운데 내세울 유력한 유산으로 중의약을 내세운 것이다. 코로나19를 중의약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계기로 삼은 것이다. 또한 중국은 새롭게 개발한 중약 제제를 캐나다와 같은 선진국에 수출하기도 했으니 ‘전화위복’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인류 질병의 역사를 봤을 때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이 우리에게 다시 찾아올 확률은 대단히 높다고 생각한다. 과거의 경험에서 교훈을 얻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런 문명만이 성장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또한 역사 경험을 통해 수없이 보아 왔던 장면이다. 전염병 급습에 얼마나 적절하게 대처했는지, 혹은 사망률이나 중증으로의 전환 정도가 얼마였는지 등등의 통계가 주는 사실과 별개로 자국의 전통의약을 국민 신뢰를 바탕으로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