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신문=강준혁 기자]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까지 출생한 MZ세대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와 남들과는 다른 특별한 경험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MZ세대는 전체 인구 중 약 34%를 차지, 경제활동인구로만 보면 60%를 넘어서고 있는데요. 한의계에서도 MZ세대들이 진출해 다양한 트랜드를 바꿔나가고 있습니다.
본란에서는 치과의사 출신 한의대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태봉 학생(본과 2학년)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신태봉 학생은 최근 유튜브 ‘전과자’ 프로그램에 지각생으로 출연하기도 했습니다. <편집자주>
Q. 치과의사로 한의대 입학을 결심하게 된 계기는?
상자(BOX) 안에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상자 밖으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턱관절장애(TMD) 치료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치의학적 지식만으로 한계를 느꼈다. 호흡이나 자세에 대한 영역을 공부하더라도 직접적으로 관여해 줄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토마스 마이어의 ‘근막경선 해부학(Anatomical Trains)’을 보면 근막과 경락의 유사성에 대한 내용이 나오고, TMD에 관한 치의학 서적에서도 침술에 대한 내용이 많이 서술돼 있다. 개인적으로 정골의학 쪽의 지식을 융합해 구강 내 장치로 치료하고 있다. 그런데 치료 도중 근육통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것을 침을 이용해서 컨트롤할 수 있다면 어떨까’라는 호기심이 생겼다.
결정적인 계기는 미국에서 진행된 TMD세미나에 참가해 정골의사와 치과의사가 협업하는 것을 보게 된 것이다. 해당 세미나를 보면서 한의학의 침치료와 추나치료로 자세를 조정해 주면서 구강 내 장치로 호흡이 잘되도록 도와주고 교합치료를 시행하면 효과가 좋을 것으로 판단했다.
운명인지는 몰라도 때마침 코로나19가 터져서 진행하던 스터디들도 중단됐고,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경희대 한의대에 들어와 공부를 이어 나가게 됐다.
Q. 치과의사와 한의대생 두 가지 생활을 동시에 하느라 힘들지는 않은지?
누가 강요한 일도 아니고 스스로가 선택한 일이기 때문에 현실을 받아들이고 하루하루 충실히 생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인천 부평에서 서울까지 통학하는 것이 힘들고, 또 학교에서는 병원이 걱정되고 병원에서는 공부가 걱정되기도 한다. 때문에 시간을 쪼개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수밖에 없다.
학교 다니면서 가장 많이 한 말이 “힘들다”는 말과 “그래도 좋다”는 말이다. 특히 본과 1학년 때 카대버(Cadaver) 실습을 하고 육체적으로 힘들었지만, 인체를 유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중요하지 않은 곳이 없다는 생각이 들어 재미있기도 했다.
Q. 한의학과 치의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두 학문의 공통점은 한의학, 치의학 둘 다 손으로 구현해야 한다는 점이다. 손으로 치료를 진행하기에 지식의 내용을 숙달시키고 동시에 체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지식의 수준은 차이가 나지 않지만 손기술에서는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의학은 맥진이나 복진을 통해 근육을 만지고 미세한 경혈점을 찾거나 환자질환에 맞는 최적의 조합을 찾아내는 것을 중요시하며, 치의학은 염증화된 조직을 긁어내거나 발치를 한 후에 원래 구조로 회복시키거나 심미성을 개선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동일 환자의 증상에 대해서 한의학은 숲을 보는 관점이며 치의학은 증상을 중심으로 보는, 나무를 보는 관점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50대 여성 환자가 TMD 증상과 전체 치아가 흔들리는 느낌을 증상으로 내원한다면 치과에서는 발통점(Trigger Point)을 찾아서 주사를 놓고 진통제를 처방하며, 교합에서 균형점을 부여하기 위해 보철치료나 스플린트 치료를 한다. 하지만 한의학에서는 얼굴이 붉고 갱년기 증상을 동시에 호소하므로 잠은 잘 자는지, 손발의 체온은 어떤지, 기타 증상들은 없는지 물어본 후 맥진과 복진을 하고 이에 대한 한약을 처방하고 침치료를 시행한다.
Q. 신태봉에게 한의약이란?
나에게 한의약이란 새로운 기회이자 해답(The Answer)이다.
영국에 Orthotropics라는 비발치 어린이 교정법을 배우러 간 적이 있는데 그곳에 리투아니아 TMD 치과의사를 만나게 됐다. 당시 그에게 TMD 치료방법에 대해 물어봤는데, 독일에 귀에 침을 놓는 정골의사가 있다고 알려줬다. 또 미국의 정골의사에게 침을 놓으면서 Cranial Osteopathy 치료를 병행하면 어떠냐고 물어본 적이 있는데, 당시 답변이 효과가 더 좋다는 것이었다.
개인적으로도 진료 후 두통과 어깨가 아플 때 침을 맞으면 순식간에 통증이 없어지고 컨디션도 좋아지는 경험을 했었기 때문에 한의학에 대한 호기심이 있었다. 두통·어깨·목 통증 모두 TMD 호발 증상으로, 궁금해하던 해답이 의외로 가까운 곳에 있었다는 걸 깨달았다.
Q. 새해에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우선 본과 3학년을 잘 넘기는 것이 가장 큰 목표이고, 방학 때 대한약침학회와 대한침도의학회 학생부 강의를 듣고 TMD에 대한 정골의학에 대해 리뷰하기로 했다. 이를 준비하면서 경혈책을 다시 보고 내 몸에 직접 매일매일 침을 놓을 계획이다. 많은 생각을 하고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실천하는 것이 목표다.
Q. 기타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한의학 입문자이기 때문에 학회나 세미나에서 만나게 된다면 많이 알려주시길 부탁드린다.
그리고 20~30대 친구들에게는 “직관을 따라가라”고 말해주고 싶다. 영국에서 세미나를 마치고 동료들과 바르셀로나 교정과를 방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공항에서 ‘샌프란시스코로 오세요’라는 광고판이 순간적으로 크게 보였다. 그걸 보면서 나중에 미국에 가도 좋은 경험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는데, 신기하게도 얼마 후 우연히 미국에서 진행되는 TMD세미나에 갈 기회를 얻게 됐다.
그곳에 다녀온 후 바로 한의학이라는 2nd Chance를 잡을 수 있었다. 때문에 기회가 온다면 놓치지 말
고 본인이 정말 도전해 보고 싶은 일을 찾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