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1 (목)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최광호원장
동행한의원
KMCRIC 제목
완과침 요법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서지사항
Cao HT, Zhang W, Luo C, Zhao HB, Liu JM. Effect of Wrist-Ankle Acupuncture on Postoperative Analgesia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Chin J Integr Med. 2022 Jan 19. doi: 10.1007/s11655-022-3463-5.
연구 설계
무작위배정, 두 그룹, 환자 눈가림하였으나 시술자 눈가림 불가.
연구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TKA) 후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완과침 요법(WAA)이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대상
무릎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머티즘 관절염을 진단받은 94명의 환자. 단, 무릎 관절에 대한 수술력이 없고, 계획된 치료 모두 이행이 가능한 환자.
시험군 중재
완과침군(n=47): TKA을 시행한 부위의 WAA의 下3, 下4區로 무릎을 향하여 30도의 각도로 자입한다. 자입 후 피부에 수평으로 눕혀 피하로 침 끝까지 자입한다(0.25mmx25mm 침 사용).
대조군 중재
sham-WAA군(n=47): 침 몸통을 2∼3mm만 남겨두고 제거한 뒤, WAA의 下3, 下4區로 무릎을 향하여 피부를 살짝 찌른다. 이는 환자에게 약간의 통증은 느껴지게 할 수 있으나 침은 피부를 자입하지 않는다.
평가지표
(1)VAS 통증 평가척도 수술 후 1, 3, 5, 7일 후 평가(움직이지 않을 때, 움직일 때 모두 평가).
(2)ROM 무릎 관절의 가동 범위 수술 후 3, 5, 7일 후 측정.
(3)그 외, 수술 후 하지직거상 가능 시간/체중 지지 가능 시간/PCA pump(자가 조절 주입 장치)의 마약성 진통제 수펜타닐(sufentanil) 투여량/입원 기간/수술 후 부작용.
주요 결과
(1)수술 후 하루 뒤 VAS지표는 수술 부위를 움직일 때나 그렇지 않을 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후 수술 후 3일, 5일, 7일 후 결과에서는 수술 부위를 움직일 때와 그렇지 않을 때 모두 완과침 요법을 시행한 시험군(WAA)이 대조군(sham-WAA)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VAS지표가 감소했다.
(2)수술 부위 가동 범위(ROM)에 대해서는 수술 후 1일, 2일, 3일째에는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증가했다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그에 반해 수술 후 7일, 30일에는 ROM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3)하지직거상 가능 시간/체중 지지 가능 시간/입원 기간/수술 후 부작용에 대해서는 시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진통제 투여량에 대해서는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적음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저자 결론
완과침 요법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나타나는 통증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무릎 관절의 기능의 회복, 진통제 투여량의 감소에 도움이 된다.
KMCRIC 비평
완과침 요법이란 손목, 발목에 있는 혈위로 전신 양쪽을 세로로 여섯 구역, 횡격막을 기준으로 상하를 정하여 질병이 나타나는 구역을 정확하게 확인한 뒤 질병이 나타나는 구역에 해당하는 부위에 각각 여섯 개의 자입점을 선택하여 자침하는 방법으로 침감이 전혀 유발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 침법이다 [1].
본 논문에서는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의 증상 변화에 대해 시험했는데, 무릎 관절통을 주치로 하는 下3, 下4區에 자침하여 무릎 부위의 통증과 움직임 회복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경락학적인 추구로 개발된 침 요법이 실제 임상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또한 현재 사용하는 진통제 투여 방법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데, 진통제 사용량 감소에 대해 영향을 끼칠 수 있음 역시 긍정적인 결과이다.
논문적으로 봤을 땐 특정 침 요법에 대한 연구이기에 간단한 침법에 대한 설명과 자침 방법, 그리고 대조군인 sham침의 치료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자세하고 쉽게 표현하고 있어서 완과침 요법이 익숙지 않더라도 임상시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이뤄져야 할 요소들 역시 구체적으로 적혀있어서 무작위 임상시험이 이뤄지는 방법 또한 이해할 수 있다.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이라는 수술 후 증상 치료에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로 완과침 요법은 갑상선 결절에 대한 고주파 열 치료 [2], 간암 화학색전술 [3]과 같은 수술/시술 후 치료에 적용이 가능하다. 수술 부위가 아닌 부위에 원위 취혈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암 [4]과 같이 치료 기간이 길고 QoL에 영향을 끼치는 질환에 대해서도 사용하고, 생리통 [5]과 같이 흔한 증상이지만 기존 치료 방법에 한계점이 있는 질환에 대해서도 사용하며 연구 중이다. 여러 사례 분석, 임상 연구들을 찾아보면 완과침 요법은 주로 수술 후 증상, 난치성 질환, 그리고 1차 진료기관에서 진단 후 상위 의료기관에 트랜스퍼 하기 전 치료 등이 가능하다. 근골격계 질환으로 내원하는 환자가 다수인 1차 의료기관 한의원에서 진료하는 임상의로서 근위 취혈을 주로 사용하고 있기에 이러한 특정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원위 취혈의 사용이 가능하다면 진료 환자 폭을 넓힐 수 있고 치료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기에 의미 있고 흥미로운 논문이었다.
그러나 임상에서의 사용에는 선결 과제들의 해결이 필요하다. 아직은 단순 사례 보고들이 대부분이기에, 이번 논문과 같은 무작위 임상시험들이 시행되어야 한다. 특정 질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효과들을 증명한다면 의료인들은 확신을 가지고 치료하고 환자들은 진료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겠다.
또한 자극 부위에 따른 침법의 경우 현대 과학의 생리학적인 근거 역시 중요한데, 완과침 요법이 신경 면역 조절에 관여한다는 동물실험 [6]이나 임상시험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겠다.
참고문헌
[1] 대한침구의학회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침구의학. 2012. 129-34.
[2] Li Y, Zhou Na, Liu FFI, Ren HR, Hao W. Effect of wrist-ankle acupuncture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undergoing radiofrequency ablation in thyroid nodul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orld Journal of Acupuncture - Moxibustion. 2020;30(3):183-7. doi: 10.1016/j.wjam.2020.05.007.
[3] Zeng K, Dong HJ, Chen HY, Chen Z, Li B, Zhou QH. Wrist-ankle acupuncture for pain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in patients with liver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Chin Med. 2014;42(2):289-302. doi: 10.1142/S0192415X14500190.
[4] Dong B, Lin L, Chen Q, Qi Y, Wang F, Qian K, Tian L. Wrist-ankle acupunc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cancer pain: a meta-analysis. BMC Complement Med Ther. 2021 Jan 7;21(1):24. doi: 10.1186/s12906-020-03193-y.
[5] Chen Y, Tian S, Tian J, Shu S. Wrist-ankle acupuncture (WAA) for primary dysmenorrhea (PD) of young females: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7 Aug 22;17(1):421. doi: 10.1186/s12906-017-1923-9.
[6] Chen B, Wang T, Yang X. Analgesic effect of wrist-ankle acupuncture and its impact on plasma β-EP and SP contents in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sis. Shanghai J Acupuncture Moxibustion. 2018;37(12):1419-23.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RCT&access=R202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