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13.7℃
  • 맑음속초10.8℃
  • 맑음16.1℃
  • 맑음철원14.1℃
  • 맑음동두천14.1℃
  • 맑음파주12.8℃
  • 구름조금대관령7.9℃
  • 맑음춘천16.4℃
  • 맑음백령도8.0℃
  • 맑음북강릉12.7℃
  • 맑음강릉13.9℃
  • 맑음동해11.0℃
  • 맑음서울14.5℃
  • 맑음인천11.8℃
  • 맑음원주15.4℃
  • 맑음울릉도8.7℃
  • 맑음수원13.2℃
  • 맑음영월16.3℃
  • 맑음충주16.1℃
  • 맑음서산12.3℃
  • 맑음울진10.4℃
  • 맑음청주16.3℃
  • 맑음대전16.1℃
  • 맑음추풍령14.6℃
  • 구름조금안동14.3℃
  • 맑음상주16.2℃
  • 맑음포항11.7℃
  • 맑음군산10.7℃
  • 맑음대구15.0℃
  • 맑음전주12.7℃
  • 구름조금울산10.5℃
  • 맑음창원13.2℃
  • 맑음광주13.4℃
  • 구름조금부산12.4℃
  • 맑음통영13.5℃
  • 맑음목포10.9℃
  • 맑음여수12.1℃
  • 맑음흑산도9.3℃
  • 맑음완도13.1℃
  • 맑음고창11.1℃
  • 구름조금순천12.4℃
  • 맑음홍성(예)13.5℃
  • 맑음17.1℃
  • 맑음제주13.4℃
  • 맑음고산12.0℃
  • 맑음성산11.9℃
  • 맑음서귀포12.9℃
  • 맑음진주13.6℃
  • 맑음강화8.6℃
  • 맑음양평15.5℃
  • 맑음이천15.7℃
  • 맑음인제13.2℃
  • 맑음홍천15.6℃
  • 맑음태백8.5℃
  • 구름많음정선군14.8℃
  • 맑음제천15.1℃
  • 맑음보은15.7℃
  • 맑음천안14.5℃
  • 맑음보령9.9℃
  • 맑음부여14.4℃
  • 구름조금금산16.0℃
  • 맑음15.1℃
  • 맑음부안10.6℃
  • 맑음임실13.5℃
  • 맑음정읍12.0℃
  • 구름조금남원15.9℃
  • 구름조금장수13.6℃
  • 맑음고창군12.0℃
  • 맑음영광군11.1℃
  • 맑음김해시12.8℃
  • 맑음순창군13.6℃
  • 맑음북창원14.5℃
  • 맑음양산시13.0℃
  • 맑음보성군13.4℃
  • 구름조금강진군13.7℃
  • 맑음장흥13.7℃
  • 맑음해남12.8℃
  • 맑음고흥12.8℃
  • 맑음의령군16.0℃
  • 맑음함양군15.9℃
  • 맑음광양시13.5℃
  • 맑음진도군10.7℃
  • 구름조금봉화12.5℃
  • 맑음영주14.9℃
  • 맑음문경15.5℃
  • 맑음청송군12.2℃
  • 맑음영덕10.3℃
  • 맑음의성15.6℃
  • 맑음구미17.3℃
  • 맑음영천13.2℃
  • 맑음경주시12.9℃
  • 맑음거창14.1℃
  • 맑음합천16.6℃
  • 맑음밀양15.5℃
  • 맑음산청15.7℃
  • 맑음거제11.4℃
  • 맑음남해13.2℃
  • 구름조금13.7℃
  • 맑음속초10.8℃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1일 (화)

생화탕, 산후나 유산 이후 회복에 도움

생화탕, 산후나 유산 이후 회복에 도움

20240426085524_d18da2d477a8278f907fa1f787782f6d_ebas.jpg[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2478-33 황덕상.jpg


황덕상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부인과 


KMCRIC 제목

생화탕의 임신 초기 의학적 인공 임신 중절의 보조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서지사항

Li HF, Chen WM, Shen HL, Feng ZF, Yang Y, Shen QH. The efficacy of Shenghua Decoction supplementation after early medical abortio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mplement Ther Med. 2022 Oct;69:102848. doi: 10.1016/j.ctim.2022.102848.


연구 설계

약물을 사용한 의료적 인공 임신 중절 후 무처치 대조군과 생화탕 보조 중재를 비교한 연구를 대상으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연구.


연구 목적

임신 중절 약물 유산 유도제인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과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을 사용한 의료적 인공 임신 중절의 보조 치료로 쓴 생화탕의 영향에 대한 연구.


질환 및 연구 대상

7주 미만의 자궁 내 임신이 진단된 건강한 여성 중 mifepristone과 misoprostol 병행 복용으로 의학적 인공 임신 중절을 한 여성.


시험군 중재

생화탕 혹은 생화탕 가미방을 유산 이후 보조 요법으로 복용.


대조군 중재

약물을 이용한 의료적 인공 임신 중절 이후 무처치 대조군.


평가지표

1. primary outcome: 소파술이나 반복적인 의료적 치료가 필요 없는 완전 유산.

2. seconday outcome: 수술이나 추가적 치료가 필요한 불완전 유산, 임신 유지, 유산까지 소요된 시간, 오로 배출 기간, 다음 생리 재개 기한, 안전성.

 

주요 결과

1. 3016명 대상(1537명이 치료군, 1479명 대조군).

2. ROB 제시, 각 연구 특성 제시.

3. 일차 유효 평가: 완전 유산 비율이 생화탕을 같이 복용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효하게 높았음(RR: 1.14; CI: 1.10-1.18; P<0.01, I2=26%).

4. 생화탕을 같이 복용한 군에서 불완전 유산에 대한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음.

5. 2건의 연구에서 유산까지의 시간, 6건의 연구에서 출혈 기간, 4건의 연구에서 생리가 회복되는 시간까지 조사하였는데, 생화탕을 복용한 군에서 유산까지의 시간이 짧고, 출혈 기간도 줄고, 다음 생리가 회복되는 시간도 짧았음.


저자 결론

생화탕을 복용하면 의학적 인공 유산을 성공적으로 시킬 수 있으며, 다른 심각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산을 목적으로 치료할 때 유효성이 있다.


KMCRIC 비평

임신 7주 이내의 초기에 시행되는 의료 인공 유산을 소파술이 아닌 약물을 이용한 임신 중절 치료(사후 피임약)에 대한 보조적인 치료로서 생화탕의 활용에 대한 연구 논문이다. 

이때 mifepristone과 misoprostol을 병행해서 복용하는 치료를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아니다. 해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약물을 통한 임신 중절 치료이다. 


미국에서도 2000년에 FDA에서 mifepristone (mifeprex)의 사용 승인 이후로 초기 임신 중절에 약물 요법을 이용하는 것이 점차 늘고 있는 상황이다. 

Mifepristone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길항제(progestetone receptor antagonist)로 탈락막 괴사(decidual necrosis)를 유발하고 자궁을 수축하게 하며, 같이 사용하는 misoprostol(cytotec)은 프로스타글란딘 E1 유사체(prostaglandin E1 analogue)로 자궁 수축과 경부의 숙화를 유도한다. 


이 두 요법을 이용한 의료적 인공 중절에도 부작용이 있는데 8.8%에서 다시 자궁 흡입(uterine aspiration)이 필요하고, 2% 출혈, 1.3% 골반 감염, 1.8∼4.2% 지속적인 통증과 출혈 등의 부작용이 있다[1]. 

국내에는 2021년 인공 임신 중절 실태 조사 결과[2]에서 수술만 받은 경우가 92.2%이고, 약물을 사용한 경우는 7.7%인데 그중 약물을 사용 후 수술한 경우인 5.4%를 포함하기 때문에 약물만 사용한 경우가 해외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은 상태이다. 


이런 국내 현실은 생화탕이 의학적 인공 임신 중절의 보조 요법으로의 효용에 대한 이 연구의 의미가 평가 절하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 고찰에도 언급되었지만, 생화탕은 어혈을 제거하고 자궁 혈류 순환을 촉진하기 때문에 여성 생리, 생식 관련해서 많이 쓰는 처방이다. 국내 생화탕은 산후나 유산 이후 회복을 도와주는 쪽의 한의학적 의미가 강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학적 인공 임신 중절의 보조적 방법으로 임신 중절 성공률을 높이고 약물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줄여 다음 생리가 돌아오는 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였다는 점과 생화탕의 치료적 활용을 확장했다는 면에서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때 사회적 이슈를 끌었던 사후 피임약 사용에 대한 논란, 인공 임신 중절의 문제가 아직 현존하고 있지만, 산부인과에서 치료적 임신 중절 수술이나 약물을 통한 치료에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화탕을 사용하면 그에 따른 부작용 완화와 치료 효과(임신 중절)를 높일 수 있는 중약 처방으로 생화탕 활용에 대한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 cat=SR&access=S202210123


참고문헌

[1] Macnaughton H, Nothnagle M, Early J. Mifepristone and Misoprostol for Early Pregnancy Loss and Medication Abortion. Am Fam Physician. 2021 Apr 15;103(8):473-80.

https://pubmed.ncbi.nlm.nih.gov/33856168/

[2] 변수정, 이지혜, 이소영, 최선영, 박종서, 신옥주, 김동식, 김수진.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https://www.kihasa.re.kr/publish/report/view?seq=47710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