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3 (목)

  • 맑음속초8.7℃
  • 맑음14.8℃
  • 맑음철원13.6℃
  • 맑음동두천17.1℃
  • 맑음파주14.9℃
  • 맑음대관령4.9℃
  • 맑음춘천15.9℃
  • 황사백령도7.6℃
  • 황사북강릉8.3℃
  • 구름조금강릉11.0℃
  • 구름많음동해10.6℃
  • 황사서울17.7℃
  • 황사인천13.2℃
  • 구름많음원주17.0℃
  • 비울릉도11.4℃
  • 황사수원13.3℃
  • 구름많음영월11.9℃
  • 구름많음충주15.8℃
  • 구름조금서산10.9℃
  • 구름많음울진10.5℃
  • 황사청주16.6℃
  • 구름많음대전16.2℃
  • 구름많음추풍령13.8℃
  • 구름많음안동14.1℃
  • 구름많음상주14.7℃
  • 흐림포항12.9℃
  • 구름많음군산9.7℃
  • 흐림대구15.6℃
  • 구름많음전주10.3℃
  • 흐림울산14.2℃
  • 구름많음창원14.9℃
  • 구름많음광주13.1℃
  • 흐림부산15.4℃
  • 흐림통영15.4℃
  • 황사목포8.6℃
  • 흐림여수16.4℃
  • 황사흑산도7.7℃
  • 흐림완도12.4℃
  • 구름많음고창8.4℃
  • 구름많음순천15.5℃
  • 구름조금홍성(예)14.0℃
  • 구름많음15.3℃
  • 흐림제주12.6℃
  • 흐림고산11.1℃
  • 흐림성산16.0℃
  • 구름많음서귀포17.0℃
  • 흐림진주15.8℃
  • 맑음강화13.7℃
  • 맑음양평18.4℃
  • 맑음이천16.4℃
  • 맑음인제10.7℃
  • 맑음홍천15.3℃
  • 흐림태백7.4℃
  • 구름많음정선군9.3℃
  • 구름많음제천10.7℃
  • 구름많음보은14.8℃
  • 구름많음천안14.8℃
  • 구름많음보령9.3℃
  • 구름많음부여15.7℃
  • 흐림금산14.6℃
  • 구름많음15.4℃
  • 구름많음부안8.9℃
  • 구름많음임실11.5℃
  • 구름많음정읍10.1℃
  • 구름많음남원14.8℃
  • 구름조금장수12.7℃
  • 구름많음고창군8.3℃
  • 구름많음영광군8.8℃
  • 흐림김해시15.4℃
  • 흐림순창군13.8℃
  • 구름많음북창원16.5℃
  • 흐림양산시15.6℃
  • 흐림보성군15.7℃
  • 흐림강진군12.3℃
  • 흐림장흥13.0℃
  • 흐림해남10.0℃
  • 흐림고흥15.3℃
  • 구름많음의령군
  • 구름많음함양군15.0℃
  • 흐림광양시16.2℃
  • 흐림진도군9.5℃
  • 구름많음봉화11.3℃
  • 구름많음영주12.5℃
  • 구름많음문경13.3℃
  • 구름많음청송군12.9℃
  • 구름많음영덕10.6℃
  • 구름많음의성14.6℃
  • 구름많음구미14.8℃
  • 구름많음영천14.7℃
  • 흐림경주시14.1℃
  • 구름많음거창15.2℃
  • 구름많음합천15.8℃
  • 구름많음밀양15.6℃
  • 구름많음산청15.4℃
  • 흐림거제15.3℃
  • 흐림남해16.1℃
  • 흐림15.7℃
간헐적 단식이 체중 감량에 미치는 효과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간헐적 단식이 체중 감량에 미치는 효과는?

대문사진.jpg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2395-33 노은영.jpg

 

노은영

누베베한의원


KMCRIC 제목

간헐적 단식은 지속적으로 열량을 제한하는 다이어트보다 체중 감량에 효과적인가?


서지사항

Patikorn C, Roubal K, Veettil SK, Chandran V, Pham T, Lee YY, Giovannucci EL, Varady KA, Chaiyakunapruk N. Intermittent Fasting and Obesity-Related Health Outcomes: An Umbrella Review of Meta-analyse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JAMA Netw Open. 2021 Dec 1;4 (12):e2139558. doi: 10.1001/jamanetworkopen.2021.39558.


연구 설계

간헐적 단식을 지속적인 저열량 식이 또는 일반 식이군과 비교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들을 고찰한 연구(umbrella review).


연구 목적

각 유형의 간헐적 단식이 비만 관련 건강지표들에 대한 이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간헐적 단식 관련 메타분석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며, 증거의 강도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함.


질환 및 연구 대상

의학적 상태와 상관없이 성인을 대상으로 함.


시험군 중재

시험군 중재로는 간헐적 단식이 수행되며, 그 종류는 아래와 같다.

(1)영칼로리 격일제 단식(zero-calorie alternate-day fasting): 격일로 단식을 하는 방법.

(2)수정 격일제 단식(modified alternate-day fasting): 매주 3∼5일간 하루 총 열량의 0∼40% 또는 0-600칼로리를 먹는 것과 임의대로 식사하는 것을 번갈아 가는 방법.

(3)5:2 간헐적 단식(5:2 diet): 1∼2일 동안 하루 총 열량의 0∼40% 또는 0∼600칼로리를 먹고 나머지 5일은 임의대로 식사하는 방법.

(4)시간 제한 식이(time-restricted eating): 하루에 12∼24시간 금식하는 방법.


대조군 중재

저열량 식이 또는 일반 식이


평가지표

비만 관련 건강지표: 체질량지수(kg/m2), 체중(kg), 제지방량(kg), 체지방량(kg), 지질 프로파일(mg/dl), 공복 혈당(mg/dl), 공복 인슐린 농도(mIU/ml), HOMA-I, 혈압(mmHg) 등


주요 결과

1. 수정 격일제 단식과 5:2 간헐적 단식은 과체중 또는 비만이 있는 성인에서 5% 이상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체중 감소와 관련된 유일한 간헐적 단식 유형이었다. 

2. 간헐적 단식은 초기 단계(즉, 1∼6개월)에서 대부분 체중 감량에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이후 참가자는 인체의 대사 적응 또는 중재에 대한 순응도 감소로 인해 추가 체중 감소가 더 이상 달성되지 않아 정체기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헐적 단식은 과체중, 비만 성인의 성공적인 체중 감소 및 대사 이점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했다. 

1) 높은 수준의 근거

수정 격일제 단식은 일반적인 식이에 비해 BMI를 감소시킨다(1∼2개월 효과 크기, -1.20 kg/m2 [95% 신뢰구간, -1.44 to -0.96]).

2) 중간 수준의 근거

○ 수정 격일제 단식은 지속적인 열량 제한 식이에 과체중, 비만 성인에서 체중/제지방량을 더 감소시킨다(각각 1∼2개월 효과 크기, -1.65 kg [95% 신뢰구간, -2.73 to -0.58] / 2∼6개월 효과 크기, -0.70 kg [95% 신뢰구간, -1.38 to -0.02]).

○ 영칼로리 격일제 단식은 과체중, 비만 성인에서 일반 식이 또는 지속적인 열량 제한 식이에 비해 체지방량을 더 감소시킨다(3∼4개월 효과 크기, -1.99 kg [95% 신뢰구간, -2.59 to -1.38]).

○ 5:2 간헐적 단식은 과체중, 비만 여성에서 지속적인 열량 제한 식이에 비해 공복 혈당을 더 감소시킨다(3∼6개월 효과 크기, -1.00 mIU/mL [95% 신뢰구간, -1.77 to -0.39]).


저자 결론

과체중 또는 비만이 있는 성인을 위한 체중 감량 접근법으로서 간헐적 단식, 특히 수정 격일제 단식의 역할을 뒷받침하는 중간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는 신체 계측 정보 및 심장 대사 결과와 간헐적 단식 사이의 유익한 연관성을 발견했다. 심혈관 질환 발생 및 사망률과 같은 임상 결과에 대한 간헐적 단식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한 더 많은 임상시험이 필요하다.


KMCRIC 비평

간헐적 단식은 혈당 조절, 항스트레스 작용, 염증 억제, 손상된 세포 복구 등의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비만 치료를 위해 간헐적 단식을 이용하려는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간헐적 단식 프로그램들 중 수정 격일제 단식과 5:2 간헐적 단식이 과체중, 비만 성인에게서 지속적인 열량 제한 식이에 비해 체중 감소 효과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임상에서 지속적으로 열량을 제한해야 하는데 어려움을 갖는 환자들이 많은데 수정 격일제 단식, 5:2 간헐적 단식과 같이 비교적 완만한 간헐적 단식 방법은 금식 이후에 임의대로 식사할 수 있는 기간이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으로 보인다. 다만, 수정 격일제 단식에서 지속적인 열량 제한 식이에 비해 제지방량이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금식 이후의 기간에 단백질, 미네랄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재미있는 것은 간헐적 단식은 초기 단계(즉, 1∼6개월)에서 대부분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나, 그 이후 참가자는 인체의 대사 적응 또는 순응도 감소로 인해 추가 체중 감소가 더 이상 달성되지 않아 정체기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했는데, 이는 저열량 식이, 운동 및 비만 치료약 복용을 통한 체중 감량에서도 나타난다는 점이다[2].


본 메타분석의 강점이라면 GRADE 기준을 사용해 체계적으로 수집된 메타분석의 증거 수준을 평가했다는 것과 중간 수준 이상의 근거로 평가받은 메타분석에 포함된 연구들의 대조군이 지속적인 열량 제한 식이를 수행했다는 점이다. 이 결과를 통해 간헐적 단식이 체중, 체지방, 대사적 지표들과 관련된 다양한 비만 관련 지표들을 낮춰 주는 효과가 있음에 대해 어느 정도 확신을 가져도 좋다고 말하는 셈이다. 또한, 간헐적 단식의 종류가 많아 임상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보다 높은 근거 수준의 식이 전략(수정 격일제 단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함된 논문들은 모두 비뚤림 위험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는데 서로 다른 식이 요법 전략을 사용함으로 인해 환자의 눈가림이 어려워 높은 수준의 위험으로 평가되는 면이 있었던 점을 보고하고 있다. 각 메타분석 안에 포함된 연구에 대해 각 논문 저자의 질 평가를 그대로 신뢰한 점, 관찰 연구를 포함하지 않아 장기간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던 약점들은 잘 제시돼 있다.


포함·배제 기준, 연구 질문, 분석 방법, 질 평가 등이 모두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제시돼 방법론적으로는 잘 수행되었다고 보여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지적된 참가자 눈가림이나 연구 수행 기간이 짧고, 연구 참가자 수가 적은 등의 문제점 등을 고려해 설계 및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문헌

[1] Welton S, Minty R, O'Driscoll T, Willms H, Poirier D, Madden S, Kelly L. Intermittent fasting and weight loss: Systematic review. Can Fam Physician. 2020 Feb;66(2):117-25.

[2] Franz MJ, VanWormer JJ, Crain AL, Boucher JL, Histon T, Caplan W, Bowman JD, Pronk NP. Weight-loss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weight-loss clinical trials with a minimum 1-year follow-up. J Am Diet Assoc. 2007 Oct;107(10):1755-67. doi: 10.1016/j.jada.2007.07.017.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SR&access=S202112061

 

 

노은영 기자




  • [3분 한의약] 긴장성 두통의 특징적인 증상과 원인, 한의약 치료 효과!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한국 한의사와 대만 중의사, 현대 진단기기 사용 확대 공동선언문 발표

  • [3분 한의약] 월경통의 종류와 증상에 따른 효과적인 한의약 치료

  • 주영승 교수의 한약재 감별정보 <13> 자화지정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