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3 (목)

  • 맑음속초8.7℃
  • 맑음14.8℃
  • 맑음철원13.6℃
  • 맑음동두천17.1℃
  • 맑음파주14.9℃
  • 맑음대관령4.9℃
  • 맑음춘천15.9℃
  • 황사백령도7.6℃
  • 황사북강릉8.3℃
  • 구름조금강릉11.0℃
  • 구름많음동해10.6℃
  • 황사서울17.7℃
  • 황사인천13.2℃
  • 구름많음원주17.0℃
  • 비울릉도11.4℃
  • 황사수원13.3℃
  • 구름많음영월11.9℃
  • 구름많음충주15.8℃
  • 구름조금서산10.9℃
  • 구름많음울진10.5℃
  • 황사청주16.6℃
  • 구름많음대전16.2℃
  • 구름많음추풍령13.8℃
  • 구름많음안동14.1℃
  • 구름많음상주14.7℃
  • 흐림포항12.9℃
  • 구름많음군산9.7℃
  • 흐림대구15.6℃
  • 구름많음전주10.3℃
  • 흐림울산14.2℃
  • 구름많음창원14.9℃
  • 구름많음광주13.1℃
  • 흐림부산15.4℃
  • 흐림통영15.4℃
  • 황사목포8.6℃
  • 흐림여수16.4℃
  • 황사흑산도7.7℃
  • 흐림완도12.4℃
  • 구름많음고창8.4℃
  • 구름많음순천15.5℃
  • 황사홍성(예)14.0℃
  • 구름많음15.3℃
  • 흐림제주12.6℃
  • 흐림고산11.1℃
  • 흐림성산16.0℃
  • 구름많음서귀포17.0℃
  • 흐림진주15.8℃
  • 맑음강화13.7℃
  • 맑음양평18.4℃
  • 맑음이천16.4℃
  • 맑음인제10.7℃
  • 맑음홍천15.3℃
  • 흐림태백7.4℃
  • 구름많음정선군9.3℃
  • 구름많음제천10.7℃
  • 구름많음보은14.8℃
  • 구름많음천안14.8℃
  • 구름많음보령9.3℃
  • 구름많음부여15.7℃
  • 흐림금산14.6℃
  • 구름많음15.4℃
  • 구름많음부안8.9℃
  • 구름많음임실11.5℃
  • 구름많음정읍10.1℃
  • 구름많음남원14.8℃
  • 구름조금장수12.7℃
  • 구름많음고창군8.3℃
  • 구름많음영광군8.8℃
  • 흐림김해시15.4℃
  • 흐림순창군13.8℃
  • 구름많음북창원16.5℃
  • 흐림양산시15.6℃
  • 흐림보성군15.7℃
  • 흐림강진군12.3℃
  • 흐림장흥13.0℃
  • 흐림해남10.0℃
  • 흐림고흥15.3℃
  • 구름많음의령군
  • 구름많음함양군15.0℃
  • 흐림광양시16.2℃
  • 흐림진도군9.5℃
  • 구름많음봉화11.3℃
  • 구름많음영주12.5℃
  • 구름많음문경13.3℃
  • 구름많음청송군12.9℃
  • 구름많음영덕10.6℃
  • 구름많음의성14.6℃
  • 구름많음구미14.8℃
  • 구름많음영천14.7℃
  • 흐림경주시14.1℃
  • 구름많음거창15.2℃
  • 구름많음합천15.8℃
  • 구름많음밀양15.6℃
  • 구름많음산청15.4℃
  • 흐림거제15.3℃
  • 흐림남해16.1℃
  • 흐림15.7℃
갱년기 장애에 있어 전침 치료 효과 및 안전성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갱년기 장애에 있어 전침 치료 효과 및 안전성은?

대문사진.jpg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2390-33 조준영.jpg


조준영

꽃마을한의원 부인과


KMCRIC 제목

갱년기 장애에 있어 전침 치료는 호르몬 치료, 일반침 치료, 거짓 전침 치료에 비해 효과적인가?


서지사항

Zhong Z, Dong H, Wang H, Huang Y, Huang D, Huang G. Electro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perimenopausal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cupunct Med. 2022 Apr;40 (2):111-122. doi: 10.1177/09645284211055742.


연구 설계

거짓 전침 치료나 호르몬 치료와 전침 치료를 비교해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대상으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


연구 목적

갱년기 장애 치료에 있어 전침 치료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


질환 및 연구 대상

갱년기 장애 여성


시험군 중재

전침 치료.


대조군 중재

거짓 전침 치료, 일반침 치료, 호르몬 치료.


평가지표

1. 치료율 2. 쿠퍼만 인덱스(Kupperman Index) 3. 혈청 FSH 또는 LH 수치 4. 혈청 E2 수치


주요 결과

1. 전침 치료는 유효율(RR= 0.98, 95% CI= 0.93 to 1.04), 쿠퍼만 인덱스(MD= -0.25, 95% CI= -0.76 to 0.26), 혈청 FSH(MD= -3.80, 95% CI= -11.59 to 3.98) 또는 LH 수치(MD= -2.51, 95% CI= -10.72 to 5.70)에 있어서 호르몬 치료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혈청 E2 수치는 전침 치료에서 호르몬 치료보다 유의하게 낮았다(MD= -60.58, 95% CI= -71.93 to -49.23).

3. 전침 치료는 거짓 전침 치료에 비해, 쿠퍼만 인덱스(MD= -4.71, 95% CI= -6.57 to -2.86)와 안면홍조 점수(MD= -2.43, 95% CI= -2.93 to -1.93)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4. 전침 치료는 일반침 치료와 유효율(RR= 1.14, 95% CI= 0.98 to 1.33)과 혈청 FSH(MD= -2.87, 95% CI= -29.65 to 23.91), LH(MD= 2.73, 95% CI = -9.65 to 15.11), E2(MD= 26.80, 95% CI= -12.06 to 65.65)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전침 치료는 일반침 치료에 비해 쿠퍼만 인덱스에서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MD= -2.44, 95% CI= -4.80 to -0.08).

5. 하위 그룹 분석에서 전침 치료는 안면홍조 점수에서 폐경 후 상태(p>0.05)보다 폐경 전 상태에서 더 나은 효과가 있었다(hot flushes score/24 h: MD= -1.66, 95% CI= -3.49 to 0.17).


저자 결론

갱년기 장애에 대한 전침의 효과는 전반적으로 호르몬 치료나 일반침 치료와 유사했으나, 전침이 일반침 치료나 거짓 전침 치료에 비해 쿠퍼만 인덱스에서 더 나은 효과를 보였다. 이는 플라시보 효과 이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근거 수준은 적은 수의 연구들, 비뚤림의 위험이나 임상적·통계적인 이질성 등으로 인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제한적이다. 고품질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KMCRIC 비평

갱년기 장애(Perimenopausal syndrome, PMS)는 45∼60세 여성의 50% 이상에서 육체적·정신적인 증상을 일으킨다[1]. 난소 기능의 저하로 유발된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해 갱년기 장애를 겪는 여성들은 안면홍조, 야간 발한, 질 건조감, 성 기능 장애, 피로감, 불면, 불안, 우울 등의 증상을 경험한다[2]. 호르몬 치료는 갱년기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지만 장기간의 호르몬 사용은 자궁내막암, 유방암, 뇌졸중 등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이에 따라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최근 들어, 점점 더 많은 임상연구들이 침 치료가 갱년기 장애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이고 안전하다고 보고됐다[4]. 하지만 아직까지 갱년기 장애의 전침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은 없기에, 저자들은 이번 연구를 수행했음을 밝히고 있다. 

전침 치료를 거짓 전침 치료, 일반침 치료, 호르몬 치료와 비교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포함했으며, 평가지표로 치료율, 쿠퍼만 인덱스, 혈청 FSH 또는 LH 수치, 혈청 E2 수치 등을 비교했다. 언어의 제한 없이 검색했고, 총 12개, 746명의 여성이 분석에 포함됐다. 그 결과, 갱년기 장애에 대한 전침의 효과는 전반적으로 호르몬 치료나 일반침 치료와 유사했으나, 전침이 일반침 치료나 거짓 전침 치료에 비해서 쿠퍼만 인덱스에서 더 나은 효과를 보였다. 이는 플라시보 효과 이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쉽게도, 근거 수준은 적은 수의 연구들, 비뚤림의 위험이나 임상적·통계적인 이질성 등으로 인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제한적이라고 연구자들은 결론지었다.

본 연구의 의미와 한계점을 살펴보면 첫째, 논문이 억셉된 것이 2021년 10월인데, 문헌검색 기간이 2019년 6월까지이다. 대략 2년 동안 새로운 연구들이 발표되었는지 추가적으로 검색을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둘째, 포함된 연구들의 대다수가 중국 논문이다 보니 평가지표로 치료율이 선정된 점이다. ‘치료율’은 객관적인 평가지표가 아니어서 연구들간 결과의 비교나 합성에 있어 비뚤림 위험의 소지가 있다. 보다 객관적인 지표로 인정된 평가지표들로 추가적인 연구들이 수행돼야 한다.

셋째, 대조군이나 평가지표 등에 따라 논문을 분류하면 각각 분석에 포함된 연구들의 수가 적은 점이다. 더 많은 양질의 연구가 필요하겠다.

이와 같이 이번 연구는 갱년기 장애에 있어 전침 치료가 호르몬 치료와 유사한 치료 효과가 있고, 일반침 치료나 거짓 전침에 비해 일부 지표에서 나은 효과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전침의 효과를 단정하기에는 대부분의 연구가 방법론적 약점이 있고, 연구의 수가 적으므로 고품질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빠른 시일 내에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Li RX, Ma M, Xiao XR, Xu Y, Chen XY, Li B. Perimenopausal syndrome and mood disorders in perimenopause: prevalence, severity, relationships, and risk factors. Medicine (Baltimore). 2016 Aug;95(32):e4466. doi: 10.1097/MD.0000000000004466.

[2] Nelson HD. Menopause. Lancet. 2008 Mar 1;371(9614):760-70. doi: 10.1016/S0140-6736(08)60346-3.

[3] Marjoribanks J, Farquhar C, Roberts H, Lethaby A, Lee J. Long-term hormone therapy for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 Jan 17;1(1):CD004143. doi: 10.1002/14651858.CD004143.pub5.

[4] Dodin S, Blanchet C, Marc I, Ernst E, Wu T, Vaillancourt C, Paquette J, Maunsell E. Acupuncture for menopausal hot flush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 Jul 30;2013(7):CD007410. doi: 10.1002/14651858.CD007410.pub2.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SR&access=S202111077

조준영 기자




  • [3분 한의약] 긴장성 두통의 특징적인 증상과 원인, 한의약 치료 효과!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한국 한의사와 대만 중의사, 현대 진단기기 사용 확대 공동선언문 발표

  • [3분 한의약] 월경통의 종류와 증상에 따른 효과적인 한의약 치료

  • 주영승 교수의 한약재 감별정보 <13> 자화지정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