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3 (화)

  • 구름조금속초15.1℃
  • 구름많음12.2℃
  • 구름조금철원10.4℃
  • 구름많음동두천11.8℃
  • 구름많음파주11.4℃
  • 구름조금대관령5.2℃
  • 구름많음춘천12.7℃
  • 구름조금백령도18.2℃
  • 구름조금북강릉14.4℃
  • 구름조금강릉15.0℃
  • 구름조금동해13.8℃
  • 맑음서울15.9℃
  • 맑음인천17.6℃
  • 구름많음원주13.2℃
  • 구름조금울릉도16.7℃
  • 맑음수원12.9℃
  • 맑음영월10.8℃
  • 구름조금충주11.5℃
  • 맑음서산11.5℃
  • 구름조금울진14.1℃
  • 맑음청주15.3℃
  • 구름조금대전12.9℃
  • 맑음추풍령9.1℃
  • 맑음안동12.9℃
  • 구름조금상주11.6℃
  • 구름많음포항16.1℃
  • 구름많음군산14.4℃
  • 구름많음대구14.3℃
  • 구름많음전주15.3℃
  • 구름많음울산14.8℃
  • 구름많음창원18.6℃
  • 구름많음광주18.5℃
  • 구름많음부산19.2℃
  • 구름조금통영17.9℃
  • 구름많음목포18.2℃
  • 구름많음여수20.6℃
  • 구름많음흑산도18.6℃
  • 흐림완도18.3℃
  • 구름많음고창14.5℃
  • 흐림순천13.0℃
  • 맑음홍성(예)12.2℃
  • 구름조금10.9℃
  • 흐림제주20.4℃
  • 흐림고산20.1℃
  • 흐림성산19.0℃
  • 흐림서귀포21.3℃
  • 구름많음진주14.1℃
  • 맑음강화12.4℃
  • 구름많음양평12.8℃
  • 구름많음이천11.0℃
  • 구름많음인제11.6℃
  • 구름조금홍천11.4℃
  • 맑음태백7.1℃
  • 맑음정선군8.9℃
  • 맑음제천9.2℃
  • 맑음보은10.4℃
  • 맑음천안10.4℃
  • 맑음보령14.4℃
  • 맑음부여12.1℃
  • 구름많음금산10.2℃
  • 맑음12.9℃
  • 구름많음부안14.7℃
  • 구름많음임실11.6℃
  • 구름많음정읍14.0℃
  • 구름많음남원14.5℃
  • 구름많음장수9.3℃
  • 구름많음고창군14.1℃
  • 구름많음영광군15.3℃
  • 구름조금김해시17.4℃
  • 구름많음순창군13.5℃
  • 구름조금북창원17.8℃
  • 구름조금양산시17.2℃
  • 구름많음보성군16.0℃
  • 구름많음강진군15.9℃
  • 흐림장흥15.0℃
  • 구름많음해남14.9℃
  • 구름많음고흥15.8℃
  • 구름많음의령군13.5℃
  • 구름많음함양군11.9℃
  • 구름많음광양시18.3℃
  • 구름많음진도군15.3℃
  • 맑음봉화9.4℃
  • 맑음영주10.6℃
  • 맑음문경11.1℃
  • 맑음청송군8.8℃
  • 맑음영덕12.4℃
  • 구름조금의성11.1℃
  • 구름조금구미12.2℃
  • 구름조금영천11.4℃
  • 구름많음경주시11.9℃
  • 구름조금거창10.9℃
  • 구름조금합천13.7℃
  • 구름조금밀양14.5℃
  • 구름많음산청12.7℃
  • 구름조금거제17.3℃
  • 구름많음남해17.6℃
  • 구름조금17.3℃
수술 전 불안 줄이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침 치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술 전 불안 줄이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침 치료’

20200521152927_9cf944c0d057ef997d4f02d4e7a2e2a0_cs1n.jpg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2408-33 김윤나.jpg


김윤나

경희대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KMCRIC 제목

수술 전 불안을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는 침 치료.


서지사항

Zanella S, Buccelletti F, Vassiliadis A, De Bortoli R, Visentini S, Pedrotti G, Azzalin L. Preoperative anxiety management: acupuncture vs. pharmacological treatment - A prospective study. Eur Rev Med Pharmacol Sci. 2022 Feb;26 (3):900-905. doi: 10.26355/eurrev_202202_27999.


연구 설계

무작위배정, 네 그룹, 평가자 눈가림, 비교 임상연구.


연구 목적

담낭절제술이나 복강경 전복막 탈장 수술(Totally extraperitoneal hernia repair, TEP)을 받는 환자의 수술 전 불안을 줄이는 데 있어 침 치료와 약물 치료의 효과를 비교.


질환 및 연구 대상

120명의 환자를 대조군(Midazolam으로 약물치료)과 체침군(somatic acupuncture, SA), 이침군(auricular acupuncture, AA), 무처치군으로 무작위배정.


시험군 중재

1)체침(그룹 B, n=32): 수술 30분 전 합곡(LI4), 내관(PC6), 족삼리(ST36), 인당(Ex1) and 백회(GV20) 30분간 시행. 득기를 위해 5분마다 수기 자극 시행.

2)이침(그룹 C, n=30): Triad Relax(신문, Sensory Master, Callous Body) 수술 당일 부착.


대조군 중재

1)Midazolam 약물 치료군(그룹 A, n=22): Midazolam 0.04∼0.07mg/kg IM, 수술 전 30분.

2)무처치군(그룹 D, n=36).


평가지표

불안 감소:

1)수술 중 Propofol과 Fentanyl의 사용량.

2)수술 전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Question(STAI) 치료 전과 치료 30분 후 측정.


주요 결과

(1)프로포폴 사용량: SA, AA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프로포폴 사용량이 더 낮음. SA, AA 그룹은 대조군보다 더 적은 프로포폴을 사용함(각각 p=0.0019 및 p=0.0016).

(2)펜타닐 사용량: SA 그룹은 대조군보다 더 적은 펜타닐을 사용함(p=0.002). SA 대 AA(p=0.15) 및 AA 대 PT(p=0.16)를 비교할 때에는 차이가 측정되지 않았음.

(3)STAI 점수: 약물 치료군과의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


저자 결론

침 치료는 수술 전 불안을 줄이는 안전하고 잘 작용하는 치료다. 체침과 이침 모두 약물 치료보다 수술 중 효과적이었다. AA는 SA보다 적용하기 쉽다.


KMCRIC 비평

본 연구에서는 침 치료가 수술 전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고하였다. 불안을 평가하는 STAI의 점수의 경우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인 미다졸람을 투여한 군과 비교해 SA와 AA 둘 다 점수를 감소시켰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약물 치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수술 전 불안에 대한 침 치료의 효과를 보고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출판되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침 치료 및 이침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에 따르면 많은 임상시험에서 침 치료가 수술 전 불안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보고했으나 대부분 대조군이 샴침이거나 무처치군이었다[1∼3]. 

본 연구와 같이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을 사용해 대조군으로 삼은 경우는 3편에 불과했는데, 대부분의 연구에서 불안의 정도는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을 투여한 군과 비슷했다[4∼6]. 

또한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과 침 치료를 병용한 군은 약물 치료만 한 군에 비해 불안이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7].

한편, 침 치료가 약물 치료에 비해 이점을 가질 수 있는 점은 약물 사용으로 인한 이상반응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침 치료를 시행한 군이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마취제의 사용량이었다. 프로포폴 사용량은 SA와 AA 모두 유의하게 감소했고 펜타닐은 SA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 

본 연구에서는 무처치군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지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역시 프로포폴 사용량은 SA와 AA 모두 감소했고 펜타닐은 SA에서 감소했다. 

수술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안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진정제와 항불안제가 투여되는데, 이러한 약물의 사용은 마취 과정에서 필요한 마취제 요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다 보면 환자들에게 저혈압과 서맥, 호흡 감소, 오심, 구토를 유발해 환자의 회복을 방해할 수 있다[8]. 

다른 연구에서도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을 투여한 군에 비해 침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부수적 반응이 적었는데 손바닥 발한이 줄거나[4] 맥박이 덜 상승했고 초조, 근육 이완, 어지럼증, 소화기계 이상 등 이상반응이 적었다. 

단, 이침 치료를 받은 군이 미다졸람을 투여받은 군에 비해 수술 중 사건에 대해 더 잘 기억하였다[5]. 검토할 점이 있겠지만 약물 치료와 비슷한 정도의 불안 감소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수술 전 불안을 조절하기 위해 투여하는 각종 약물의 이상반응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침 치료를 시행하거나 약물 치료와 병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시간도 대조군과 차이가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침 치료를 적용할 경우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1] Tong QY, Liu R, Zhang K, Gao Y, Cui GW, Shen WD. Can acupuncture therapy reduce preoperative anxie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Integr Med. 2021 Jan;19(1):20-8. doi: 10.1016/j.joim.2020.10.007.

[2] Usichenko TI, Hua K, Cummings M, Nowak A, Hahnenkamp K, Brinkhaus B, Dietzel J. Auricular stimulation for preoperative anxiety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J Clin Anesth. 2022 Feb;76:110581. doi: 10.1016/j.jclinane.2021.110581.

[3] Bae H, Bae H, Min BI, Cho S. Efficacy of acupuncture in reducing preoperative anxiety: a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2014:850367. doi: 10.1155/2014/850367.

[4] Lewis GBH. An alternative approach to premedication comparing diazepam with auriculotherapy and a relaxation method. Am J Acupunct. 1987 Jan 23;15(3):205–14.

[5] Dellovo AG, Souza LMA, de Oliveira JS, Amorim KS, Groppo FC. Effects of auriculotherapy and midazolam for anxiety control in patients submitted to third molar extraction.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9 May;48(5):669-74. doi: 10.1016/j.ijom.2018.10.014.

[6] Karst M, Winterhalter M, Münte S, Francki B, Hondronikos A, Eckardt A, Hoy L, Buhck H, Bernateck M, Fink M. Auricular acupuncture for dental anxie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esth Analg. 2007 Feb;104(2):295-300. doi: 10.1213/01.ane.0000242531.12722.fd.

[7] Attias S, Keinan Boker L, Arnon Z, Ben-Arye E, Bar’am A, Sroka G, Matter I, Somri M, Schiff E. Effectiveness of integrating individualized and generic complementary medicine treatments with standard care versus standard care alone for reducing preoperative anxiety. J Clin Anesth. 2016 Mar;29:54-64. doi: 10.1016/j.jclinane.2015.10.017.

[8] Kim HY, Lee MN.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reoperative Anxiety in Surgical Pati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9 Nov 30;26(4):248-59. doi: 10.7739/jkafn.2019.26.4.248.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RCT&access=R202202054

김윤나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활짝 열린 한의사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 관문

  • 주영승 교수의 한약재 감별정보 <20> 패모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한의사의 엑스레이 골밀도 측정기 사용 합법

  • [한의약 이슈 브리핑] 대한한의사협회, 한의사 엑스레이 골밀도 측정기 소송 관련 탄원서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