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3 (화)

  • 구름조금속초15.1℃
  • 구름많음12.2℃
  • 구름조금철원10.4℃
  • 구름많음동두천11.8℃
  • 구름많음파주11.4℃
  • 구름조금대관령5.2℃
  • 구름많음춘천12.7℃
  • 구름조금백령도18.2℃
  • 구름조금북강릉14.4℃
  • 구름조금강릉15.0℃
  • 구름조금동해13.8℃
  • 맑음서울15.9℃
  • 맑음인천17.6℃
  • 구름많음원주13.2℃
  • 구름조금울릉도16.7℃
  • 맑음수원12.9℃
  • 맑음영월10.8℃
  • 구름조금충주11.5℃
  • 맑음서산11.5℃
  • 구름조금울진14.1℃
  • 맑음청주15.3℃
  • 구름조금대전12.9℃
  • 맑음추풍령9.1℃
  • 맑음안동12.9℃
  • 구름조금상주11.6℃
  • 구름많음포항16.1℃
  • 구름많음군산14.4℃
  • 구름많음대구14.3℃
  • 구름많음전주15.3℃
  • 구름많음울산14.8℃
  • 구름많음창원18.6℃
  • 구름많음광주18.5℃
  • 구름많음부산19.2℃
  • 구름조금통영17.9℃
  • 구름많음목포18.2℃
  • 구름많음여수20.6℃
  • 구름많음흑산도18.6℃
  • 흐림완도18.3℃
  • 구름많음고창14.5℃
  • 흐림순천13.0℃
  • 맑음홍성(예)12.2℃
  • 구름조금10.9℃
  • 흐림제주20.4℃
  • 흐림고산20.1℃
  • 흐림성산19.0℃
  • 흐림서귀포21.3℃
  • 구름많음진주14.1℃
  • 맑음강화12.4℃
  • 구름많음양평12.8℃
  • 구름많음이천11.0℃
  • 구름많음인제11.6℃
  • 구름조금홍천11.4℃
  • 맑음태백7.1℃
  • 맑음정선군8.9℃
  • 맑음제천9.2℃
  • 맑음보은10.4℃
  • 맑음천안10.4℃
  • 맑음보령14.4℃
  • 맑음부여12.1℃
  • 구름많음금산10.2℃
  • 맑음12.9℃
  • 구름많음부안14.7℃
  • 구름많음임실11.6℃
  • 구름많음정읍14.0℃
  • 구름많음남원14.5℃
  • 구름많음장수9.3℃
  • 구름많음고창군14.1℃
  • 구름많음영광군15.3℃
  • 구름조금김해시17.4℃
  • 구름많음순창군13.5℃
  • 구름조금북창원17.8℃
  • 구름조금양산시17.2℃
  • 구름많음보성군16.0℃
  • 구름많음강진군15.9℃
  • 흐림장흥15.0℃
  • 구름많음해남14.9℃
  • 구름많음고흥15.8℃
  • 구름많음의령군13.5℃
  • 구름많음함양군11.9℃
  • 구름많음광양시18.3℃
  • 구름많음진도군15.3℃
  • 맑음봉화9.4℃
  • 맑음영주10.6℃
  • 맑음문경11.1℃
  • 맑음청송군8.8℃
  • 맑음영덕12.4℃
  • 구름조금의성11.1℃
  • 구름조금구미12.2℃
  • 구름조금영천11.4℃
  • 구름많음경주시11.9℃
  • 구름조금거창10.9℃
  • 구름조금합천13.7℃
  • 구름조금밀양14.5℃
  • 구름많음산청12.7℃
  • 구름조금거제17.3℃
  • 구름많음남해17.6℃
  • 구름조금17.3℃
아교의 혈허증에 대한 치료효과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교의 혈허증에 대한 치료효과는?

20200521152927_9cf944c0d057ef997d4f02d4e7a2e2a0_cs1n.jpg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2406-33 박승혁.jpg

 

 

 

박승혁

춘원당한의원


KMCRIC 제목

아교는 혈허증에 효과적일까? 부작용은 없을까?


서지사항

Zhang L, Xu Z, Jiang T, Zhang J, Huang P, Tan J, Chen G, Yuan M, Li Z, Liu H, Gao D, Xiao L, Feng H, Xu J, Xu H. Efficacy and Safety of Ejiao (Asini Corii Colla) in Women With Blood Deficient Symptoms: A Randomized, Double-Blind, a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Front Pharmacol. 2021 Oct 11;12:718154. doi: 10.3389/fphar.2021.718154.


연구 설계

무작위배정, 이중 맹검, 위약 통제(placebo-controlled) 임상시험.


연구 목적

아교가 혈허증에 효과적인지 평가하고, 부작용은 없는지 관찰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대상

중국 상하이 소재 중의약대학병원에서 혈허로 변증된 18∼60세의 남성 또는 여성.


시험군 중재

1)아교군(n=119): 하루에 두 번 아교를 3g씩 복용.


대조군 중재

1)위약군(n=62): 하루에 두 번 위약을 3g씩 복용.


평가지표

·일차 평가지표: TCM 증후군 점수(TCM syndrome score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ndrome scores) - 치료 전, 4주, 8주 후에 측정.

·이차 평가지표: 혈액지표, 삶의 질(SF-36; Short Form 36 scale score).

·안전성 평가: 화열 증상척도(fire-heat symptom scale), 일상적인 검사, 유해 사례(AEs; adverse events), 화(火), 안정성 평가.


주요 결과

(1)아교를 8주 동안 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어지럼증이 유의하게 호전됐다.

(2)TCM syndrome scores는 아교 투여 후 4주와 8주 모두에서 감소했으며, 8주 후에 더 분명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아교 투여군의 점수 감소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RBC와 HCT(hematocrit)은 아교 투여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감소했으나, 아교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량이 적었다. 또한 WBC와 ANC는 대조군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아교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했다.

(4)SF-36으로 평가한 삶의 질은 아교 투여 4주 후에 신체적 역할, 활력, 사회적 기능, 감정적 역할, 건강 전환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화열 증상척도에서 아교 투여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유해 사례는 아교 투여군에서 11건, 대조군에서 4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아교 투여군의 가장 빈번한 유해 사례는 궤양(5건)과 안면 여드름(3건)이었다.

(7)신 기능, 간 기능, 심전도 등의 일상적인 검사에서 아교 투여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저자 결론

아교는 혈허의 주요 증후군 중 하나인 어지럼증을 크게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교 치료가 말초 혈액에 미치는 영향은 아교가 RBC 및 HCT의 감소를 완화하는 반면, WBC 및 ANC(absolute neutrophil count)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 평가에 따르면 아교 치료는 혈허 환자의 화열 증상 점수 증가와 관련이 없었다.


KMCRIC 비평

血虛는 血의 營養과 滋潤의 機能이 감퇴한 병리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평소 체력 허약, 피로 누적, 思慮過度 등으로 인한 血의 生化 작용이 안되거나 만성적인 失血로 血의 소실이 지나쳐서 血의 濡養 기능이 감퇴하여 나타나는 한의학의 病證 중의 하나이다. 

혈허를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아교는 대표적인 보혈지제 중 하나로 補血滋陰, 潤燥, 止血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혈허증에 대한 아교의 효과 및 부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을 실시했다. 119명에게 하루 2회 3g씩 아교를 투여했고, 62명의 대조군은 위약을 투여하였다. 


그 결과 TCM 증후군 점수(TCM syndrome score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ndrome scores)가 유의하게 감소했고, 혈허 증상척도(BDS scale; Blood Deficiency Symptoms Grading and Quantifying scale)의 항목 중 하나인 어지럼증의 정도 또한 아교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액지표에서는 아교 투여군에서 RBC(red blood cell)와 HCT(hematocrit)의 감소 완화가 관찰됐고, WBC(white blood cell)와 ANC(absolute neutrophil count)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교 투여군에서 SF-36(Short Form 36 scale score)으로 평가한 삶의 질이 더 높게 나타났다. 


부작용 평가로 시행한 신 기능, 간 기능, 심전도 등의 일상적인 검사 및 화열 증상척도(fire-heat symptom scale)에서 아교 치료는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아교 치료군에서 5건의 궤양과 3건의 안면 여드름을 포함해 총 11건의 유해 사례가 있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혈허증의 치료, 특히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혈허 환자에게 아교를 사용해 볼 수 있겠으며, 부작용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滋膩한 보혈제의 특성상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인 소화불량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 큰 아쉬움이다. 

최근에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에 의하면, 아교가 포함된 한의학 처방은 자궁 근종 및 자궁의 부피를 줄이고 관련 증상을 개선하며, 폐경이 아닌 여성의 E2 및 P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 또한 아교가 피부 수분 개선 및 피부색을 밝게 하는 보충제로써의 가능성을 시사한 연구도 있었다[2].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임상에서 다양한 환자에게 아교를 사용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1] Li Q, Zhang L, Qian X, Ma Y, Yang W, Yang M, Ye Y. Efficacy of Chinese herbal prescriptions containing Ejiao or Velvet antler for management of uterine fibroi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n Palliat Med. 2021 Aug;10(8):8772-86. doi: 10.21037/apm-21-1755.

[2] Fan Y, Ru W, Su N, Zheng H, Liu J, Zhao H, Liao F. Effects of dietary intake of Colla corii asini on skin parameters and appearance: Results of a 12-week randomized, controlled, open-labeled trial. Pharmacological Research - Modern Chinese Medicine. 2022;2:100065. doi: 10.1016/j.prmcm.2022.100065.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RCT&access=R202110103


박승혁 원장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활짝 열린 한의사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 관문

  • 주영승 교수의 한약재 감별정보 <20> 패모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한의사의 엑스레이 골밀도 측정기 사용 합법

  • [한의약 이슈 브리핑] 대한한의사협회, 한의사 엑스레이 골밀도 측정기 소송 관련 탄원서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