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속초9.3℃
  • 흐림6.3℃
  • 흐림철원8.5℃
  • 흐림동두천12.5℃
  • 흐림파주12.8℃
  • 흐림대관령4.9℃
  • 흐림춘천7.2℃
  • 비백령도12.6℃
  • 흐림북강릉9.5℃
  • 구름많음강릉9.2℃
  • 구름많음동해12.6℃
  • 흐림서울13.0℃
  • 흐림인천13.1℃
  • 흐림원주13.1℃
  • 구름많음울릉도12.2℃
  • 흐림수원13.1℃
  • 흐림영월12.0℃
  • 흐림충주12.6℃
  • 흐림서산13.6℃
  • 구름많음울진14.0℃
  • 흐림청주13.5℃
  • 흐림대전12.7℃
  • 흐림추풍령11.1℃
  • 흐림안동10.0℃
  • 흐림상주11.8℃
  • 구름많음포항13.4℃
  • 흐림군산14.0℃
  • 흐림대구11.2℃
  • 비전주14.3℃
  • 흐림울산11.2℃
  • 흐림창원13.5℃
  • 비광주14.2℃
  • 흐림부산14.3℃
  • 흐림통영14.4℃
  • 비목포13.6℃
  • 비여수14.6℃
  • 비흑산도13.4℃
  • 흐림완도13.5℃
  • 흐림고창13.9℃
  • 흐림순천11.6℃
  • 흐림홍성(예)13.4℃
  • 흐림13.8℃
  • 비제주16.2℃
  • 흐림고산16.3℃
  • 흐림성산18.0℃
  • 비서귀포17.6℃
  • 흐림진주9.8℃
  • 흐림강화13.3℃
  • 흐림양평11.3℃
  • 흐림이천11.5℃
  • 흐림인제6.9℃
  • 흐림홍천8.3℃
  • 흐림태백7.2℃
  • 흐림정선군4.7℃
  • 흐림제천8.4℃
  • 흐림보은11.9℃
  • 흐림천안13.4℃
  • 흐림보령14.7℃
  • 흐림부여13.5℃
  • 흐림금산12.2℃
  • 흐림13.2℃
  • 흐림부안14.5℃
  • 흐림임실12.1℃
  • 흐림정읍14.3℃
  • 흐림남원11.0℃
  • 흐림장수10.8℃
  • 흐림고창군14.0℃
  • 흐림영광군14.0℃
  • 흐림김해시12.0℃
  • 흐림순창군13.2℃
  • 흐림북창원13.3℃
  • 흐림양산시12.3℃
  • 흐림보성군13.6℃
  • 흐림강진군13.7℃
  • 흐림장흥13.8℃
  • 흐림해남14.3℃
  • 흐림고흥14.0℃
  • 흐림의령군10.1℃
  • 흐림함양군12.2℃
  • 흐림광양시12.9℃
  • 흐림진도군13.7℃
  • 흐림봉화7.5℃
  • 흐림영주10.7℃
  • 흐림문경10.7℃
  • 흐림청송군6.0℃
  • 흐림영덕13.2℃
  • 흐림의성7.8℃
  • 흐림구미12.7℃
  • 흐림영천8.3℃
  • 흐림경주시7.9℃
  • 흐림거창10.8℃
  • 흐림합천10.4℃
  • 흐림밀양8.8℃
  • 흐림산청11.9℃
  • 흐림거제14.3℃
  • 흐림남해14.3℃
  • 흐림12.2℃
기상청 제공

2024년 11월 25일 (월)

趙憲泳(1900~1988)의 醫學思想(1)

趙憲泳(1900~1988)의 醫學思想(1)

한의학 原理의 중시

20190905162849_fa50d4182f45254caa1321565c0640bb_rde2.jpg
백유상 교수 경희대학교 원전학교실

 

趙憲泳의 의학사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그의 대표 저작인 『通俗漢醫學原論』에 나오는 ‘本著의 主眼’(凡例)를 중심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이 범례에서 趙憲泳은 漢醫學의 근본 원리 이해, 과학적 태도의 설명 방식, 상식적이며 흥미를 유발하는 간명한 해설, 漢醫 각파의 학설을 비교 비판, 논리는 실제 경험을 토대로, 漢醫學과 洋醫學을 비교 조화, 民衆醫術化에 노력 등의 7가지 추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趙憲泳은 범례의 서두에서 漢醫學의 근본 원리를 이해하고 나서 과학적 태도로서 이를 설명해 나가야 한다고 하였다. 비교적 늦은 나이에 한의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한 趙憲泳은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한의학의 핵심적인 내용들을 충실히 이해하고 실천하였다고 평가된다. 

1934년에 간행된 『通俗漢醫學原論』은 陰陽, 臟腑學, 證候學, 經絡學, 脈學, 藥理學(本草學 原理), 處方學 등의 7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책의 제목에서 ‘原論’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과 같이 한의학의 기본적인 주요 지식들이 모두 망라되어 있으면서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즉, 저술의 목적을 한의학 교육에 둔 교과서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음양을 한의학 이론 및 실천의 대강으로 삼아

조선말기와 대한제국의 한의학 교육기관에서 사용한 교재는 주로 『素問』, 『醫學入門』, 『東醫寶鑑』 등의 기본 의서들이었다. 일제강점기 초기 朝鮮醫師硏鑽會의 新舊醫學講習所(1911년) 교재도 이러한 틀을 벗어나지 못하다가 洪鍾哲의 公認醫學講習所(1913년)에서 비로소 臟腑 및 經絡學, 傷寒學, 雜病學, 小兒科學, 四象學, 外科學, 婦人 및 産科學, 藥物學 등의 근대식 교과목이 설치되고 강의가 이루어졌다. 『通俗漢醫學原論』은 이와 같은 근대식 교육체계를 종합한 통합교재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고 평가된다. 

『通俗漢醫學原論』 체계의 특징을 간단히 언급해보면, 우선 陰陽의 개념을 한의학 전반의 지식을 운용하는 큰 대강을 삼고 있으며 五行은 五主와 五臟 등 인체의 구조와 기타 부분에서 언급하고 있다. 

趙憲泳은 1935년 3월 東亞日報에 기고한 『陰陽五行說에 對하여』에서, 고루한 음양오행설을 한의계에서 다루고 있다는 일부의 비판에 대하여 당시 일본생리학회에서 음양오행설의 학술적 근거를 발표한 것 등을 제시하면서 음양오행설을 단순한 신비주의로 보는 것을 배척하였으며, 정반합의 변증법 및 현대의학의 생물, 화학, 물리학, 생리학 등 지식들을 특히 음양설과 연결시켜 서로 부합됨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음양오행설을 인류 사회와 우주 만유 현상의 통제적 법칙으로 보면서도 그 가운데 음양을 한의학 이론 및 실천의 대강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證候學 부분에서는 한의학은 그 전체가 證候學이므로 따로 내세울 필요가 없으나 초학자들의 편의와 臨證의 참고를 위하여 편을 설정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證候學篇에서 특히 味, 色, 감정 등을 중시한 것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실용성을 염두에 둔 것이다. 

그리고 脈學을 별도의 항목으로 분리하여 설명한 것은 脈診을 진단의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인식한 것으로 기본 진단 원리에 충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눈이 마음의 창이라면 맥은 생명의 관건이라고 하여 질병의 유무만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생리적 변화도 모두 맥으로 드러나게 된다고 하였다. 

藥理學 부분에서는 유기화학을 바탕으로 유효성분을 유출하는 것은 불합리하며 氣, 味, 色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약물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處方學 부분에서는 틀에 맞추어진 기성방과 祕方의 형식을 비판하고 진단을 통하여 증후에 따라 방제를 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한의학 내용 정확히 파악하고 합리적으로 분석

四象醫學에 대해서는 1935년 1월 『東洋醫藥』에 실린 『李濟馬四象醫論抄錄』의 해제에서 자신이 사상의학을 잘 모른다는 전제 하에서 李濟馬가 중국의학에서 벗어나 자기의 독자적인 신학설을 주창한 것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체질이 반드시 네 가지만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의문을 표시하였다. 

역시 동년 10월에 『新東亞』에 게재된 『四象醫學에 對하야』에서는 四象 유형이 배타적으로 분류되어 성립될 수 있는지, 유형별 성격의 변동과 변화가 심하여 이를 확정할 수 있는지 등등에 대한 구체적인 의문점들을 제기하고 간단히 그에 대한 해답을 탐색하였다. 四象醫學에 대한 이러한 입장은 무조건 어떠한 학설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지고 있는 의문점에서 출발하여 근본적인 원리를 찾아내려고 하는 탐구심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종합해 보면, 趙憲泳은 특정 학파에 심취하여 치우진 것이 아니라 한의학 전반의 주요 내용을 골고루 다루면서 기본적인 원칙에 충실하려고 한 점이 특징이다. 이는 독학으로 한의학 공부를 시작하여 특정 학파에 소속되지 않은 점, 그리고 어려서부터 배운 한학의 소양을 바탕으로 직접 한의학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합리적으로 분석한 것 등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22-1.jpg

한의학 열정은 민중을 위한 의료계몽에 바탕

또한 임상 치료 부분을 주로 다루고 있는 『東洋醫學叢書 : 五種』을 살펴보면, 『東醫寶鑑』, 『景岳全書』 등의 처방을 주로 사용하면서 『中醫學辭典』에 수록된 처방 및 자신이 개발한 처방들을 추가하였다. 이미 趙憲泳은 1935년 『東洋醫藥』에 실린 『景岳全書演義』에서 張景岳의 이론이 精簡明確하여 현대의 과학적 관점으로 이해하기 쉽다고 평가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八陳法 등 명확한 이론과 분류에 기반 한 처방 운용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景岳全書』의 처방들은 『東醫寶鑑』의 간행 이후 우리나라에 잘 알려지지 않다가 조선 말기부터 黃度淵의 『方藥合編』, 李濟馬의 『東醫壽世保元』, 李圭晙의 처방집 등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며, 근세의 의가인 洪鍾哲은 몇 안 되는 景岳學派의 인물이었다. 또한 『中醫學辭典』이란 1921년에 간행된 謝觀의 『東洋醫學大辭典』을 말하며 1938년에 杏林書院에서 간행하여 국내에 소개되었다. 

趙憲泳은 192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한의학 연구를 시작한지 얼마 안 되어 1934년에 『通俗漢醫學原論』을 저술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집안에 내려오던 한의학 전통과 어려서부터 공부한 한학을 바탕으로 한의학의 원서 공부에 충실하여 原論을 중시하였던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특정 학파에 속하지는 않으면서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고, 철저하게 자신의 임상 경험을 토대로 실용적인 의학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趙憲泳의 한의학에 대한 열정은 민중을 위한 의료계몽을 바탕으로 하는 이른바 民衆醫術化와 관련이 있으며 그가 추구했던 정치적 신념과 활동의 방향과도 일맥상통하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오늘 인기기사
  • 주간 인기기사

최신뉴스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