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서울시당 정책간담회(20일)
“암은 마음과 육체가 어긋나면서 생긴 불순물”
“죽음의 공포가 아닌 신이 보내는 경고의 신호로 받아들여야”
인간이 암에 대처해야 하는 자세 철학적으로 설명
“암(癌)인데요”
현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에게 이 말 한마디는 염라대왕의 알림장이자 소환장으로 삶과 죽음을 가르는 공포로 다가온다. 암이 아니라고 부정도 해 보지만 눈으로 암을 확인하는 순간 하늘에 두 손을 모으고 기도를 한다. 다시 한 번 생명의 기회를 달라고 하늘에 떼도 써 본다. 이때부터가 마음이 재탄생하고 심장은 생명의 싹이 다시 피어난다.
<나는 암으로 죽지 않았다>는 저자인 한의학 박사 이재준 원장이 암에 대처하는 자세에 대해 쓴 책이다. 저자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상지대학교에서 한의학 박사를 취득했으며, 경희의료원 임상연구원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서 남경한의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경희대학교 외래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자는 먼저 정신과 육체에 대해 “마음과 육체는 같이 있어야 사람(人)이 된다. 마음과 육체는 둘이 아니라 하나이다. 대립하는 이 둘은 이름만 다를 뿐 같다. 마음이 육체이고 육체는 마음이다. 마음과 육체는 동시에 존재하며 둘이 아니라 하나”라고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둘은 서로를 생하고 멸하는 존재이고, 육체의 고통은 마음에 있고 마음의 고통은 육체가 무너지는 곡소리라고 설명했다. 그렇기 때문에 내 안에 가장 가까운 이웃인 마음과 육체는 서로 사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저자는 암의 정의에 대해 “마음과 육체가 어긋나면서 생한 불순물이고, 암은 죽음의 공포가 아니라 내 안의 신이 나에게 보내는 경고의 신호”라고 역설했다.
“암에 집착하는 손을 놓아라”
암을 대처하는 자세에 대해서도 저자는 암에 대한 집착을 갖기 보다 건강한 마음가짐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강조했다.
저자는 먼저 “마음이 암을 붙들고 집착하다가 핏줄이 팽팽해지고 끊어진다”며 “정복할 것은 산과 암이 아니라 바로 나 자신”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또 “내가 암을 생하였으니 나를 원망해야 한다. 나는 1급 발암물질의 근원이다. 의학은 암이 아니라 나를 치료하는 학문”이라 강조했다.
따라서 저자는 암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모든 육체의 고통과 질병의 근원인 화(火)를 잘 다스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화로 인해 음식과 육체는 변질이 되고 부패하고 암(癌)을 생하게 한다고 저자는 말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세상은 온통 암(癌) 타령이다. 암을 예방하는 비법이 없다는 것은 보고 안다는 지식으로 치료법을 찾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나를 바로 보는 깨우친 마음과 내 안의 지혜로운 심장을 동시에 보는 것은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최고의 비법”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지은이: 이재준/쪽 수: 214쪽/정가: 16000원/구입문의: 도서출판 유원북스
동국한의대 동문회, 제3차 동문이사회 ‘성료’
“공공의료의 틀을 한 차원 넓힌 상징적 전환점”
“회원 중심 회무 운영으로 회원들의 목소리 적극 반영”
대한원외탕전협회, 산불 재난 현장에 8천만원 상당 한약 기부
지역사회 공중보건 전문가 양성 고위과정 신설
“5세대 실손보험 도입, 소비자 보호를 위한 방안은?”
한의약과 태권도의 세계화 및 발전 위해 ‘상호 협력’
“한의학으로 어르신의 건강 챙겨드려요∼”
‘합성생물학 육성법’ 통과…“AI·빅데이터 융합 바이오 국가 도약”
[자막뉴스] 19세 이상 국민 10명 중 7명, 한의의료 이용.. '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