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11.8℃
  • 구름많음속초6.9℃
  • 구름조금6.3℃
  • 맑음철원6.3℃
  • 맑음동두천8.6℃
  • 맑음파주7.4℃
  • 구름조금대관령-0.9℃
  • 맑음춘천6.9℃
  • 구름많음백령도7.6℃
  • 구름많음북강릉7.3℃
  • 구름많음강릉7.9℃
  • 구름조금동해6.9℃
  • 맑음서울10.4℃
  • 구름조금인천8.6℃
  • 맑음원주8.0℃
  • 맑음울릉도8.7℃
  • 구름조금수원7.4℃
  • 맑음영월6.5℃
  • 맑음충주7.3℃
  • 구름조금서산4.3℃
  • 구름조금울진7.6℃
  • 맑음청주10.8℃
  • 맑음대전8.5℃
  • 맑음추풍령5.0℃
  • 맑음안동7.9℃
  • 맑음상주8.4℃
  • 맑음포항9.9℃
  • 맑음군산5.9℃
  • 맑음대구10.2℃
  • 맑음전주7.9℃
  • 맑음울산9.1℃
  • 맑음창원10.1℃
  • 구름많음광주10.3℃
  • 맑음부산11.6℃
  • 맑음통영9.9℃
  • 구름많음목포7.7℃
  • 맑음여수11.6℃
  • 구름많음흑산도8.4℃
  • 구름많음완도10.5℃
  • 구름많음고창3.3℃
  • 구름조금순천4.7℃
  • 구름조금홍성(예)5.6℃
  • 구름조금5.3℃
  • 구름많음제주12.0℃
  • 구름많음고산12.5℃
  • 구름많음성산9.4℃
  • 구름조금서귀포13.5℃
  • 맑음진주7.0℃
  • 구름많음강화6.0℃
  • 맑음양평8.6℃
  • 맑음이천6.7℃
  • 구름조금인제5.9℃
  • 맑음홍천7.0℃
  • 맑음태백1.7℃
  • 맑음정선군4.2℃
  • 맑음제천4.6℃
  • 맑음보은5.1℃
  • 구름조금천안5.4℃
  • 맑음보령3.3℃
  • 맑음부여5.3℃
  • 맑음금산5.8℃
  • 구름조금8.0℃
  • 구름조금부안6.2℃
  • 맑음임실3.9℃
  • 구름조금정읍6.0℃
  • 맑음남원5.5℃
  • 맑음장수1.5℃
  • 구름많음고창군4.1℃
  • 구름많음영광군4.8℃
  • 맑음김해시11.3℃
  • 구름조금순창군4.9℃
  • 맑음북창원12.8℃
  • 맑음양산시12.4℃
  • 구름조금보성군8.5℃
  • 구름조금강진군6.7℃
  • 구름조금장흥3.8℃
  • 구름조금해남3.0℃
  • 구름조금고흥6.2℃
  • 맑음의령군8.3℃
  • 맑음함양군5.0℃
  • 맑음광양시10.9℃
  • 구름많음진도군4.4℃
  • 맑음봉화3.3℃
  • 맑음영주5.9℃
  • 맑음문경8.3℃
  • 맑음청송군4.1℃
  • 구름조금영덕5.9℃
  • 맑음의성5.8℃
  • 맑음구미8.3℃
  • 맑음영천6.8℃
  • 맑음경주시6.4℃
  • 맑음거창
  • 맑음합천8.7℃
  • 맑음밀양9.0℃
  • 맑음산청7.4℃
  • 맑음거제12.1℃
  • 맑음남해9.8℃
  • 맑음11.8℃
  • 구름많음속초6.9℃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9일 (수)

‘합성생물학 육성법’ 통과…“AI·빅데이터 융합 바이오 국가 도약”

‘합성생물학 육성법’ 통과…“AI·빅데이터 융합 바이오 국가 도약”

본회의서 가결, 공공바이오파운드리 구축·운영 등 명시
최수진 의원 “합성생물학으로 바이오경제 시대 선도할 것”

합성생물학1.jpg


[한의신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이 대표발의한 ‘합성생물학 육성법 제정안’이 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 합성생물학 분야에 대한 세계 최초의 입법 사례가 공식화됐다. 


‘합성생물학 육성법 제정안’은 합성생물학 생태계를 육성하고, 바이오경제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제정안으로, △합성생물학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5년)·시행계획(1년) 수립 △연구개발(R&D) 사업 추진 및 거점기관 지정, 기술지도 작성 △공공바이오파운드리 구축·운영, 연구데이터 사용촉진,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 추진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기존 바이오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은 AI·빅데이터 등 첨단 디지털기술과 융합한 디지털바이오 분야의 대표적 기술로, 블록처럼 유전자를 필요에 맞게 구성·결합해 인슐린 같은 약물부터 새로운 농작물까지 생산할 수 있다. 

 

486609884_122188326548265228_2347046436267788032_n 복사.jpg

 

최수진 의원은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게임체인저로 부상하고 있는 합성생물학 기술을 집중 지원하고, 국가적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이번 제정안을 대표발의하게 됐다.


특히 공공바이오파운드리 구축과 5년 주기 기본계획을 통해 안정적인 예산 확보와 전문인력 양성을 이루고, 세계 시장에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했다.


최수진 의원에 따르면 합성생물학은 세포와 미생물의 유전자를 설계해 제약, 농업,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이나 1980년대 일라이 릴리사의 인슐린 대량 생산이 대표적인 사례다. 


글로벌 컨설팅기업 맥킨지는 오는 2030년까지 합성생물학 시장이 최대 4823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같은 시기 반도체 시장 추정 규모의 3배에 이른다.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들은 합성생물학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대규모 투자를 통해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은 제약 및 화학 산업에서 합성생물학 기반의 바이오 제조로 전환할 목표를 설정하며, 바이오파운드리 기술을 통해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고 있고, 중국 역시 ‘바이오경제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합성생물학 연구와 기술 상용화를 적극 추진 중이다.

 

20250311131543_af4b211ab3cd258c27f28f98d45824b2_6w4d.jpg

▲최수진 의원이 지난달 10일 개최한 '바이오헬스디지털혁신포럼' 창립총회

 

최 의원은 “우리나라는 기술 개발과 상용화 측면에서는 합성생물학 분야에서 다소 늦은 출발을 보였으나 이번 법안을 통해 세계 최초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제도적 대응에서는 오히려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바이오파운드리 설치, 안전관리체계 구축 등을 포함한 본 법안을 통해 안정적인 예산 확보와 전문인력 양성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합성생물학 관련 연구개발(R&D)을 총괄할 특화 연구소를 지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가 차원에서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국제 협력 및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 의원은 “합성생물학은 기후변화 대응, 식량 안보 확보 등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 한국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춘 규제 개선과 정책적 지원을 통해 이 분야의 선두주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번 제정안을 통해 한국이 바이오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글로벌 바이오 경제를 선도하는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오늘 인기기사
  • 주간 인기기사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