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제21회 중앙이사회(19일)
[한의신문] 항암치료를 방해하는 나쁜 세포만 정밀하게 제거하는 약물이 개발, 고형암 치료에도 효과적인 면역항암제 신약 개발이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은 경희대학교 배현수(한의과대학)·강성호 교수 연구팀이 종양 성장을 돕는 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표적해 사멸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고형암에서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면역항암제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강화해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치료법으로, 특정 혈액암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지만 폐암 등 고형암에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고형암 주위에서 면역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종양미세환경이 발달해 약물의 침투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특히 종양미세환경 내 M2형 종양 관련 대식세포는 면역을 억제하고 암의 진행을 유도하는 핵심 인자로 알려져 있지만, M2 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표적 단백질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면역항암제 개발의 한계로 지적된다.
이에 연구팀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으면서 종양 크기는 줄여주는 자연계의 독성분 물질에 주목, 이 물질의 표적이 M2 대식세포임을 확인하고 그 결합 분자인 활성형 CD18 단백질을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특정했다. 이를 기반으로 독성분 물질의 독성을 낮추는 방향으로 분자구조를 재설계하고, M2 대식세포 내 활성형 CD18 단백질을 인식하는 펩타이드 신약 후보물질로 발전시켰다.
이렇게 개발한 펩타이드-약물 접합체(TB511)는 정상 대식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종양 내 M2 대식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을 확인했다. 실제 동물모델에 투여한 결과 대장암·폐암·췌장암 등 고형암에서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했고, 정상 면역세포를 손상시키지 않는 정밀 면역항암제로서의 가능성도 입증했다.
TB511은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1/2a상 승인를 얻어 올해부터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배현수 교수는 “이번 연구로 개발한 약물은 종양 내에서만 활성화된 CD18을 표적으로, M2형 대식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정밀한 타겟팅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서 “향후 범용 면역항암제 개발과 정밀 면역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 지원사업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성과는 암면역학 및 면역치료 분야 국제학술지 ‘암면역치료학술지(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4월호에 게재됐다.
[용어 설명]
☞ 종양 성장을 돕는 대식세포: 종양 관련 대식세포는 종양 세포를 죽이는 대식세포(M1형)와 종양 성장을 촉진해 암의 진행에 관여하는 대식세포(M2형)로 나뉘며 이번 연구에서는 M2형 대식세포가 표적이다.
☞ 펩타이드 치료제: 펩타이드는 두 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연결된 물질로서 펩타이드로 만든 의약품은 체내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신약 개발 기대주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 종양미세환경: 암세포가 증식하는 총체적 환경으로 종양 주위에 장벽을 형성해 면역세포와 약물 침투를 방해함.
☞ 활성형 CD18 단백질: CD18 단백질은 세포 접착과 신호 전달,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종양 내에서만 활성화됐음을 의미.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 수립···돌봄시스템 고도화 등 역점
수원 나눔봉사단 자휼, 관내 장애인 한의진료 봉사 ‘시동’
경상북도한의사회-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 사회공헌 업무협약 체결
원주·횡성한의사회, 한의학 기반 피부미용 강의 ‘성료’
경기도한의사회,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과 정책간담회 개최
실손의료보험 개편 방향과 공·사 보험의 역할은?
건보공단-한국관광공사, 인공지능 기반 감사 협력 업무협약
심평원 대전충청본부, 지역 농산물 직거래 장터 개최
대구한의대학교 의료원, 행복나눔 사랑의 쌀 200kg 기부
일차의료 및 국가 재난상황에서의 한의약 역할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