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1 (목)

  • 구름조금속초23.5℃
  • 맑음24.5℃
  • 맑음철원23.6℃
  • 구름조금동두천23.2℃
  • 맑음파주23.0℃
  • 구름조금대관령19.5℃
  • 맑음춘천24.6℃
  • 맑음백령도16.5℃
  • 구름많음북강릉23.4℃
  • 구름많음강릉26.3℃
  • 구름많음동해17.8℃
  • 구름많음서울25.1℃
  • 맑음인천23.4℃
  • 구름많음원주24.0℃
  • 흐림울릉도18.9℃
  • 구름많음수원23.2℃
  • 구름많음영월23.9℃
  • 구름많음충주24.3℃
  • 구름조금서산21.6℃
  • 흐림울진18.3℃
  • 구름많음청주25.2℃
  • 구름많음대전23.8℃
  • 구름많음추풍령21.0℃
  • 흐림안동22.7℃
  • 구름많음상주22.6℃
  • 흐림포항19.9℃
  • 구름많음군산20.8℃
  • 흐림대구20.5℃
  • 구름많음전주22.6℃
  • 비울산16.7℃
  • 흐림창원17.7℃
  • 구름많음광주19.9℃
  • 비부산18.7℃
  • 흐림통영17.6℃
  • 구름많음목포20.8℃
  • 흐림여수17.7℃
  • 안개흑산도17.0℃
  • 구름많음완도19.0℃
  • 구름많음고창21.3℃
  • 구름많음순천18.2℃
  • 구름많음홍성(예)22.2℃
  • 구름많음24.5℃
  • 구름많음제주20.5℃
  • 맑음고산22.1℃
  • 흐림성산20.5℃
  • 비서귀포22.0℃
  • 흐림진주17.5℃
  • 구름조금강화20.5℃
  • 구름많음양평23.5℃
  • 구름많음이천23.6℃
  • 맑음인제22.2℃
  • 구름조금홍천24.5℃
  • 흐림태백21.0℃
  • 구름많음정선군22.3℃
  • 구름많음제천24.1℃
  • 구름많음보은23.5℃
  • 구름많음천안23.2℃
  • 구름많음보령20.0℃
  • 구름많음부여23.1℃
  • 흐림금산22.4℃
  • 구름많음23.6℃
  • 흐림부안21.5℃
  • 흐림임실19.1℃
  • 구름많음정읍22.0℃
  • 구름많음남원18.9℃
  • 구름많음장수19.5℃
  • 구름많음고창군21.5℃
  • 구름많음영광군21.0℃
  • 흐림김해시17.9℃
  • 구름많음순창군19.5℃
  • 흐림북창원18.1℃
  • 흐림양산시18.6℃
  • 구름많음보성군19.0℃
  • 구름많음강진군19.4℃
  • 구름많음장흥19.2℃
  • 구름많음해남19.9℃
  • 구름많음고흥18.1℃
  • 흐림의령군17.6℃
  • 구름많음함양군18.1℃
  • 흐림광양시18.2℃
  • 구름많음진도군20.3℃
  • 흐림봉화21.0℃
  • 흐림영주22.2℃
  • 흐림문경21.6℃
  • 흐림청송군20.3℃
  • 흐림영덕19.8℃
  • 구름많음의성21.6℃
  • 구름많음구미21.3℃
  • 흐림영천19.9℃
  • 흐림경주시18.1℃
  • 구름많음거창19.1℃
  • 구름많음합천17.7℃
  • 흐림밀양16.8℃
  • 구름많음산청17.9℃
  • 흐림거제17.5℃
  • 흐림남해17.4℃
  • 흐림18.5℃
지난해 불임환자 24만 여명…5년새 치료비 96.5% 증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책,행정

지난해 불임환자 24만 여명…5년새 치료비 96.5% 증가

환자 수 23만8601명, 1인당 진료비 102만5421원으로 나타나
난임시술 환자 수 14만458명…40대 환자 가장 크게 늘어

난임.jpg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이하 심평원)이 최근 5(‘18‘22)간 불임과 난임 시술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이 기간 동안 불임 환자 수는 227922명에서 238601명으로 4.7%(연평균 1.2%), 난임 시술 환자 수는 121038명에서 14458명으로 16.0%(연평균 3.8%)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임 환자의 연간 총 진료비는 5년간 1245억원에서 2447억원으로 96.5%(연평균 18.4%) 증가하는 한편 1인당 진료비는 546208원에서 1025421원으로 87.7%(연평균 17.1%) 늘었다. 또한 난임 시술 환자의 연간 총 진료비는 1542억원에서 2591억원으로 68.0%(연평균 13.9%) 증가하는 한편 1인당 진료비는 1273668원에서 1844354원으로 44.8%(연평균 9.7%) 늘어났다.

 

불임 진료의 경우 최근 5년간 남성 불임 환자가 9.1%(7837685516) 증가할 때 연간 총 진료비는 33.0% 증가한 반면 여성 불임 환자는 2.4%(149546153085) 증가할 때 총 진료비는 102.1% 증가했다.

 

연령별 불임 현황을 보면, 30세까지는 불임 환자가 줄어든 반면 40세 이상에서는 늘어나고 있으며, 20대 미만에서 가장 많이 줄었고(36.4%) 4044세에서 가장 많이 늘어난(31.1%) 가운데 지난해 불임 진료가 많은 연령대는 3034(86092, 전체 36.1%) 3539(85118, 전체의 35.7%) 등의 순으로 30대 불임 진료 환자 수가 전체의 71.8%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최근 5년간 인구 10만명당 불임 환자 수를 분석한 결과 440명에서 464명으로 5.5%(연평균 1.3%) 증가했으며, 시도별로는 세종 173.2%(연평균 28.6%) 전남 21.0%(연평균 4.9%) 인천 17.4%(연평균 4.1%) 순으로 증가한 반면 제주 16.8%(연평균 4.5%) 대전 16.4%(연평균 4.4%) 울산 15.1%(연평균 4.0%) 순으로 감소했다.

 

이밖에 불임에 영향을 끼치는 소인 상병을 진료받은 환자 수는 지난해 다낭성 난소증후군(63701), 뇌하수체기능저하(23758), 음낭정맥류(150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5년간 난임 시술을 받은 남성은 14.3%(5611664143) 증가했고, 여성은 17.5%(6492276315) 증가했다.

 

이 기간 남성 진료비는 100억원에서 137억원으로 36.6%(연평균 8.1%) 증가했고, 1인당 진료비는 178903원에서 213812원으로 19.5%(연평균 4.6%) 늘어나는 한편 여성 진료비 경우에는 1441억원에서 2453억원으로 70.2%(연평균 14.2%) 증가했고, 1인당 진료비는 2219940원에서 3214829원으로 44.8%(연평균 9.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 난임 시술 현황을 보면 50세 이상 194.6%(연평균 31.0%), 4549112.4%(연평균 20.7%), 404443.7%(연평균 9.5%) 순으로 환자 수가 증가했으며, 지난해 난임 시술을 가장 많이 받은 연령대는 3539(55063, 전체의 39.2%) 3034(38572, 전체의 27.5%) 4044(36568, 전체의 26.0%) 순이었다.

 

더불어 최근 5년간 인구 10만 명당 난임 시술 환자 수는 23.4명에서 27.3명으로 16.9%(연평균 4.0%) 증가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세종 17,623.5%(연평균 264.9%), 전남 138.8%(연평균 24.3%), 인천 52.5%(연평균 11.1%) 순으로 증가한 반면 전국 중 대구, 대전, 울산, 제주 4개 시도만 환자 수가 감소했다.

 

하구자 심평원 급여정보분석실장은 “최근 5년간 불임과 난임 시술 진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진료현황 통계를 참고해 원인이 되는 질병들을 확인하고 예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난임2.jpg

강환웅




  • [한의약 이슈 브리핑] 수가협상, 한의의료 도약과 성장의 출발점 돼야

  • [한의약 이슈 브리핑] 2024년 수가협상 스타트…합리적 수가 인상 기대

  • [AKOM TV] 한의사에서 CEO 또 정치인으로.. 마음이 정해졌다면 그리고, 필요하다면 행동한다! 한의사 정치인이 들려주는 정치 입문기!(게스트:국민의힘 윤영희 서울특별시의원)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한의협, 제2기 정치아카데미 성황리에 종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