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1 (목)

  • 구름조금속초23.5℃
  • 맑음24.5℃
  • 맑음철원23.6℃
  • 구름조금동두천23.2℃
  • 맑음파주23.0℃
  • 구름조금대관령19.5℃
  • 맑음춘천24.6℃
  • 맑음백령도16.5℃
  • 구름많음북강릉23.4℃
  • 구름많음강릉26.3℃
  • 구름많음동해17.8℃
  • 구름많음서울25.1℃
  • 맑음인천23.4℃
  • 구름많음원주24.0℃
  • 흐림울릉도18.9℃
  • 구름많음수원23.2℃
  • 구름많음영월23.9℃
  • 구름많음충주24.3℃
  • 구름조금서산21.6℃
  • 흐림울진18.3℃
  • 구름많음청주25.2℃
  • 구름많음대전23.8℃
  • 구름많음추풍령21.0℃
  • 흐림안동22.7℃
  • 구름많음상주22.6℃
  • 흐림포항19.9℃
  • 구름많음군산20.8℃
  • 흐림대구20.5℃
  • 구름많음전주22.6℃
  • 비울산16.7℃
  • 비창원17.7℃
  • 구름많음광주19.9℃
  • 비부산18.7℃
  • 흐림통영17.6℃
  • 구름많음목포20.8℃
  • 흐림여수17.7℃
  • 안개흑산도17.0℃
  • 구름많음완도19.0℃
  • 구름많음고창21.3℃
  • 구름많음순천18.2℃
  • 구름많음홍성(예)22.2℃
  • 구름많음24.5℃
  • 비제주20.5℃
  • 맑음고산22.1℃
  • 흐림성산20.5℃
  • 비서귀포22.0℃
  • 흐림진주17.5℃
  • 구름조금강화20.5℃
  • 구름많음양평23.5℃
  • 구름많음이천23.6℃
  • 맑음인제22.2℃
  • 구름조금홍천24.5℃
  • 흐림태백21.0℃
  • 구름많음정선군22.3℃
  • 구름많음제천24.1℃
  • 구름많음보은23.5℃
  • 구름많음천안23.2℃
  • 구름많음보령20.0℃
  • 구름많음부여23.1℃
  • 흐림금산22.4℃
  • 구름많음23.6℃
  • 흐림부안21.5℃
  • 흐림임실19.1℃
  • 구름많음정읍22.0℃
  • 구름많음남원18.9℃
  • 구름많음장수19.5℃
  • 구름많음고창군21.5℃
  • 구름많음영광군21.0℃
  • 흐림김해시17.9℃
  • 구름많음순창군19.5℃
  • 흐림북창원18.1℃
  • 흐림양산시18.6℃
  • 구름많음보성군19.0℃
  • 구름많음강진군19.4℃
  • 구름많음장흥19.2℃
  • 구름많음해남19.9℃
  • 구름많음고흥18.1℃
  • 흐림의령군17.6℃
  • 구름많음함양군18.1℃
  • 흐림광양시18.2℃
  • 구름많음진도군20.3℃
  • 흐림봉화21.0℃
  • 흐림영주22.2℃
  • 흐림문경21.6℃
  • 흐림청송군20.3℃
  • 흐림영덕19.8℃
  • 구름많음의성21.6℃
  • 구름많음구미21.3℃
  • 흐림영천19.9℃
  • 흐림경주시18.1℃
  • 구름많음거창19.1℃
  • 구름많음합천17.7℃
  • 흐림밀양16.8℃
  • 구름많음산청17.9℃
  • 흐림거제17.5℃
  • 흐림남해17.4℃
  • 흐림18.5℃
論으로 풀어보는 한국 한의학(250)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論으로 풀어보는 한국 한의학(250)

金命燉의 喘息證論
“천식증의 증상별 치료 처방을 공개하다”

김남일 교수 .jpeg

 

김남일 교수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김명돈 선생은 1954년 경희대 한의대를 3회로 졸업하고 부산광역시에서 海昌한의원 원장으로 활동했다. 1962년 김영진 선생이 부산시한의사회 회장으로 피선되었을 때 부회장으로 김봉규와 함께 선출됐다. 

1972년 부산시한의사회 회관에서 열린 정기총회에서 김명돈 선생은 회장으로 선출됐다. 김명돈 회장은 무료진료사업을 직장새마을사업으로 전환해 실시했다. 

그는 또 부산시의 4군데 양로원(신망애양로원, 동래양로원, 애광양로원, 정화양로원)에서 봄·가을로 무료진료를 실시했다.

 

각 양로원에 한의사 10〜20명씩 나가서 환자마다 10일분씩의 첩약을 제공하는 한편, 한약 및 침구 치료를 실시했다. 1975년에는 대한한의사협회에서 정기대의원총회를 구성하고 초대회장을 선임할 때 초대회장으로 피선되어 부의장 최석근, 이종형과 함께 활동을 시작했다. 

1982년 간행된 『醫林』 제147호에서 「喘息症과 治療」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이 논문에서 김명돈은 천식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을 폈다.

 

55.jpg

“喘息症은 호흡기계의 질환인만큼 기후변화에 민감하고 공해로 인해서 발병하는 경향이 많은 질환이니 우리나라같은 공업국에서는 증가일로에 있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을 막아야하는 것은 우리 국민들의 중차대한 과제로서 이를 위해 대대적인 植樹를 하고 주위환경을 깨끗이 하며 공중도덕을 준수하여, 공해로부터 탈피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하며, 의료인들은 국민보건의 차원에서 지도계몽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처방을 김명돈 자신이 다년간 임상을 통해서 경험한 처방들이라고 공개했다. 

 

① 기관지 천식의 급성 또는 실증과 열증에 加味定喘湯. 마황 二錢, 행인 一錢五分, 황금, 반하, 상백피, 소자, 관동화, 오미자, 길경, 지각, 사삼, 생지황, 감초 各一錢, 銀杏炒 二錢, 薑三片, 大棗二箇. 식후 1시간 복용.

② 加味升葛淸肺湯. 갈근 三錢, 승마, 마황, 행인, 패모 各一錢五分, 천화분, 오미자, 남성炒, 길경, 지각, 맥문동, 감초 各一錢, 生薑五片, 大棗二箇, 식후복용.

③ 만성기관지 천식으로서 허증과 한증의 처방. 加味金水六君煎. 숙지황 三錢, 당귀, 백복령, 진피, 반하 各一錢五分, 행인, 상백피, 오미자, 과루인, 파고지酒炒, 맥문동, 패모 各一錢, 백개자. 薑五, 棗二, 감초 一錢.

④ 加味淸上補下湯. 或用丸으로 可用. 숙지황 四錢, 산약, 산수유 各二錢, 백복령, 목단피, 택사 各一錢五分, 오미자, 지실, 맥문동, 천문동, 패모, 길경, 호황련, 행인, 반하, 과루인, 황금, 진피, 죽여, 자원, 감초 各一錢, 薑三片, 大棗二箇. 食遠服.

⑤ 심장성천식증의 처방. 加味溫膽湯. 향부자 三錢, 진피 二錢五分, 맥문동, 죽여, 반하, 지실, 백복령, 원육, 백자인, 용골, 감초 各一錢, 시호, 길경, 생지황 各七分. 薑三片, 大棗二箇.

⑥ 소아기관지천식증. 加味千生降火湯. 진피, 행인 各一錢五分, 맥문동, 전호, 황금, 반하, 건지황, 적복령, 오미자, 사삼, 감초 各一錢, 패모, 과루인, 상백피, 길경, 지각 各七分, 薑三片, 大棗二箇.

 

한편 김명돈 선생은 치료에 있어 허증과 실증, 열증과 한증, 급증과 만성을 구분해서 치료해야 하며 대기의 오염이 없는 맑은 곳에서 거주를 하면서 복약을 하는 것이 빠른 시일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정신적 안정과 술, 담배, 닭고기, 매운맛 등을 금기해야 한다고도 했다.

 

김남일 교수




  • [한의약 이슈 브리핑] 수가협상, 한의의료 도약과 성장의 출발점 돼야

  • [한의약 이슈 브리핑] 2024년 수가협상 스타트…합리적 수가 인상 기대

  • [AKOM TV] 한의사에서 CEO 또 정치인으로.. 마음이 정해졌다면 그리고, 필요하다면 행동한다! 한의사 정치인이 들려주는 정치 입문기!(게스트:국민의힘 윤영희 서울특별시의원)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한의협, 제2기 정치아카데미 성황리에 종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