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6 (화)
코로나19 감염 후 4주까지는 호흡기 관련 증상을 집중 관리하고, 복합 증상이 나타는 4주 후부터는 다학제적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국내 최초로 발표됐다.
한양대 명지병원 정영희 교수 연구팀은 지난 3월부터 한 달간 코로나19 후유증클리닉을 다녀간 환자 1122명을 대상으로 증상을 비교·연구한 결과를 SCI 저널인 ‘대한의학회지’(JKMS) 7월호에 발표했다.
‘오미크론 시대의 급성 코로나19 감염 후 지속되는 증상’이란 제목의 이번 연구에는 오미크론 감염 후 4주 미만에는 주로 호흡기 관련 증상이 나타났지만, 4주 이후에는 피로감, 주의력 저하, 우울, 시력 저하, 탈모, 성기능 장애 등의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대상 환자를 4주 이내의 급성기(acute) 후유증 그룹(675명)과 4주 이상의 급성 후(post-acute) 후유증 그룹(447명)으로 나누고, 설문지 및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단면연구를 진행했다. 분류는 진단 후 4주와 12주를 기준으로 급성 후 코비드(Post-acute COVID)와 롱코비드(Long COVID)로 분류하는 유럽임상미생물감염학회(ESCMID)의 기준을 참고했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심폐증상이 95.2%로 가장 많았고, 전신증상 73.4%, 신경증상 67.8%, 정신증상 45.7%, 소화기증상 43.6% 등이었다. 세부 증상으로는 기침이 가장 많은 78.9%로 나타났고, 뒤를 이어 가래 74.2%, 피로 66.2%, 호흡곤란 51%, 전신위약 49% 등의 순이었다.
또한 그룹별 다빈도 증상은 급성그룹의 경우 기침(82.2%), 가래(77.6%), 두통(37.8%)이었으며, 이들 증상은 급성 후 그룹에서는 각각 73.8%, 68.9%, 31.3%만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급성 후 그룹에서는 △피로(69.8%) △주의력 저하(38.9%) △우울(25.7%) △시야 흐림(21.9%) △배뇨 곤란(9.8%) △탈모(9.4%) △성기능 장애(6.9%) 등이 주요 증상을 차지했다. 반면 이들 증상들은 급성그룹에서는 피로 63.9%, 주의력 저하 31.3%, 우울 19.4%, 시야 흐림 14.2%, 배뇨 곤란 6.5%, 탈모 5.0%, 성기능 장애 2.7% 등으로 나타나 발생빈도가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더불어 급성 후 그룹은 평균 4.2개의 다증상(세부증상 8.1개)을 보여, 급성그룹의 3.9개(세부증상 7.6개)보다 많이 나타난 가운데 특히 정신 증상, 안 증상, 피부 증상, 비뇨기 증상 계열에서 복합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코로나19 후유증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우울과 불안, 피로증상의 정도가 높은 환자일수록 동반되는 증상 카테고리와 세부 증상의 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