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관리에 테크놀로지 이용한 기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논의
[한의신문=김태호 기자]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우리나라도 빅데이터, AI를 기반으로 하는 환자관리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산업적 목적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기업들이 환자보다 이윤을 우선시 할 것이라는 주장이 맞섰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보산진)은 지난 27일 글래드 여의도 호텔에서 ‘환자관리 패러다임 변화’를 주제로 제2회 헬스케어 미래포럼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환자관리 패러다임을 변화·발전시키기 위해 실제를 기반으로 각자의 의견을 제시하고 설득하는 과정으로 진행, 상호간의 입장을 좁혀 나가고 문제해결을 위해 마련됐다.
“high cost 환자 줄이기 위해 테크놀로지 필요!”
윤건호(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교수는 모두를 건강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high cost 환자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예방 치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윤 교수는 “질병을 잘 치료하면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먼저 테크놀로지를 채택하고, 예방하는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예를 들어 당뇨병으로 생기는 합병증을 치료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데 합병증이 생기기 전에 예방 치료를 하면 의료비용은 줄어들 것”이라 말했다.
“기술력 동원해 환자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 있어…”
1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내년이면 노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노인빈곤율이 OECD 국가 중 1위이며, 이는 OECD 평균의 4배에 달한다.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가족의 케어역량 약화, 노인의 의료접근성 저하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노인의 의료 돌봄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미국, 일본, 싱가폴 등은 재택의료와 방문의료를 통해 이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다.
허윤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소장은 대한민국 역시 환자가 의료진을 찾아가는 방식에서 의료진이 직접 환자의 자택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의료서비스가 전환될 것으로 예상했다.
허 소장은 “재택의료 보다 방문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이고, 국민들이 납득할만한 방향성을 갖고 사회적 합의를 할 수 있도록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빅데이터 등 기술력을 활용해 환자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원격의료 등 환자 정보 수집하는데 목적 있어”
무상의료운동본부 김재현 사무국장은 웨어러블 기기 사용에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안정성과 유효성이 입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거대 기업들이 환자들의 정보 즉 빅데이터를 수집하는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고 했다. 이는 환자의 건강보다는 병원, 보험회사, 웨어러블 기기 회사 등이 산업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김 국장의 생각이다.
김 국장은 선진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들에 대해서는 그들과 우리나라의 의료체계가 다름을 강조하며 “미국이나 영국 같은 경우는 1차의료 접근성이 매우 떨어져 진료예약을 하고도 1~2주를 기다려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며 “웨어러블 기기들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집 주변에 병·의원 들이 많아 굳이 돈을 들여 고가의 기기를 사용해야하는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또한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건강정보가 필요한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동의를 포괄적으로 요구하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국장은 “과학 기술의 발전이 환자들 치료 그리고 보살핌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고, 그런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이 옳다”며 “선진국에서 가져와야 할 정책은 받아들이되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의료정책을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원격으로 개인적으로 찬성. 하지만 협회입장은 반대”
대한의사협회 이세라 기획이사는 원격의료가 도입되면 의사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아져 찬성하지만 제약이 많아지고, 의사들에게 이익이 따라오지 않는다면 성공할 수 없어 반대의 입장을 표명했다.
이 이사는 “원격의료를 시행했을 때, 재원은 어디에 있는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세금에서 충당이 된다고 하면 국민들이 좋아할지도 의문이다”라며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이고, 공급자에게 어떤 식으로 지원을 해 줄 것인지 우리는 아직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