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속초19.4℃
  • 맑음25.1℃
  • 구름조금철원22.9℃
  • 구름조금동두천25.7℃
  • 구름조금파주24.8℃
  • 흐림대관령17.1℃
  • 구름조금춘천24.7℃
  • 맑음백령도24.1℃
  • 비북강릉19.7℃
  • 흐림강릉20.6℃
  • 흐림동해21.4℃
  • 맑음서울28.9℃
  • 맑음인천29.6℃
  • 구름많음원주28.7℃
  • 흐림울릉도22.1℃
  • 맑음수원30.2℃
  • 구름많음영월25.1℃
  • 구름조금충주28.8℃
  • 맑음서산30.7℃
  • 흐림울진23.3℃
  • 맑음청주33.6℃
  • 맑음대전32.0℃
  • 구름많음추풍령28.6℃
  • 구름많음안동27.7℃
  • 구름많음상주29.7℃
  • 비포항25.8℃
  • 맑음군산31.7℃
  • 구름많음대구27.7℃
  • 구름많음전주28.5℃
  • 비울산25.8℃
  • 구름많음창원30.7℃
  • 구름많음광주32.0℃
  • 구름많음부산29.7℃
  • 구름많음통영30.0℃
  • 구름많음목포28.6℃
  • 구름많음여수30.8℃
  • 구름많음흑산도27.6℃
  • 구름많음완도30.5℃
  • 구름많음고창30.5℃
  • 구름많음순천28.5℃
  • 맑음홍성(예)30.6℃
  • 맑음30.0℃
  • 흐림제주30.7℃
  • 구름많음고산30.0℃
  • 구름많음성산29.4℃
  • 흐림서귀포30.8℃
  • 구름많음진주30.0℃
  • 구름조금강화25.1℃
  • 구름조금양평27.8℃
  • 구름조금이천27.3℃
  • 구름많음인제21.8℃
  • 구름조금홍천25.2℃
  • 흐림태백19.6℃
  • 흐림정선군23.3℃
  • 구름많음제천25.4℃
  • 맑음보은29.8℃
  • 맑음천안30.4℃
  • 맑음보령30.9℃
  • 맑음부여33.0℃
  • 맑음금산31.7℃
  • 맑음32.0℃
  • 구름조금부안30.4℃
  • 구름많음임실29.7℃
  • 구름많음정읍32.0℃
  • 구름많음남원30.4℃
  • 구름많음장수28.9℃
  • 구름조금고창군31.9℃
  • 구름많음영광군30.2℃
  • 구름많음김해시29.2℃
  • 구름많음순창군31.0℃
  • 구름많음북창원30.8℃
  • 구름많음양산시28.8℃
  • 구름많음보성군30.8℃
  • 구름많음강진군31.6℃
  • 구름많음장흥30.6℃
  • 구름많음해남30.3℃
  • 구름많음고흥30.1℃
  • 구름많음의령군30.0℃
  • 구름많음함양군29.5℃
  • 구름많음광양시29.9℃
  • 구름많음진도군31.1℃
  • 구름조금봉화24.8℃
  • 구름많음영주26.8℃
  • 구름많음문경28.7℃
  • 흐림청송군25.7℃
  • 흐림영덕22.8℃
  • 구름많음의성28.1℃
  • 흐림구미29.6℃
  • 흐림영천26.5℃
  • 구름많음경주시25.7℃
  • 구름많음거창28.1℃
  • 구름많음합천29.8℃
  • 구름많음밀양28.8℃
  • 구름많음산청29.1℃
  • 구름많음거제29.2℃
  • 구름많음남해30.5℃
  • 구름많음28.8℃
기상청 제공

2024년 09월 15일 (일)

한약처방 본초학적 해설-55

한약처방 본초학적 해설-55

초기 기능성 소화불량에 활용되는 ‘香砂平胃散’

20240329095840_0fafbb4000678762e43a5e4fc00c6bbb_2ikm.jpg

 

주영승 교수

(전 우석대한의대)


 

#편저자주 : 한약물 이용 치료법이 한의의료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에도 불구하고, 최근 상황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모든 문제 해답의 근본은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통처방의 진정한 의미를 이 시대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응용율을 높이는 것이 절대적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에서는 첩약 건강보험 2단계 시범사업의 기능성 소화불량에 응용될 수 있는 약물 처방(55회∼)을 소개함으로써 치료약으로서의 한약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아울러 효율 높은 한약재 선택을 위해 해당 처방에서의 논란 대상 한약재 1종의 관능감별 point를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기질적인(organic) 특별한 원인없이 기능적인(functional) 결함으로 나타나는 위장장애는 소화불량을 주증상으로 속쓰림, 더부룩함과 嘔吐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실제적으로 짐작되는 원인이 있을 수도 있지만, 대개 다양한 조건이 복합돼 나타나므로 그 원인을 특정할 수 없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배가 아프고 팽만해 속이 불편한 소화불량과 같은 기본증상만으로도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장애를 나타낸다. 당연히 기질적인 이상유무의 확인(예: 위내시경 등)을 거쳐야 하며, 뚜렷한 이상을 확인하지 못했을 경우 증상 완화에 초점을 맞춘 상당 기간의 대증치료가 필요하다. 전체 치료기간 동안에는 기본적인 생활습관(小食과 적당한 운동 및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 등)의 개선이 필수적임은 말할 필요가 없겠다.


1. 香砂平胃散

 

香砂平胃散은 1587년 明나라의 龔廷賢이 저술한 萬病回春의 卷二에 처음 기재되었으며, 여기에 1611년 東醫寶鑑에서 厚朴 1품목을 추가한 처방이다. 內傷의 食傷에서 食滯로 소화가 안돼 윗배가 痞悶 脹滿하면서 아픈 경우를 치료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積聚의 食鬱에서는 消導劑인 山査 神麴 麥芽 등을 추가해 같은 이름의 처방으로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燥濕健脾 行氣和胃의 처방으로 ‘胃腸의 병증을 스스로 낫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平胃散에 몇 가지 약물을 추가해 化食消導의 효력을 강화하고 있는데, 추가된 약물을 대표하는 木香 혹은 香附子와 砂仁에 연유하여 香砂平胃散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胃腸病 初症(急滯 통증 心下痞)으로 急性이고 寒證(심한 熱症이 아닐 때)이 있을 때 적응되며, 추정되는 소화장애의 각종 원인(예: 肉食, 米粉麵食, 스트레스 등)에 따라서 해당 약물이 추가된다면 그 효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2464-36 주영승1.jpg

위의 구성 한약재 10품목에 대해 초기 기능성 소화불량을 적응증으로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溫性8(溫6 微溫2) 平性1 寒性1로서, 土愛曖而喜芳香에 초점을 맞춰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실제 1종의 寒性약물은 溫性에 대한 反佐뿐만 아니라 通氣消積의 역할을 동시에 나타내는 약물이다.

2) 味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辛味9 苦味5(微苦1) 甘味2 酸味1로서, 辛苦味가 주를 이뤄 瀉性을 나타내고 있으며 소량의 甘酸味로써 상대적인 補性으로 反佐하는 형태이다. 즉 脾惡濕에 초점을 맞춰 辛味의 發散行氣와 苦味의 燥濕기능으로 대처함으로써 소화기에 가장 유익한 化濕和胃의 역할을 나타내는 것이다.

3) 歸經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및 臟腑表裏 포함), 脾10(胃7) 肺6(大腸2) 肝3 腎1 心1 三焦1로서, 脾肺經에 주로 歸經하며 肝經 등이 보조하는 형태이다. 주로 後天의 水穀之精氣를 관장하며 上乘하는 脾(脾爲運化之器)와 收納之器로서 下降하는 胃가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肺主氣와 肺爲通調水道로서의 大腸의 보조 역할로 정리된다. 脾喜潤而惡濕하므로 脾濕이 化濕되지 않으면 結聚하여 痰이 되고(濕生痰), 痰濕이 肺로 전이되는 내용에 대한 보완이다.

4) 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芳香性化濕藥4 理氣藥4 補益藥1 解表藥1의 구성이다. 여기에서 芳香性化濕藥은 모두 脾喜潤而惡濕과 土愛曖而喜芳香에 부합되는 약물이고, 4품목의 理氣藥 중 3품목이 順脾氣효능으로 모두 소화기능향상과 관련이 되는 조합이다. 한편 順肝氣효능의 理氣藥 1품목(香附子)은 肝主疏泄로써 解鬱기능을, 補益藥 1품목(甘草)은 助脾氣의 調和기능을, 解表藥 1품목(生薑)은 辛溫으로 溫胃和胃하여 病症을 스스로 낫게 한다는 점에서 보면, 모두 큰 범주에서의 소화기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 香砂平胃散 구성약물의 세부 분류

 

1) 平胃散(蒼朮 陳皮 厚朴 甘草)- 濕의 종류 중 內濕에 적용할 수 있는 처방으로, 구성약물 중 芳香化濕藥(蒼朮 厚朴)이 宜化(和)의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

① 蒼朮: 脾胃의 濕邪 阻滯로 인한 食慾不振 脘悶嘔惡 腹滿泄瀉 舌苔白膩에 응용된다. 外로는 風濕의 邪氣를 제거하고 內로는 脾胃의 濕邪를 化濕시키므로 燥濕健脾시키고 祛風시키는 要藥이 되어, 濕邪로 인한 병증에 上下表裏를 막론하고 隨證配用한다. 虛症에 대비하여 補氣작용은 비교적 약하나 溫燥의 性이 脾陽을 도와주어 補脾氣(脾主運化, 脾惡濕)하여 주는 補氣藥에 속하는 白朮로의 교체를 항상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② 厚朴: 濕阻氣滯로 인한 脘腹脹滿疼痛과 嘔吐瀉痢에 응용된다. 주로 장내 가스로 인한 복부팽만과 泄瀉를 치료하는 健胃整腸劑로서, 위장운동 부족으로 인한 膨滿과 排便이 원활하지 않을 때 응용된다. 蒼朮과 厚朴의 除濕 작용의 구별은 蒼朮이 祛風除濕 작용으로 腹部腸鳴(물소리가 꼬록꼬록날 때)에 응용된다면, 厚朴은 溫中除滿 작용으로 腹部膨滿(中焦가 冷하여 가스차는 경우)에 응용될 수 있다.

③ 陳皮: 順脾氣작용을 나타내는데, 辛으로 濕이 行하지 못하고 鬱結한 氣를 疏散하여 利氣宣通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滯氣를 行하게 하면 脾胃腸이 스스로 건강하게 되고, 寒濕이 제거되면 痰涎이 스스로 소멸되는 까닭에 理氣, 健脾, 燥濕, 化痰의 要藥이라고 하였다.

④ 甘草: 隨氣藥入氣하고 隨血藥入血하여 無住不可로 諸藥을 조화하여 偏勝된 것을 緩和시키는 대표적인 緩和劑이다. 여기에서는 炙하여 사용함으로써 溫性을 나타내어 脾胃常要溫의 이상적인 조건에 부합하게 된다.

2) 木香과 香附子 

① 木香: 腸胃의 氣滯를 순행시키는 行氣止痛의 약물이다. 芳香性健胃劑로서 惡心嘔吐와 같이 胃腸이 편안하지 못하여 미식거리는 증상 등에 응용되며, 이런 점에서 木香 종류 중 土木香이 더욱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효능은 氣滯 氣痛 氣結證으로 인한 胃痙攣 腸痙攣 裏急後重 등에 적용되는데, 이는 실험상의 大腸 수축력 증강과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② 香附子: 대표적으로 肝氣鬱結에 氣行則血行하고 肝調和시켜 모든 鬱滯의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다. 古人은 香附子가 “治一切氣病하는 血中之氣藥”이라고 표현하였는데, 이런 점에서 스트레스에 노출된 소화불량의 경우에 주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3) 砂仁: 芳香化濕藥으로 辛味는 散하고 溫性은 通하게 하며 芳香은 化濕하는 작용이 있어 化濕 行氣 溫中시키는데 常用하는 要藥이다. 性이 溫하면서도 燥熱하지 않고 行氣하되 破氣하지 않은 장점이 있어 능히 醒脾開胃시키며(性溫而不燥 行氣而不破氣 調中而不傷中), 中焦에 濕邪가 阻滯하거나 脾胃에 氣滯 및 脾胃가 虛寒한 모든 證에 적용된다. 

4) 藿香: 芳香化濕藥으로 脾濕內阻로 運化가 失常되어 생긴 脘腹脹滿 食少作惡 大便溏薄 등 證을 치료한다. 化濕和中하고 醒脾開胃의 작용이 비교적 양호하며 소화기계통 특히 脾의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5) 枳實: 通氣消積하는 寒性의 理氣藥으로 전체적으로 反佐의 역할을 담당하는 약물이다. 아울러 溫性의 厚朴과 더불어 一寒一溫의 相使작용을 나타낸다. 즉 枳實이 性寒하고 破氣에 편중되어 消積導滯가 주된 작용이고 瀉痰除痞가 부수적인 작용이라면, 厚朴은 性溫하고 行氣에 편중하여 散滿除脹이 주된 작용이고 降逆平喘이 부수적인 작용인 것이 다른 점이다. 

6) 生薑: 보조제로서 3片이 사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和中溫胃의 작용을 이용하여 健脾劑로서의 보조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嘔家의 聖藥으로서 胃寒이나 痰濕이 中洲에 阻滯되어 나타나는 胃氣上逆의 惡心嘔吐에 모두 효과가 있다. 

7) 한편 소화불량 발생요인 등에 따른 약물을 추가한다면 효력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겠다. 즉 肉食不化에는 山査 草果를 추가하고, 米粉麵食不化에는 神麴 麥芽를 추가하며, 生冷瓜果不化에는 乾薑 靑皮를 추가하고, 飮酒로 食傷한 경우에는 黃連 葛根 烏梅를 추가하며, 吐瀉不止에는 枳實을 제거하고 茯苓 半夏 烏梅를 추가하는 등이 이에 해당된다.


3. 정리 

 

이상을 종합하면 香砂平胃散은 傷食과 食鬱로 인한 초기의 기능성 소화불량에 이용할 수 있는 芳香化濕劑로서, 平胃散에 木香 香附子 砂仁 枳實 藿香이 추가되어 化食消導의 효력을 강화한 처방이다. 즉 주된 구성약물인 芳香化濕藥을 통하여 中焦의 濕邪를 제거함으로써 脾에 濕邪가 內阻하여 나타날 수 있는 脾의 運化기능 失調(소화기질환)를 치료하는 化濕健脾(燥濕健脾) 醒脾化濕 化濕澼濁의 효능을 나타낸다. 현대적 의미로는 ①병원미생물 또는 生冷物을 과식하였거나 ②influenza 혹은 疫病 등에 의한 소화장애로 腹滿 腹痛 泄瀉 등을 나타낼 때, 健胃 작용으로 항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내는 처방이다.

2464-36 주영승2.jpg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