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8 (금)
'국립중앙의료원'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271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도 공공의료 정책에 뚜렷한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욱이 경제위기, 물가상승 등의 요인이 겹치면서 공공의료 강화에 대한 시급성이 밀려나고 있어 팬데믹 사태로 증폭됐던 공공의료 확충의 불씨가 꺼지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공의료포럼 및 남인순·박찬대·배진교·서동용·소병철·신현영·엄태영·이수진·이용빈·정성호·정춘숙 국회의원은 지난달 30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대선과 지방선거 이후 한국 공공의료 전망은?’을 주제로 공공의료포럼(이하 포럼) 5차 정책토론...
한의학이 상한론, 온병 등 한의학적 배경을 활용해 북한의 코로나19 대응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언됐다.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이하 지원본부)와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은 지난 26일 북한의 코로나19 발표 이후 보건의료 분야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북한 코로나19 확진, 46일에 대한 이해-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을 할 것인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서울시 중구 소재 스카이파크 킹스타운 호텔 및 유튜브에서 동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김정은 정권의 보건의료 정책 및 방향 변화, 확진자 ...
북한의 코로나19 대응 현황을 살피고 남북이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오는 26일 심포지엄이 열린다. 대북 교류협력단체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이하 지원본부)와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이하 보건단체연합)은 북한의 오미크론 확진자 발생과 관련해 ‘북한 코로나19 확진, 46일에 대한 이해·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호텔 스카이파크 킹스타운 동대문점과 유튜브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되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김정은 정권의 보건의료 ...
재난트라우마 한의사 임상진료 매뉴얼 출간에 발맞춰 국가 재난트라우마 대응에서 한의학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재난트라우마 진료에서 한의치료의 장점을 소개하고, 국가 재난지원체계에 있어 한의계의 참여 확대를 위한 방안도 모색했다. 대구한의대 한방신경정신과는 지난 12일 ‘재난 트라우마에 대한 한의학의 역할’을 주제로 한의사 진료 매뉴얼 관련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주제발표에는 △임상진료매뉴얼 및 임상경로를 통한 한의학에서의 정신건강(경희한의대 김종우 교수,...
윤호영 정책보험이사(부산광역시한의사회)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long-COVID를 정의하며 주의를 주고 있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도 Post-COVID Conditions을 설명하며 미국장애인법에 의거해 장기후유상태를 장애로 간주할 수 있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통계적으로 10∼20%의 코로나 감염환자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통계결과와도 비슷하다. 후유증 기간의 기준은 기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적어도 4주 이상 지속되며, 코로나19 감염 이후 발생한 복합 증상들이 있는 경...
[편집자주] 본란에서는 최근 SCI(E)급 저널 ‘국제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저널’에 ‘한국 산모의 출산 경험과 한의학 기반 산후케어에 대한 관점:질적 연구’ 논문을 게재한 서주희 박사(국립중앙의료원 한방신경정신과장)에게 논문 작성 배경과 연구 수행 과정에서 인상 깊었던 점, 후속 연구 방향 등을 들어봤다. 서 박사는 현재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환자들의 한의 치료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재난트라우마의 한의진료매뉴얼 개발의 후속과제 등을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Q.국립중앙의료원에서 한방산후건강관리사업을 맡고 있다. 국...
한의약 기반 산후 건강관리를 받은 국내 산모들의 경험을 분석한 연구가 SCI(E)급 저널 ‘국제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IF=3.390) 5월호에 게재돼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 산모의 출산 경험과 한의학 기반 산후케어에 대한 관점:질적 연구’(Mothers’ Experiences of Childbirth and Perspectives on Korean Medicine-Based Postpartu...
대구한의대 한방신경정신과는 오는 5월 12일 오후 7시부터 ‘재난 트라우마에 대한 한의학의 역할’을 주제로 한의사 진료 매뉴얼 관련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개발된 재난 트라우마 한의사 진료 매뉴얼을 통해 관련 전문가 및 참여자들과 함께 국가 재난 트라우마 대응에서 한의학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주제발표로는 △임상진료매뉴얼 및 임상경로를 통한 한의학에서의 정신건강(경희한의대 김종우 교수, 한의학정신건강센터장) △재난 트라우마 한의사 진료 매뉴얼 개발과정(대구한의대 김상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소세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전면해제되면서 일상회복에 한 걸음 다가섰지만 여전히 ‘롱 코비드(Long COVID)’라 불리는 코로나 후유증에 대한 경계를 늦출 수 없다. 격리해제 후 후유증을 겪는 확진자 사례가 곳곳에서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영국의 경우 자국 내 코로나 후유증 환자가 150만명으로 추산되는 상황이고, 미국에서는 국가 차원의 연구를 진행하며 코로나 후유증을 하나의 장애로 인정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도 마찬가지로, 국립보건연구원·국립중앙의료원의 ...
국립재활원(원장직무대리 김완호)은 코로나19 감염 이후 회복 중인 국민을 위해 재활 정보를 담은 영상 ‘코로나19 이후 건강생활’을 제작·배포한다고 밝혔다. 본 영상은 호흡 관리, 일상생활을 위한 피로 관리, 신체활동과 운동 회복, 인지와 삼키기 관리 등 코로나19 감염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관리하는 방법 5편을 담고 있다. 코로나19 감염자의 상당수는 후유증 없이 회복하지만, 일부는 발병 후 증상이 지속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국립보건연구원이 국립중앙의료원, 경북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료원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