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강선우 국회의원과 간담회 개최(10일)
[한의신문]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 건강보험연구원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고혈압과 폐렴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기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고혈압·폐렴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어느 의료기관에 입원하느냐에 따라 입원 기간이 다른지를 분석한 것으로,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입원 기간에 차이가 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중증도가 비슷한 환자들 사이에서도 의료기관에 따라 입원 기간에 커다란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은 비효율적인 의료 이용의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38.1일에서 7.0일로 31.1일(8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렴 환자는 16.1일에서 11.7일(27.3%)로 감소했다. 단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크게 감소했지만, 일반적으로 응급상황을 제외하면 고혈압을 주된 원인으로 입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또한 고혈압·폐렴 환자의 입원 기간 차이가 나는 원인 중에서 의료기관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을 분석한 결과, 폐렴은 ‘10년 21.0%에서 ‘19년 9.6%로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고혈압은 25.7%에서 31.3%로 증가했다.
의료기관을 종합병원급 이상(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과 병원급 이하(병원·의원)로 구분했을 때, ‘19년 기준 입원 기간의 의료기관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고혈압의 경우 종합병원급 이상 19.6%, 병원급 이하 51.8%, 폐렴은 각각 6.5%, 26.0%로 나타났다. 이는 고혈압·폐렴 모두 종합병원급 이상에 비해 병원급 이하에서는 ‘어느 의료기관에 입원하느냐에 따라 입원 기간이 더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병원급 이하에서 입원 치료에 비효율이 존재함을 시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의료기관에 따른 입원기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혈압과 폐렴의 적정 진료에 대한 임상적 기준 정립이 필요해 보인다는 것.
이와 관련 건강보험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해 환자 중증도 보정 등의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며, 향후 입원 기간 변이가 큰 기관의 특성과 원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면서 “환자의 특성(성별, 연령, 의료보장유형, 중증도(동반질환), 장애여부)과 기관의 특성을 보정했지만, 입원 기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타 환자요인(중증도, 의료이용 행태 등)으로 인해 기관 수준의 변이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Variance Analysis of Length of Stay and Medical Expenses in Inpatient Care: Hypertension and Pneumonia’라는 제목으로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Medical Science)’ 40권 13호에 게재됐다.
대한침구의학회, ‘2025 춘계학술대회’ 개최
고령층 특성 변화 따른 노인 연령 기준 개편 논의
경기도한의사회, 신임 분회장 간담회 ‘성료’
광주광역시한의사회, ‘2025년 제3회 정기이사회’ 개최
“전인적 한의약, 대한민국 균형적 의료공급 가능”
동두천시보건소, ‘어르신 주치의 사업’ 운영
“기부란 의료인으로서 받은 사랑을 사회에 돌려드리는 방법”
광주광역시한의사회, 산불 피해 이재민 구호 위한 성금 기부
“산불재난 속 활약하는 한의진료소 위해 한약 지원”
필한방병원, ‘제5회 필환경 캠페인 공모전’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