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한국재택의료협회 춘계학술제 참여(6일)
[한의신문=강환웅 기자] 만성피로증후군(ME/CFS)은 단순 만성피로 증상과 달리,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원인으로 극도의 피로감, 수면 후 불쾌감, 가벼운 활동 후 활력 고갈, 인지 및 집중력 저하 및 머리에 안개 낀 것과 같은 브레인포그 증상을 호소하는 복합 뇌 신경계 질환이다.
전체 인구의 약 1%가 앓고 있으며, 한국에서만 매년 약 2만5000명 정도의 새로운 환자가 진단을 받는 질환으로, 환자의 반 이상은 온전한 사회활동이 어려운 심각한 질병임에도 불구, 아직까지 정확한 병의 원인과 병태가 불분명하고 공인된 치료법이 없는 난치성 질병으로 남아있다.
그동안 만성피로증후군을 복합 뇌 신경계 질환으로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전으로 ‘뇌의 만성적인 미약한 염증 상태’가 제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전체적인 특성 규명은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이런 가운데 대전대 한의과대학·대전한방병원 이진석·손창규 교수팀과 일본 국립신경정신연구센터 연구진이 공동연구를 통해 만성피로증후군 환자의 뇌영역별 특성 및 병태맵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국제저명학술지 ‘Autoimmunity Reviews(IF: 17.39)’에 게재해 관심을 끌고 있다.
연구팀은 연구팀은 만성피로증후군 환자 1529명(남성 277명·여성 1252명) 및 일반인 1715명(남성 469명·여성 1246명)을 대상으로 MRI·MRS·PET·EEG 등 뇌 영상기법을 활용한 65개 임상연구를 토대로 인구학적 특성 및 뇌 병변 영역과 병태생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환자 뇌의 전두엽에서 구조적 변화와 비이상적 신호전달이 흔하게 관찰됐고, 통계적 메타분석을 통해 뇌섬엽과 시상영역의 활성저하를 밝혀냈다. 이와 함께 뇌 대사물질 및 뇌파 변화가 뇌 염증 소견을 반영하며, 이러한 뇌 병변 영역들이 환자들의 극심한 피로, 인지장애, 수면장애, 기립성 조절장애 등의 증상에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전 세계 의료인들과 연구자들이 해당 질환에 대한 병인·병태를 한 발 더 이해하도록 질병 규명에 조금이나마 기여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교육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이다.
특히 대전대 만성피로증후군 연구센터(센터장 손창규)에서는 만성피로증후군의 기초와 임상적 치료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연구센터로, 매년 우수한 연구결과들을 발표해오고 있다.
“현대 한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김정연·박진상 효사랑가족요양병원장, 원광한의대에 3년째 장학금 기부
“오래는 사는데 건강하지 않다” 초고령사회 한국의 과제
[자막뉴스] 2024년 외국인 환자, 한의의료기관 방문 84.6% 증가
대전시한의사회 한의방문진료 지원비 1350만원 후원
보건복지부, 국민연금 개혁 시행 추진단 첫 회의
바른부부한의원 수원, 지역사회 건강 증진 ‘동참’
“약 한 움큼 드시지 마세요∼”
다학제로 진화하는 ‘미래 돌봄 한의약’
고통받는 이재민들 위해 한의약의 따뜻한 돌봄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