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2 (월)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강남구한의사회와 협업해 유튜브 콘텐츠를 제작 중인 금성찬 지엠씨웍스 대표이사에게 콘텐츠 제작 계기와 SNS 미디어 콘텐츠의 제작 방향 등에 대해 들어봤다.
[한의신문=민보영 기자] 유튜브 생태계가 진화하고 있다. 시청자들은 말초 신경을 자극하는 콘텐츠를 찾는 데 그치지 않고, 방법 공유 등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콘텐츠에 ‘좋아요’와 ‘구독’을 누른다. 유튜브를 통해 올바른 한의학 지식을 전달하고자 하는 한의사들도 늘어나는 추세다.
강남구한의사회(회장 박성우·이하 강남분회) 한의사들이 출연해 한의학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는 ‘강한의사들’도 그 중 하나다.
매주 화요일 오후 8시에 ‘골드피디’ 채널에 올라오는 콘텐츠는 강남명인한의원의 이슬기 원장, 김정국한의원의 김정국 원장 등 강남분회 소속 한의사들이 출연해 한의학에 대한 궁금증을 알기 쉽게 풀어준다.
‘강한의사들’이 주목 받는 이유는 분회 차원에서 제작한 첫 유튜브 콘텐츠라는 점 때문만은 아니다. 영상 제작 전문가가 대중이 궁금해 하는 한의학 관련 질문을 한의사에게 던지면, 한의사는 이 질문에 대해 알기 쉽게 답변한다.
이 질문에는 오해도 있고 단순한 궁금증도 있다. 의료 소비자의 관점에서 질문을 던지고 한의사들이 답하니 시청자들이 받아들이기에도 무리가 없다. 한의학 전문가 집단과 미디어 전문가가 협업한 결과다.
‘강한의사들’을 기획한 유튜버 ‘골드피디’는 지상파와 케이블TV의 다큐멘터리부터 교양, 예능까지 폭넓은 장르의 프로그램을 연출해 온 방송PD 출신인 금성찬 지엠씨웍스 대표이사다.
“유튜브 콘텐츠를 기획하던 중 지상파에서 한의학 건강정보프로그램 연출 경험이 있었던 저희 제작팀장이 한의사 분들과 유튜브에 맞는 콘텐츠를 해 보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를 냈다. 마침 골드피디채널에서도 건강 관련 콘텐츠를 계속 고민 중이어서 바로 첫 미팅 날짜를 잡은 게 작년 10월쯤이었다. 이후 박성우 강남구한의사회 회장을 포함해 다양한 한의사 분들과 수시로 만나며 콘텐츠 방향을 잡아 갔다. 이 과정에서 제가 알고 있었던 한의학 정보들 중에 잘못 알려진 것들이 꽤 많다는 걸 알게 됐다. 대표적인 게 침이나 부항도 의료보험이 된다는 것, 한의원도 질환 별 전문과가 있다는 것들이었다.”
여기에 양의학에 대한 이해와, 환자를 위해 한·양방 협진이 이뤄져야 한다고 보는 한의사의 태도가 제작자들의 신뢰를 샀다고 한다. 해외에서 한국의 한의학 의술이나 치료 기구들이 유명한 게 많다는 사실도 제작진을 매혹했다. 금 대표는 ‘YWCA 올해의 좋은 프로그램 대상’(2004, EBS 도전! 죽마고우), ‘한국방송대상 우수작품상’(2005, EBS 도전! 죽마고우), ‘한국장애인인권상’(2005) 등을 수상한 인물이기도 하다. 강원대 신방과 겸임교수로서 강단에도 서고 있다.
17일 현재 ‘강한의사들’의 누적 조회수는 3600회를 웃돌았다. 업계 선후배나 동료의 의견도 대체로 긍정적이다.
“덕담이나 농담 삼아 건네는 말들이 ‘대박 날 것 같다’는 거였다. 각종 언론사 등에서도 관심을 많이 보내주고 있다. 그리고 저희 채널의 다른 콘텐츠들에 비해 댓글 참여도가 월등히 높은 것 같다.”
실제로 지난달 28일 두 번째로 공개된 콘텐츠에는 일부 악의적인 댓글도 보였지만, 응원을 하거나 좋은 정보를 얻었다는 등 긍정적인 댓글이 주를 이뤘다. “한의학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이것저것 찾아보는데 두 분 너무 말씀 잘 하신다(유튜버 ‘p I’)”, “여자 선생님 말씀 너무 잘 하신다. 감기를 공기에 비유한 것도 이해가 잘 되고 합리적이다(유튜버 ‘잡았나 fishing TV’)”.
일각에서는 의학계 등 전문적인 분야의 검증을 전문의라는 개인이 나서 일반화하는 데 우려의 시선을 보낸다.
“‘강한의사들’은 강남구한의사회 단체가 주관했다는 점, 수년 간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한 영상 전문가가 협업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보다 기대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접근성은 뛰어나지만 정보의 질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어려운 SNS 미디어 콘텐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만한 콘텐츠라는 얘기다.”
자극적이고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범람하는 SNS 미디어에서 의사 등 전문가집단이 제작한 콘텐츠의 활용이 기대되는 이유다. 금 대표의 목표도 자극적이고 휘발성 많은 콘텐츠가 조회수를 올리는 SNS 미디어 콘텐츠 시장에서 양질의 콘텐츠로 ‘느리지만 오랫동안’ 승부하는 것이다.
“저희 골드피디 채널의 기본 모토는 ‘토끼와 거북이’ 우화에 나오는 ‘SNS미디어업계의 거북이’이다. 꾸준히 성실하고 책임감 있게 양질의 콘텐츠로 경주하면 최후의 승자가 될 수 있다는 신념이다. 참고로 저희 유튜브 콘텐츠 중 ‘랠리, 8일 간의 여정’이 있는데 업로드 후 2개월 차까지는 1000회를 넘지 못했다. 그런데 작년 12월을 전후로 각종 커뮤니티와 파워 블로거 및 유튜버들에게 입소문이 나면서 불과 보름여 만에 누적조회 수 1만 회를 상회하고 있다. 최근 한 IPTV채널과도 방영권 계약이 이뤄져 조만간 일반 방송채널에서도 볼 수 있게 됐다. 현재까지도 꾸준히 조회 수와 시청시간이 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계속 이어질 것이다. ‘강한의사들’ 역시 꾸준히 구독수가 증가되는 스테디셀러를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