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한국재택의료협회 춘계학술제 참여(6일)
[한의신문=최성훈 기자] 2020년 한의약 R&D 예산이 올해보다 31.4% 증가한 204억5300만원으로 편성되면서 한의약 진흥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하지만 세계 대체·전통의학시장이 2015년 1140억 달러(131조8980억원)에서 2020년에는 1540억 달러(178조1780억원)로 나날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장기적인 대규모 투자로 한의약 분야의 기술 수준을 더 끌어올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2020년 한의약R&D 신규과제 지원분야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한의약 R&D 예산을 발표했다.
2020년 한의약 R&D 예산의 세부사항을 살펴보면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 72억3500만원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 77억7900만원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사업 54억3900만원 등이다.
이번 예산 편성에서 한의약 R&D 예산이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의 일몰로 내년부터 시행될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20~29)’이 꼽힌다.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을 통해 복지부는 근거창출 및 지침개발을 중점지원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익적 연구개발에 초점을 맞춘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문제는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을 포함한 복지부 한의약 R&D 예산은 지난 2016년을 기점으로 올해까지 ‘제자리걸음’이었던 상황.
실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신)과학기술표준분류 중분류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R&D 투자 현황’에 따르면 한의과학 분야 R&D 예산은 △2012년 57억원 △2013년 75억원 △2014년 85억원 △2015년 130억원 △2016년 158억원 △2017년 160억원을 기록했다. 심지어 2019년 한의약 R&D 예산은 이전 2016년이나 2017년 보다 적은 156억원이었다.
이로 인해 한의계에서는 한의약 분야에 있어 최고기술 보유국인 중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 한의학의 경쟁력은 더욱 약화될 것이란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이었다.
실제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수준을 나타내는 ‘의료·바이오 분야 기술수준(KISTEP)’ 지표상에서도 우리나라의 지난 2016년 기준 ‘한의약 효능 및 기전 규명 기술’은 84.3%로 중국과 비교해(100) 약 2.9년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2년 84.7%(3.1년)이나 2014년 83.9%(3.1년)과 비교해 봐도 크게 달라진 게 없었다.
국내 의료 분야 전체를 놓고 따져봤을 때(77.5%, 3.8년) 보다는 높지만 전 세계적으로 대체·전통의학시장에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인 만큼, 이번 예산 증액이 일회성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는 게 한의계의 중론이다.
이에 대해 한의계 관계자는 “전 세계 대체·전통의학시장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 한의약이 국가의 확고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며 “물론 이 과정에서 한의의료가 과소평가되거나, 제 평가를 받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 그렇다고 중장기적인 방안을 찾지 않은 채 한의약 R&D 투자를 외면해선 지속가능한 발전을 담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선보이는 결과물들도 국가 산업과 한의계 임상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며 “이 같은 선순환 구조는 궁극적으로 육성 계획의 비전인 ‘한의약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과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22대 국회 연금특위 출범…윤영석 위원장 선출
“차기 정부에 바라는 의료개혁은 ‘다학제 협업 존중’”
“산불로 어려움 겪는 이재민분들에게 힘이 되길”
한의디지털융합기술개발사업, 디지털 한의학 구현 의견 수렴
“현대 한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김정연·박진상 효사랑가족요양병원장, 원광한의대에 3년째 장학금 기부
“오래는 사는데 건강하지 않다” 초고령사회 한국의 과제
[자막뉴스] 2024년 외국인 환자, 한의의료기관 방문 84.6% 증가
대전시한의사회 한의방문진료 지원비 1350만원 후원
보건복지부, 국민연금 개혁 시행 추진단 첫 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