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2.7℃
  • 맑음0.5℃
  • 맑음철원-1.4℃
  • 맑음동두천0.8℃
  • 맑음파주-1.1℃
  • 맑음대관령-2.8℃
  • 맑음춘천2.1℃
  • 맑음백령도6.5℃
  • 맑음북강릉3.9℃
  • 맑음강릉4.7℃
  • 맑음동해3.4℃
  • 맑음서울4.9℃
  • 맑음인천6.0℃
  • 맑음원주3.4℃
  • 맑음울릉도5.9℃
  • 맑음수원1.8℃
  • 맑음영월2.7℃
  • 맑음충주1.1℃
  • 맑음서산1.0℃
  • 구름조금울진5.1℃
  • 맑음청주5.0℃
  • 맑음대전2.9℃
  • 맑음추풍령1.9℃
  • 맑음안동2.6℃
  • 맑음상주2.5℃
  • 구름많음포항7.1℃
  • 맑음군산2.9℃
  • 구름조금대구5.0℃
  • 맑음전주3.8℃
  • 구름많음울산6.6℃
  • 맑음창원8.3℃
  • 구름많음광주5.7℃
  • 맑음부산8.9℃
  • 구름조금통영9.9℃
  • 맑음목포6.2℃
  • 구름많음여수10.5℃
  • 맑음흑산도9.2℃
  • 구름조금완도5.9℃
  • 맑음고창0.3℃
  • 맑음순천1.1℃
  • 맑음홍성(예)0.3℃
  • 맑음1.4℃
  • 흐림제주9.9℃
  • 맑음고산10.7℃
  • 맑음성산8.2℃
  • 구름조금서귀포11.8℃
  • 맑음진주4.3℃
  • 맑음강화1.4℃
  • 맑음양평2.0℃
  • 맑음이천1.4℃
  • 맑음인제-0.2℃
  • 맑음홍천0.5℃
  • 맑음태백-1.2℃
  • 맑음정선군-1.5℃
  • 맑음제천-0.5℃
  • 맑음보은-0.1℃
  • 맑음천안0.2℃
  • 맑음보령2.9℃
  • 맑음부여0.8℃
  • 맑음금산0.4℃
  • 맑음3.0℃
  • 맑음부안2.7℃
  • 맑음임실-0.1℃
  • 맑음정읍2.0℃
  • 맑음남원1.3℃
  • 맑음장수-1.2℃
  • 맑음고창군1.4℃
  • 맑음영광군1.0℃
  • 구름많음김해시8.2℃
  • 맑음순창군1.2℃
  • 구름조금북창원8.7℃
  • 구름조금양산시9.5℃
  • 구름많음보성군6.8℃
  • 맑음강진군4.1℃
  • 맑음장흥4.0℃
  • 맑음해남1.3℃
  • 맑음고흥5.1℃
  • 구름조금의령군5.4℃
  • 흐림함양군1.2℃
  • 구름많음광양시8.8℃
  • 맑음진도군2.3℃
  • 맑음봉화0.3℃
  • 맑음영주0.3℃
  • 맑음문경3.9℃
  • 맑음청송군-1.3℃
  • 구름조금영덕5.3℃
  • 맑음의성0.6℃
  • 맑음구미2.6℃
  • 맑음영천2.4℃
  • 구름많음경주시4.8℃
  • 흐림거창0.1℃
  • 흐림합천3.8℃
  • 구름많음밀양6.3℃
  • 흐림산청2.4℃
  • 구름조금거제9.5℃
  • 흐림남해9.3℃
  • 구름조금9.7℃
기상청 제공

2024년 11월 24일 (일)

한의진단학 편찬위원회, '한의진단학-진단편' 출간

한의진단학 편찬위원회, '한의진단학-진단편' 출간

표준 근거·국제적 호환성·역량중심교육 친화적·최신 지견 반영 등 원칙
한의진단 교육의 발전 도정에 하나의 이정표로 제역할 해주길 '기대'

3.jpg

 

[한의신문=강환웅 기자] 한의학에서 진단이 가지는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며 큰 호응을 받은 바 있는 '한의진단학-진찰편'에 이어 '한의진단학-진단편'(사진)이 출간됐다.


효과적인 치료는 정확한 진단에 의해 가능한 만큼 한의학에서 진단이 가지는 중요성은 오래 전부터 분명하게 인식돼 왔다. 실제 조선시대에도 진단 서적을 의사 선발의 필수 교재로 지정했고, 멀리는 고대의 맥진과 색진으로부터 가까이는 최근의 국제적 진단 표준화에 이르기까지 한의 진단의 발전은 한의학의 발전과 그 발걸음을 같이 해오고 있다.

 

또한 근대적 교육기관을 통해 의료인이 양성되기 시작하면서 한의진단의 교습을 위한 독립적 교재들이 편찬되기 시작했다.

 

한의사제도가 갓 도입된 1950년대에 부산의 동양의학전 문학원, 서울의 동양의약대학에서는 자체적으로 한의진단 교재를 집필해 교육에 활용했고, △1968년 이성모의 '한방진단학' △1975년 이문재의 '동의진단학'이 간행돼 한의진단의 학습에 활용됐다. 이후 1986년에는 사진(四診)과 증상 감별 위주로 편집된 종래의 한의진단 교재의 체제에서 벗어나, 당시 중국에서 새롭게 완성된 변증 체계와 국내에서 이루어진 한의진단의 객관화·과학화 성과를 수록한 이봉교·박영배·김태희의 '한방진단학'이 발간돼 최근까지 국내 한의과대학의 한의진단 교과서로 사용돼 왔다. 


1990년대에 들어 1996년 대한한의진단학회가 결성된 이후에도 새로운 한의진단 교재를 집필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돼 왔으며, 그러한 노력의 결실로서 2008년 '생기능의학'이 발간됐지만, 한의진단의 본교재로서 사진과 변증을 중심으로 한 이론 교재의 출판은 이뤄지지 못했다. 

 

이에 2009년 대한한의진단학회에서는 그동안 지체되었던 교재 발간 과정을 정비하고 임원진의 의견을 모아 새로운 교재를 내기로 결정했으며, 이어진 집필 작업을 통해 이듬해 '사진' 부분의 원고가 완성되었지만, 별도의 교재로 출판되지는 못했고, 2014년 발간된 '한의진단학실습'의 각 단원 '학습내용 요약'에 수정된 형태로 수록됐다.


또한 2015년 말 대한한의진단학회에서는 교과서 집필의 원칙을 새롭게 설정하고 한의진단의 전 범위를 망라한 새로운 교재의 집필에 착수한 이후 집필 작업에 다소의 어려움은 있었지만 이번에 새로운 교재가 발간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집필진들은 새로운 교재를 기획하며 세웠던 원칙은 △표준에 근거한 교과서를 만든다는 것 △국제적 호환성을 갖춘 교과서를 만든다는 것 △역량 중심 교육에 친화적인 교과서를 만든다는 것 △최신 지견을 반영한 교과서를 만든다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 집필진은 "이러한 원칙 가운데 이번에 출간된 교재에 완전하게 반영되지 못한 것도 있지만, 향후 지속적으로 이뤄질 개정 작업에서 애초의 기획 의도를 보다 충실하게 담아가려 했다"며 "이번에 발간된 교재는 그러한 과정의 단초라 할 것이며, 앞으로의 한의진단 교육의 발전 도정에 이 교재가 하나의 이정표로서 제 역할을 다해 주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