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대의 의대 교육 가미, 학문적 발전 이끌 것”
“장애인 주치의, 독점적 방식보다 다양한 접근 필요”
“직역 이기주의 도움 안 돼…당사자들 얼굴 맞대야”
[한의신문=윤영혜 기자]“우리나라의 의료 체계가 지나치게 엄격하게 분리돼 있다는 지적은 예전부터 있었고 의료계 내에서 합의가 안 이뤄져 한의사들의 애로사항이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무엇보다 진단이나 예방 단계에서 좀 더 새로운 기술들이 활용될 때는 가급적 한의사들도 함께 동참할 수 있도록 검토가 필요하다.”
20대 국회를 1년여 남긴 시점에 마지막 보건복지위원장을 맡은 김세연 자유한국당 의원(부산 금정구·3선·사진)은 지난 16일 국회 본관 보건복지위원장실에서 열린 한의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평소 헬스케어 분야에 관심이 많던 김 의원은 “진단-처방-치료-재활의 전 단계인 사전 예방 기술이 많이 나오고 있어 헬스케어가 성장엔진의 한 축이 될 수 있다”고 의견을 피력해 온 만큼 신기술이 등장할 때 좀 더 폭넓게 활용성을 극대화한다는 측면에서 한의사의 참여도 검토돼야 한다는 것이다.
즉 새로운 기술이나 학문이 등장할 때 진보적인 방향이라면 타 분야라 할지라도 수용적으로 검토가 필요하다는 얘기로 해석됐다. 이 같은 견해는 최근 불고 있는 한의대의 교육 개혁 바람에도 적용됐다. 김 위원장은 “한의학도 의학의 한 범주라고 볼 때 현대의학적 요소를 풍부하게 가미할수록 더 높은 차원의 학문적 발전이 가능하다고 본다”며 한의대의 의학교육 강화에 대해 긍정적 시각을 내비쳤다.
그는 “서양의학의 과학적 접근이 많은 문제를 해결해 왔지만 이것만으로 해결이 안 되는 분야에서 한의학적 요소를 활용함으로서 실마리를 풀 수도 있다”며 “폭넓은 교류 융합 촉진 차원에서 이 같은 방향의 발전은 바람직한 경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학문 교류를 통한 발전이 선행되면 임상에도 잇따라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갈등사안의 문제 해결이 더 용이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김 위원장과의 1문 1답이다.
◇보건복지위원장으로서의 각오는?
일단 20대 국회 마무리 시점에 지난 4년간 보건복지위에서 다룬 현안들을 잘 마무리하고 싶다.
특히 정치가 국민들로부터 혐오나 조롱의 대상이 된지 오래다. 당리, 당략을 버리고 한국이라는 공동체가 지금 살아있는 세대만의 독점적인 전유물이 아니라 미래 세대까지 연대로 이어지는 존재라는 관점에서 최대한 국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의정활동에 임하려고 한다.
◇보건복지위원회 운영 방향은?
상임위 전체회의 때 의원들의 발언이나 질의는 시간제한 없이 보장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서둘러 위원회를 마쳐야 한다는 무언의 압박 때문에 질의 시간을 제약 당하는 부분이 있는데 서면이 아니라 최대한 현장에서의 대면, 구두 질의를 통해 사안을 검토 하겠다.
◇보건의료분야에서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이슈는?
보건의료 쪽은 다른 분야보다 직역 간 의견 차이가 꽤 크게 큰 부분들이 많다. 일방적인 관점을 강행하는 것보다 더디더라도 의견의 접점들을 잘 찾도록 노력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직역 간 갈등 사안 해결을 위한 기준이 있다면?
직역 간 이기주의로 얘기가 흘러가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 협상론의 제일 기본은 대립보다 얼굴을 맞대고 접점이나 공통점을 찾아 한발이라도 더 합의되는 쪽으로 진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갈등이 해소된다고 보기 때문에 과정에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쟁점이 많지만 모든 쟁점에 대해 다 동일하게 의견 차가 있지는 않을 것이다. 그중 합의가 수월한 사안부터 마음을 열고 동의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 볼 생각이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사업에 한의사의 참여에 대한 견해는?
사회 이슈들을 해결할 때 다양한 접근들이 있지만 문제 해결에 있어서 독점적인 한 가지 방식보다 다양한 접근이 국민 전체에 보다 도움이 된다는 철학을 갖고 있다. 커뮤니티케어도 마찬가지다. 장애인 주치의의 경우도 다양한 보건의료 직군들은 물론, 한의주치의의 활동 등 기존보다 좀 더 폭넓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다만 보건의료계 내에 의견이 다른 부분이 있기 때문에 열린 대화 속에서 빠른 접점 모색이 필요하다.
◇첩약 급여화에 대한 생각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한의약 분야는 전통적으로 전문화된 별도 영역을 제도적으로 마련해 두고 있다. 첩약 급여화 문제 역시 공론의 장으로 들어올 때가 됐다. 이 부분은 직역 간 견해차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해법이 잘 도출되도록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남기고 싶은 말은?
한의신문 독자들이 한의약 발전에 많은 관심을 갖고 계실 텐데 전통 학문 분야이면서 서양의학의 관점만으로는 풀 수 없는 통찰과 잠재력을 갖고 있는 분야라고 본다. 이런 잠재력이 잘 발휘되는 방향으로 제도적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
많이 본 뉴스
- 1 경희한의대 임상술기센터, 학생 임상역량 고도화 주력
- 2 지역 방문진료 강화…보건진료소에 한의과 등 공보의 배치 추진
- 3 무엇을 근거로 괜찮다고 설명할 것인가?
- 4 내과 진료 톺아보기⑭
- 5 안양시, 연예인들과 함께 K-medi ‘홍보 한마당’
- 6 실손보험 청구 앱 ‘실손24’, 시행 4일 만에 22만 명 가입
- 7 부산 한의 치매예방 관리사업 효과, 국제학술지에 게재 ‘눈길’
- 8 예비 한의사를 위한 임상 실습과 노하우 공유
- 9 “지역사회 건강을 위해 행정과 진료의 경계를 넘다”
- 10 한의사의 의료기기 활용 행위, 건강보험 적용 계획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