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치료 건보 적용 확대는 선택 아닌 필수
“파행 없도록 대회원 정보 전달·소통에 더욱 신경 써야”
[한의신문=최성훈 기자] 대한침구의학회(회장 송호섭, 이하 침구의학회)가 첩약 건강보험 적용을 위해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는 흔들림 없이 정책을 추진하라고 밝혔다.
침구의학회는 11일 성명을 내고 “2017년 첩약 급여화 전 회원 투표를 통해 정부는 첩약 급여화에 대한 정책 추진을 결정하고 한약급여화협의체를 가동한 바 있다”며 “현재 불신과 오해로 논란 중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첩약 급여화는 성공적 결실을 맺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의학과 한의약 시장 부흥을 위해 한의치료 기술의 건보 적용 확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며 “이에 협회는 첩약 급여화가 올바른 방향으로 순항될 수 있도록 흔들림 없이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침구의학회는 “첩약 급여화가 한의사 회원들과 국민들의 기대와 다르게 파행적으로 시행되지 않도록 한의협 다각도로 분석하고 충분히 검토한 후 투명한 절차에 따라 추진해 달라”고 밝혔다.
이 단체는 “만약 첩약 급여화 시행을 급하게 서두르다보면 다수의 회원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도가 변질돼 시행하게 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오히려 한의사들의 족쇄가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침구의학회는 정책 추진 과정에 있어 회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더욱 긴밀히 소통할 것을 한의협에 주문했다.
침구의학회는 “첩약 급여화에 대한 최근 한의계 내부 여론이 1년여 만에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 현실은 현재 협회가 추진 중인 정책들에 대한 회원들의 불신을 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최근 상황을 계기로 회원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불신과 오해를 해소하고 한의사 회원의 이익과 국민 건강권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침구의학회의 첩약건강보험에 관한 입장 전문이다.
성 명 서
2017년 첩약 급여화 전 회원 투표에서 모아진 회원들의 첩약 급여화에 대한 열의로 어렵게 ‘첩약 급여화’의 불씨를 살려낸 바 있고, 이에 호응하여 정부는 2019년 첩약 급여화에 대한 정책 추진을 결정하고 한약 급여화 협의체를 가동한 바 있다. 현재 불신과 오해로 논란 중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첩약 급여화는 성공적 결실을 맺어야 한다.
하나, 첩약 건강보험 적용을 위하여 중앙회는 흔들림 없이 정책을 추진하라.
한의학과 한의약 시장의 부흥을 위해서 한의치료 기술들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다. 한의약 시장의 확대를 통한 한의사 회원의 이익과 국민 건강권 확대의 측면에서 첩약 급여화 역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협회는 첩약 급여화가 올바른 방향으로 순항할 수 있도록 흔들림 없이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하나, 첩약 급여화가 파행적으로 시행되지 않도록 충분한 검토와 철저한 분석을 통해 추진하라.
첩약 급여화 시행을 급하게 서두르다보면 다수의 회원들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도가 변질되어 시행되게 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오히려 한의사들의 족쇄가 될 우려의 가능성도 없지 않다. 첩약 급여화가 한의사 회원들과 국민들의 기대와 다르게 파행적으로 시행되지 않도록 협회는 다각도로 분석하고 충분히 검토한 후 투명한 절차에 따라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하나, 더욱 낮은 자세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들과 소통하라.
첩약 급여화에 대한 최근 한의계 내부의 여론이 1년여 만에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 현실은 현재 협회에서 추진 중인 정책들에 대한 회원들의 불신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최근 상황을 계기로 협회는 회원들과의 더욱 긴밀한 소통을 통해 불신과 오해를 해소하고 한의사 회원의 이익과 국민의 건강권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2019년 6월 11일 대한침구의학회
“파행 없도록 대회원 정보 전달·소통에 더욱 신경 써야”
[한의신문=최성훈 기자] 대한침구의학회(회장 송호섭, 이하 침구의학회)가 첩약 건강보험 적용을 위해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는 흔들림 없이 정책을 추진하라고 밝혔다.
침구의학회는 11일 성명을 내고 “2017년 첩약 급여화 전 회원 투표를 통해 정부는 첩약 급여화에 대한 정책 추진을 결정하고 한약급여화협의체를 가동한 바 있다”며 “현재 불신과 오해로 논란 중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첩약 급여화는 성공적 결실을 맺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의학과 한의약 시장 부흥을 위해 한의치료 기술의 건보 적용 확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며 “이에 협회는 첩약 급여화가 올바른 방향으로 순항될 수 있도록 흔들림 없이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침구의학회는 “첩약 급여화가 한의사 회원들과 국민들의 기대와 다르게 파행적으로 시행되지 않도록 한의협 다각도로 분석하고 충분히 검토한 후 투명한 절차에 따라 추진해 달라”고 밝혔다.
이 단체는 “만약 첩약 급여화 시행을 급하게 서두르다보면 다수의 회원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도가 변질돼 시행하게 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오히려 한의사들의 족쇄가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침구의학회는 정책 추진 과정에 있어 회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더욱 긴밀히 소통할 것을 한의협에 주문했다.
침구의학회는 “첩약 급여화에 대한 최근 한의계 내부 여론이 1년여 만에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 현실은 현재 협회가 추진 중인 정책들에 대한 회원들의 불신을 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최근 상황을 계기로 회원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불신과 오해를 해소하고 한의사 회원의 이익과 국민 건강권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침구의학회의 첩약건강보험에 관한 입장 전문이다.
성 명 서
2017년 첩약 급여화 전 회원 투표에서 모아진 회원들의 첩약 급여화에 대한 열의로 어렵게 ‘첩약 급여화’의 불씨를 살려낸 바 있고, 이에 호응하여 정부는 2019년 첩약 급여화에 대한 정책 추진을 결정하고 한약 급여화 협의체를 가동한 바 있다. 현재 불신과 오해로 논란 중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첩약 급여화는 성공적 결실을 맺어야 한다.
하나, 첩약 건강보험 적용을 위하여 중앙회는 흔들림 없이 정책을 추진하라.
한의학과 한의약 시장의 부흥을 위해서 한의치료 기술들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다. 한의약 시장의 확대를 통한 한의사 회원의 이익과 국민 건강권 확대의 측면에서 첩약 급여화 역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협회는 첩약 급여화가 올바른 방향으로 순항할 수 있도록 흔들림 없이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하나, 첩약 급여화가 파행적으로 시행되지 않도록 충분한 검토와 철저한 분석을 통해 추진하라.
첩약 급여화 시행을 급하게 서두르다보면 다수의 회원들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도가 변질되어 시행되게 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오히려 한의사들의 족쇄가 될 우려의 가능성도 없지 않다. 첩약 급여화가 한의사 회원들과 국민들의 기대와 다르게 파행적으로 시행되지 않도록 협회는 다각도로 분석하고 충분히 검토한 후 투명한 절차에 따라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하나, 더욱 낮은 자세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들과 소통하라.
첩약 급여화에 대한 최근 한의계 내부의 여론이 1년여 만에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 현실은 현재 협회에서 추진 중인 정책들에 대한 회원들의 불신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최근 상황을 계기로 협회는 회원들과의 더욱 긴밀한 소통을 통해 불신과 오해를 해소하고 한의사 회원의 이익과 국민의 건강권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2019년 6월 11일 대한침구의학회
많이 본 뉴스
- 1 경희한의대 임상술기센터, 학생 임상역량 고도화 주력
- 2 지역 방문진료 강화…보건진료소에 한의과 등 공보의 배치 추진
- 3 무엇을 근거로 괜찮다고 설명할 것인가?
- 4 내과 진료 톺아보기⑭
- 5 안양시, 연예인들과 함께 K-medi ‘홍보 한마당’
- 6 실손보험 청구 앱 ‘실손24’, 시행 4일 만에 22만 명 가입
- 7 부산 한의 치매예방 관리사업 효과, 국제학술지에 게재 ‘눈길’
- 8 예비 한의사를 위한 임상 실습과 노하우 공유
- 9 “지역사회 건강을 위해 행정과 진료의 경계를 넘다”
- 10 한의사의 의료기기 활용 행위, 건강보험 적용 계획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