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의 전통의학 발전현황 공유한 ‘뜻깊은 시간’

기사입력 2024.10.25 15:01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a ks url
    ‘제3회 국제 전통의학 과학 임상 컨퍼런스’를 다녀와서
    세계의 유명학자 이븐시나, 국내에선 알려지지 않아 ‘아쉬움’
    한국 한의학자들도 적극 참여해 발전된 한국 한의약 알려갔으면 하는 바람
    송영일 원장(한의사·한국국제협력단/우즈베키스탄 글로벌협력의사)

    송영일2.jpg


    [한의신문] 11일부터 13일까지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는 ‘아부 알리 이븐시나(아비센나)-의학의 진주’라는 주제로 ‘제3회 국제 전통의학 과학 임상컨퍼런스(이하 컨퍼런스)’가 열렸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컨퍼런스에는 이번에도 다양한 국적의 전통의학 전문가들이 참여해 풍성한 교류와 토론의 장이 열렸으며, 이에 컨퍼런스에 참가한 후 느낀 바를 독자들과 나누고 싶은 마음에 참가기를 작성하게 됐다.


    980년에 출생해 1037년 사망한 이븐시나의 영향력은 1000년이 지난 지금에도 단지 의학 분야에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철학·자연과학·기하학·논리학·법학 등 거의 모든 학문 분야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의 방대한 저작(아랍어 저작 456권, 페르시아어 저작 23권)은 오늘도 전세계 많은 학자들의 연구 속에서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이븐시나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지만, 정작 한국에서는 그다지 유명한 인물이 아닐 것이다. 필자의 개인적인 기억을 바탕으로 하면 학창시절 의사학 시간에도 히포크라테스나 갈레노스에 비해 비중이 낮게 다뤄진 것 같다. 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국어로 된 책을 인터넷 서점에서 검색해봐도 아무 것도 찾을 수 없다. 애석하게도 한국에는 그의 대표저작인 ‘의학정전(The Canon of Medicine)’이 번역돼 있지 않다. 일본은 이미 1983년에, 중국은 2010년에 번역본을 내어 놓은 것으로 확인된다.


    아쉬운 마음에 인터넷을 뒤져보면, 그에 대한 한국어 논문 중 2015년 ‘대한한방내과학회지’에 발표된 최효재 한의사가 쓴 ‘이븐시나를 중심으로 고찰한 이슬람의학의 이해’가 단연 눈에 띈다. 이븐시나가 의학은 물론이고 철학·자연과학·기하학·논리학·법학 등 다방면에 백과사전식 저술을 했다지만, 한의사란 직업을 가진 논문 저자가 정리한 내용에 어쨌든 제일 관심이 갈 수밖에 없었다. 한의사의 시각으로 정리한 이븐시나의 이야기는 최효재 한의사의 2013년 박사학위 논문 ‘이슬람의학의 이해를 통한 한의학과의 상관성 연구-이븐시나의 의학사상을 중심으로’를 통해 더욱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다. 학회지 논문과 박사학위 논문은 모두 인터넷상에서 열람이 가능하니 관심있는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이븐시나는 아비센나로도 불리는데, 이는 아마도 그가 아랍어로 저술한 ‘The Canon of Medicine(한국에서는 의학정전 혹은 의학전범으로 번역됨)’이 1180년에 라틴어로 번역돼 유럽 의학계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그의 이름이 아비센나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의 정확한 이름은 ‘아부 알리 알 후사인 이븐 압둘라 이븐 시나’로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에서는 이 긴 이름을 축약해 이븐시나로 불리우고 있다.

     

    이븐시나의 저작, 한국어로 번역할 날을 꿈꾸며…

    이번 컨퍼런스는 11일에는 ‘마스터 클래스’, 12일엔 △아부알리 이븐시나-의학의 진주 기조발표 △현대약학에서의 전통의학의 역할 △전통의학: 전염성·비전염성 질환 등의 섹션으로 이뤄져 2일간 진행됐다.


    11일 오후에 진행된 마스터 클래스는 총 6명의 발표자가 참여한 임상 마스터 클래스와 이란에서온 이븐시나 전문가 5인과 우즈베키스탄 전문가 5인이 번갈아가면서 발표를 진행한 우즈베키스탄-이란 과학포럼으로 구성됐다. 임상 마스터 클래스에서는 6명 중 3인의 발표자가 중국에서 온 의사들이었다. 우즈베키스탄이 2명 중 1명은 인도계 독일 의사였다. 중국에서 온 발표자들은 주로 침구치료의 방법을 임상 시연으로 진행하는 방식이었고, 나머지 발표자들은 그간의 과학적 연구성과에 대한 발표였다. 이슬람의학을 바탕으로 하는 국제학술대회에 중국의 발표자들이 대거 참석해 중의학의 기량을 자랑하고 있으니 부러움과 질투심을 같이 느낄 수밖에 없었다.


    이란과 진행한 우즈베키스탄이 진행한 과학포럼은 팽팽하고 냉정한 학문적 대결보다는, 서로의 공통 선조를 기리는 찬양 제사에 가까운 모습이었다. 이러한 연유는 이븐시나의 출생지가 현재의 우즈베키스탄 부하라시였으며, 사망한 곳은 지금의 이란 하마단시인 것에 기인한다. 이븐시나는 우즈베키스탄의 선조 위인이기도 하고, 이란의 선조 위인이기도 한 것이다. 이 때문에 한 뼘이라도 뺐기지 않으려는 영토 분쟁과는 정반대의 현상이 벌어진다. 서로 상대방의 학문적 연구를 칭송하며 오히려 보다 많은 나라에서 이븐시나의 업적을 연구해 나가길 기원하고 있었다.


    4시간 동안 휴식시간 없이 진행된 마라톤 포럼 후에 이란의 연구자들에게 필자를 소개하며 이븐시나의 저작을 한국에도 번역해서 알리고 싶다는 뜻을 비추자, 모든 연구자들이 하나같이 크게 기뻐하며 이란으로 초대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하였다. 언제가 될진 알 수 없지만 이란에 직접 방문하여 이븐시나의 아랍어 원문 저작을 한국어로 번역해내는 날을 기대해보게 됐다.

     

    송영일1.jpg


    사마르칸트 국립의대 총장, KOMSTA에 감사함 전해

    12일 오전부터는 국제 컨퍼런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행사가 시작되면서 사마르칸트 국립의대 총장은 개회사에서 대한한의약해외의료봉사단(이하 KOMSTA) 이야기를 수차례 언급하며 감사를 표했다. 왜냐하면 KOMSTA가 8일부터 11일까지 사마르칸트 국립의대 부속 병원에서 한의약 의료봉사를 펼쳐 1000명이 넘는 환자를 진료하고 국제 컨퍼런스에 참가한 터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컨퍼런스에 가장 많은 참가를 한 외국 국가는 바로 대한민국이 되었다. 우즈베키스탄 텔레비전 뉴스와 신문에도 KOMSTA의 활동이 소개됐다. 하루 전까지는 마스터 클래스에서 중국 참가자들이 기세등등 했다면, 컨퍼런스 당일에는 대한민국의 날이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KOMSTA에게 감사를 표하는 총장의 개회사가 끝나고 사마르칸트 국립의대와 KOMSTA간의 MOU 체결식이 진행되자, 필자의 옆자리에 앉아있던 중국 참가자가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KOMSTA에 대해서 물었다.


    “KOMSTA가 뭐지? 마사지 하는 곳인가?”, “아니, 침 치료도 하고 한의학으로 환자를 지료하는 봉사단체야”, “아! 침(acupuncture). 중의학(Chinese medicine)이네”, “아니, 한의학(Korean medicine), 중의학이 아니고(Not Chinese medicine)”

    양팔을 가로질러 가면서 X자를 만들고 중의학이 아니고 한의학이라고 이야기하자 그 참가자는 멋쩍은 듯 더 이상 이야기를 이어가지 않고 무대 쪽으로 고개를 돌렸다. 하루 전에는 부러움과 질투심을 느꼈다면, 이 순간에는 자부심과 당당함을 느낄 수 있었다. KOMSTA의 헌신적인 활동에 많은 고마움을 느낀다.


    12일에 이뤄진 전통의학 분야 발표는 △아부알리 이븐시나-의학의 진주 기조발표 △현대약학에서의 전통의학의 역할 △전통의학: 전염성·비전염성 질환 으로 나눠져 한국, 중국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국가와 튀르키예, 인도, 이란에서 발표자가 참가해 각국의 전통의학 발전현황을 공유하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서도 토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측 발표로는 필자의 △이븐시나를 비롯한 이슬람의학이 1000년 전 한국에 미친 영향에 대한 합리적 추론, KOMSTA 변혁 원장의 △척수질환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한 성공적인 침 치료 사용, KOMSTA 김정길 원장의 △외상성 뇌 손상 생쥐에서 나타나는 Bax와 Bel-2 표현형에 대한 홍삼의 효과가 있었고, 여러 국가의 참가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개인적으로 여러 학술 발표 행사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이란에서 온 이븐시나 연구자들이 발표를 마치고 직접 이븐시나 이미지를 이용한 기념품을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모습이었다. 학술적 성과를 발표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청중의 기억에 확실히 각인시켜주는 이러한 행사도 여러모로 배울 점이 많아 보였다. 해외에서 한의학을 알리는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앞으로 준비해야할 것은 단순히 프레젠테이션만이 아니라 이러한 기념품들도 세심하게 챙겨봐야 겠다.

     

    한국 한의계, 우즈벡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필요

    올해 행사 운영 전반에 있어 흥미로운 점은 이번 컨퍼런스가 이란 학자들과의 과학 포럼에 운영진이 많은 시간을 배분했다는 점이다. 이란은 역사적으로 이븐시나가 페르시아 사람이었으며 현재의 이란 영토인 하마단에서 이븐시나가 사망했기에 이븐시나에 대해서 학술적 주도권을 가진 나라이기는 하다. 하지만 이번 과학 포럼이 단순히 학문적 교류의 차원이 아니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과학 포럼 내내 이븐시나를 통한 두 이슬람 국가간의 강한 연대를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내년에도 우즈베키스탄 부하라시에서 진행될 이븐시나를 주제로 한 컨퍼런스에 많은 한국 한의사들이 행사에 참가해 대한민국이 전통의학 발전 형태의 모범이 되는 나라임을 보여줬으면 한다. 또한 KOMSTA와 같은 한의약 의료봉사 활동을 통해 우즈베키스탄 여러 지역에서 한국 한의사들이 환자를 치료해주고, 환자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으며 더불어 각 지역 의과대학에서 한의학 강의가 보다 많이 진행됐으면 한다. 계속해서 한국 한의학이 우즈베키스탄에서 굳건한 위치를 유지해 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뜻있는 한의약 관련 기관과 단체의 관심과 지원을 기대해본다.

    뉴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