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니스 산업서 한의약 분야 발전 ‘유망’

기사입력 2024.08.07 10:02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a ks url
    현대적인 치료·연구 인프라 구축…다른 문화권의 전통의학에 비해 강한 경쟁력 보유
    표준화된 제품군 확보, 우수 품목 선별 및 적절한 수출 지원체계 등 필요
    한국무역협회, ‘글로벌 웰니스 산업 성장과 우리나라 수출 유망 분야 분석’ 보고서 발간

    웰니스1.png

    [한의신문=강환웅 기자] 기존 질병 중심 치료에서 참여를 전제로 한 예방과 관리 중심으로 의료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웰니스’가 건강관리 대안으로 부상하며 관련 경제가 성장 중에 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 한의약 산업과 디지털 웰니스 산업은 안정적인 산업 기반과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웰니스가 추구하는 방향성과 부합해 향후 세계시장에서 입지가 높아질 잠재성이 크다고 분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6일 ‘글로벌 웰니스 산업 성장과 우리나라 수출 유망분야 분석’ 보고서(임지훈 신무역전략실 수석연구원)를 발표했다.


    웰니스 산업이란 전통 가치와 현대기술을 동시에 활용해 건강 관리와 치료를 수행하는 융복합적·통합적 특성을 가진다. 이로 인해 웰니스 산업은 각국의 고유 가치와 최신 기술이 접목된 제품 등을 포함하며, 전통의학·디지털헬스·건강기능식품·뷰티·여가생활 등 11개 산업에 속한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GWI(Global Wellness Institute·글로벌 웰니스 연구소)에 따르면 ‘22년 글로벌 웰니스 산업은 세계 GDP의 5.6%에 해당하는 5.6조 달러의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27년까지 연평균 8.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글로벌 의료비 지출 규모(전 세계 GDP의 10.8%)의 절반을 초과하는 수치다.


    국내 웰니스 산업 규모는 ‘22년 약 1130억 달러로 세계 9위에 달하며, 특히 △운동/헬스케어 △전통·보완의학 △영양/식습관 △뷰티케어 등의 분야에서 수출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들 국내 웰니스 산업 상위 4대 분야는 우리나라 전체 웰니스 산업의 약 72%를 차지하고 있다.


    각 분야별 우리나라 기업의 경쟁력 및 기회요인을 살펴보면 전통·보완의학 분야는 한의약의 역사적 기반 및 고도화된 연구·치료 인프라 보유하고 있으며, 운동/헬스케어 분야는 스타트업 주도의 기술 혁신성을, 영양/식습관 분야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추구에 따른 선호 품목 확장 및 탄탄한 시장 수요가 있으며, 뷰티케어 분야는 셀프케어 트렌드 확산에 따른 고효능 K-뷰티 제품 선호도 증가 등을 꼽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웰니스2.png

    특히 국내 상위 4대 웰니스 분야를 평가·분석한 결과 전통·보완의학과 운동/헬스케어 산업이 상대적으로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두 산업이 전통 가치와 현대기술을 병행해 건강관리와 치료를 지향하는 웰니스의 융복합적·범용적 특성에 부합하면서, 우수한 기술력과 산업 기반을 보유한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가운데 전통·보완의학 분야를 세밀하게 살펴보면 웰니스의 기본 개념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전인적·예방적 치료 수행, 소비자의 능동적 건강관리 보장, 천연자원 활용 등의 특징들로 웰니스의 크게 부합하고 있다.


    최근 기존 의료를 보완하기 위해 전통·보완의학의 역사적 뿌리가 깊은 아시아·태평양 중심을 넘어 서구권을 비롯한 다수의 국가에서 수요가 높아져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다.


    실제 세계 전통·보완의학 시장은 ‘22년 5186억 달러에 육박했으며, ‘27년까지 연평균 8.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팬데믹 발발 초 잠시 주춤했던 시장은 질병 예방 및 면역력 증진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며, 역으로 팬데믹으로 인한 빠른 회복 및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면역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통·보완의학에 개방적으로 변화 중이며 국가 차원에서도 효능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있는 전통·보완의학을 적극 활용 중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22년 북미 시장은 팬데믹 이전 연도(‘19년) 대비 약 30% 성장해 주요 지역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18%(914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한의약 산업이 제도권 의료시스템 내에서 발달돼 있어 현대적인 치료·연구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는 장점을 보유해 다른 문화권의 전통의학에 비해 강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다만 한의학의 경쟁력에 비해 수출 제품군이 아직 한정돼 있어 표준화된 제품군 확보,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우수 품목 선별 및 적절한 수출 지원체계가 갖춰질 경우 차세대 수출 유망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웰니스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지금, 해당 분야에서 경쟁력과 잠재력을 가진 우리 기업들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지원과 함께 관광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국내 웰니스 산업 활성화 정책 추진과 더불어 한의약, 디지털 웰니스 등의 유망 분야를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표준화 지원 △법률적 기반 마련 △과학화·산업화를 위한 R&D지원 △잠재 해외 수요처 발굴지원 및 관련 수출입 통계 구축 △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제공 등 정부와 유관기관들이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뉴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