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의료에서의 한의약 역할, 이제 지역단위로 설정·추진돼야”

기사입력 2024.07.12 13:58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a ks url
    김윤 의원, 기자간담회 개최 ‘필수의료 강화 특별법 제정안’ 설명
    필수의료 정의 설정 및 지역별 책임 네트워크 구성 등 강조

    김윤 기자단 간담회1.jpg


    [한의신문=강현구 기자] ‘필수의료 강화 3법’을 대표발의한 김윤 의원이 필수의료에서 한의약의 참여 분야 및 역할이 이제 지자체 등 지역단위로 설정·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윤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필수의료의 지역완결적 제공과 지역 간 의료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일명 ‘필수의료 강화 3법’을 11일 대표발의한데 이어 국회 전문기자협의회 간담회를 통해 발의 취지 및 추진 계획 등을 발표했다.


    이번 3법 중 핵심 법안인 ‘필수의료 강화 특별법 제정안’은 △지역별 필수의료 책임 네트워크 구성 △필수의료 수가 가산 △지역·필수의료기금 설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료 지원 관련 법안은 지난 21대 국회에서도 발의됐지만 필수의료에 대한 정의의 불명확함으로 인해 재정 지원 대상 및 범위 등을 예측할 수 없다는 이유로 당시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이에 김 의원은 먼저 필수의료, 진료권, 책임의료기관, 거점 의료기관 등 정확한 정의 없이 부처 사업에서 통용되고 있는 용어들의 명확한 법적 정의를 마련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정부의 필수의료 관련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필수의료에 대한 정의, 필수의료 제공의 지역적 범위인 진료권 설정이 필요했으며, 중앙정부가 모든 지역의 필수의료를 세부적으로 계획하고, 책임질 수 없으니 중앙정부가 계획을 세우면 이에 따라 지방정부가 책임지고 지역 내 적정한 필수의료 공급을 위한 재정 배분·평가를 실시해나가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김윤 기자단 간담회2.jpg

     

    특히 김 의원은 한의약의 지역·필수의료 참여 분야 및 역할은 이제 지역단위로 설정·추진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의원은 “현재 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필수의료 분야에 있어 일률적으로 한의의료기관들의 역할 등을 중앙정부가 설정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 법안을 통해 지역단위 필수의료 참여 경로를 구축한 만큼 이 경로를 잘 활용해 필수의료 네트워크에 한의약이 어떻게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의사가 지역의사로서 지역·필수의료 네트워크 인력으로도 활용되도록 했는데 한의과 등에서 지역의사 선발전형을 통해 학생을 선발·지원해 10년간 의무복무토록 하는 ‘지역의사제’를 도입, 의료취약지에 원활한 의료인력이 공급되도록 했다.


    김 의원은 필수의료가 정책적 개입이 시급한 분야인 만큼 이에 대한 정의를 학회 등의 전문단체에서 합의 후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결정하도록 했으며, 이어 실태조사, 필수의료종합계획 수립, 필수의료취약지 지정을 거쳐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필수의료 네트워크를 구성해 시행하도록 했다.


    김 의원은 “필수의료에 대한 정의가 확정된 이후에도 가변적으로 개정과 확대가 가능하도록 했으며, 각 의료과가 소외 의식을 갖지 않도록 필수의료 범위를 중등도 이상 모든 질환, 일차의료 관련 건강 문제까지 아우를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김윤 기자단 간담회3.jpg

     

    또 김 의원은 재정 지원과 관련해선 지역·필수의료 기금’을 설립해 근거를 만들도록 했으며, △의료 전달체계 복원을 위한 ‘의료기능 가산’ △의사와 병원이 부족한 곳에 적용되는 ‘필수의료 취약지 가산’ △응급의료와 심뇌혈관질환 및 분만·소아 진료를 위한 ‘전문센터 가산’으로 세분화했다고 설명하면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훨씬 적은 비용으로 지원을 집중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번 3법 발의에 이어 보건의료 직종별 업무범위 조정·인력 수급추계위원회 구성·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등을 담은 의료인력 관련 법, 지역·필수의료 네트워크 공공성을 위한 패키지법 등도 발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