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16.1% 정신장애 경험, 7.1%는 전문가 도움 시급

기사입력 2024.05.02 16:15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a ks url
    정부, 전국 단위 소아·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실태조사 최초 실시
    하반기부터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으로 전문 심리상담 지원

    [한의신문]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16.1%는 정신장애 경험을 갖고 있으며, 이 가운데 7.1%는 전문가의 도움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가 2일 소아·청소년의 정신장애 유병률 및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22년 정신건강실태조사(소아·청소년)’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한데 따른 것이다.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10조에 따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실태조사는 2001년부터 5년 주기로 5차례 실시된 바 있으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국 단위의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전국 6세 이상 17세 이하 소아·청소년 6,275명(가구당 1인, 소아 2,893명, 청소년 3,382명)을 대상으로, 국립정신건강센터(센터장 곽영숙) 주관아래 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김붕년 교수)와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약 6개월간 실시했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정신장애 평생 유병률은 16.1%(소아 14.3%, 청소년 18.0%)로 나타났고, 현재 유병률은 7.1%이며, 소아 4.7%, 청소년 9.5%로 청소년의 유병률이 소아의 유병률에 비해 약 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정신.jpg

     

    또한 평생 한 번이라도 정신장애를 경험한 소아·청소년 중 지난 1년 동안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비율은 4.3%(소아 4.7%, 청소년 4.0%)였으며, 정신건강서비스의 평생 이용비율은 6.6%(소아 7.8%, 청소년 5.6%)로 나타났다.

     

    정신장애2.png

     

    이와 함께 지난 2주간 자살 관련 행동(현재 경험 비율)의 경우, 자살사고(생각)는 1.0%(소아 0.2%, 청소년 1.9%), 자살시도는 0.2%(소아 0.0%, 청소년 0.4%), 비자살적 자해는 1.4%(소아 1.0%, 청소년 1.7%)로, 청소년의 경험 비율이 소아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png

     

    이에 보건복지부는 올 하반기부터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을 실시해 2027년까지 소아·청소년을 포함한 100만 명에게 전문 심리 상담을 지원하고, 9월부터는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한 모바일 마음건강 자가진단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아·청소년도 쉽게 자신의 정신건강을 점검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한방신경정신과학회는 지난 달 30일 성명 발표를 통해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의 서비스 제공기관의 인력기준에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를 포함해 우울·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국민에게 한의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의 마음건강을 돌보고 정신질환을 사전 예방·조기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정부는 또 올 7월부터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포함한 1600만 명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의무교육을 실시하며, 아동·청소년 및 청년의 자살예방 상담을 강화하기 위해 자살예방 SNS 상담을 9월에 개통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를 실시한 서울대학교 김붕년 교수는 “본 조사는 전국적인 소아·청소년 정신장애와 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첫 번째 국가통계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면서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의 7.1%는 전문가의 도움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고, 낮은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제고 방안과 주기적인 추후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2022년 정신건강실태조사(소아·청소년) 결과에 대한 보고서는 정신건강조사누리집(mhs.ncmh.go.kr) 및 국립정신건강센터 누리집(ncmh.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원 자료도 추후 공개하여 다양한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뉴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