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서울시당 정책간담회(20일)
명의들의 연구성과가 응축된 ‘명의의 경방응용-상한금궤방의 해설과 증례’(도서출판 청홍)가 출간됐다. 명의의 경방응용은 저자로는 강춘화·대극민이, 역자로는 김영철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약물연구소장이 참여했다.
이 책은 임상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상한론(傷寒論)’, ‘금궤요락(金匱要略)’의 내용이 응축돼 있다. 책에서는 특히 한나라 시대 중의사였던 장중경(張仲景)의 상용처방약들을 통해 경방을 소개하고 있다.
상한론과 금궤요락의 방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약재의 효능과 사용법의 역사적 변천을 기본으로, 방제 중의 각 약재의 역할과 방제의 적응증을 파악해야 한다.
모든 문헌을 단기간에 공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또 대단히 엄밀하게 조합되어 있는 경방의 방제에 있어서 표면적인 이해에만 기초해 변병치료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게 되면 충분한 치료 효과를 올리기 어렵다. 이 책은 이러한 점에 있어서 기존의 방제서와는 다르게 사례들을 계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명의의 경방응용은 임상의 방약과 활용사례, 용약의 경험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다. 이 책은 세부적으로 △계지탕류 △마황탕류 △갈근탕류 △치자탕류 △백호탕류 △승기탕류 △하어혈탕류 등 총 44가지 탕류에 대한 자세한 해설과 증례들이 포함돼 있다.
책에서는 감초(甘草)의 약리작용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감초의 알코올 추출물과 글리시레틴산나트륨은 시험관내에서 황색포도상구균, 결핵균, 대장균, 아메바원충 및 트리코모나스원충 등 모두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가지고 있다. 다만 혈장의 존재 하에서는 항균과 아메바원충을 죽이는 작용은 감약된다. 리퀴리틴은 글리치리진산에 비하여 이러한 작용이 더욱 강하다. 이러한 내용을 볼 때, 감초의 항균작용은 비교적 약하지만 다른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의 세균억제작용을 증강시키는 작용이 있다. 임상에서 감초는 창옹종독(瘡癰腫毒)의 치료에 상용되고 금은화(金銀花), 현삼(玄蔘), 판람근(板藍根), 포공영(蒲公英) 등과 합하여 사용하면 항균소염작용이 증강된다.
이처럼 명의의 경방응용에서는 명의들의 연구성과를 응집하고, 이를 처방 유형별로 분류해 현대 임상에서도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부록에서는 또한 방제색인과 생약색인을 수록해 찾고자 하는 내용을 보기 쉽게 정리해놨다.
“회원 중심 회무 운영으로 회원들의 목소리 적극 반영”
대한원외탕전협회, 산불 재난 현장에 8천만원 상당 한약 기부
지역사회 공중보건 전문가 양성 고위과정 신설
“5세대 실손보험 도입, 소비자 보호를 위한 방안은?”
한의약과 태권도의 세계화 및 발전 위해 ‘상호 협력’
“한의학으로 어르신의 건강 챙겨드려요∼”
‘합성생물학 육성법’ 통과…“AI·빅데이터 융합 바이오 국가 도약”
[자막뉴스] 19세 이상 국민 10명 중 7명, 한의의료 이용.. '만족…
[자막뉴스] 경북 한의진료소 오픈, 산불 이재민에 신체·심리 치료 시행
심평원 경기남부본부, 직원 자녀와 함께하는 식목행사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