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13.2℃
  • 맑음속초12.2℃
  • 맑음7.6℃
  • 맑음철원7.4℃
  • 맑음동두천8.4℃
  • 맑음파주7.4℃
  • 맑음대관령4.0℃
  • 맑음춘천7.8℃
  • 맑음백령도9.7℃
  • 맑음북강릉15.8℃
  • 맑음강릉13.2℃
  • 맑음동해13.2℃
  • 박무서울10.8℃
  • 박무인천9.2℃
  • 맑음원주9.8℃
  • 맑음울릉도10.8℃
  • 박무수원9.4℃
  • 맑음영월7.8℃
  • 맑음충주8.6℃
  • 맑음서산7.5℃
  • 맑음울진12.2℃
  • 맑음청주10.3℃
  • 맑음대전10.1℃
  • 맑음추풍령11.1℃
  • 맑음안동8.9℃
  • 맑음상주9.7℃
  • 맑음포항11.9℃
  • 구름많음군산6.4℃
  • 맑음대구11.6℃
  • 박무전주8.3℃
  • 맑음울산13.2℃
  • 맑음창원14.1℃
  • 맑음광주8.6℃
  • 맑음부산15.8℃
  • 맑음통영12.0℃
  • 구름많음목포7.1℃
  • 박무여수11.5℃
  • 맑음흑산도9.5℃
  • 맑음완도10.1℃
  • 구름많음고창5.0℃
  • 맑음순천8.7℃
  • 박무홍성(예)8.5℃
  • 맑음8.8℃
  • 맑음제주11.0℃
  • 맑음고산11.7℃
  • 맑음성산14.8℃
  • 맑음서귀포15.0℃
  • 맑음진주10.7℃
  • 맑음강화9.3℃
  • 맑음양평8.5℃
  • 맑음이천9.3℃
  • 맑음인제5.9℃
  • 맑음홍천6.6℃
  • 맑음태백8.3℃
  • 맑음정선군4.6℃
  • 맑음제천8.5℃
  • 맑음보은6.8℃
  • 맑음천안8.4℃
  • 맑음보령8.2℃
  • 맑음부여6.8℃
  • 맑음금산7.4℃
  • 맑음8.9℃
  • 흐림부안7.6℃
  • 맑음임실6.5℃
  • 맑음정읍7.5℃
  • 맑음남원7.0℃
  • 맑음장수5.6℃
  • 맑음고창군6.7℃
  • 구름많음영광군5.3℃
  • 맑음김해시12.6℃
  • 맑음순창군6.7℃
  • 맑음북창원13.5℃
  • 맑음양산시12.2℃
  • 맑음보성군9.7℃
  • 맑음강진군8.3℃
  • 맑음장흥7.6℃
  • 맑음해남6.8℃
  • 맑음고흥10.8℃
  • 맑음의령군11.4℃
  • 맑음함양군7.8℃
  • 맑음광양시12.1℃
  • 맑음진도군7.6℃
  • 맑음봉화5.2℃
  • 맑음영주8.4℃
  • 맑음문경10.1℃
  • 맑음청송군6.8℃
  • 맑음영덕11.6℃
  • 맑음의성8.2℃
  • 맑음구미12.1℃
  • 맑음영천7.7℃
  • 맑음경주시8.9℃
  • 맑음거창
  • 맑음합천8.5℃
  • 맑음밀양10.5℃
  • 맑음산청7.8℃
  • 맑음거제12.8℃
  • 맑음남해12.1℃
  • 맑음13.2℃
  • 맑음속초12.2℃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11일 (금)

세무/노무/법률

한의원 세무 칼럼 – 061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16-11-04 09:25
  • 조회수 : 1,855
내년 2월 연말정산시 추가납부 및 환급 받을 예상세액 미리 알려줘 홈택스 모바일 서비스 도입하여 핸드폰에서도 손쉽게 조회 가능 국세청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란?
몇 년 전 연말정산 폭탄으로 인하여 세간이 떠들썩했던 것을 계기로 국세청은 연말정산 몇 달 전부터 연말정산시 환급받거나 추가 납부할 세금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모바일과 국세청 홈페이지를 통해서 제공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 20일부터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번호에서는 이 서비스의 상세내용과 연말정산 대책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란 올해 9월까지의 신용카드 등의 사용액을 미리 알려주고 개개인의 급여수준에 따라 내년 2월 연말정산시 추가납부하거나 환급 받을 예상세액을 미리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구체적으로는 지난해 공제액을 참고하여 올해 공제 예상액을 입력하면 연말정산 예상세액을 계산해주고 있으며 또한 근로자별 최근 3년간 연말정산 추세와 항목별 공제한도, 절세팁, 유의사항도 안내해주고 있다. 특히 올해는 홈택스 모바일 서비스를 도입하여 핸드폰에서도 손쉽게 조회할 수 있다. 미리 준비하는 연말정산 대책 1. 전통시장,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신용카드 추가 공제가 가능하다. 신용카드는 사용액의 15%, 직불카드, 전통시장, 대중교통 이용분은 30%를 공제하므로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합계액이 최저 사용금액(총급여액의 25%)에 도달할 떄까지는 다양한 할인과 포인트 혜택이 있는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최저 사용금액을 채웠다면 직불카드나 체크카드를 사용하거나 전통시장 또는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면 유리하다. 또한 맞벌이 근로자의 경우 총급여가 적은 배우자의 최저사용금액이 작아 더 많은 공제를 받을 수 있다. 2. 공제혜택이 큰 금융상품 활용 연금계좌는 최대 700만원, 연금저축은 400만원의 15%(또는 12%)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으므로 연금계좌나 연금저축을 활용하여 절세하는 방법도 고려해보자. 또한 연간 납입총액 기준이므로 일시납입액도 공제 가능하다. 즉 12월에 일시납하여도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공제사례 2089-38-1

유의사항 총급여 5천 5백만원(종합소득 4천만원) 이하인 거주자는 15%, 초과자는 12%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중도해지하거나 인출하는 경우에는 기타소득세(15%)를 부담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3. 근로자가 개별 수집해야 할 자료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조회되지 않은 다음과 같은 자료는 근로자가 직접 준비해야 한다. -(의료비) 시력보정용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 구입비용(공제한도 1인당 연 50만원), 보청기 구입비용, 훨체어 등 장애인 보장구 구입, 임차비용 -(교육비) 자녀의 교복이나 체육복 구입비(중고생 1인당 50만원), 취학전 아동 학원비 -(기부금) 종교 단체나 지정기부금 단체등에 지출한 기부금 4. 월세 세액공제 관련 주의사항 -집주인의 동의나 확정일자를 받지 않아도 공제 받을 수 있으나 근로자 명의로 임대차 계약을 하여야 하고 계약한 주택에 주민등록이 이전되어야 공제 가능하다. -연말정산때 여러 사유로 공제받지 못 했다 하더라도 5년이내 경정청구를 하면 공제받을 수 있다. -2017년부터는 임대차 계약을 근로자가 아닌 기본공제대상자(배우자등)가 체결하여도 공제받을 수 있도록 개정할 예정이니 향후 개정사항을 체크해보자.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로서 해당 연도의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가 국민주택 규모 이하의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포함) 임차한 경우 월세 지급액 (연 750만원 한도)의 10%를 세액공제 할 수 있다.
문의사항 Tel : 010-3422-1650 | Freecolt@naver.com 조인정 세무사·미국공인회계사

네티즌 의견 0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