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속초8.7℃
  • 흐림6.3℃
  • 흐림철원10.0℃
  • 흐림동두천12.6℃
  • 흐림파주12.8℃
  • 흐림대관령4.9℃
  • 흐림춘천7.5℃
  • 비백령도12.6℃
  • 구름많음북강릉8.4℃
  • 구름많음강릉8.9℃
  • 구름많음동해12.7℃
  • 흐림서울13.1℃
  • 흐림인천13.2℃
  • 흐림원주13.3℃
  • 구름많음울릉도12.1℃
  • 흐림수원13.0℃
  • 흐림영월12.1℃
  • 흐림충주12.8℃
  • 흐림서산13.7℃
  • 구름많음울진13.7℃
  • 흐림청주13.8℃
  • 흐림대전13.0℃
  • 흐림추풍령11.3℃
  • 구름많음안동10.0℃
  • 흐림상주12.1℃
  • 구름많음포항13.4℃
  • 흐림군산13.9℃
  • 흐림대구11.2℃
  • 흐림전주14.7℃
  • 구름많음울산11.1℃
  • 흐림창원12.2℃
  • 흐림광주14.0℃
  • 구름많음부산13.8℃
  • 흐림통영14.1℃
  • 흐림목포14.2℃
  • 흐림여수14.6℃
  • 비흑산도13.6℃
  • 흐림완도13.7℃
  • 흐림고창13.6℃
  • 흐림순천12.0℃
  • 흐림홍성(예)13.2℃
  • 흐림14.2℃
  • 비제주15.0℃
  • 흐림고산14.3℃
  • 흐림성산17.4℃
  • 비서귀포15.1℃
  • 흐림진주10.0℃
  • 흐림강화13.3℃
  • 흐림양평11.1℃
  • 흐림이천11.4℃
  • 흐림인제7.1℃
  • 흐림홍천8.4℃
  • 구름많음태백7.4℃
  • 구름많음정선군5.0℃
  • 흐림제천9.4℃
  • 흐림보은12.1℃
  • 흐림천안13.4℃
  • 흐림보령15.2℃
  • 흐림부여13.8℃
  • 흐림금산12.3℃
  • 흐림13.4℃
  • 흐림부안14.4℃
  • 흐림임실12.0℃
  • 흐림정읍14.5℃
  • 흐림남원10.8℃
  • 흐림장수11.0℃
  • 흐림고창군13.5℃
  • 흐림영광군13.8℃
  • 흐림김해시12.7℃
  • 흐림순창군13.7℃
  • 흐림북창원13.2℃
  • 구름많음양산시12.6℃
  • 흐림보성군14.6℃
  • 흐림강진군14.5℃
  • 흐림장흥14.5℃
  • 흐림해남14.8℃
  • 흐림고흥14.5℃
  • 흐림의령군9.7℃
  • 흐림함양군12.5℃
  • 흐림광양시12.8℃
  • 흐림진도군14.2℃
  • 구름많음봉화8.4℃
  • 구름많음영주11.2℃
  • 흐림문경11.6℃
  • 구름많음청송군6.6℃
  • 구름많음영덕12.7℃
  • 구름많음의성8.3℃
  • 흐림구미12.9℃
  • 흐림영천9.0℃
  • 구름많음경주시7.6℃
  • 흐림거창11.1℃
  • 흐림합천10.6℃
  • 흐림밀양8.8℃
  • 흐림산청11.9℃
  • 흐림거제14.3℃
  • 흐림남해14.4℃
  • 구름많음11.2℃
기상청 제공

2024년 11월 25일 (월)

PDF 신문보기

2020-08-10

  • 작성자 : 한의신문
  • 작성일 : 20-08-10 10:04

////제2273호


////날짜 2020년 8월 10일


///시작


///면 1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의료일원화의 실마리는 ‘교육통합’


///부제 종착지 미리 정하지 말고 가장 쉬운 ‘복수전공 허용’부터 시작 제안  


///부제 교육통합 되면 면허통합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수 밖에 없어


///부제 ‘한의사 한의대를 활용한 의사인력 확충 방안’ 국회 간담회 개최 


///본문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 사회의 취약한 공공의료 및 의사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이에 한의과대학에서 의과수업의 75% 이상을 배우고 한의약 지식과 임상경험을 토대로 국가 의료체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한의사를 OECD에서 요구하는 의료인력에 배치하고 그 역할을 수행토록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6일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국회의원 주최로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포스트 코로나19, 한의사 한의대를 활용한 의사인력 확충 방안’을 주제로 한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간담회는 △통합의대 도입·개편방안(대한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 △한의과대학 교육의 변화(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신상우 원장)에 대한 주제발표에 이어 참석자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최혁용 회장은 주제발표에서 보편적 의료에서의 한의사 활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큰 틀에서는 의료통합 내지 의료일원화의 길로 가야 한다고 판단했다.


최 회장에 따르면 의료일원화는 교육·면허·기관 통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를 위해서는 교육을 우선 통합해 먼저 배우고 그 배움에 입각해 평가를 받아야 하며 평가 결과에 근거해 사용권을 주는 것이 상식적인 순서다.


따라서 교육통합이 의료일원화의 실마리가 돼야 한다.


교육통합이 되면 면허통합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수 밖에 없는 개념이다. 배웠지만 사용권을 주지 않는다면 국가적 낭비일 뿐 아니라 헌법상 평등의 원칙에도 어긋나기 때문이다.


교육통합의 유형은 △복수전공 허용 △통합의학과정 △상호포괄면허(미국 DO, 중국과 유사) △완전통합(일본과 유사) 등 4가지가 있는데 최 회장은 현재 우리나라 현실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가벼운 제도(복수전공 허용)부터 도입해 갈 것을 제안했다.


의료일원화의 종착지를 미리 정하지 말고 가장 쉬운 것부터 첫 발을 디딘 후 별 무리가 없다고 인정되고 각 대학에서의 직접 교육이 가능한 수준이 되면 그때 직접 교육(통합의학과정)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자는 것.


‘복수전공 허용’은 현 상태에서 동일인에게 복수면허 기회만을 부여하는 것으로 의과대학 복수전공을 허용, 졸업 후 의사국시에 응시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이다.


‘통합의학과정’은 한의대 졸업자에게 의사면허시험 응시 자격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의대 내에서 의학교육이 이뤄지고 통합의학과정 설치 또는 통합의대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기존 면허자의 경우 학점교류 방식으로 복수면허 취득 기회가 주어진다.


이들 유형은 기존대로 가르치면서 학생에게 선택의 기회를 줌으로써 손쉽게 교육통합이 가능한 방안으로 기존 한의사를 활용하면 거의 즉각적으로 정부가 필요로 하는 지역의사, 공공의사도 배출해낼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특히 국민의 70%가 만성병으로 사망하고 있어 일차의료강화가 필수적인 상황이며 일차의사는 특정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 환자의 모든 니즈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는데 여기에 가장 적합한 인력이 다름아닌 한의사 출신의 통합의사임을 강조한 최 회장은 만성병 중심으로 변화하는 사회에서 한의사를 일차의료전문가로 키워낼 수 있는지 여부에 보건의료시스템의 성패가 좌우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필요하다면 한의대에 의과대학 기존 평가를 도입하는 것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동신한의대 나창수 학장은 지역 및 공공의료 의사로 한의대 졸업생을 조기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한의대 졸업생을 양방병원 수련의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대만에서 중의대 졸업생이 양방병원 인턴 근무를 마친 후 의사고시를 치를 수 있도록 해 자격을 부여한 것을 벤치마킹하자는 것이다.


또 한방병원 수련의를 일정기간 연수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및 공공의료 인력으로 바로 투입하는 안이다.


한의협 송미덕 부회장은 통합의대로 가는 과정에서 현대를 살고 있는 의료인으로서 충분히 교육되어지는 것이 중요하며 세계적 추세에 맞춰 임상실습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한의협 최문석 부회장은 양 단체뿐 아니라 전문가, 시민사회단체 등도 함께 참여해 논의할 수 있는 확대된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한의계 내부에서 충분한 논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개원한의사는 “양의계 입장에서 보면 교육통합으로 한의사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고 양의사가 한약과 침을 쓸 수 있다는 매리트에 교육통합은 오히려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기존 한의사에 대한 경과조치는 다른 문제다. 의협은 경과조치에 반대하고 있고 정부는 양단체가 협의해 오라는 입장”이라며 “개원한의사 입장에서는 교육통합을 먼저 논할게 아니라 의료기기 사용 확대나 기존 한의사 경과조치에 대해 먼저 얘기해야 진정성 있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연합 현민욱 대표는 이슈의 당사자인 한의대생이 논의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해줄 것을 요청했다.


간담회 마지막까지 자리를 함께한 민형배 국회의원은 “코로나19라는 엄중한 상황은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상상력을 필요로하는 대전환의 시대를 불러오고 있다”며 “그러나 성급하게 접근하기 보다 통합이라는 상당히 수준 높은 과제를 놓고 접근할 것인지, 현재 제도에서 운영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쪽으로 접근할 것인지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한의계 내부적으로 시민성, 미래발전 가능성, 이해당사자의 수용성이라는 세가지 원칙에 부합한 현실적 대안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모든 면허가 비록 개인에게 주어진 것이기는 하지만 국가 공동체로부터 시작된 사회적인 것이라는 부분을 놓치지 않고 준비한다면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보건복지부 이창준 한의약정책관도 “의과나 한의과 독자적 치료기술만으로도 성과를 낼 수 있지만 앞으로 미래 세계는 의과, 한의과가 융합되고 서로 협진하는 치료기술을 통해 국민건강에 더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의료계 전반의 협력과 보완의 출발점이 교육의 통합”이라며 “공감대는 형성돼 있지만 세부적 실행방안에 있어 양 단체 내에서도 다양한 목소리가 있으니 이를 어떻게 조율해 나갈지를 충분히 검토해 진행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간담회에 참석한 양정숙 국회의원은 “세계적 추세는 통폐합해 일원화 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 법조계 역시 일정 조건하에 동일 면허를 주는 것으로 하자는 움직임으로 나가고 있다”며 “결국 양의학이든 한의학이든 국민 건강 진료권 측면에서 봐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한양방 융복합으로 특화하게 되면 더 좋은 결과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끝




///시작


///면 2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보편적 의료서 한의사 활용 위해 


의료일원화 길 가야”


///부제 최혁용 회장, 학칙개정사항인 ‘복수전공 허용’부터 출발


///부제 교육통합 후 기면허자 경과조치 통한 면허통합은 당연  


///본문 지난 6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19, 한의사 한의대를 활용한 의사인력 확충 방안’ 국회 간담회에서 대한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은 보편적 의료에서의 한의사 활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큰 틀에서는 의료통합 내지 의료일원화의 길로 가야 하며 그 실마리가 ‘교육통합’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최 회장은 “이번 코로나19로 의료제도의 모순이 여실하게 드러나면서 이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향후 10년간 4000명의 의사를 증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계획을 내놓았다. 하지만 안타까운 것은 한의사와 한의대생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근본적 모순을 해결할 해법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에대한 논의가 없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70년 간 누적된 의료제도의 모순이 (코로나19로) 폭발하면서 보편적 의료에 한의사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면허와 교육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를 논의해야 하는데 적어도 큰 틀에서 의료통합 내지 의료일원화의 길로 가야 한다”고 했다.


최 회장에 따르면 의료일원화는 교육·면허·기관 통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교육을 우선 통합해 먼저 배우고 그 배움에 입각해 평가를 받아야 하며 평가 결과에 근거해 사용권을 주는 것이 상식적인 순서다.


따라서 교육통합이 의료일원화의 실마리가 돼야 한다.


교육통합이 되면 면허통합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수 밖에 없는 개념이다. 


국가입장에서 기면허자를 배제해 얻을 정책적 이익이 없고 기면허자만 배제하는 것은 일원화 대의는 물론 헌법상 평등의 원칙에도 어긋난다.


기존 보건복지부의 입장을 살펴봐도 “교육통합되면 면허통합을 안 할 수 없으니 따로 면허통합을 합의문에 넣을 필요조차 없다”는 것이다.


즉 교육통합 이후 기면허자의 경과조치를 통한 면허통합 진행은 당연한 셈이다.


교육통합의 유형은 △복수전공 허용 △통합의학과정 △상호포괄면허(미국 DO, 중국과 유사) △완전통합(일본과 유사) 크게 4가지가 있다.


‘복수전공 허용’은 현 상태에서 동일인에게 복수면허 기회만을 부여하는 것으로 의과대학 복수전공을 허용, 졸업 후 의사국시에 응시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이다.


‘통합의학과정’은 한의대 졸업자에게 의사면허시험 응시 자격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의대 내에서 의학교육이 이뤄지고 통합의학과정 설치 또는 통합의대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전공 허용’이 학칙개정사안이지만 ‘통합의학과정’은 입법사안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추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기존 면허자의 경우 학점교류 방식으로 복수면허 취득 기회가 주어진다.


이들 유형은 기존대로 가르치면서 학생에게 선택의 기회를 줌으로써 손쉽게 교육통합이 가능한 방안으로 기존 한의사를 활용하면 거의 즉각적으로 정부가 필요로 하는 지역의사, 공공의사도 배출해낼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일본식 ‘완전통합’이 가장 진보된 의료일원화 유형일 것 같이 보일 수 있으나 미국, 중국 등이 현재의 이원적일원화(상호포괄면허)제도를 채택한 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상쇄권력 때문이다.


국가는 국민에게 의료공급을 해야 하는데 공급자가 단일화돼 있으면 공급자 우위시장이 될 수 밖에 없어 구매선을 다변화하면 의료비용을 줄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최 회장은 의료일원화의 종착지를 미리 정할 필요는 없지만 가장 쉬운 것부터 첫 발을 디딘 후 별 무리가 없다고 인정되고 각 대학에서의 직접 교육이 가능한 수준이 되면 그때 직접 교육(통합의학과정)하는 방향으로 진행해 갈 것을 제안했다.


의사-한의사의 동업허용과 의원급 교차고용 합법화 등 기관 통합은 의료일원화를 촉진하는 좋은 제도로 활용될 것이며 단지 기면허자에 영향이 크고 혼란 여지가 있기 때문에 시행 시기나 구체적 방법은 면밀히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와함께 최 회장은 “국민의 70%가 만성병으로 사망하고 있어 일차의료강화가 필수적인 상황이며 일차의사는 특정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 환자의 모든 니즈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는데 여기에 가장 적합한 인력이 다름아닌 한의사 출신의 통합의사”라며 “만성병 중심으로 변화하는 사회에서 한의사를 일차의료전문가로 키워낼 수 있는지 여부에 보건의료시스템의 성패가 좌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앞으로 전회원 투표를 통해 한의계의 의료통합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출하고 의대정원 확대 추진에 부쳐 교육통합 정책 추진계획을 천명한 후 입법화 및 각 대학별 학칙개정을 통한 실행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끝




///시작


///면 3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박능후 장관, 의료계의 집단휴진 관련 담화문 발표


///부제 “국민에 피해 야기할 수 있는 집단행동 자제해야”


///부제 국민 위해 발생 시 엄정 조치 방침 


///부제 대화와 협의 통해 문제 해결해 나갈 것 요청 


///본문 대한전공의협의회(이하 대전협)가 8월 7일 오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집단휴진을 강행하고 오는 14일에는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전국 의사 총파업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이 6일 의료계 집단휴진 관련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


먼저 국내 의사 수 부족 특히 지역 간 의료인력 편차 문제의 심각성을 설명한 박 장관은 정부가 지난 7월23일 발표한 의대정원 확대방안의 핵심은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지역 의료 격차를 해소하고 자생적으로 늘기 어려운 감염병 등 특수분야 의사와 의과학자를 확충하는 것이지 일각에서 우려하는 것처럼 지금도 포화상태인 서울·수도권의 개원의를 늘리는 것이 아님을 강조했다.


이어 의대정원 확충이 국민과 국가를 위해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점을 이해해 줄 것을 부탁한 박 장관은 “의대정원에 대해서도 중요한 세부적인 논의사항들이 많이 남겨져 있다. 확충된 의료인들을 어떻게 내실있게 교육·수련할 것인지, 어느 지역에 배치하고 어떤 진료과목 의사를 양성할지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 지역의사가 보람있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역의료를 강화하고 의료전달체계를 개편하는 과제도 함께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라는 엄중한 상황에서 일부 의료단체 등이 집단휴진이나 집단행동을 논의하는 것에 대해 큰 우려를 나타낸 박 장관은 국민들에게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집단행동은 자제하고 대화와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요청했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 7월 23일 당·정 협의를 통해 지역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한 ‘의대 정원 한시적 증원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는 인구 천명 당 의사 수가 OECD 보다 적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지역 간 격차가 매우 큰 상황에서 서울·수도권과 지방의 의료 격차를 해소해 지역의 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취지다.


우리나라 의사 수는 13만명이나 현재 활동의사 수는 10만 명에 불과하며 OECD 평균만큼 필요한 활동의사는 약 16만 명으로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지역별로 보더라도 서울은 인구 천 명당 의사 수가 3.1명인데 반해 경북 1.4명, 충남 1.5명으로 지역 편차가 크고 지역 의사 수 부족이 심각하다. 


또 우리나라 전문의 10만 명 중 필수진료과목인 감염내과 전문의는 277명, 소아외과전문의는 48명으로 적은 수준이다.


이로인해 지방에 소재한 병원에서는 의사가 부족해 병원을 운영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의대 정원 한시적 증원방안’을 통해 현재 정원인 3058명을 2022학년도부터 최대 400명 늘려 10년 간 한시적으로 유지한다. 연간 400명, 10년 간 4000명의 의사를 추가로 양성해 의사가 부족한 지방, 특수 전문분야, 의과학 분야에 종사토록 한다는 것. 400명 중 300명은 지역에서 근무하는 ‘지역의사’로 양성된다.


지역의사의 선택과목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필수 전문과목으로 한정되며 의사가 부족한 지역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그 지역에 필요한 필수의료 분야에 10년 간 근무해야 한다.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장학금 환수 및 면허 취소 처분이 병행될 예정이다.


50명은 감염내과, 소아외과, 역학조사관 등 ‘특수·전문분야’ 의사로 양성하고 나머지 50명은 ‘의사과학자’로 바이오, 제약,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추진된다.


특수·전문분야와 의사과학자는 현재 의대 재학생 중 해당 분야 인력 양성을 조건으로 대학에 추가 정원을 배정하는 방식이다.


재학생 중 해당 분야 인력을 양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지역의사에 비해 3년 더 빠른 ’25년부터 인력 배출이 가능하다.


정부는 의대정원 증원과 함께 △의료기관의 비용 보상 구조(건강보험 수가, 예산 등) △교육·수련 프로그램 △의료 전달체계 개편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지역 의료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한편 의협은 지난 1일 △정원 확대 철회 △공공의대 설립 철회 △한방 첩약 급여 시범사업 철회 △비대면 진료 육성 정책 중단 △협의체 구성 등을 요구하며 12일 낮 12시까지 개선 조치가 없을 경우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일 의협의 요구 사항 중 협의체 구성을 수용키로 하고 ‘보건의료발전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으나 의대 정원 확대 계획에 변함이 없을 것이라는 정부 방침에 의협은 보건복지부와의 대화를 거부하고 국무총리실과의 대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끝




///시작


///면 3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대리처방부터 수술까지”…종합병원서 불법의료 만연  


///부제 보건의료노조, 불법의료 실태고발 기자간담회 개최  


///본문  상급종합병원 A간호사 


“관 삽입을 잘못해 위로 들어가야 할 음식물이 폐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결국 이 환자는 퇴원을 앞두고 폐렴이 발생해 사망했습니다.”




상급종합병원 B간호사


“처방은 물론 전립선 초음파 검사까지도 남자 PA간호사가 하고 있습니다. 결과는 전공의에게 보고만 하고 있어요. 다 의사가 해야할 업무입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위원장 나순자, 이하 의료노동조합)은 이 같이 불법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의료행위의 근절을 위해서는 공공 의사인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노동조합은 지난 6일 서울 보건의료노조 생명홀에서 ‘보건의료현장 불법의료 실태고발 보건의료노조 긴급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의료 현장에서 횡행하는 불법의료의 실태와 문제점을 공개했다.


이날 증언에는 현재 상급종합병원에서 재직 중인 간호사들이 나와 의료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소위 ‘PA 간호사’의 주요 불법의료 사례들을 소개했다. 


이들에 따르면 의사의 지시 하에 이뤄지고 있는 PA 간호사의 불법의료행위는 △ 환자 수술부위나 상처부위를 봉합하는 대리수술 △의사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처방을 입력하는 대리처방 △진료기록지·진단서·사망진단서·협진의뢰서·시술 동의서 등의 작성 △공휴일이나 휴일, 명절 등 의사 부재 시 의사업무 대행 △의사를 대신한 당직근무 등 사실상 의사인력 부족으로 생기는 업무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상급종합병원 24년차인 B간호사는 “우리 병원만 해도 지난 2016년에는 36명에서 현재는 66명이 PA 간호사로 활동하면서 사실상 전공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전공의 담당환자가 한 명당 40~60명 선이기 때문에 이러한 일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A간호사도 “PA 간호사가 수행하고 있는 처방이나 시술은 간호사 본연의 업무가 아님에도 병원은 수익 창출을 위해 간호사에게 떠넘기고 있다”면서 “업무 열심히 하는 간호사들만 불법 행위로 고발당해 행정처분 받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오선영 보건의료노조 정책국장은 “지방의료원의 경우 의사인력이 없기 때문에 간호사 개인이 거절하기 힘든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나순자 위원장도 “보건의료인력 부족으로 의료현장에서 어떤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지, 불법의료가 얼마나 만연하고 있는지에 대해 정부와 국민들이 알아야 한다”며 “정부와 의료계, 보건의료 노동자, 환자단체가 공개토론을 통해 대안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




///시작


///면 4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의료통합·의료일원화, 


 국민과 보건의료시스템 강화 위해 반드시 가야할 길” 


///부제 국민 불편 및 한·양방 갈등 해소, 학문간 융·복합 발전 등 기대   


///본문 “의료일원화는 국민을 위한 제도다. 의료통합은 국가 보건의료시스템 강화를 위해 반드시 가야할 길이다. 특히 대한민국에는 일차의료에 강한 통합의사가 될 자질을 갖춘 2만5000명의 한의사와 매년 750명의 한의대생들이 새롭게 합류하고 있다. 이 인력들이 어떻게 쓰이냐에 따라 대한민국의 보건의료시스템이 얼마나 강화될지가 결정된다. 국민 여러분께서도 한의사들이 국민건강을 위해, 또 보건의료시스템 강화에 조력할 수 있는 직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켜봐달라.”


최근 보건의료계의 핫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는 한·양방 의료통합과 의료인력 확충 방안과 관련 대한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은 지난 3일 유튜브 한의협 공식채널인 ‘AKOM_TV’ 라이브 방송을 통해 한의협의 입장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로 보건의료시스템 각종 문제들 ‘급부상’


이날 최 회장은 코로나19 사태에서 대구시에서 한의사의 검체채취 거부, 한방병원의 병상 제공 거부, 생활치료센터의 격리환자에게 처방한 한약 전달 거부 등 한의사가 국가 방역체계에서 소외받고 있는 실정과 함께 그럼에도 한의협이 자체 운영한 ‘코로나19 한의진료 전화상담센터’를 통해 전체 확진자의 20%에 달하는 초진환자가 한약을 처방받는 등 국민들이 한의약을 원하는 현실도 함께 소개하며, 이런 소외의 근본적인 원인은 의사들의 독점적 기득권 때문으로, 이로 인해 국민들은 한의약 치료를 받을 기회조차 잃어버린 상황임을 지적했다.  


최 회장은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공공의료 및 의료인력 부족 등과 같은 우리 사회에 잠재돼 있던 보건의료시스템상의 문제들이 여실히 드러났으며, 해결을 위해서는 보건의료시스템의 획기적인 변화를 필요로 하게 됐다”며 “또한 더 이상은 의사들의 독점 기득권 및 한·양방 갈등을 이대로 둬서는 안된다는 것도 이번 국가재난을 통해 경험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정부에서는 의사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등을 비롯해 지역 의대 신설, PA 양성화, 간호인력 증원 등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검토 안에서 기존 한의사와 한의대생, 그리고 한의과대학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도 검토대상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 회장은 급변하고 있는 보건의료시스템에 한의계가 적용하는 원칙에 대해 한의사는 한약과 침이라는 도구의 전문가가 아니라, 질병의 예방·관리·치료의 전문가로, 온전한 보편적인 의미의 의사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방향으로 가장 손쉽게 갈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의료통합·의료일원화’라고 강조했다. 




“한의사, 온전한 보편적인 의미의 의사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최 회장은 “방역과 출산을 담당하지 못하면 보편적 의미의 의사라고 주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동안 코로나19에 한의사 및 한의치료의 참여를 강력하게 요구해왔던 것”이라며 “실제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한의사와 의사의 역할이 동등하게 규정돼 있으며, 지난 수천년간 한의학은 우리 민족의 바이러스 질환을 치료·관리해 왔다. 그럼에도 유독 방역에서는 한의사는 배제돼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의사는 방역·출산을 포함해 한의사의 역할이 보편적 의료행위에 다가서야 하며, 할 수 있는 주체로서 한의사제도가 설 수 있게끔 만드는 것이 보건의료정책에서의 한의계가 가지고 있어야 할 대원칙”이라고 거듭 강조한 최 회장은 “의료통합·의료일원화는 이러한 길로 가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이는 한의대를 졸업하든, 의대를 졸업하든 면허를 가지고 있으면 적어도 그 역할에 있어서는 동등하고, 쓸 수 있는 도구 역시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것이 시행된다면 한의사가 보편적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또한 질병의 예방·관리·치료의 전문가로서 우뚝 설 수 있는 길”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최 회장은 의료통합·의료일원화가 되면 한·양방간 갈등 해소는 물론 국민들의 불편 해소, 학문간 융·복합 발전 등 다양한 장점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최 회장은 “우리나라 보건의료 갈등의 80%가 한의사와 의사의 갈등이라고 하는데, 이는 같은 질병을 다른 관점에서 보고 치료하기 때문에 갈등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며, 더욱이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국민들에게 치료를 제공하는데 있어 불편이 야기되고 있고, 융·복합을 통한 학문간의 발전 또한 저해되고 있다”며 “국민의 관점에서도 의료통합·의료일원화는 한·양방간 갈등 및 국민불편 해소, 학문간 융복합 발전에 도움이 되고 반드시 필요한 만큼 한의계는 적어도 원칙적으로 미래지향적으로 의료일원화라는 큰 길로 가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원칙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美·日·中 일원화 방식 차이는 있지만 


진료도구 사용에는 제한 없어


이와 함께 최 회장은 중국·미국·일본의 의료일원화 방식을 소개하며, 각 나라마다 역사·경로의존성이 다르기 때문에 방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최소한 도구 사용에 있어서는 제한은 없다는 공통점은 지니고 있다고 소개했다. 


최 회장은 “우리나라에서는 1900년 의사규칙이 반포됐을 당시의 의사는 한·양방을 통합해서 치료하는 의사를 지칭했지만,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의사는 양의사만을 지칭하게 되고 한의사는 의생으로 격하되는 아픔을 겪었다”며 “광복 이후 1951년 국민의료법이 처음 제정될 때 우리나라의 주체성을 살려 한의사제도가 부활했지만 일제강점기의 의생의 역할, 도구의 제한에는 변함이 없었으며,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쳐 대단히 모순된 제도가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제는 이같은 모순은 타파하고 의료일원화의 길을 모색해야 할 시기가 도래했고, 중국·일본·미국의 사례를 본받아 전통의학을 제대로 활용하면서 한의사제도가 국민을 위한 보건의료시스템에 보다 적극적으로 편입돼야 하는 것은 물론 시대적인 상황 역시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는 것. 


최 회장은 “국민의 70%가 만성병으로 사망하는 상황에서 만성병 관리는 기존 의료시스템과는 완전히 다른 다학제적 협력을 바탕으로 일차의료, 예방·관리, 노인의학을 위한 별도의 모델 마련이 필요하며, 더욱이 감염병이 계속 발생할지 모른다는 위기시대에서 예방 관리 및 일차의료 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더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러한 모든 상황을 감안한다면 한의계가 지향해야할 원칙은 한의사가 보편적 의료, 특히 일차의료·공공의료 영역에서 보편적 의료인으로 거듭날 수 있는 의료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의료일원화…교차교육·교차면허, 


현실성 있는 점진적 접근방법 제안


또한 최 회장은 의료통합·의료일원화를 위해 향후 추진할 정책 방향도 함께 소개했다. 현재 의협에서 주장하는 한의과대학 폐지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의치료를 원하고 현재 도움을 받고 있는 국민들에게 의료선택권을 빼앗는 것인 만큼 현실적으로 실행가능성이 적다고 설명하며, 현실성 있는 점진적 접근방법으로 ‘교차교육·교차면허’ 방안을 제안했다.


즉 교차교육이란 한의과대학, 의과대학에서도 상호간의 학문을 교육시키고 면허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을 주는 것을 의미하며, 교차교육이 허용되면 기존 한의사·의사들이 추가로 배워야 하는 영역이 확정되기 때문에 기존 면허자들도 추가 영역을 배우게 되면 면허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을 주는 것이 교차면허라는 설명이며, 이를 통해 얻어지는 장점 또한 많다는 것. 


최 회장은 “의료일원화 논의가 시작되면 교육과정에서의 공통영역 및 추가로 배워야 할 과목들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공통의 영역은 이미 배운 것이기 때문에 활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것이며, 기면허자들의 공동영역이 만들어지게 된다”며 “정부에서는 이를 통해 한의사와 의사의 면허범위를 조정할 수 있어 한·양방간 갈등 해소 측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어 “이같은 공동영역은 현재도 적용되는 것이 있는데, 바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라며 “KCD는 한의사나 의사 모두 똑같이 사용하는 도구로, 적어도 진단은 이미 통일된 것이다. 그렇다면 진단에 필요한 도구도 공동의 영역으로 넣어야 할 것이며, 이같은 방식으로 상호간 접근하게 된다면 기면허자의 면허범위 조정이 쉬워질 것이고, 사회적 합의 또한 원활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KCD로 진단은 통일…도구도 한·양방 공동의 영역으로 넣어야 한다


이밖에도 최 회장은 △한의사와 의사의 동업 허용, 의원급 교차고용 등의 의료기관 통합 △의료법상 일반인의 무면허 의료행위와 의료인의 면허 외 행위의 처벌 구분 △한의사전문의제도 강화 등도 논의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최혁용 회장의 모두 발언 이후에는 한의협 김계진 홍보이사와 권오빈 기획홍보이사가 진행하는 ‘한방이 산다’를 통해 의료통합·의료일원화에 대한 질의응답을 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특히 질의응답에서는 기면허자의 경과조치에 대한 답변이 주를 이뤘다.


최 회장은 “의료일원화 논의는 국민의료법 제정 당시인 1951년부터 언급되는 등 오랜 기간 논의가 돼 왔던 것이지만, 긴 역사를 통틀어 기존 면허자를 제외하고 추진하자는 방안은 단 한차례도 논의된 적이 없다”며 “경과조치가 없을 것이라는 주장은 사실상 최근 의협이 독단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일원화라는 것이 교육-면허-기관 통합을 합쳐 의미하는 것인데 일원화의 핵심 요소인 면허통합을 제외하는 것은 말 자체가 안되는 것”이라고 밝혀, 기존 면허자에 대한 경과조치가 없을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켰다.


또한 최 회장은 “경과조치가 없는 것은 헌법상 평등원칙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한·양방 갈등 해소 △국민불편 해소 △융·복합 발전 등 일원화를 통해 추진할 정책 목표와도 상반되는 것인 만큼 정책 추진시 경과조치는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라며 “경과조치 과정에서 국민들에게 피해가 가거나 의료체계에 혼돈이 되지 않도록 일정 수준의 기준을 설정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설계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최 회장은 “우선은 쉬운 것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되며, 그 일환으로 복수전공이 현재의 시스템을 건드리지 않고 추진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임기가 8개월 정도 남았는데, 오늘 제시한 모든 정책을 추진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한의대생들을 활용해 공공의료에 부합하는, 지역인재로 부합하는 의사로 키우자는 정도는 연말까지 해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의사, 일차의료 영역서 통합의사 될 자질 가장 높다


특히 의료통합·의료일원화를 갑작스럽게 추진하는 질문에 대해 최 회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정부가 추진하는 보건의료시스템 변화가 갑작스럽기 때문에 한의계 역시 지금 이 시기에 논의되지 않으면 빠른 속도로 소외될 것이라는 위기감에서 진행하게 된 것”이라며 “즉 일차의료, 공공의료 영역에서 한의학과, 또 한의사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국민 앞에 보여줘야 하며, 한의계 안에서는 갑작스러운 일이지만 주변 환경이 급변하기 때문에 우리 스스로 급작스럽게 판단·선택·추진하도록 강제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의사는 일차의료의 특성인 최초 접근성·포괄성·조정성을 감안한다면 일차의료 영역에서 통합의사가 될 자질이 가장 높다”고 밝힌 최 회장은 “한의계는 힘이 없기 때문에 국민의 이익에 부합될 때만이 실행가능성이 생긴다”며 “현재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공공의료·일차의료 강화 방안 중 하나가 바로 한의사의 활용방안이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와 함께 최 회장은 “(의료통합·의료일원화가)지금까지는 개인적인 생각일 수도 있지만, 개인의 생각을 조직의 생각으로 바꾸는 방법이 있다”며 “오늘 많은 시간 설명을 했지만 모든 궁금증을 풀기에는 부족했을 것이다. 앞으로 가능한 모든 수단을 써서 회원들과 소통할 것이며, 멀지 않은 미래에 회원들의 뜻을 모아 국가를 향해 우리의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6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조삼모사식 의사수 증원 안된다” 


///부제 대한한의사협회 명예회장단 


///본문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공식 부인하기는 했으나 의대와 한의대 모두를 설립한 대학의 한의대 정원을 의대 정원으로 이관을 검토 중이라는 언론보도로 논란이 되자 대한한의사협회 명예회장단이 조삼모사 식 의사수 증원이 아닌 기존 한의사의 지역 한의사로서 활성화시키는데 제도적 뒷받침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명예회장단은 지난 1일 성명서를 통해 “단순히 한의대 정원을 의대정원으로 이관시키는 것은 순전히 의사수 증원을 위한 꼼수로, 상대적으로 한의사인력 배출은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결국 한의사제도폐지를 위한 일부인사의 음모로 볼 수 밖에 없다”며 “민족문화 말살정책 전횡을 저지른 일제압제하의 망령이 되살아나는 것을 보는 것 같아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이다.


현 집권 여당의 정책위원회가 지역의사 양성을 위해 의대와 한의대 모두를 설립한 대학의 한의대 정원을 의대정원으로 이관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대하여 이는 민족문화 말살정책 전횡을 저지른 일제압제하의 망령이 되살아나는 것을 보는 것 같아 경악을 금할 수 없다.


단순히 한의대 정원을 의대정원으로 이관시키는 것은 순전히 의사수 증원을 위한 꼼수로 상대적으로 한의사인력 배출은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결국 한의사제도폐지를 위한 일부인사의 음모로 볼 수 밖에 없다.


지역의사로서의 한의사 의료인력의 역할은 이미 국민의료로서 뿌리내리고 있으며 첩약건강보험의 도입과 기초과학 활용을 의한 의료기기 사용과 검사장비의 활용으로 지역의사로서의 역할을 극대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학문적으로 증후군 의학이론으로 체계화되어 있는 한의학이론은 중국 중의학과 함께 세계의학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고 전세계 의학계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병명중심의학으로 체계화 되어 있는 서양의학과는 결코 학문이론적 통합이 될 수 없다. 대한한의사협회도 어떠한 의료일원화를 비롯한 한양방 통합의료논의에 참여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조삼모사식의 의사수 증원 발상보다는 기존 한의사를 지역 한의사로서 활성화시키는데 제도적인 뒷받침을 더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의과대학 교과과정 혼란 운운은 이미 모든 첨단기초과학이 서양의학 현대화에 기여했듯이 한의학의 현대화과정에도 기여해야 하는 당위성에 의해 최고의 교과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한의과대학 교과과정의 혼란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집권 여당의 정책위원회 발상은 수천년 이어 내려온 자랑스러운 우리민족 문화의 꽃인 한의학을 일부 정책위 관련인사에 의해 밥상위의 반찬뒤집듯이 젓가락질 하는 수준의 발상임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대한한의사협회 명예회장협의회 회원 일동은 다음과 같이 요구하는 바이다.


1. 여당은 현재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에서 검토중인 한의대 정원을 의대정원으로 이관 검토하는 것을 즉각 중지하라


1. 양방의료제도 위주로 편향되고 있는 각종 현대 기초의과학기기와 검사장비의 한의계 활용을 즉각 허용하라


1. 서양의학과 대비되는 한의학의 학문이론적 방법론과 특성을 제도권 내에서 법적으로 보장하라


1. 독립한의약법 제정을 즉각 도입하라


2020.  8.  1.  


대한한의사협회 명예회장 협의회 


회원 일동


///끝




///시작


///면 6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학제변화 통한 일원화 논의에 우려 표명


///부제 12개 시도지부장 성명서 발표   


///본문 시도한의사회 회장협의회가 최근 학제 변화를 통한 의료일원화 논의에 대해 기 면허자의 상호호혜에 따른 자율권 확대가 선결되지 않은 학제통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선언해 주목된다.


지난 31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시도한의사회 회장협의회는 기존 면허범위의 상호호혜에 의한 확대가 먼저 양해되지 않는 학제통합은 한의사들을 흡수 통합해 종국에는 일본식 일원화를 초래하는 방향과 다를 바 없고 이는 결국 한의학의 쇠퇴와 한의사 직군의 소멸을 초래하게 될 것으로 우려하며 이는 근본을 버리면서 실현가능성은 부족한 섣부른 자기부정의 방법이라고 규정했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이다.


최근 언급되고 있는 각종의 기사 및 학제변화와 관련된 소식들에 대해서 이하 시도지부 회장들은 우려와 함께 정부와 대한한의사협회 집행부에게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힌다.


한의계 구성원 중 일부가 기대하는 의료일원화는 한의학의 발전과 국민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한의사들에게 보다 유연하고 다양한 의료행위와 도구가 보장되는 방안이 돼야 할 것이다. 그렇기에 이후 한의사 면허의 변화는 현대과학의 기술을 자율적으로 활용하여 기존의 한의학을 계승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언급되고 있는 학제의 변화를 통한 기 면허권자들의 진료행위의 자율권 추구를 기대하는 방안은 본말이 전도된 섣부른 방법일 뿐만 아니라, 자칫 한의사 직군의 고사를 초래할 수도 있는 위험한 방법이다.


따라서 기존 면허범위의 상호호혜에 의한 확대가 먼저 양해되지 않는 학제통합은 한의사들을 흡수 통합하여 종국에는 일본식 일원화를 초래하는 방향과 다를바 없고, 이는 결국 한의학의 쇠퇴와 한의사 직군의 소멸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 면허자의 조치가 전제되지 않는 학제통합을 통한 면허범위의 확대추구는 근본을 버리면서, 실현가능성은 부족한 섣부른 자기부정의 방법이라 볼 수 있다.


학제의 교류나 학점의 상호 인정 등은 학문의 발전과 학교교육 현장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어 환영할 일이나, 한의대 정원을 이관하는 등의 통합학제를 추구하는 것은, 한의학 자체를 소멸시킬 위험뿐만 아니라, 한의대 졸업정원수의 감소도 아닌, 무늬만 다른 면허증을 갖고 배출되어 한의 의료행위를 하는 또다른 직군을 양산하게 될 것이며, 이는 한의계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게 될 것이다.


한의사 면허의 변화는 당사자이자 협회의 주인인 회원들의 동의 없이 추진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의학의 발전과 한의사 면허의 확대를 꾀함에 있어 지난하고 힘들지라도 안정되고 발전적인 방법으로 한발 한발 내디딜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대한한의사협회 집행부는 정부의 헛된 정책과 부화뇌동 하지 말고, 한의학을 수호하고 의권의 확대를 추구하는 본연의 임무에 매진하기를 바란다. 더불어, 지금은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 시행의 회원투표 전후로 바뀐 내용과 향후 절차에 대해 회원들에게 상세히 보고하고 한의계에 추가적인 손해가 초래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때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에 이하 시도지부 회장들은 다음의 입장을 표명한다.


1. 정부는 한의사들의 진료행위의 자율성과 한의학의 발전을 추구할 방안을 먼저 제시하라!


2. 기 면허자의 상호호혜에 따른 자율권 확대가 선결되지 않는다면 학제통합에 대해서 반대한다!


3. 대한한의사협회 집행부는 회원들과 충분히 논의가 되지않고, 한의학의 쇠퇴를 초래할 수 있는 섣부른 회원투표 논의를 중단하라!


4. 회원투표 이후 변화된 첩약급여화 시범사업에 대한 집행부의 입장과 대회원 보고를 시행하라!


2020년 7월 30일


서울특별시한의사회장 홍주의


경기도한의사회장 윤성찬


부산광역시한의사회장 이학철


인천광역시한의사회장 황병천


광주광역시한의사회장 김광겸


대전광역시한의사회장 김용진


강원도한의사회장 오명균


충청북도한의사회장 이주봉


충청남도한의사회장 이필우


전라남도한의사회장 강동윤


경상남도한의사회장 이병직


제주특별자치도한의사회장 이상기


///끝




///시작


///면 7


///세션 종합


///이름 하재규 기자


///제목 한의사 배제한 감염병 환자 이송·전원여부 판단 


///부제 감염병 개정안 통과, 이송·전원의 판단 주체 ‘양의사’만 가능  


///부제 한의협, “시대에 역행하는 엉터리 개정 법률 즉각 철회하라” 


///본문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는 지난 6일 감염병 환자에 대한 이송과 전원여부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권한을 양의사에게만 부여토록 한 법률개정안의 입법을 강력히 반대하며, 이 같은 엉터리 개정안의 즉각적인 폐기를 촉구했다.  


최근 감염병 환자 및 감염병 의심자 등을 자가, 시설, 다른 의료기관 등으로 이송·전원해 치료받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됐다.  


당초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대표발의한 개정안에는 감염병 환자 등에 대한 이송·전원의 판단주체가 ‘의사 등’으로 명시되어 있었으나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치면서 ‘양의사’로만 한정돼 버려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현행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의 13을 보면 ‘감염병환자란 ~(중략)~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진단이나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관의 실험실 검사를 통하여 확인된 사람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어 감염병 치료에 종별 의료인의 업무를 제한하지 않고 있다.   


또한 동 법률에서는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는 감염병환자 등을 진단하거나 그 사체를 검안한 경우 ~(중략)~ 관할 보건소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며 한의사에 대한 보고의무까지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국가로부터 감염병 환자에 대한 진단과 처치권한을 부여받은 한의사에게도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지극히 타당한 것으로 감염병 환자 진료와 보고의무를 명시하고 있는 기존 조항과의 연관성과 형평성 등을 고려해 문제가 된 조항에도 당연히 한의사가 포함됐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염병 환자에 대한 자가치료나 시설치료가 가능한지 여부를 ‘양의사’만이 판단하도록 정한 것은 납득할 수 없는 행태란 지적이다.  


이와 관련 한의협은 “코로나19 사태로 감염병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관리감독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특정 직역의 권한만을 강화하도록 법을 개정한 것은 국민의 건강을 도외시하고 시대에도 역행하는 무책임한 행태이며, 국가 보건의료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졸속정책으로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한의협은 또 “국회 상임위원회 논의 과정에서 보건의료분야 전문가가 아닌 법제사법위원회 전문위원이 해당 조문을 ‘의사 등’이 아닌 ‘의사’로 한정하자고 제안하고, 이를 보건복지부장관이 문제가 없다며 그대로 받아들인 것은 결코 묵과할 수 없으며, 국민의 이름으로 이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의협은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이후 한의계는 모든 감염병 질환에 비대면 진료를 기본 프로토콜로 정하고, 감염병 질환에 있어 한의약 치료와 국가방역체계에 한의사를 적극 활용해 줄 것을 지속적으로 건의해왔다”면서 “이처럼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한의계의 진정어린 제안은 애써 외면하면서, 감염병 환자에 대한 이송·전원 여부 결정권과 같이 국민을 위해 꼭 필요한 사안에서는 정작 한의사를 제외한 어처구니없는 행보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의협은 이와 더불어 “해당 개정안의 입법철회를 다시한번 강력히 촉구하며, 한의사가 의료인으로서 제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한의계의 합리적인 주장이 관철될 때까지 회무역량을 집중해 싸워나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끝




///시작


///면 7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식·의약 안전 연구개발 사업, 국민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부제 한약(생약)제제 품질평가 기술개발 등 105개 과제 공개 


///본문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오는 18일까지 2021년에 추진하는 식·의약 안전 연구개발 사업을 사전 공개해 국민의 의견을 듣는다.


사전공개 대상과제는 6개 사업 105개 과제로 식품 등 안전관리 27개 과제, 의약품 등 안전관리 25개 과제, 의료기기 등 안전관리 10개 과제,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연구 27개 과제, 농축수산 안전관리 8개 과제, 차세대 의료제품 평가기반 구축 8개 과제다.


세부과제를 보면 코로나19 백신·치료제 및 진단기기 안전기술 개발,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조사 등 안전성 평가 체계 마련,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 등에 관한 연구,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인체노출평가 모형 개발, 화장품·마스크 등 성분시험법 및 사용기준 평가기술 개발  등이 있다.


특히 △생약표준품 제조연구 △한약(생약) 국제표준 개발 연구 △한약(생약) 잔류농약 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한약(생약)의 신기술 적용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조사 연구 △식약공용 원료 등의 안전관리를 위한 노출평가 연구 △유사 마약성 진통제 오남용 실태 조사 연구 △한약(생약)제제 품질평가 기술개발 연구 등도 포함돼 있다.


생약표준품 제조연구는 한약재 및 한약(생약)제제 등의 확인 및 함량 시험 등 품질관리에 필요한 생약표준품(표준생약, 지표성분)을 3년 동안 연 10종 이상(총 30종 이상) 제조하는 연구다.


한약(생약) 국제표준 개발연구는 한약(생약) 분야 국제표준 활동을 지원하고 우리나라 주도의 한약(생약) 분야 국제표준(안)을 개발하는 것으로 전체 연구기간(3년) 동안 총 3건 이상의 국제표준(안)을 제안해야 한다.


한약(생약) 잔류농약 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는 2년간 다종농약다성분분석법과 생약의 특성을 고려한 전처리방법을 개발하고 표준작업지침서(SOP)를 마련, 대한민국약전 생약시험법 등 개정(안)을 제시하는 내용이다.


한약(생약)의 신기술 적용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조사 연구는 교잡종, 대체생약, 인공지능, 사마트팜 등 신기술 이용 한약(생약)의 안전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연구로 연구기간은 10개월이다.


식약공용 원료 등의 안전관리를 위한 노출평가 연구의 대상은 한속단, 작약 등 15종이며 연구 기간은 10개월이다.


한약(생약)제제 품질평가 기술개발 연구는 최신 분자생물학적·화학적 평가방법 등을 이용해 한약(생약)제제의 허가된 효능과 효과를 과학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신규 품질평가체계 도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공정서 수재 한약(생약)제제 30품목에 대한 신규 품질관리체계 확립 및 공정서 개정(안) 제시, 15건 이상의 과학적·기술적 타당성 검증 성과(학술지 게재 등), 공정서 수재 일반시험법(원생약 확인·지표성분 정량) 개정(안) 제시 등의 최종 성과물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총 연구기간은 3년이며 45억 원의 연구비가 지원된다.


2021년 식·의약 안전 연구개발 사업 과제는 국민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평가원 누리집(www.nifds.go.kr)을 통해 공개하고 있으며 의견이 있을 경우 식약처 연구관리시스템(rnd.mfds.go.kr) 또는 이메일(nifdsrnd@korea.kr)을 통해 제출하면 된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2020 온라인 전국한의학학술대회 9월 14일부터 개설 


///부제 대한한의학회, 9. 14~27일까지 개설


///부제 ‘한의플래닛’ 홈페이지 접속해 결제 후 교육 수강 


///본문 2020 온라인 전국한의학학술대회가 오는 9월 14일부터 27일까지 14일 동안 개설된다. 대한한의학회는 ‘1차 의료의 중심, 한의학’을 주제로 한 전국한의학학술대회를 이 기간 동안 ‘한의플래닛(https://www.haniplanet.com)’ 홈페이지를 통해 개최한다. 등록기간은 9월 1일부터 27일까지다.


강연은 대한침구의학회, 대한한방내과학회, 한방비만학회, 대한스포츠한의학회, 척추도인안교학회, 경락경혈학회, 척추신경추나의학회, 대한약침학회, 대한한의영상학회 등 9개 학회가 4~5개 주제를 선정해 진행한다. 


보건복지부, 대한한의사협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한국한의약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이 후원하는 이번 온라인 학술대회는 36개 전 강좌를 동시에 수강할 수 있으며 4개 강좌를 전부 수강한 회원은 보수교육 평점 4점을 받을 수 있다. 한의 의료기관에 부착할 수 있는 이수증도 발급되며 기프티콘, 자료집 등도 함께 제공된다. 제주도 한의사회 등 평소 전국한의학학술대회 참여에 제약이 있었던 지부 회원들도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이용 가능하다. 


등록비는 협회 회비를 모두 납부한 회원은 6만원, 미납 회원은 24만원이다. 완납 증명서를 한의학회에 제출하고 환불신청을 할 경우 회계연도 1개월 전까지 18만원을 환불받을 수 있다.


최도영 대한한의학회장은 “대한한의학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여파로 전국한의학학술대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하기로 한 후 한의플래닛 등 온라인 플랫폼과 협약을 맺는 등 관련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처음 시도하는 온라인 전국한의학학술대회가 이번 시도를 통해 원활하게 마무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김태호 기자


///제목 한의플래닛-한의전공의협 업무협약 체결


///부제 “수련과정 한의사, 학생들에 다양한 정보 제공할 것”


///부제 학술자료 컨텐츠 등 통해 한의계의 학술, 문화적 변화 선도 기대 


///본문  온라인 보수교육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의플래닛이 이번에는 대한한의과전공의협의회(회장 민백기, 이하 전공협)와 업무협약을 맺고, 한의사 전공의 권익 향상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버키 김현호 대표(사진 오른쪽)가 운영하는 한의플래닛은 그간 한의사 전문의를 수련, 양성하는 전공의 과정이 한의사들의 중요한 진료 중 하나로서 학생들에게 높은 관심을 받아 온 것에 비해 충분한 정보들이 객관적으로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했다. 


이에 전공협과의 협약을 통해 병원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알리고 수련중인 한의사 전공의들에게 양질의 학술 컨텐츠를 맞춤형으로 제공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최근 한의플래닛은 대한한의학회를 비롯해 각 분과학회, 한방병원들과의 협약으로 한의사 온라인 보수교육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한의대생의 진로선택 멘토링 컨텐츠, 대규모 학술자료 데이터베이스 등을 구축해 한의계의 공익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번 업무협약은 이러한 취지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전공협 민백기 회장(사진 왼쪽)은 “전공의에 대한 올바른 정보 확산과 전공의 권익 향상을 위해 한의계 학술 문화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한의플래닛과 뜻을 함께하게 돼 기쁘다”며 “이를 계기로 전공의와 전문의에 대한 한의계의 더욱 긍정적인 인식 확산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현호 대표는 “양방은 수련병원이 매우 많고 다양해 정보의 확산속도가 빠르며, 정보를 생산하고 전달하는 주체도 많은 편이다. 이에 비해 한의계는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측면이 있었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한의플래닛과 같은 플랫폼이라 생각한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수련과정을 지원하려는 한의사, 학생 뿐 아니라 한방병원 최전선에서 수련을 받고 있는 분들에게도 긍정적인 학술적, 문화적 변화를 가져오겠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한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부제 주한뉴질랜드 필립 터너 대사 참석…동반성장 위한 논의 진행


///부제 뉴질랜드 사슴협회, 경희대 한의과대학에 장학금 기부  


///본문 경희대학교는 지난달 23일 한의과대학 학장실에서 뉴질랜드 사슴협회(Deer Industry New Zealand·이하 DINZ)가 장학금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날 DINZ는 한의과대학 박원영(15학번)·이재경(17학번) 학생에게 뉴질랜드 녹용 장학금(New Zealand Deer Velvet Scholarship)을 전달하며, 학생들의 미래를 응원했다. 


특히 이날 장학금 전달을 위해 주한뉴질랜드 필립 터너 대사가 직접 한의과대학을 방문해 동반성장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기도 했다. 


필립 터너 대사는 과거 모친이 침 치료로 건강을 되찾은 일화를 소개하며, “침 치료의 효능을 직접 확인했다. 앞으로도 이런 자리가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에 이재동 경희대 한의대 학장은 “장학금 기부에 감사하다. 이를 시작으로 국내 전통의학을 선도하는 경희대가 국내를 넘어 세계에 한의학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대전대 한의대 이남헌 교수, eCAM 편집위원에 선정


///부제 통합의학 분야 저널 투고논문 심사, 게재여부 추천 등 업무  


///본문 대전대학교 천안한방병원 한방내과 이남헌 교수(사진)가 ‘Evidence 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eCAM)’의 편집위원(Editorial Board Member)으로 위촉됐다.


지난 7월 편집위원으로 초빙받은 이 교수는 통합의학 분야의 논문을 심사하고 게재 여부를 결정하는 활동에 들어갔다. 


eCAM은 영국 Hindawi Publishing Group에서 발행하는 통합의학 분야의 국제학술저널이다. 통합의학, 생물학, 화학 등 과학 전반적인 분야의 중요한 연구결과를 발간하고 있다. 


이 교수는 급만성 간손상 연구, 항암제 내성 연구, 종양 임상 연구 등 기초연구부터 임상연구까지 30여편의 SCI 논문을 발표하는 등 폭넓은 분야의 연구에 매진해 왔으며, ‘마르퀴즈 후즈 후(Marquis Who’s Who) 2018 인명사전’에도 등재된 바 있다. 


특히 이 교수는 항암제 내성 치료제 개발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진행 중이다. 


항암제 약물배출펌프(P-gp) 제어나 항암제의 표적효소인 thymidylate synthase 제어를 통한 항암제 다제내성 치료제 개발을 주제로 국책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남헌 교수는 “국제적 학술지의 편집위원에 위촉된 것을 계기로 대한민국 연구자들의 좋은 연구를 알리는데 보탬이 되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끝




///시작


///면 10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질본 청 승격·복수차관제’ 국회 본회의 통과 


///부제 9월부터 시행…1대 질병청장에 정은경 본부장 유력


///부제 복지부 제2차관은 보건 분야 주력…복지부 직제도 개편 전망  


///본문 코로나19 사태가 촉발한 질병관리본부의 청 승격과 보건복지부 복수차관제가 국회 문턱을 넘었다. 


국회는 지난 4일 본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법은 공포 후 1개월 뒤부터 시행돼 질병관리청은 9월에 출범한다.


질병관리청은 그간 복지부 위임을 받아 수행했던 질병관리와 건강증진 관련 각종 조사·연구ㆍ사업을 고유권한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감염병 정책과 집행에도 실질적 권한을 갖게 된다. 예산과 인사, 조직을 독자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돼 정책 결정의 독립성과 전문성도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조직은 청장 1명과 차장 1명 등으로 구성되며 청장은 정무직으로 하고 차장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 공무원으로 임명하게 된다. 현재 질병관리청 1대 청장으로는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세부적인 조직 규모와 구성은 향후 입법예고 될 시행령과 시행규칙 등에서 마련될 예정이다. 복지부로의 이관을 추진하다 ‘부처 이기주의’ 논란을 빚었던 국립보건연구원은 질병관리청에 그대로 둔다.


질병관리청의 독립과 별개로 신종 코로나와 같은 전국적인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는 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이 함께 대응하는 현 체제를 유지할 방침이다.


개정안은 또 복지부의 보건업무 전문성 강화를 위해 보건담당 차관을 별도로 두는 내용도 포함시켰다. 제1차관은 기획조정 및 복지 분야를 맡고, 신설되는 2차관은 보건분야에 주력하게 된다.


2차관이 신설됨에 따라 복지부의 조직도 개편될 전망이다. 국장급 조직 1개와 과장급 조직 1개가 각각 실장급 조직과 국장급 조직으로 확대되고 기존 과장급 조직 조정 등을 통해 6~7개 과가 신설된다.


한편 이날 국회는 코로나19 대처를 위한 감염병예방법 개정안도 의결했다.


고영인 의원이 발의해 복지위 전체회의에서 1호로 통과된 해당 개정안은 감염병 의심자를 다른 시설이나 의료기관 등으로 옮길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거부하는 의심자는 치료비를 자부담하도록 했다.


또 감염 위험 장소에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이를 위반하면 과태료 부과 등의 조처를 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외국인이 감염병 치료와 조사·진찰 비용과 격리시설 사용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하는 규정도 마련됐다.


고영인 의원은 “코로나19의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재유행이 현실화된다면 국가적 손실이 막대할 것”이라며 “지난 6개월간 지속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했다”고 전했다. 


///끝




///시작


///면 10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외국인의 코로나 무상치료 금지 명문화 추진  


///부제 조경태 의원, 


감염병 예방법 개정안 대표발의  


///본문 외국인들의 코로나19 무상 치료를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이 추진된다. 


조경태 미래통합당 의원(사진)은 이 같은 내용의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지난 4일 대표발의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감염병에 걸린 환자에 대해 내·외국인을 구분하지 않고 입원치료비 등 그 진료 및 보호에 드는 경비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입국해 무상으로 치료받고자 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돼 왔다. 


이에 개정안은 외국인 감염병환자등에 대한 진료 등에 드는 경비는 지원하지 못하도록 해 우리 국민을 우선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했다. 


///끝




///시작


///면 11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 강화 ‘추진’


///부제 현지확인심사 실시 강화, 이의제기 기간 및 처리기간 연장 등 내용 담겨   


///부제 국토교통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본문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지난 7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하고 있다. 


이번 개정안은 의료기관의 자동차보험 진료비 허위·부당청구를 방지하고, 의료기관 및 보험회사 등의 심사결과에 대한 이의제기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의료기관에 대한 현지확인심사 실시가 강화된다.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허위·부당청구 의심사례에 대해 의료기관에 자료제출을 요청하고, 자료제출 거부 또는 제출받은 자료가 미흡한 경우에만 현지확인심사를 실시토록 되어 있어 심사의 실효성이 저하된다는 국회 등으로부터의 지적이 있어 왔다. 이에 건강보험·산재보험 등 타 공적보험 제도와 동일하게 의료기관의 청구내역이나 제출자료 등에 대해 사실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 현지확인심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심사결과에 대한 이의제기 기간 및 처리기간 연장도 추진된다. 


의료기관 및 보험회사 등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비 심사결과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 분쟁이 조기에 해결되지 못하고 관련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등 제도운영상 미비점이 드러나고 있는 만큼 이번 개정안에서는 이의제기 기간을 현행 25일에서 90일로,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이의제기 처리기간도 현행 30일에서 60일로 각각 연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 자동차보험팀 이재연 팀장은 “이번 시행규칙 개정으로 자동차보험 진료비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심사가 이뤄지고, 진료비 허위·부당청구로 인한 불필요한 보험금 지급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제도 운영을 통해 자동차보험 소비자의 권익이 제고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협의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시행규칙 개정안의 입법예고 기간은 오는 9월15일까지이며, 관계부처 협의,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오는 10월경 공포돼 내년 1월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개정안에 대한 전문은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www.molit.go.kr) ‘정보마당/법령정보/입법예고’에서 볼 수 있으며,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경우에는 우편, 팩스, 국토교통부 누리집을 통해 제출할 수 있다.


///끝




///시작


///면 11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전주형 통합돌봄, 촘촘한 민간 지원체계 구축


///부제 지역 복지·돌봄기관 35개소 참여 ‘전주시 통합돌봄 민간지원단’ 출범  


///본문 전주시가 노인 복지·돌봄기관과 함께 촘촘한 통합돌봄 안전망을 갖추고자 지난 31일 지역의 복지·돌봄기관 35개소가 참석한 가운데 전주형 통합돌봄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전주시 통합돌봄 민간지원단’을 출범시켰다. 


전주시 통합돌봄 민간지원단에는 △노인복지관 연합회 △재가노인복지협회 △시니어클럽연합회 △종합사회복지관협회 △자활지원센터협회 등의 소속 기관들로 구성됐으며 이들은 전주시 통합돌봄 사업에 대한 민간 차원의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행정과의 협업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전주형 통합돌봄 사업은 △건강-의료 안전망 구축사업 △한방지킴이사업 △안심복약 지원사업 △맞춤형 방문운동지도 사업 △스마트돌봄 플랫폼사업 △통합돌봄형 새뜰마을사업 △어르신 영양 더하기 사업 △어르신 건강펜 질병예방 사업 등이 추진 중이며 전주시는 향후 요양병원 장기입원 어르신, 단기 입원 후 퇴원 어르신, 장기요양 등급외 판정 어르신, 돌봄 사각지대 어르신 등 8개 유형의 어르신들의 건강과 필요도에 따라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전주시한의사회(회장 심진찬)와 진행하는 ‘한방지킴이사업’에서는 전주시한의사회 소속 한의사들이 평화종합사회복지관, 양지노인복지관, 다사랑 노인복지센터 등 3개 복지기관과 주거환경이 취약해 새뜰마을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풍남동 승암마을 및 진북동 도토리골 경로당을 방문해 한의진료서비스를 제공한다.


///끝




///시작


///면 13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코로나 이후 의사 부족 여전…“한의사도 활용해 달라”   


///부제 “코로나 확진은 어차피 진단키트 몫…검체 채취도 못하게 하나” 


///부제 장애인주치의·커뮤니티케어 등 수가 낮아 의사 부족 여전 


///부제 필요하다면 학제 개편도…“부족한 교육 채워나갈 것”


///본문 6일 열린 ‘포스트 코로나19, 한의사·한의대를 활용한 의사인력 확충 방안 국회 간담회’에서 토의에 참여한 한의계 관계자들은 코로나19 사태로 불거진 의사 수 부족과 한의사의 과잉 배출을 지적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장애인주치의제, 만성질환 관리제, 호흡기 질환 클리닉, 커뮤니티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가 부족할 경우, 한의사 인력을 배치해 활용할 것을 요구했다. 


한창호 한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협회(이하 한대협)상임이사는 “코로나19로 국가 시스템에서 인적 자원이 부족한 사태가 생겼고 한의사는 기여하고 싶었는데 배제됐단 게 자명한 사실”이라며 “한의사는 대체 뭘 하란 것인가”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예전에는 질병이 발생하면 진단 프로세스를 가동했지만 코로나 확진은 ‘진단키트’가 내린다”며 “진단을 위한 검체 채취라도 하겠다는 건데 이마저도 못하게 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의사가 의사 역할을 하는데 필요하다면 학제 개편은 물론이고 지금의 6년제를 뛰어넘는 교육을 더 받아서라도 사회에 필요한 사람이 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는 게 오늘 자리의 의미”라며 “오늘 의협은 여기에 왔어야 한다. 아무리 다른 사항이 있더라도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입장에서 우리는 동업자 아닌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은경 한의학정책연구원장은 “우리나라 의사들이 업무 강도가 어마어마해 의료기관 외에서는 의사를 볼 수가 없다”며 “커뮤니티케어, 장애인주치의 등 의사가 필요한 곳이 많은데 십년 동안 4000명 배출로 커버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또 “코로나 이후 정부가 지속적으로 정책적 의지를 가져야 할 분야”라고 덧붙였다.


송미덕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학술부회장은 “코로나19 전화진료센터 당시 환자들의 바이탈 체크를 통해 상급병원으로의 전원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었다”며 “기존 한의사를 어떻게 공공의료에 투입할 수 있을까 고민해 봤는데 한의대 교육만으로는 조금 부족하고 2~3년간 전문성을 담보하는 임상실습 및 수련 과정을 동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 세계 추세가 대졸 후 바로 면허를 취득하는 게 아니라 일정 임상 수련기간을 거치는 만큼 이러한 방향에 맞게 한의대도 교육개혁을 해나가자는 것이다. 




◇제도가 먼저냐, 교육이 먼저냐


안희덕 한대협 이사는 이날 제기된 한의과와 의과의 교육 통합과 관련해 “제도가 먼저”라는 입장을 보였다. 


안 이사는 “사립대가 11곳인데 자발적으로 교육 개편을 위한 투자를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제도를 먼저 갖추도록 집행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좌장을 맡은 최문석 한의협 부회장은 “교육 통합과 관련해서는 네 가지 안을 제시한 것일 뿐 순서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제도가 선행되지 않아도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고 답했다. 


송미덕 부회장은 “1910년대 미국 의학교육 현장의 실태를 고발한 플렉스너 보고서에 의해 수준미달의 의과대학들이 사라졌다”며 “만약 제도가 바뀌었는데도 교육이 아무것도 갖춰지지 않은 상태라면 결과는 어떨까. 우리가 준비하고 있어야 할 것들 중에 반드시 교육이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제도를 확립하기 이전에 한의사가 바뀐 제도 하에서의 역할 영역을 감당하기 위해 교육에서부터 부족한 부분이 채워져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이어 송 부회장은 “전인적 치료라는 한의사들의 강점을 살려 한의학교육 인증기준인 KAS2021보다 한 단계 더 앞서나가 준비를 했으면 좋겠다”고 부연했다. 


나창수 한대협 이사는 “2002년도 대만에서는 중의대 졸업생들이 인턴으로 근무하며 의사 면허 시험을 치르게 했고 수련의들을 연수하는 프로그램을 거쳤다”며 “이러한 사례를 본보기삼아 지역 공공의료에 투입하는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한대협에서는 대학별로 관련 사항에 대해 얼마든지 준비돼 있다”며 “통합의대로 나아갈 때는 12개 대학과 한의전이 일치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의계 내부 의견 수렴 과제


한편 플로어에서는 기존 면허자들이 불이익을 받을 것을 우려한 일부 개원의들의 이견이 있었다. 


이에 대해 최혁용 회장은 “대학생뿐만 아니라 기존 한의사도 필요하다면 추가 교육에 참여하고 결과로서 복수 면허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며 “내부에서 치열한 토론을 충분히 거쳐 한의계 내 의견을 수렴하도록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어 “국민의 뜻에 부합하지 않는 정책은 어차피 실현 가능성이 없다”며 “오늘 이 자리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자리”라고 부연했다. 


간담회가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킨 민형배 의원은 “필요하다면 통합의대를 위한 논의의 공론장을 만드는 일을 할 것”이라면서도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가능한한 사회 구성원 다수가 받아들일 수 있는 결과물이 나와야 국회에서 법제화 할 수 있다”며 애정어린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면서 “쉽게 합의에 도달하기 어려운 과제인 만큼 여러 단계의 전략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한 가지는 확실하다. 의사든 한의사든 간호사든 모든 면허는 사회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개인에게 주어졌지만 우리 국가 공동체로부터 시작된 것이어서 이 대목을 놓치면 싸움에서 이기기도 힘들고 실제 문제를 풀어나가는데도 도움이 안 될 것”이라며 “문화자본으로서의 면허가 ‘사회적’이라는 것부터 출발한다면 앞으로 진전이 있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끝




///시작


///면 14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한의대 교육 방향 


“의생명과학에 기반 둔 한의학” 


///부제 신상우 한평원장 “한의사 제도, 美 정골의사 표방” 


///부제 “한의대 기초의학 수업 비중, 50%까지 끌어올릴 것”  


///본문 신상우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이하 한평원)원장은 한의대 교육 방향과 관련해 “의생명과학에 기반을 둔 한의학을 지향점으로 한다”며 “한의사 제도는 미국의 정골의사를 표방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6일 열린 ‘포스트 코로나19, 한의사·한의대를 활용한 의사인력 확충방안 국회 간담회’에서 ‘한의과대학 교육의 변화’로 발제를 맡은 신 원장은 “인근 중국과 일본, 대만 등에서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이 융합하는 사례들도 있고, 향후 의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며 한의대 교육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어 “한의사 제도의 롤 모델로 생각하는 것은 미국의 DO제도(정골의사)”라고 말했다. 중국 면허 체계와 유사한 미국의 정골요법의사(DO) 시스템을 도입하면 한의대에서 의학교육을 하고, 한의사 면허로 의사가 사용하는 도구를 모두 다룰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한평원이 지향하는 교육 변화의 방향과 관련해서는 “의생명과학에 기반을 둔 한의학을 목표로 WFME 기준에 충족하도록 할 것”이라며 “의학 분야를 충분히 교육하자는 측면과 한의임상진료지침으로 대표되는 한의계의 과학적 연구 성과를 한의 교육에 적극 수용하자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지닌다”고 부연했다.


신 원장이 제시한 한의학 교육 평가인증 기준인 KAS2021에 따르면 기초의학과 기초한의학의 수업 시간 비율은 50:50을 원칙으로 한다. 기존 30~40%에서 늘어난 것이다. 또 임상의학 전체 수업시간의 30% 이상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신 원장은 “한의학이 해부학과는 거리가 먼 걸로 알지만 지난 100년 동안 30~40% 수준으로 한의대에서 기초의학을 이수해 왔다”며 “다만 약 20% 정도는 의대 커리큘럼과 여전히 차이가 있고 세계의학교육 추세가 융합의학으로 가고 있는 만큼 한평원에서는 국내 의과대와 한의대의 진료 학습 성과를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끝




///시작


///면 14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협진에도 스마트 바람”…원격협진 시범사업 시동 


///부제 진흥원, 5G 기반 원격협진 시범사업 실증기관 공모 


///부제 의료기관 컨소시움 1곳 선정…12월까지 원격협진사업 수행   


///본문 최근 원격협의진찰료의 구체적인 산정기준을 마련한 정부가 5G 기반 원격협진 시범사업 실증기관 공모에 나섰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 이하 진흥원)은 최근 2020년도 5G 기반 원격협진 시범사업을 수행할 의료기관을 공모·선정한다고 밝혔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원격협의진찰료의 구체적인 산정기준 및 산정방법을 신설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을 개정·발령하고 지난달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스마트의료를 통해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환자 편의성 제고를 위해 새로운 ICT 기술을 활용, 전문의 간 원격협진을 활성화함으로써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전달체계를 효율화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원격협의진찰료를 요양기관이 의료법 시행규칙 제29조에 따른 시설·장비를 갖추고, 의료법 제34조에 따라 원격협진을 행한 경우에 산정했다.


또 한의사나 의사·치과의사가 원격협진을 의뢰한 의료인에게 의료지식이 기술을 정보통신망으로 지원한 경우 산정할 수 있는 ‘원격협의진찰료 의뢰료’와 ‘원격협의진찰료 자문료’ 등을 신설하기도 했다. 


이에 진흥원은 오는 14일까지 이 같은 ICT 기술을 활용한 의료서비스의 실효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고 ‘5G 기반 스마트협진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모집한다.    


사업 기간 동안 진흥원은 1개 의료기관을 선정해 오는 11월 30일까지 과제 관리·점검·사업비 관리 등 명목으로 2억60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협진을 수행할 의료기관은 협력 의료기관과 컨소시움 형태로 지원 가능하며, 선정된 의료기관은 오는 12월까지 △다학제 진료 등 의료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구현 △원격협진 수가 지급기준 시스템 활용 효과성 등을 수행하게 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의료기관은 제출서류 일체 편철본(10부) 및 서류 원본 일체가 모두 담긴 전자매체(CD, USB 등)를 우편이나 인편으로 진흥원 미래의료팀에 제출해야 한다.


///끝




///시작


///면 18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첩약 건보 ‘좋아요’ 댓글 남기면 다양한 선물 증정 


///부제 한의협, 첩약건보 시범사업 축하 이벤트 진행


///본문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 이하 한의협)가 오는 10월 시행되는 첩약 건강보험 시범사업 확정을 축하하는 의미의 댓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지난달 27일부터 5일까지 진행된 이번 이벤트는 첩약 건강보험 시범사업에 대한 한의협 블로그의 포스팅을 읽고 ‘안전성·유효성이 검증된 첩약 건강보험 좋아요’ 내용의 댓글을 남기면 추첨을 통해 10명에게 문화상품권 5만원권을, 50명에게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기프티콘을 증정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한의협 공식 유튜브 채널인 ‘AKOM_TV’를 구독한 후 유튜브 닉네임을 같이 남기면 당첨 확률을 높였다.


당첨자는 지난 6일 한의협 블로그와 페이스북에 공지되며 당첨자에게는 쪽지로 개별 연락이 갔다.


한의계의 오랜 숙원사업인 첩약 건강보험은 지난달 24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시범사업으로 최종 확정된 후 오는 10월 첫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10월부터는 뇌혈관질환 후유증, 안면신경마비, 월경통 등의 질환에 대해 한 환자당 1년에 최대 1회, 10일분을 절반 비용으로 처방받을 수 있다. 


첩약은 한국한의약진흥원이 일반국민, 외래·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2017년 한의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에서 ‘건강보험급여 확대시 우선 적용이 필요한 치료법’ 1위를 차지한 치료다.


한의협은 “첩약의 건강보험제도권 진입은 국가 차원에서 첩약의 효과와 안전성, 유효성을 책임진다는 의미”라며 “현재 첩약에 사용되는 한약재는 이미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우수한약재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hGMP)’ 규정에 따라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는 만큼 이번 시범사업이 첩약에 대한 국민의 접근성을 높여 전반적인 건강 수준의 향상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18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강원도, “삼척·영월 의료원장 초빙합니다”


///부제 18일까지 모집…임기는 3년  


///본문 강원도가 영월의료원장과 삼척의료원장을 오는 18일까지 공개 모집한다고 지난 3일 밝혔다. 3일부터 공개 모집되는 이번 의료원장은 의료원을 대표하고 업무를 총괄하며, 소속 직원을 지휘·감독하는 업무를 맡게 된다. 임기 중 달성해야 할 운영목표를 달성해야 하며 지방의료원 운영에 대한 전문적인 식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 


마감은 18일까지이며 자기소개서, 직무수행계획서 등을 작성한 뒤 강원도청 공공의료과에 방문해 직접 서류를 제출하거나, ljh7371@korea.kr 등 이메일 접수도 받고 있다. 팩스 또는 우편 접수도 가능하다.


자기소개서는 지원동기, 지원 의료원 운영실태 및 경영혁신 방안, 공공의료역할 수행에 대한 견해 등을 기술해 제출하면 된다. 직무수행계획서에는 특별한 양식 없이 임용지원직위 담당업무에 대한 비전, 전략, 경영혁신, 노사안정, 기능강화, 의회협력 및 고객만족 등의 내용이 포함돼야 한다. 응모지원은 서식은 강원도 홈페이지(http://www.provin.gangwon.kr)에서 확인 가능하다.


1945년 강원도립영월병원으로 설립된 영월의료원은 현재 17개 외래진료과, 진폐병동, 응급실, ICU, 수술실, 분만실, 격리병실 등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강원도에서 유일하게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 시범사업기관으로 선정됐다.


1940년 강원도립병원으로 설립된 삼척의료원은 2000년에 부설 한의원을 개설한 후 현재 152병상, 13개과, 전문의 21명, 응급의료센터, 여성소아청소년진료센터(분만실, 신생아실), 중환자실, 인공신장센터 등을 보유했다. 2014년에는 300병상 미만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는 최초로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을 획득했다.


///끝




///시작


///면 19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한의 자동차보험 치료 절차에 대한 오해와 진실! 


///부제 일부 환자의 오해로 인한 불필요한 민원 사례 잦아


///부제 의료진 믿고 조속한 원상 회복에만 전념해야  


///본문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최근 3년간 7월 16일부터 8월 31일 사이 하루 평균 교통사고량은 무려 612.8건에 달할 만큼 요즘 같은 장마철에는 비로 인해 도로가 미끄러워져 ‘빗길 교통사고’가 잦다. 


사고를 당했을 때 최대한 빨리 의료기관을 찾아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일부 환자들 사이에서 한의 자동차보험 치료 절차에 대해 잘못 알려져 있는 것들로 인해 종종 혼란을 겪는 경우가 있다 


각종 사례들을 통해 교통사고 상해로 병원을 방문하기 전 알아두면 좋은 정보들을 자생한방병원 이진호 병원장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 교통사고 나면 무조건 입원해야 하나?


# 환자 A씨는 지난 여름 여자친구, 친구 커플과 함께 4명이서 승합차를 타고 강원도 여행을 나섰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병원에 내원했다. 환자 4명 모두 입원을 시켜달라고 병원에 요구했으나 병원에서는 A씨의 여자친구만 입원을 시켰다. 나머지 3명은 통원치료로도 충분히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는 의료진의 소견을 들은 A씨는 “내가 입원하겠다는데 무슨 상관이냐”며 4명 모두 입원시켜주라고 민원을 제기했다.




보통 교통사고를 당하면 입원해 며칠은 누워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상식처럼 퍼져 있다. 또 환자가 원하면 입원을 시켜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동일한 교통사고를 당해도 각자 다른 진단이 나올 수 있고, 치료 방법 또한 모든 환자가 같을 수 없다. 따라서 의료진이 객관적 검사와 진단을 종합해 향후 치료방향을 환자에게 권유하며, 환자 및 보호자와 협의해 최종 결정하게 된다. 


이 때 환자 증상의 정도 및 사고와의 연관성 등을 토대로 입원치료가 효과적일지 외래치료가 효과적일지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 교통사고 후 MRI 검사가 최선?


# 환자 B씨는 교통사고 당일 병원에 도착하자마자 가슴에 통증이 있다며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을 요구했다. 의료진으로부터 우선 갈비뼈 엑스레이나 CT 촬영을 권유 받았으나 줄곧 MRI 촬영 만을 고집했다.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B씨는 원하는 검사를 해주지 않는다며 민원을 제기했다.




영상진단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각자 나름의 특장점이 있어 MRI라고 해서 모든 검사보다 좋은 것이 아니다.


환자 상태와 의심되는 진단에 따라 필요한 맞춤형 검사를 받아야 하며 무조건 처음부터 고가의 검사만을 시행한다면 불필요한 의료자원 낭비를 피할 수 없다.


근골격계 통증의 경우 단순 근육통이 아니라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확인되는 경우 MRI를 권유하게 된다. 


일례로 내원 당시 MRI 검사를 할 필요가 없었던 환자가 치료 과정에서 방사통이나 특징적인 증상 변화가 발생한다면 의료진의 판단에 의해 MRI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 교통사고 환자에게 처방하는 한약은 보약이다?


# 한방병원을 방문한 C씨는 교통사고 상해 치료를 위해 조제되는 첩약을 다른 종류의 보약으로 변경해줄 것을 희망했다. 다른 치료를 받지 않을 테니 그 비용으로 보약을 더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요구가 관철되지 않자 C씨는 의료진에게 민원을 제기했다.




한의의료기관에서 교통사고 환자 치료를 위해 조제하는 한약(첩약)은 부상 회복을 위한 ‘치료약’이다. 


교통사고로 편타성 손상이 발생하면 인대가 손상되고 근육균형이 깨져 어혈이 발생해 복합 통증이 발생하므로, 이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첩약을 처방하는 것이다. 이 또한 사고 정황이나 증상의 정도와 치료 경과에 따라 의료진 판단으로 처방되며 국토부 고시와 심평원 기준에 따라 인정여부가 결정된다.


교통사고 후유증 환자를 위해 한의사가 진단 후 처방·조제하는 만큼 다른 목적의 보약으로 교환을 하거나 처방량 이상으로 더 많이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원래 아팠던 허리, 교통사고 당한 참에 다 치료 받아야지?


# 요추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을 앓고 있던 D씨는 교통사고를 당하고 난 뒤 허리 통증이 더욱 커져 병원 진료를 받았다. 마지막 진료 이후 6개월 만에 병원에 다시 나타난 D씨는 ‘다시 허리가 아프다’며 자동차보험으로 치료해줄 것을 요구했다. 의료진은 당시 교통사고와 현재 기왕증(사고 이전부터 앓고 있던 병력)의 상관관계가 명확치 않다고 안내했고 D씨는 해당 의료진을 상대로 민원을 제기했다.






일부 환자들은 교통사고로 부상을 당했을 때 기존에 갖고 있던 질환까지 자동차보험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자동차보험에서는 해당 사고로 새로 발생했거나 사고로 인해 기존 질환이 악화된 증상에 대해 조속한 원상 회복을 위한 치료를 하도록 돼 있다. 따라서 기왕증이 교통사고로 인해 심해진 경우 사고가 해당 질환을 얼마나 심화시켰는지 ‘기왕증 기여도’를 산출해 적용하게 된다. 교통사고를 당했다고 해서 자동차보험을 이용해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질환까지 모두 치료할 수는 없다는 것.


기왕증으로 인한 증상과 사고로 악화된 증상을 명확히 잘라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의료진도 의학적인 근거와 사회 통념, 상식 등을 근거로 기왕증과 교통사고 상해를 구분해 치료하는 만큼 D씨의 사례처럼 둘의 상관관계를 무시한 채 교통사고 합의 없이 한참 시간이 지난 이후 병원에 재방문하거나 기왕증까지 한꺼번에 치료하려고 한다면 자동차보험 인정이 어려울 수 있다.


자생한방병원 이진호 병원장(사진)은 “최근 일부 교통사고 환자들의 오해로 인해 일선에서 불필요한 민원 사례가 잦아지고 있다”며 “의료기관이 의학적 근거와 관련 규정 등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최선의 의료서비스 제공하려는 만큼, 환자는 위와 같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의료진을 믿고 조속한 원상 회복을 하는 데에만 전념해주시기 바란다”라고 조언했다.


한편 한의 자동차보험 치료는 국토교통부의 기준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사에 따라 사고로 인해 발생했거나 악화된 증상에 대해 치료하도록 정해져 있고 의료진은 환자의 상황을 보고 의학적 판단에 따라 진단과 치료를 실시해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끝




///시작


///면 20


///세션 기고


///이름 이선동 행파한의원(전 상지대 한의대 교수)


///제목 “변증론치 표준화,


정확한 치료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 


///부제 “진단 치료의 엄격함과 정확성 지속 노력” 


///부제 변증론치 표준화 제고 방안 上 


///본문 변증론치는 진단과 치료에서 중요하게 활용되는 한의학의 핵심이론이다. 변증론치의 결과에 따라 처방 등이 크게 달라 정확하고 엄격하게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한의사마다 진단과 처방이 다르다. 


그 피해는 한의계 뿐만 아니라 환자, 사회 등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 크다. 한의계를 위해서도, 환자의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도 변증론치의 표준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피부병인 건선을 예로 하여 표준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1. 현재 변증론치 적용의 


    문제점 및 한계


장상론, 천인상응, 정체관, 변증론치(변증시치), 체질론 등은 한의학의 중요 이론들이다. 이들 이론은 모두 의학적 가치가 있지만 특히 변증론치는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적용되는 이론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 올바르고 정확하게 적용했느냐 못했느냐에  따라 치료법, 처방이 달라져서 환자의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변증론치는 한의학의 특성을 잘 나타나는 이론으로 각각 질병에 따른 증상과 특성(특징)을 치료에 반영하는 일종의 맞춤의학 이론이다. 동일한 질병이라도 환자마다 다르게 치료하는 근거이다. 


그러나 이처럼 한의학의 핵심이론인 변증론치는 그 중요성에 비해 표준화 방안, 표준적 활용에 대한 연구나 관심이 없이 이전의 관습적 방법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의학이 반드시 갖추어야할 요소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이다. 


이를 통해 높은 치료율과 빠른 치료를 해야 하며 불확실성과 애매모호를 최소화하고 높은 예측성과 확실성을 최대로 높여야 한다. 한의사마다 정확한 적용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엄격하고 객관적 점검이 필요하며 표준화방법론(또는 제고방안)을 찾아야 한다.




- 진료 및 치료과정의 문제점


현재 한의사의 진단과 치료과정은 환자의 호소증(주소증, 현증, 기타)을 듣고(문진), 한의사의 질문(문진), 진맥, 일부 검사 등이다. 이중에서도 환자의 여러 호소증상에 크게 의존하는 편이다. 


이런 이유로 특히 진단단계(일부 치료포함)에서 환자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환자의 역할이 클수록 정확히 진단하는데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왜냐면 환자는 자신의 질병을 모르는 의학적 비전문가이며 주관적이고 또한 같은 증상도 환자마다 표현이나 의미가 다르고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환자가 말하는 증상은 진단과 치료에 중요 요소이기는 하지만 의학적으로 볼 때 절대적이지 않으며 환자의 병이나 건강과 전혀 상관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모든 진료단계에서 한의사의 전문성이 중심이 돼야 하며 환자는 일부 참여나 보조적이어야 한다.






- 한의계에 심각한 피해


현재 한의계는 환자 의존성이 크고, 여기에 한의사마다의 경험적, 주관적 진단과 치료를 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심하게는 진단과 치료법이 환자 수만큼 발생할 수 있으며 동일 환자를 한의사마다 다르게 진단하고, 다르게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한의계에는 너무나 많은 다양한 진단과 처방, 치료법이나 치료이론이 존재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환자나 정부관계자, 의료인들은 한의학, 한의사를 엉터리로 크게 비웃거나 비하하고 있다. 한의계 내부적으로도 질 좋은 data의 축적, 한의학의 발전과 변화, 진단과 치료의 표준화문제 등이 불가능해지고 있다. 


결국은 한의계에 대한 불신 불만 불안 부진으로 이어지며 환자는 이용을 외면한다. 현재 변증론치 적용방법은 우선 한의사에게 편리하고 간편하며 환자와 긍정적 관계, 나이나 경험많은 한의사에게 유리하거나 醫者意也 가능 등의 몇 가지 장점이 있다. 


이에 비해 질병이 아니라 증상치료, 원인치료가 불가능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한계, 반복적 시행착오, 한의학의 발전과 변화나 표준화의 불가능 등의 심각한 단점과 한계를 갖고 있다. 현재 지적되는 한의학의 모든 문제와 한계의 시발점이 이러한 변증론치의 한계나 문제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한의사의 진단치료의 엄격함과 정확성을 위한 노력은 한의학이 존재하는 날까지 계속되야 한다. 특히 이중에서도 변증론치의 표준화 방안이 핵심이다. 한의사나 한의학의 의학적 가치와 신뢰제고를 위한 변증론치의 정확한 활용을 위한 고민을 해야 한다. 저자는 난치성 피부병인 건선의 진단과 치료과정을 통해서 변증론치표준화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끝






///시작


///면 22,23


///세션 기고


///이름 주영승 교수


///제목 한약처방 본초학적 해설② 


///부제 “경옥고는 補脾氣 淸虛火의 처방”  


///본문 #편저자 주 : 본 기고는 상용한방약물처방과 Ext제제 등 본초학적 입장에서 객관적인 분석자료를 제시, 명실상부한 치료약으로서 한약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기획됐다. 이와 함께 논란대상 한약재 1종의 관능감별 point를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瓊玉膏의 처방의미] : 처방명의 瓊玉은 아름다운 옥(美玉)을 말하는 것으로, 진귀하고 감사한(珍賽) 아름다운 옥(瓊瑤)이라는 의미이다. 문헌에 의하면 아주 심한 虛勞환자에 탁월한 효능을 낸 것에 연유됐다고 한다. 洪氏集驗方에서 인용한 申鐵甕方이며, 기타 여러 문헌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건강기능 활성을 위한 처방으로 활용되고 있다. 




[瓊玉膏의 구성]


도표의 내용을 정리하면, 


1)주된 한약재는 生地黃, 白蜜, 人蔘, 白茯苓이다


2)기타 의견으로 人蔘의 용량을 높인 경우(衛生方)와, 沈香과 琥珀을 추가한 경우(臞仙活人心方, 張氏醫通方), 琥珀 沈香 天門冬 麥門冬 枸杞를 추가한 경우(益壽永眞膏-1), 天門冬 麥門冬 地骨皮를 추가한 경우(益壽永眞膏-2)가 있다.




<처방 분석>


1.주된 구성 한약재 4종 대상 분석 


위의 약물 구성에 대해 본초학적으로 재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生地黃: 淸熱凉血藥으로서 質潤한 性味가 있어 腎陰을 潤燥시키는 보조효능을 가지고 있다. 보조효능의 경우 熱이 陰液을 손상한 경우에 補陰시키는 약물들과 배합되는데(예:活血潤燥生津飮), 이는 滋陰시킨다는 의미가 아니라 血熱로 인한 津液의 손상을 淸熱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진액손실을 억제한다는 뜻이다. 瓊玉膏제법에서의 生地黃은 불을 이용하여 찌는(蒸)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실제 효능은 乾地黃의 단계인 凉血滋陰(淸熱滋陰)으로 설정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많은 문헌에서 瓊玉膏를 분석함에 있어 生地黃의 효능을 滋陰淸火(滋陰壯水-水克火)로 기술하고 있는 것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고 보겠다.


2)白蜜: 補氣藥에 속하는 滋養緩和의 약물로서 補中潤燥藥인데, 生用하면 性凉하여 淸熱解毒하고 熟蜜하면 性溫하여 補中한다(生則性凉 故能淸熱, 熟則性溫 故能補中). 주로 補脾약물이나 보조적으로 潤肺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기타의 補肺潤肺 약물과 더불어 이러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瓊玉膏에서의 熟用된 白蜜은 性이 微溫으로 변한 補脾潤肺로 설정된다.


3)人蔘: 대표적인 補脾益氣藥으로 脾 肺 2經에 작용하는 약물이다. 이는 後天之氣의 주된 장부인 脾는 生化의 근원이 되고, 이러한 精微로운 물질은 肺主氣의 작용으로 전신에 전달된다는 점으로 설명되어진다. 瓊玉膏에서의 人蔘은 性이 微溫한 補脾助(潤)肺로 설정된다.


4)白茯苓: 대표적인 利水藥으로서 각종 浮腫을 동반하는 질환에 응용된다. 이러한 작용은 脾虛氣弱으로 인한 水腫脹滿과 小便不利와 脾虛泄瀉에도 응용되는데(예:蔘苓白朮散), 이는 脾惡濕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즉 脾虛로 水濕이 內停되어 나타난 濕을 제거하는데 일정 역할을 함으로써 소화기계통에 좋은 조건을 부여해주는 것이다. 瓊玉膏에서의 白茯苓은 除脾濕→助脾藥으로 설정된다.  


2.기타 약물이 추가된 瓊玉膏의 분석 


1)臞仙活人心方, 張氏醫通方-원래의 瓊玉膏처방에, 沈香과 琥珀을 추가


①沈香의 본초학적 내용-사용량 5錢(20g)


性味溫 辛苦 無毒歸經腎 脾 胃


效能主治降氣溫中, 暖腎納氣. 治氣逆喘息, 嘔吐呃逆, 脘腹脹痛, 腰膝虛冷, 


大腸虛秘, 小便氣淋, 男子精冷.




→理氣藥 : 降氣溫中(理氣의 작용으로 胃腸기능을 회복) 暖腎納氣


②琥珀의 본초학적 내용-사용량 5錢(20g)


性味平 甘淡 無毒歸經心 肝 膀胱


效能主治鎭驚安神, 散瘀止血, 利水通淋. 治驚風癲癎, 驚癎失眠, 血淋血尿, 


小便不通, 婦女經閉, 産後停瘀腹痛, 癰疽瘡毒, 跌打損傷.




→安神藥 : 鎭驚安神


위의 약물추가에 대하여 본초학적으로 해석하면, 沈香은 暖腎의 효능을 가진 理氣藥으로서 降氣溫中(理氣의 작용으로 胃腸기능을 회복)의 주된 효능을 감안한다면 溫中으로 소화기능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行氣止痛, 溫中散寒하므로 脾胃의 寒鬱氣滯脹痛症에 응용되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한편 琥珀은 白茯苓과 더불어 ’모두 松根으로부터 생긴 것이나 받은 氣가 다르니, 茯苓은 陰에서 생기고 琥珀은 陽에서 생겨나 陰에서 이루어진 것인 고로 모두 營을 다스리고 心을 편히하고 水를 通利한다《入門》‘는 문장에서 白茯苓의 기능보강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2)益壽永眞膏-1 : 원래의 瓊玉膏처방에, 琥珀 沈香 天門冬 麥門冬 枸杞를 추가


①琥珀과 沈香-1)의 ①②참조


②天門冬의 본초학적 내용-사용량 1斤(500g) 혹은 8兩(320g)


性味寒 甘苦 無毒歸經肺 腎


效能主治滋陰, 潤燥, 淸肺, 降火, 潤腸通便. 治陰虛發熱, 咳嗽吐血, 肺痿, 肺癰, 


咽喉腫痛, 消渴, 便秘.




→補陰藥 : 滋陰潤(淸)肺


③麥門冬의 본초학적 내용-사용량 1斤(500g) 혹은 8兩(320g)


性味微寒 甘微苦 無毒歸經肺 胃 心


效能主治養陰潤肺, 淸心除煩, 益胃生津. 治肺燥乾咳, 陰虛勞嗽, 心煩失眠, 吐血, 


咯血, 肺痿, 肺癰, 虛勞煩熱, 消渴, 熱病傷津, 咽乾口燥, 便秘.




→補陰藥 : 滋陰潤(淸)肺


④枸杞子의 본초학적 내용-사용량 1斤(500g) 혹은 8兩(320g)


性味平 甘 無毒歸經肝 腎 肺


效能主治滋補肝腎, 益精明目, 潤肺. 治肝腎陰虧, 腰膝酸軟, 頭暈, 目眩, 


目昏多淚, 虛勞咳嗽, 消渴, 遺精.




→補陰藥 : 滋陰肝腎 潤肺


위의 약물추가에 대하여 沈香(暖腎)과 琥珀(安神)의 본초학적 설명은 1)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여기에서 滋陰潤(淸)肺시키는 효능의 天門冬과 麥門冬의 추가와 滋陰肝腎 潤肺하는 枸杞子의 추가는 滋陰力의 보강을 의미한다. 즉 몸이 허약한 상태에서 熱性이 심해질 경우에는 麥門冬이나 天門冬을 가하여 쓰도록 했던 문헌적근거에 기인한다. 다시 말하면 원래 瓊玉膏의 효능으로 언급되고 있는 滋補肺腎, 滋陰潤肺 등으로 勞嗽, 肺陰虧損으로 인한 虛勞乾咳등에 부합하는 처방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肺熱에 忌하는 人蔘을 沙蔘으로 바꾸는 것이 마땅하다.




3)益壽永眞膏-2 : 원래의 瓊玉膏처방에, 天門冬 麥門冬 地骨皮를 추가


①天門冬과 麥門冬의 본초학적 내용—2)의 ②③참조


②地骨皮의 본초학적 내용-사용량 8兩(320g)


性味寒 甘淡 無毒歸經肺 肝 腎


效能主治凉血除蒸, 淸肺降火. 治陰虛潮熱 骨蒸盜汗, 肺熱咳嗽, 小兒疳熱, 喀血, 衄血, 內熱消渴.




→淸虛熱藥 : 滋水淸肺 




위의 약물추가에 대하여 본초학적으로 해석하면 沈香(暖腎)과 琥珀(安神)의 추가는 1)의 설명, 天門冬과 麥門冬의 추가는 2)의 ②③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여기에서 滋水淸肺시키는 효능의 地骨皮의 추가는 滋陰淸火(滋陰壯水-水克火)의 生地黃에 대한 보강을 의미한다. 이 처방 역시 원래 瓊玉膏의 효능으로 언급되고 있는 滋補肺腎, 滋陰潤肺에 부합하는 처방이며, 역시 이러한 경우에도 肺熱에 忌하는 人蔘을 沙蔘으로 바꾸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3.瓊玉膏의 실체


 이상 최종적으로 현재 임상에서 응용되는 瓊玉膏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정리하면,


1)瓊玉膏는 몸이 허약해서 발생한 虛熱에 대하여 君藥인 生地黃의 淸火滋陰으로 대처하였으며, 白蜜 人蔘 白茯苓등을 활용하여 後天之精氣인 소화기계통(脾臟)의 기능을 항진시키는데 목표를 둔 補脾氣 淸虛熱하는 처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원래 아주 심한 虛勞환자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낸 것에 연유되었다는 瓊玉膏는 塡精補髓, 滋補肺腎, 滋陰潤肺 등으로 勞嗽, 肺陰虧損으로 인한 虛勞乾咳 咽燥咯血 肌肉消瘦 短氣乏力등에 활용된 것을 설명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 대한 현대적인 개념에서 재정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원래의 瓊玉膏 적응病證이 모두 肺腎陰虛에 기인된 것을 설명하고 있다면, 補肺腎하는 補陰藥이 당연히 주된 약재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人蔘의 경우 肺熱에 忌한다는 점에서 적합하지 않는 약재에 속하는데, 이는 虛勞에 助火하여 진액을 손상하여 肺의 肅降기능이 더욱 실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2)현재 상용되는 瓊玉膏용도의 대부분이 건강기능증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오히려 後天之精氣인 소화기계통(脾臟)의 기능을 항진시키는 人蔘의 용량을 높인 衛生方의 瓊玉膏가 더욱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는 瓊玉膏가 ‘培土(氣血生化의 근원인 後天之本)生金’하여 호흡기쇠약증의 경우에도 滋陰潤燥한다고 정리될 수 있다. 


3)한편 원래의 瓊玉膏의 문헌기록인 滋補肺腎, 滋陰潤肺의 용도로 활용을 한다면, 補陰藥이 추가된 益壽永眞膏 종류가 더욱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瓊玉膏 처방중의 人蔘을 沙蔘으로 반드시 바꾸어야 할 것이다.


///끝




///시작


///면 23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메니에르병, 덥고 습한 여름철에 발병 늘어나”


///부제 강동경희대한방병원 김민희 교수팀, 빅데이터 활용한 메니에르병 역학연구 발표 


///부제 국내 최초 메니에르병 유병률 연구…국제학술지 ‘Audiology & Neurotology’ 게재  


///본문 메니에르병은 어지럼증과 청력 저하, 이명, 귀 먹먹함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질환으로, 만성적으로 반복하며 증상이 점차 심해지는 경우가 많아 치료 시기와 방법이 중요하지만,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메니에르병에 대한 대규모 역학 연구가 없는 실정이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김민희 교수(사진)팀이 국내 최초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메니에르병의 역학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며,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메니에르병 발병률은 계속 증가 중이고, 특히 여름과 같이 습도가 높은 계절일수록 발병률이 높아지는 상관성을 보여 관심을 끌고 있다. 


이번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자료를 분석한 연구로 2013〜2017년 국내 메니에르병 유병률 및 연간발병률, 계절 발병률, 인구학적 특성 등을 확인한 것으로, 이번 연구 결과는 유명 국제 이비인후과 학술지인 ‘Audiology & Neurotology(IF: 2.053)’를 통해 발표했다. 




메니에르병 유병률, 최근 4년간 4.3배 증가 


우리나라의 전체 메니에르병 유병률은 2013년에서 2017년 사이 총 4.3배나 증가했으며, 연간발병률도 같은 기간 동안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에서는 인구 10만명당 40명에서 발병하는데 반해, 60대에서는 129명이나 발병하고 있어 고연령으로 갈수록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는 한편 여성이 남성보다 2.1배 더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습도가 높은 계절일수록 발병률이 높아지는 상관성을 보이는 것을 관찰했다. 즉 고온다습한 여름 기후가 실제로 국내 메니에르병에는 악화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외부 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내이의 압력이 심해지는 것, 습도가 높을수록 음속이 높아지는 것이 원인으로 거론된다.


이와 관련 김민희 교수는 “아시아 인종에서 메니에르병에 관한 대규모 역학연구가 진행된 적이 한 번도 없었다”며 “이번 연구로 아시아 인종에서의 급증하는 발병률과 사계절이 뚜렷한 지역에서의 계절적 발병 특성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됐을 것으로 생각된다”라 말했다. 


또한 김 교수는 “추후 더 장기적으로 계절적 변화를 분석하고 고온다습한 계절에 증상을 어떻게 조절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만성 메니에르병, 수독 없애는 한약 통해 치료 


한편 메니에르병은 대부분 과로와 스트레스가 원인인 경우가 많아 잘 쉬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아울러 저염식을 시행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며 카페인, 술, 담배를 피하는 보조요법만으로도 증상 개선이 가능하다. 하지만 어느 정도 진행된 메니에르병에서는 이러한 보조요법으로 조절이 되지 않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에서는 귓속 수종을 없애주는 영계출감탕, 오령산, 시령탕 등의 한약치료와 내이의 혈류를 개선시켜 전정신경계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귀 주변의 침·뜸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김 교수는 “양약을 쓰면서도 어지럼증이 반복되거나 청력저하가 돌아오지 않는 경우, 한의치료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끝




///시작


///면 24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수술실 CCTV야말로 의사 불신 해소 방안”  


///부제  “분쟁 시 입증 자료…정직한 의사에는 오히려 증거”


///부제 “CCTV, 감시 아닌 ‘기록’…활용 방안 명문화해야”  


///본문 수술실 CCTV 설치야말로 각종 의료 분쟁 및 의사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라는 제언이 나왔다. 


지난달 3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최로 열린 ‘수술실 CCTV 설치를 위한 토론회’에서 강신하 법무법인 상록 변호사는 “수술실에 CCTV를 설치한다면 정직하게 최선을 다해 수술을 한 의사는 손쉽게 의료과오 분쟁에서 벗어날 수 있고 환자도 수술과정의 알권리를 통해 자신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 의사와 환자의 신뢰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직하게 진료를 한 의사들에게는 오히려 과오가 없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의사협회 측은 CCTV 설치로 인해 오히려 불신이 생긴다고 하지만, 앞뒤가 안 맞고 근거가 희박해 보인다”며 “의료 과정에서의 불신 때문에 이 문제가 제기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선진국의 사례를 들며 “미국의 경우 분쟁이 발생할 때 의료인들은 관련한 정보를 모두 제공하고 있고, 영국은 중환자실이나 투석실에 한해 감염여부 등의 관리를 위해 CCTV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며 “반면 우리나라는 의사가 제출하고 싶은 것만 공개하다 보니 소송을 할 경우 환자의 입장에서 피해 입증이 어려워 소송을 포기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수술실 CCTV 설치법을 ‘수술실 안전과 인권 침해 예방법’이라고 정의하고 싶다”며 “대리수술이나 성범죄 등을 막기 위해서라도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무자격자 대리수술은 지난 2014년 4월 대한성형외과의사회가 그랜드성형외과의원에서 발생한 사망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대규모 유령의사에 의한 대리수술 정황이 발견된 것이다. 


안 대표는 “의료 사고 피해자들을 많이 만나봤는데, (신체와 영상의) 유출의 위험이 있는데도 환자들이 찬성하더라. 그만큼 주치의에 대한 불안감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의사에게 믿고 몸을 맡기는 게 아니라 의사가 인권적으로 치료해주는지 확인을 하고 싶어 한다는 얘기다. 


이어 “CCTV는 의료사고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수술실 정황을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라며 “환자들에게 (이상이 없다는 것을)보여주면 오히려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영상 보안과 관련해서는 “영상 유출을 우려하는 이유는 너무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이는 그만큼 철저히 관리가 되고 있지 않다는 방증인 만큼 촬영되더라도 한 달 뒤에는 폐기한다든가, 분쟁 발생 시 수사나 재판 시에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보완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윤명 소비자시민모임 사무총장 역시 “분쟁 해결 시 카메라 하나만 있었으면 명확히 해결할 수 있었는데 (그렇지 않아)증명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CCTV 설치는 감시가 아니라 ‘기록’”이라며 “활용 목적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라도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어떠한 목적으로 활용돼야 하는지를 분명히 명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어 “대리수술이나 성범죄는 원래 의료인이 해서는 안되는 명백히 잘못된 행위”라며 “이를 근절하기 위해 CCTV를 설치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의사를 잠재적 범죄자로 몰아간다는 의료계의 주장에 반박한 셈이다. 


또 “의료인이 모든 과정을 적법한 범위 안에서, 해야 할 일을 했는지 확인하는 만큼 의료인과 환자 간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19대부터 지금까지 왔는데 이번에는 전향적으로 반드시 입법화 됐으면 좋겠다”고 기대를 내비쳤다. 


반면 의사협회를 대변해 참석한 송명제 대외협력이사는 “설치 ‘의무화’에는 문제가 있다”며 “환자가 최고의 의료진으로부터 최선의 수술을 받을 권리를 박탈당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카메라가 있으면 손이 떨려 수술을 못하겠다고 호소하는 의사들이 있는 만큼 방어적 수술을 할 가능성 높은데 이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에게 갈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개인 정보가 축적되면 유출 가능성도 높아지는 법”이라며 “서버가 가장 안전하게 관리되는 곳인 국방부와 청와대도 해킹되는 상황에서 유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을 수 없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건넸다. 


한편 수술실 CCTV 설치는 경기도에서 시범운영한 결과, 환자 동의율이 6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성병원의 경우는 85%에 이른다.  


이와 관련 정일용 경기도의료원장은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의료사고 분쟁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93%로 조사됐다”며 “처음에는 설치에 대해 두려움이 있었으나 시간이 갈수록 동의율이 높아지는데다 그로 인한 부작용은 별로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끝




///시작


///면 25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의대정원 4000명 증원’ 정부안 부족…5000명으로 늘려야


///부제 시민사회·보건의료단체, 정부 의대 증원 방안 토론회 개최


///부제 현행 의대 교육과정으로 공공의료인력 양성 한계


///부제 일차의료·지역의사 강화하기 위한 별도의 체계 필요


///본문 공공의료 확보를 위해 정부가 내놓은 의대 정원 4000명 증원은 의료 공급과 수요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며, 권역별 공공의대 신설을 통해 지역별 의료격차를 줄여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노총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참여연대, 보건의료단체연합, 공공병원설립운동연대,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건강세상네트워크, 공공운수노조 등 시민사회단체와 보건의료 분야 전문가들은 지난달 31일 여의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공공의료 의사는 어떻게 양성해야 하나’ 토론회를 열고 △중장기 의사인력 필요수요 공급체계(김진현 서울대 간호대 교수, 경실련 보건의료위원장)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의사 양성 방안(나백주 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 교수) 주제의 발제와 토론을 진행했다. 


김진현 교수는 2000년 의약분업 이후 의료이용량의 급팽창, 지역간·부문간 불균형, 공공의료인력 부족, 의료산업의 성장 등의 이유로 의사 공급이 부족해졌다면서 취약한 공공의료, 인구고령화,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을 고려해 의과대학 입학정원 규모를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현 정부의 정책을 반영하면 증원된 의사 인력은 2025년에 졸업하는데, 이 인원이 최소 5000명은 돼야 중장기적으로 수급 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며 “입학정원이 부족하면 공급 부족 해소를 위해 환자의 희생, 사회적 비용 증가 등의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기존 소규모 의대의 정원을 100명 수준으로 증원하고, 수도권·충남권·호남권·영남권 등 권역별로 100~150명 규모의 공공의대와 의학전문대학원을 신설해야 한다고도 했다.


현재 한국의 의사수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의 60%에 불과하지만 의사소득비율은 2~3배로 지역의 공공의료 의사수급이 취약한 상황이다. 도 단위 보건소 의사 소장 비율도 22.7%로, 특별시나 광역시의 84%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현행 예방의학 교육, 공공의료 현장과 괴리


나백주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지역의 공공의료 체계 부족을 지적하고, 현재의 부족한 의사 수를 공공의료 수행에 필요한 의료인력이 부족하다는 의미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 교수는 “문제는 세부 임상분과 전문의를 양성하는 현행의 의대 교육과정에서는 제대로 된 공공의료 의사를 양성하기 어렵다는 점”이라며 “공공의료 관련 내용이 다수 들어 있는 예방의학 교육이 공공의료 현장과 괴리돼 있고, 그나마도 기존 임상교육과정 때문에 수업시수도 확보하게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정부가 내놓은 지역의사 양성제도는 기존 의대 교육과정의 이런 한계를 인정하고 있지만, 광역지자체가 장학금을 부담하게 하는 방안 외에는 특별한 대안이 없는 상태다. 


호주의 경우 의대 지원을 위한 평가에 의사의 취약지 근무 여부 등 공공의료 기여도를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두고 있으며, 일본은 별도의 의대 교육시스템을 마련해 학부부터 현장 위주의 실습 교육과 의료 술기 등 전문성을 기르도록 하고 있다. 미국의 공중보건장학제도 역시 공중보건장학생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취약지 의료에 종사하는 의사들에게 동기부여를 한다.


나 교수는 지역의사를 양성하는 방안에 대해 “먼저 새로운 의과대학으로 지역공공의료 양성을 시작한 뒤, 여기서 나온 성과를 기존의 의대로 확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한편으로는 지역공공의료인력 관리체계를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서 및 산간지역 등 지역 특성에 따라 질병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지역 특성에 맞춘 공공의료 인력을 양성하고, 전국을 3~4개 권역으로 나눠 새로운 공공의대를 신설해 맞춤형 공공의학교육을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공공의료 확충 위한 인력 필요” 한 목소리…“양적 확대는 무의미” 반론도


발제 이후에는 조동찬 SBS 의학전문기자, 이동우 공공운수노조국장, 원용철 공공병원설립운동연대 대표, 경창수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장, 전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국장, 오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김헌주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 보건의료정책관의 지정 토론이 이어졌다. 


조동찬 기자는 “OECD 등 다른 나라의 사례에 빗대기보다 우리의 실정에 맞는 의료체계를 좀 더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공공의료 확대가 공공의료 강화를 의미하지 않는 만큼, 지금의 의료취약계층이 양질의 병원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거나 의과교육과정에 인성교육을 추가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이동우 국장은 “로스쿨이 도입된 후 국민들은 ‘동네 변호사’를 보다 쉽게 만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지금의 현실은 예상과 달랐다”며 “국민의 세금이 들어간 의료 인력 증원이 로스쿨 제도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원용철 대표는 “대형병원 중심의 의료체계와 지역불균형 등을 해소하기 위해 공공의료 확충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없이 쏟아내는 대책은 양꼬 없는 찐빵”이라며 “공공의료 확충을 전제로 해야 지역의사 양성대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창수 회장은 의료사회협동조합의 가장 큰 난관이 의료인 확보 문제였다면서  “의료도 교육과 같이 전 국민이 평등하게 누려야 할 권리”라며 “의사도 교사처럼 양성할 수 있는 공공의대를 만들고, 광역단위로 순환근무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진한 국장은 “현재 정부 정책은 사립의대와 민간병원의 수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의과학자 양성’ 목표는 정부 의료 상업화 정책의 일환”이라며 “코로나19로 촉발된 의사증원 논의인 만큼 공공의료기관을 늘리고, 공공의료인력 양성에서는 의사보다 간호사 인력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오영호 위원은 호주 등 해외 사례를 들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시골의사’를 언급하면서 “의료 인력이 해당 지역에 자리 잡는 동기와 과정 자체가 달라야 한다”며 “지역거점 공공의과대학을 설립해 일차의료와 시골의학에 맞춘 교과과정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보건의료정책관은 “현재 한국의 의사 수가 부족하다는 데에는 공감한다”면서도 “절대적인 인원의 문제보다 지역 편중, 과목별 편중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는 만큼 늘어난 정원이 어떻게 활용되느냐의 측면을 심도 있게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토론에 이어진 질의응답 순서에는 전북지역 의대 설립 등 경남지역 공공의료 확충의 필요성, 의료인력 단기 충원을 위한 한의 의료 인력 수급 등의 의견이 나왔다. 


앞서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2022년부터 10년 동안 의과대학을 총 4000명으로 늘리고, 이 중 3000명을 지역 의료인력으로 양성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협의를 통해 결정된 2022학년도 의대 정원 확대안은 8월 초 복지부와 교육부와 논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끝




///시작


///면 26


///세션 인터뷰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한의치료의 문턱을 낮춰서 경제적, 지리적 접근성 높일 것” 


///부제 이태윤 과장, 공주의료원에 첫 개설된 한방진료과서 근무


///부제 중장년 환자 수술시기 늦추면서 건강관리 도와


///부제 양방 과와 자유롭게 협진 가능한 시스템 필요   


///본문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충남 공주의료원에 처음 개설된 한방진료과에서 한 달 째 진료하고 있는 이태윤 과장에게 지원 계기와 포부, 지역사회 속 한의사의 역할 등을 들어봤다. 


Q. 자기소개 부탁드린다.


한의사 이태윤이라고 한다.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에서 일반수련의를 마친 후 부원장으로 아산의 도솔한의원에서 봉직의 생활을 했다. 이후 요양병원에서 일하다가 현재는 충청남도 공주의료원에서 한방진료과장으로 일하고 있다.




Q. 출근한 지 한 달 정도 됐는데 하루 일과는?


아직 특별한 일과상의 루틴은 없다. 진료시간을 구분할 만큼 환자가 쌓이지 않은데다 협진이 많지 않아 협진과 외래시간을 따로 나눠두지 않았다. 




Q. 공주의료원 지원 계기는?


요양병원에서 4년째 근무 중이었는데, 4년 동안 같은 환자들을 보고 있으니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양병원에서 장기 입원 환자들을 주로 진료하다보니 환자군이 한정돼, 환자들이 만족을 표하더라도 스스로에게 한계를 많이 느끼고 있던 찰나였다. 이 때 공주의료원에서 한의사를 초빙한다는 사실을 알게 돼 지원했다. 공주의료원에서 일하게 되면 좀 더 다양한 환자들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임상적인 목마름이 컸다. 


또 한의사가 되기로 마음먹었을 때, 제가 배운 것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에 공공의료기관에서 일하게 되면 지역민에게 한의치료의 문턱을 낮춰서 경제적, 지리적 접근성을 높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Q. 한방과장으로서의 포부는?


공공의료원에 한의사가 진료를 하고 있는 것은 그 자체로 매우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한의과가 단순 개설시도로 그치지 않고 협진 체계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하고 싶다. 


처음 진료 준비하면서는 환자군에 대한 파악도 잘 안 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한 부분이 컸다. 진료를 시작한 지 한 달쯤 돼 가니 제가 채워야 할 부분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 된다. 부족한 부분들을 잘 채워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 지역 사람들이 타 지역으로 진료 받으러 가지 않고도 공주의료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내실 있는 한방진료과를 만들어 나가고 싶다.




Q. 충남 지역 노령 환자 치료에 대한 의견과 임상 경험은?


충남지역 노령인구의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공주의료원에 오게 된 것은 아니다. 요즘은 구석구석 보건지소도 많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질환을 관리하거나 치료하는 부분은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특수한 질환군이나 수술을 위한 진료의 경우, 대부분 수도권 등 대도시에 집중돼 있는 상태다. 지역 의료원의 설립 목적은 바로 이런 의료서비스의 지역격차를 줄이고 지역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그동안 임상에서 40대 이상 근골격계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많이 접해 왔다. 만성요통이나 관절통을 호소하시는 분들은 수술을 이미 하고 오신 분들이나 수술 권유를 받으신 분들이 많았다. 수술을 하신 분들은 수술 후 한방치료를 통해 회복속도를 올리고 재활효과를 높일 수 있게 도와드리고, 수술하지 않으신 분들은 수술의 효과가 유효한 것을 감안해 수술시기를 늦추면서 건강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티칭하고 치료해드리고자 했다. 이런 방향이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장년 노년층 환자들에게 한의사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Q. 한의학이 지역사회 건강 증진을 위해 해야 할 역할과 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제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공주의료원으로 한정해 말하자면, 공주 지역에서 치료받지 못하고 대전이나 세종 등 다른 지역으로 가서 치료받을 수밖에 없는 환자들을 공주의료원 한의과에서 치료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겠다. 제 친구의 아이도 아토피가 심해 대전으로 병원을 다니는데, 이 병원에 공주시나 계룡시 등 충남의 다른 지역에서도 많은 환자들이 온다고 들었다. 이런 환자들을 공공의료기관의 한의사가 도맡아 치료한다면, 지역사회에 봉사하고자 하는 공공의료기관 설립 목적에도 부합하는 일을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제도적으로는 외래 양방 등 다른 과들과 자유로운 협진이 어렵다는 점이 아쉽다. 타과 진료를 보고 다시 한의진료를 받겠다고 접수를 해서 진료를 받아야하는데, 같은 상병으로 같은 날 치료가 불가능한 상황 등이 현재 시스템 하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런 부분이 제도적으로 개선돼야 진정한 의미의 협진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Q. 자유롭게 남기고 싶은 말은?


저는 이제 막 공주의료원이라는 터전에 자리를 잡고 밭을 갈아놓았다. 한의학이라는 씨를 뿌린 뒤 물을 주고 있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한의과가 공주의료원에서 잘 크기 위해 햇볕과 영양분 역할을 어떻게 할지 지역사회 한의사들과 고민하며 성장해나가겠다. 내년쯤 싹을 예쁘게 틔우면 다시 한 번 보러와 달라.


///끝




///시작


///면 27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치매극복 연구개발 사업단’ 출범 


///부제 정춘숙 의원, 감염병 예방법 개정안 대표발의   


///부제 9년간 치매 예방·진단·치료 분야에 총 1987억 원 지원 시작


///본문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가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18.11)에 따라 치매 예방·진단·치료 등에 걸친 종합적 연구개발(R&D)을 지원하기 위한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단장 서울대 묵인희 교수)’을 최근 출범시켰다.


지난 상반기 사업단(장) 공모 과정과 서면 및 구두 평가, 현장실사 등을 거쳐 최종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사업단을 선정한 것.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은 치매 질환 극복기술 개발을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2019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9년간(‘20~’28) 총사업비 1987억 원(국비 1694억 원)이 투자된다.


사업단은 △치매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 △치매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치매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등 3개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치매 극복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한다.


먼저 치매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과 발병기전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병원인 및 기전 규명, 치매오믹스 분석 등 4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의 연구를 지원한다(국비 451억 원).


또 치매가 진행돼 회복이 어려운 신경세포 손상이 일어나기 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치매를 발병 전에 예측하거나 발병 초기에 진단하기 위한 혈액, 체액기반 치매 조기진단기술, 영상진단기술 고도화 등 8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 연구도 지원한다(국비 508억 원).


새로운 치매 발병 가설에 기반한 신규 치료제 개발이나, 치매 위험인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예방기술 개발 등 치매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치매 치료제 개발, 뇌내 약물전달 기술개발 등 3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 연구에 국비 609억 원이 지원된다.


세부 분야별 연구과제는 예비타당성 조사 시 기획한 연구계획을 바탕으로 사업단에서 현재 글로벌 동향 등을 반영, 세부기획안을 마련한 뒤 8~9월 중 국내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선정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치매 발병을 5년 지연하고 연간 치매 환자 증가속도를 50% 감소시킴으로써 치매로 인한 국민들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사업단이 기초연구가 실용화로 연계되는 가교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치매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치매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사회 건설을 가속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치매는 증상이 일정 수준 진행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치료기술 확보가 핵심”이라며 기초원천연구를 담당하는 과기정통부와 임상을 지원하는 보건복지부가 공동 운영하는 전주기 사업단을 통해 국민 치매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27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남원시, ‘엄마사랑 임신 육아교실’ 운영  


///부제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일환…비대면 건강증진 프로그램 제공


///부제 남원시보건소(소장 이순례)는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 관리 및 차단을 위해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으로 ‘엄마사랑 임신육아교실’을 온라인 밴드를 통해 지난 3일부터 한달간(10회차) 운영한다.


이번 사업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집단 대면 사업이 어렵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사회변화 흐름의 맞춰 임산부들이 가정에서도 쉽게 온라인으로 접속해 한의약 산전·후 건강 관리와 모유수유 성공법 등 육아지식 교육과 함께 기공체조 등 심신안정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비대면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마련했다.


이번 사업은 네이버 밴드를 활용해 남원시 임산부 중 신청자를 대상으로 가입·승인 절차와 출석체크를 거쳐 사전녹화 영상강의를 통해 진행하며, 프로그램 일정에 따라 강사 및 신청자가 온라인으로 접속해 영상통화, 글쓰기 기능 등을 통한 양방향 소통으로 실시한다.


이와 관련 남원시보건소는 “첫선을 보인 온라인 비대면 임신육아교실 프로그램으로 산모건강 관리를 지원해 나가겠다”며 “더불어 코로나19 여파로 외부활동이 감소돼 시민들의 면역력이 저하됨에 따라 앞으로도 비대면, 야외수업 등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을 적극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28


///세션 기고


///이름 김남일 교수


///제목 醫史學으로 읽는 近現代 韓醫學 (433) 


///부제 1974년 『月刊 漢醫藥』 11월호가 전하는 한의계 소식


///부제 “의료봉사활동이 활발했던 1974년에는”  


///본문 1974년 『월간 한의약』 11월호(통권 7호)가 간행된다. 이 잡지는 각종 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논문을 다루는 전문 한의학학술잡지의 성격을 띠고 간행됐다. 이 잡지에 실린 논문들은 임상연구, 치험례, 학술연구, 임상특집, 조사연구, 학술기행, 나의 처방, 기고, 연재, 뉴스 등의 큰 제목으로 글의 성격에 따라 구분해 게재하고 있다.


이 잡지의 뒷부분에는 ‘뉴스’라는 갈래에 ‘뉴스의 광장’이라는 제하로 당시 한의계의 이야기거리를 소개하고 있다. 


아래에 1974년 간행된 『월간 한의약』 11월호(통권 7호) ‘뉴스의 광장’에 실린 이야기들을 정리한다.


○서울시한의사회 건립 예산 확보: 서울시한의사회에서는 회관의 건립을 계획하고 예산을 확보하여 올해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 성북구한의사회 추계 무료진료 성황리에 마침: 10월18일 성북구한의사회(회장 권중옥)는 추계 무료진료를 봄과 같은 장소인 정능4동 새마을회관에서 실시했다. 본 무료진료에 참여한 한의사로 진료 지휘에 권중옥·한대희, 제약부에 방광길·주정훈·이영배·남정준, 진료부에 김수봉·윤성혁·이영한·신동기·이우교·유형집·엄균섭·홍수정 등이다.


○조석봉 삼세당한의원장 회갑연: 60평생을 한의계에 몸담으신 조석봉 원장이 19일 오후 1시 풍전호텔 4층 아사원에서 한의계의 중진들과 월간 한의약 사장, 일가친지들이 모인 가운데 성대하게 거행됐다.


○이명헌 부회장 등 국제침술대회 출발: 오는 11일에서 13일까지 미국 펜실바니아대학에서 개최되는 국제침구학술대회에 참석하고자 대한한의사협회 이명헌 부회장과 박동섭, 송효정, 한창우, 성병기 등 5인의 한의사가 KAL기 편으로 김포공항을 출발했다. 이날 공항에는 한요욱, 윤사원 등 한의계 중진 20여명이 나와 일행을 환송했다.


○경희대한방병원 개원 3돌 맞아: 경희대한방병원 중풍센터는 개원 3주년을 맞아 24일부터 3일동안 무료로 침 시술의 봉사활동을 했다. 최초의 침마취개복수술에 성공해 화제를 일으켰던 경희대 부속 한방병원은 개원 3주년을 자축하기 위해 신경통, 중풍, 신경마비 환자에 한하여 대대적인 무료시술을 단행했다. 


○『診療要鑑』출판 기념회: 지난 22일 6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회관 회의실에서 金定濟 저술인 『診療要鑑』의 출판기념회를 거행했다. 법무부장관 황산덕, 대한한의사협회 한요욱 회장, 서울시한의사회 윤사원 회장 등 각계 인사가 참석했다. 


○한의학 학술대회 경희대에서 개최, 우수 발표자에겐 杏林旗 수여: 대한한의사협회와 대한한의학회 공동 주최의 한의학 학술대회가 오는 25일, 26일 이틀간 경희대 중앙도서관 강당에서 개최한다. 주제 발표는 유근철 교수의 중풍치료의 실제, 이수호 교수의 침구학술의 발전책이다. 특강은 송태석, 배원식, 최용태, 이상국 등이 하기로 예정돼 있다. 단체 1등은 행림기, 허준배를 수여하며, 2등은 사암배, 3등은 동무배를 수여한다. 등외 참가자 전원에게는 참가상 및 부상을 수여한다.


○추계 국전 예술부에 申卿熙 前 경기도한의사회 회장 수상: 한의사 신경희 前회장이 금년도 추계국전 서예부에 출품한 萬海 先生 梅花詩가 추천작가상(예술원장상)을 수상했다. 신경희 원장은 1970년도에 서예 부문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경력도 갖고 있는 서예가로 알려져 있는데 인천시에 창제한의원을 개설하고 있다.


///끝




///시작


///면 29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뉴노멀 시대, 병원서비스의 혁신 방향은?


///부제 감염병 따른 병원 구조 변화부터 환자 분류 이뤄질 듯 


///부제 IoT·로봇·ICT 솔루션 등 기반한 스마트 병원 가속화  


///부제 의료인 외에도 다공급자가 포괄 의료서비스 제공  


///본문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병원환경과 의료서비스 제공 시스템에도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국내 의료기관들의 병원 감염관리 시스템 변화가 메르스 이후 본격화됐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전반적인 병원 의료시스템 역시도 ‘뉴노멀(경제 위기 이후 5∼10년간의 세계경제를 특징짓는 현상)’의 전환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서비스혁신단은 코로나19 이후 나타날 병원 혁신서비스에 대한 4가지 변화를 꼽아 ‘포스트 코로나, 병원서비스 혁신 방향’ 리포트에 제시했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라는 키워드로 압축되는 뉴노멀 시대, 병원서비스는 어떠한 형태로 나타날지 4가지 변화에 대해 소개한다. 




병원 구조, 감염과 비감염 ‘투 트랙’으로 변화




먼저 코로나19 사태 이후부터 환자 및 직원의 병원감염을 줄이기 위한 감염과 비감염 투트랙으로의 전환 시도가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보고서는 코로나19 및 호흡기 감염병 환자의 조기 발견을 위해 드라이브 선별진료소의 상설화와 병원 진입 전 자동음압제어시설을 갖춘 워킹스루 검진 선별진료소가 신축될 예정이라 내다봤다. 


또한 응급실 부속시설로 음압격리병실 구축 등에도 병원들의 투자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특히 응급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인력 구조 재배치와 재난상황에서도 필수 진료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응급실 폐쇄 표준지침 마련에 대한 논의 역시 활성화 될 것이라 보고서는 밝혔다. 


외래의 경우 열성 호흡기 외래센터 출입구 동선과 시설의 완전 분리 및 독립 운영 등이 이뤄질 것이며, 병원별 앱(App)을 통해 제공되는 예약접수, 검사결과 조회 등 일부 서비스를 확장할 것이라 내다봤다. 


병원 방문 전 감염병 위험 환자의 분류(triage)를 위해 AI기반 챗봇 등을 활용한 방문자의 사전 선별 프로세스 기능 도입도 자리잡을 전망이라 예측했다. 


사전에 수집 동의한 증상과 개인정보에 따라 예약된 시간에 내원 후 별도 접수 등의 대면 절차 없이 진료실로 이동해 병원내 접촉 최소화를 일상화 하는 방안들도 나올 것이라 보고서는 설명했다. 


의료서비스혁신단은 “결국 복잡한 병원 외래의 과밀화를 줄임과 동시에 환자 외래 접수공간과 진료 대기구역 축소 등 치료를 기다리는 방식과 외래 구조의 개선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환자 흐름(patient flow) 재평가 및 개선 




다수의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 병원운영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가장 중요하면서 빠른 방법으로 ‘환자 흐름(patient flow)’을 개선하는 것이라 언급했다. 


특히 올 하반기 코로나19가 재유행할 경우 환자 흐름에 대한 재설계는 감염병 확산을 제한하고 필수의료서비스 기능을 유지해 병원 운영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면진료가 필요한 유형과 비대면 진료가 필요한 유형 분류를 통해 팬데믹 상황 등 필요에 의한 수요를 수용하고, 이러한 방문유형을 유지하되 환자 및 제공자를 위한 선택적 의료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는 구조로의 논의가 역시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라 내다봤다. 


실제 코로나19 이후에는 비대면 진료에 대한 긍정 선호도가 증가하고 물리적 진료거리 확보 등 정책으로 환자 진료대기구역 수를 크게 축소하는 등 치료를 기다리는 방식이 대폭 개선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코로나19 대응에 있어 의료기관 방문 최소화를 위한 방안으로 비대면 진료(전화상담)와 처방 등을 제한적·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감염병의 유행이 주기화 되고 간격 또한 짧아짐에 따라 장기적으로 대면 접촉과 내원 환자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병원의 진료 전 과정에서의 비대면 서비스가 필요한 영역에 대한 검토 역시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병원의 스마트화 가속 




병원은 진료, 검사, 원무 등 기능이 다양하고 인력 및 시설·장비가 분야별로 매우 전문화 되어있어 물리적으로 매우 복잡한 공간이다. 이러한 복잡성은 환자의 주체적 의료이용을 방해하며 노약자, 장애인 등 의료취약계층의 의료접근성을 낮추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 병원의 복잡한 환경과 어려운 길 찾기 등은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과 불편함을 가중시키고, 의료진의 경우 실시간 자원 운용 현황 파악이 어려워 의료진의 불필요한 행정업무가 가중되거나 비효율적 동선이 발생해 업무 피로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될 ‘병원의 스마트화’는 분절된 프로세스와 인프라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인적·물적 자원 활용 효율성을 높이고, 발생 가능한 문제를 사전에 예측해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의료자원 배분 및 환자 흐름 관리를 위한 빠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해 위기 상황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도 예측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IoT)과 로봇공학 기반의 ICT 솔루션 등을 이용해 린넨 등 의료 폐기물을 로봇이 운송하고, 항공교통관제 등에서 활용되었던 중앙통제센터(Command Center) 시스템 도입 등이다. 


이를 통해 감염성 질환 관리는 물론 환자 흐름의 병목현상 해소, 대면 행정절차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대기시간 최소화 등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 설명했다. 




스마트 헬스케어의 실현  




미래 의료 생태계는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자, 사회서비스 제공자, 헬스케어 사업자, 보험자 등 여러 주체가 소비자를 중심으로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위해 이용자들의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헬스케어’의 실현이 완성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다만 ‘스마트 헬스케어’의 제공을 위해서는 먼저 ‘스마트 병원’을 중심으로 기존의 중증, 응급/급성기 의료, 수술 등 핵심적인 의료서비스의 효율적, 효과적인 제공이 이뤄져야 한다고 분석했다.  


동시에 1,2차 의료기관의 스마트화를 지원하고 지역 의료기관과의 연결성을 확대해 만성질환관리와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서 △권역내 의료주체들과의 역할 분담을 통한 종합 건강관리 실현 △연결된 헬스케어 조직의 감염병 등 의료데이터와 건보 등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의료서비스 제공 △백신·치료제와 혁신의료서비스 개발을 위한 R&D, 개발된 제품과 서비스 실증 생태계 마련 등이 이뤄질 것이라 전망했다.   


///끝




///시작


///면 30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적정진료 확산, 병원급·의원급서 선도기능 담당할 의료기관 조성 필요”


///부제 적정진료 선도하는 공공의료기관 비중 너무 작아…기능 수행에 한계 


///부제 대형의료기관에서 기능 수행…의원급 의료기관의 비급여 의존도 높여


///부제 KiRi 리포트, ‘공공의료기관의 적정 진료와 비급여 진료비 관리’서 제안


///본문 보험연구원이 지난 3일 ‘KiRi 리포트’를 발간한 가운데 ‘포커스’에서는 ‘공공의료기관의 적정 진료와 비급여 진료비 관리’(이태열 선임연구위원)를 주제로 한 글을 통해 공공의료기관의 역할 중 ‘적정 진료’의 선도 기능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의료비 문제의 가장 핵심적인 과제인 비급여 진료비 관리 문제에 대한 현황을 짚어보는 한편 향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국가의 보건의료 역량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면서 공공의료기관의 역할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공공기관의 역할을 크게 취약계층, 의료공급이 부족한 지역, 민영의료기관으로부터 소외되거나 공공성이 높은 의료 분야(감염병 포함)에 의료서비스를 공급하는 것과 의료시장 내에서 적정 진료를 선도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공공의료기관은 민간의료기관에 비해 수익성에 크게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적정 진료를 수행하기에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는 만큼 공공의료기관에서의 적정 진료의 선도기능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비급여 의료비 문제 대한 견해를 제시했다. 




우리나라 공공의료기관 비중, 


병상 수 기준 10.3% ‘불과’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총 221개의 공공의료기관이 있으며, 주로 군인이나 경찰 등 특수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거나 결핵 등 특수한 질환을 전문으로 하고, 노인요양시설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병상 수 기준 공공의료기관 비중은 10.3%로, 주요 유럽 국가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며, 민영건강보험 체제를 가지고 있는 미국과 비교해도 절반 이하의 수준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의 공공의료기관의 기능은 민간의료기관 중심의 의료체제에서 소외되어질 수 있는 영역을 보완하는 것과 더불어 적정 진료를 선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이태열 연구위원은 “공공의료기관은 의료 공급이 상대적으로 불충분한 지역이나 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과 같은 사회복지 서비스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에서도 지역격차 해소와 필수의료에 대한 전국민 보장 강화를 정책의 핵심적인 분야로 포함하고 있다”며 “또한 공공의료기관들은 일반적으로 적정 진료를 수행하기 때문에 의료시장에서 이러한 의료관행을 선도할 경우 전체 의료기관의 적정 진료를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공공의료기관 중심의 적정진료 확산…리더십 기대 어려워


그러나 공공의료기관이 전체 의료기관에서의 비중이 매우 낮아 (적정 진료에 대해)다른 의료기관을 선도하는 리더십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더욱이 우리나라는 공공의료기관보다는 대형 의료기관이 적정 진료를 선도하는 것으로 보여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의료기관이 비급여 진료에 더욱 의존하는 되는 부작용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소수의 공공의료기관이 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공급에 많은 역량을 할애하면서 취약계층 중심 의료기관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형성된 것은 시장 선도기능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며 “또 우리나라의 경우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등 대형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 비중이 빠르게 하락하면서 사실상 적정진료를 선도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대형의료기관의 시장지배력 확대가 적정 진료를 확산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의료기관이 생존을 위해 더욱 비급여 진료에 의존하게 되는 부작용도 우려된다”고 밝혔다. 


실제 상급종합병원의 ‘18년 진료비 비중은 전년도 20.8%에서 22.9%로 크게 확대되면서 ‘쏠림 현상’ 논쟁이 유발된 반면 같은 기간 의원급 의료기관의 비중은 25.2%에서 24.6%로 축소되는 한편 동기간 상급종합병원의 비급여 진료비 비중은 14.0%에서 11.7%로 하락했지만, 의원급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 비중은 19.6%에서 22.8%로 상승해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의원급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 비중의 상승이 대형의료기관의 시장지배력 확대에 대응한 생존 차원에서 진행된 것이라면 ‘적정 진료’가 전체 의료기관으로 확대되는 것을 기대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이같은 상황을 개선해 적정 진료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규모별·유형별로 다양한 영역에서 선도기능을 수행하는 의료기관이 존재해야 하며, 더불어 보험산업은 비급여 진료비에 대한 의존도가 대형의료기관과 의원급 의료기관 사이에 양극화되고 있는 현상을 실손의료보험 관리 차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의원급 의료기관, 비급여 진료비 증가의 장기적 지속 ‘우려’


이 연구위원은 “대형의료기관이 적정 진료에 근접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지만,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의료기관의 비급여 의존도를 높일 수 있어 선도 기능에 한계가 있는 만큼 이러한 변화는 일차 의료기관의 경영여건을 악화시키고, 전체 의료체제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며 “의료시장에서 적정 진료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병원급, 의원급에서도 선도기능을 하는 의료기관이 다양하게 존재하는 의료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의원급 의료기관의 비급여 의존도 증가가 의료기관간 경쟁력의 격차에 의해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라면 의원급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비급여 진료비 증가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의원급 의료기관은 대형의료기관에 비해 숫자가 많고 영세하기 때문에 적정 진료를 통한 비급여 진료비 관리를 유도하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어려울 수 있다는 점도 함께 유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




///시작


///면 31


///세션 기고


///이름 이정택 후후한의원장


///제목 한의원의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下


///부제 식이 치료와 저가형 한약물 치료 병행


///부제 한의계의 외연 확장에 도움될 수 있는 방향


///부제 대사성 질환은 식이치료의 본질


///부제 혈액검사, 한의약 접근성 한계 극복 


///본문 2. 편익(효용성)을 높이는 일


 가격을 낮춘다고 능사가 아니죠, 의료기관을 찾는 목적이 치료라는 편익이 담보되어야 하는데 아무리 싸다고 한들 질병의 회복과 개선이 없으면 무용지물입니다. 그러므로 치유라는 편익을 높여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질병은 크게 외상성, 감염성, 대사성 으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이 중 외상, 감염에 의한 질병은 침구치료나 약물치료가 중요합니다만 대사성 질환은 식이치료가 본질입니다. 


 비만,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과 이로 인한 심혈관질환, 대사성 암, 그리고 우울, 불안, 공황 등의 정서장애, 각종 이상면역질환 등은 식이기반의 대사질환 들입니다. 한국 의료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환자군을 형성하고 있는 질환들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아쉽게도 이 분야에서 한방은 아웃사이더입니다. 평생 치료해야 한다고 교육되고 믿어 왔던 이 질환들은 식이치료와 약간의 한방 치료로도 양방에 비해 경쟁력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는 분야입니다. 대사질환은 자신의 영양 흡수 조건에 반(反)하는 식사가 원인으로, 이를 교정하는 것만으로 어렵지 않게 치료될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 만나게 되는 당뇨 환자의 흔한 사례를 보면 대부분이 양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고 있으나 혈당치나 당화혈색소치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병원에서 약은 먹으라고 해서 먹고는 있지만 실제 당뇨가 관리되거나 치료되고 있지는 않은 상태인 것이죠. 이런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당질제한 식이지도에는 관심이 없고 약만 먹으면 해결될 것 같은 기대를 주면서 평생을 끌고 가는 것입니다. 


이런 분들도 식이치료와 한약물치료로 어렵지 않게 정상적이 수치로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8%대의 당화혈색소를 6%대로 개선하는 일이 수 개월 안에 가능하며 일정 기간 치료 이후는 의학적 치료없이 회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환자 분들의 치료 만족도 또한 아주 좋습니다. 수동적인 치료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통제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당뇨의 예를 들었지만 당뇨 외에도 고혈압, 고지혈증 등에서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한의계가 경쟁력있는 편익을 줄 수 있는 거대한 시장이 존재한다는 것이죠    


앞서 말씀드렸듯이 편익은 객관성있는 평가를 통해 모호함을 없애주는 노력 또한 중요합니다. 대사질환은 대부분 혈액검사나 체성분, 혈압 등과 같은 숫자 기반의 객관적 자료를 평가의 기준으로 삼습니다. 진료의 경과가 고스란히 숫자로 표현되어 효용성을 부인할 수가 없습니다. 


저는 수 년 전부터 혈액검사를 경과판단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혈액검사를 적극 활용하시면 진료의 신뢰도와 가치가 아주 높아집니다. 많은 원장님들이 꼭 활용하셨으면 합니다.


 혈액검사가 갖는 또 다른 가치는 증을 변별하여 치료를 논하는 한의학의 접근성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변증논치에서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 기초가 되는데 이게 없다면 한의학에서는 질병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실제 초기 당뇨나 경계성 당뇨의 경우는 혈액검사상의 숫자말고는 삼소(三消) 같은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에 증상의 그림자에 해당하는 상(象)을 판단할 수 있어야 미병(未病) 상태를 구분하고 치료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죠. 현대의 대사질환은 한의학의 미병(未病)입니다. 그리고 현재 의약산업에서 가장 큰 시장이기도 합니다. 대사질환이라는 거대한 시장의 진입은 혈액검사의 수치에 한의학적 판단을 입히려는 노력에서 부터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이상을 요약하자면 혈액검사를 기초로 식이치료와 저가형한약물 치료를 병행하면 만성적인 대사질환의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새로운 진료 영역의 개척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넘어야할 과제가 있습니다.


 첫째는 식이치료는 임상적 가치는 뛰어나지만 환자 교육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요되고 비용을 받기 어렵습니다. 재정적 성과를 얻기 어렵다는 것이죠.


 둘째는 건강회복을 위해 요구되는 안전하고 생물학적 가치가 높은 양질의 식재료가 시중에 충분치 않다는 점입니다. 구체적으로는 GMO사료, 항생제, 살충제, 생육촉진제, 농약, 중금속, 식품첨가제 등에서 자유로운 식품이 많지 않다는 것이죠. 


이 두가지는 식이치료를 적용하면서 풀어야할 가장 큰 숙제였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대안이 한의계의 노력이 진료실에서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식품의 개발이나 전달에도 참여하여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를 한의계가 나눠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새로운 진료 영역의 확장 뿐만 아니라 식품분야에서도 한의사의 사회적 영향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사례로 말씀드리자면 양질의 식재료를 생산농가와 함께 기획, 생산을 한 뒤 이를 생산지에서 소비자에게 직접배송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수익의 일부를 진료실에서 소비자 교육에 참여했던 원장님들에게 나누어 드리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되면 친환경, 생명윤리 농업을 지향하는 뜻있는 농가의 안정적인 수요를 보장할 수 있고 원장님들은 진료 외에도 지속적으로 정기적인 수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꿈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작은 실천이라 믿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방법이 한의계의 외연 확장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방향이 되길 바라고 뜻이 있는 선생님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길이었으면 합니다.


///끝




///시작


///면 32


///세션 인터뷰


///이름 김태호 기자


///제목 “글로써 환자를 기억한다”


///부제 글, 강연 통해 친숙한 한의약 이미지 개선에 힘 써


///부제 월간지 <개똥이네 집>, <작은 책>에 수년 간 한의학 내용 연재  


///본문 [편집자 주] 한의학을 통해 즐겁게 일하고, 환자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사람으로 남고 싶다는 권해진 원장(래소한의원)은 진료 과정에 있었던 스토리를 바탕으로 글을 연재하고 있다. 그의 글에는 환자를 기억하고, 환자를 케어하기 위한 방법들이 그만의 방법으로 기록돼 있다. 그가 글을 쓰게 된 계기와 앞으로의 계획 등에 대해 들어봤다.


Q. 환자들과의 만남, 한의학적 견해 등 다양한 이야기를 연재하고 있다.


래소한의원은 파주출판단지에서 가장 가까운 한의원이다. 그래서인지 인쇄 종사자, 삽화 및 동화책의 그림 디자이너, 편집자 등 출판과 관련된 분들이 환자로 많이 방문한다. 그 중 편집자 두 분이 내게 글을 써 볼 것을 권유했다. 


그분들은 환자에게 재미있게 이야기하는 내 모습을 글로 표현하면 좋겠다는 조언을 했고, 이를 바탕으로 2011년 처음 글을 쓰게 됐다. 


선생님같은 두 분에게 정말 많은 도움을 받았다. 글을 쓰기 시작하자 지역신문에서 칼럼을 요청했고, 이후에는 출판사와 잡지에 내 글이 연재되기 시작했다. 


<개똥이네 집>, <작은 책> 두 월간지에서 각각 5년, 2년 한의학 건강상담 등의 내용으로 연재를 했으며, 이 내용들을 묶어서 내년에는 내 이름으로 된 책을 낼 예정이다.




Q. 글을 잘 쓰기 위한 본인만의 노하우가 있다면?


‘욕심’을 버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대단한 작품을 쓴다는 생각을 버리고, 부담감에서 벗어나야 한다. 나 또한 그런 일념 하에 용기를 갖고 글을 썼던 것 같다.


두 번째로 ‘마감’이라는 시간의 감옥에서 벗어나야 한다. 시간에 쫓겨 계속 글을 들고 있으면 정신적 압박, 스트레스, 에너지 소비 등 낭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시간의 감옥에 갇히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글과 관련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친구들이 있으면 좋다. 그것이 독서모임으로 이어져도 좋다. 나 역시 독서모임을 시작한 지 10년이 지났고, 책을 읽고 글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사람이 주위에 있어 큰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글과 관련된 많은 지식들을 습득하고자 노력한다. 김탁환 선생님의 <천년의 습작>, 이강룡 선생님의 <글쓰기 기본기> 등의 저자강연을 들으면서 글 쓰는 법만큼 중요한 저자의 태도에 대해서도 공부 하게 됐다.


이를 토대로 글처럼 살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집중해야하고, 살아가는 내용을 글로 표현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




Q. 주로 어떤 내용의 주제를 다루는지?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룬다. 환자와 있었던 이야기를 주로 쓰며, 한의학을 조금 가미한다. 동료 원장님들의 차트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보통 차트를 살펴보면 한의학 용어가 90% 쓰여 있고, 나머지 10%는 환자들의 개인사가 담겨 있다. 10%의 개인사가 조금 조정돼 풍부하게 다뤄졌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이렇게 글을 쓰는 이유는 차트를 작성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환자를 어떻게 기억하고 후에 어떤 방식으로 돌봐야겠다는 나만의 다짐이다.




Q. 쓰신 글 일부에 환자들과의 대화 내용들이 자연스레 녹아있는 것을 봤다.


유독 내 글에는 대화체가 많다. 표준어를 구사해 글을 쓸 때와는 달리 대화체에서는 그런 굴레에서 조금은 벗어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환자는 아픔을 표현할 때, 단순히 ‘아프다’라는 표준어를 사용하지 않고 ‘자글거린다’ 등 본인이 느끼는 감정을 그대로 드러낸다. 그들이 표현하는 단어를 듣고 증상을 기억하기도 한다. 그것이 공감이라 생각하며 글에 그대로 녹여내는 이유이기도 하다.




Q. 글쓰기 외에도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고 들었다.


내겐 두 아이가 있다.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해 글에 대해서 알기 시작하자 내가 쓴 글과 한의사라는 나의 직업에 대해 궁금해하기 시작했다. 아이들에게 글과 한의학을 쉽게 설명해주던 것이 강연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아이들이 한의학을 친숙하게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부모와 함께 오감으로 느끼는 한의학’이라는 강연을 했다. 치자를 갈라 우리 몸에서 펌프 역할을 하는 심장의 모습을 상상하게 도와줬더니 아이들이 약재인 치자를 쉽게 잊지 못하더라. 


강의에 왔던 아이들이 “한의학이 가깝게 느껴져요. 침도 맞아 보고싶어요” 웃으며 말할 때면 기분이 좋아진다.


코로나19로 인해 강연을 지속하지 못했지만 9월에 해오름 작은 도서관에서 다시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끝




///시작


///면 33


///세션 기고


///이름 임정태 연구원


///제목 ♦KMCRIC와 함께 임상논문 쉽게 읽기


///부제 홍삼이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을까?


///본문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KMCRIC 제목


홍삼이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을까?




서지사항


Baek JH, Heo JY, Fava M, Mischoulon D, Choi KW, Na EJ, Cho H, Jeon HJ.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in individuals exposed to high stress levels: a 6-week,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J Ginseng Res. 2019;43(3):402-7. doi: 10.1016/j.jgr.2018.03.001.




연구설계


무작위배정, 두 그룹, 환자 및 의사 눈가림, 플라시보약 비교 임상연구




연구목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그룹에서 홍삼 분말 투여는 주관적 스트레스와 인지 기능 및 스트레스와 관련된 biomarker를 개선하는가?




질환 및 연구대상


1) 평소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종인 간호사와 소방관 총 63명, 연령은 20~60세로 제한


2) Beck 우울증 검사(BDI)는 21문항으로 구성된 4점 리커트 척도임(총점 0~63점). 10~29점 사이 즉 mild, moderate depression 상태를 포함하였음. 단, 30점 이상의 severe depression은 제외됨.


3) Stress Response Inventory(SRI)는 2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5점 리커트 척도로 81점 이상일 때 고스트레스군으로 정의되며 고스트레스군을 대상으로 함.




시험군중재


홍삼 치료군 32명. 한국 담배인삼공사에서 제조된 홍삼 파우더 투여. 6년근 Panax ginseng Meyer의 뿌리를 90~100도에서 3시간 증기 가열 후 50~80도에서 건조함. 홍삼 캡슐(LAX-101) 하나당 500mg의 홍삼 파우더 함유. 하루에 총 4캡슐 복용(2캡슐×2회, 캡슐당 500mg) 총 2g의 LAX-101 캡슐을 6주간 복용




대조군중재


플라시보 대조군 31명. 총 2g의 플라시보 캡슐(하루 총 4캡슐, 2캡슐×하루 2회, 1캡슐당 500mg)을 6주간 복용




평가지표


1. Perceived Stress Scale(PSS): 개인의 스트레스 레벨을 측정하는 10개 문항의 5점 리커트 척도


2. Profile of Mood State(POMS): 지난 한 주의 기분 상태를 6개 영역에서 측정하는 65문항의 5점 리커트 설문지


3. Sheehan Disability Scale(SDS): 기능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3문항의 11점 리커트 설문지. 직장/학교, 사회, 가정에서의 기능 상태를 측정 


4. Visual and auditory controll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인지 기능 중에서도 주의 집중과 기억을 평가하며 10분 정도 걸림


5. Biological 평가: 카테콜라민(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염증 지표(IL-1b, IL-2, IL-4, IL-6, IL-10, IL-12, interferon-gamma,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C-reactive protein); 지질; 혈당(공복 혈당 및 당화 혈색소)




주요결과


연령, 성별, 체중, 스트레스/우울 정도 등의 Baseline에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시험군 32명 중 28명, 대조군 31명 중 27명이 연구를 끝까지 완료했다. 


주관적 환자 보고 지표에서 스트레스 정도(PSS), 기분 상태(POMS), 기능 손상 정도(SDS)에서 홍삼 투약군과 플라시보 대조군 사이에 6주 후 각 지표의 총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인지 기능에서도 6주 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iological marker에서 홍삼 투여군의 중성지방 수치가 더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평균값이 정상 범위 안에 있었으며 정상 범위를 넘어가는 환자의 비율도 두 군이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 부작용을 초래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기술되어있으나, 결과 표에서 시간×그룹 간의 교호 작용이 있어 홍삼군과 대조군에서 시간에 따라 중성지방의 변화 패턴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홍삼 투여군에서는 에피네프린 레벨이 대조군에 비해 6주 뒤에 더 낮았다(27.87 pg/dL vs 35.00 pg/dL, p=0.043). 중성지방은 에피네프린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결론


본 연구는 인삼의 강장 효과에 대한 첫 번째 이중 맹검 무작위 대조군 연구로, 고스트레스 그룹에서의 인삼 투여가 자율신경계에 작용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강장 효과를 가지는 것에 대한 생리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KMCRIC 비평


인삼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가장 상업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약재이기도 하다. 


여러 동물, 세포실험에서 인삼은 신경 조절 [1], 신경 보호 [2], 항염증 작용 [3] 등이 밝혀져 있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지만 이에 대한 임상시험은 없었다.


 본 연구는 인삼의 강장 효과(adaptogenic effect)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를 확인하기 위한 첫 번째 이중 맹검 대조군 연구다. 본 연구에서 연구진들은 스트레스 고위험군에서 6주간 홍삼을 투여하고 스트레스 레벨, 인지 기능 및 기타 스트레스와 관련된 혈액 검사 결과들을 비교했다.


6주간 투여 결과 주관적인 지표인 감정 생태(POMS), 스트레스(PSS), 기능 장애 정도(SDS) 및 인지 기능에서 홍삼 투여군과 위약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iological marker에서는 치료군에서 에피네프린 레벨이 낮아지고 중성지방은 높아졌으며 다른 지표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에피네프린은 지방세포에서 중성지방의 가수분해를 촉진한다. 에피네프린은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치료군에서 홍삼 투여로 에피네프린 레벨이 낮아진 것이 중성지방의 상승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4]. 


이전에 인삼에 풍부한 물질인 사포닌에 대한 연구에서도, 사포닌이 카테콜아민 수치를 낮췄던 연구 결과와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5]. 한편, 본 연구의 연구진들은 6주라는 시간이 효과를 측정하기에는 비교적 짧았기 때문에 좀 더 장기 투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방법론 및 기술상 아쉬운 점들이 있다. 본 연구의 Primary outcome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샘플 사이즈 산출 과정이 명확하지 않아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탐색적 연구 결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탐색적 연구라면 연구 제목이나 초록에 명시가 되어 있어야 하는데 그 또한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을 통해 홍삼의 효과가 이러한 가능성이 있다는 가설 생성 수준에서 이해하는 편이 더 적절할 것 같다. 또한 주관적 측정 지표의 경우 평가자의 맹검 여부가 매우 중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clinician과 patient에 대한 맹검만 기술하고 평가자의 맹검 여부가 모호하게 기술되어 있는 점이 아쉽다.


또 한 가지, 방법론 부분에는 normal control군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연구 결과에서는 normal control 그룹에 대한 언급이 없는 부분도 연구 결과 보고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 중의 하나다. Biological marker의 경우에는 스트레스에 대한 주관적 측정 부분에서는 호전이 없었으나 혈액 검사를 통한 대리 표지자들에서 개선을 보였다. 


그러나 임상적 지표가 아닌 혈액 검사를 통한 대리 표지자의 호전은 실제 임상적 호전과는 관련성이 낮은 경우도 많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인삼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거나 자율신경계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고 해석하는 것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끝




///시작


///면 34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한국한의약연감’ 한의약 주요 현황 집약 


///부제 한의협·한의학연·한의약진흥원·부산대 한의전 등 4개 기관 공동 발간


///부제 올해로 발간 10주년…오는 10월 국회에서 기념 토론회 개최 예정  


///본문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김종열·이하 한의학연)·한국한의약진흥원(원장 이응세)·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원장 권영규)이 공동으로 한의약 분야 최신 통계를 담은 ‘2018 한국한의약연감’(이하 연감)을 발간했다.


한국한의약연감은 국내 유일의 한의약 총괄서로, 지난 2009년 첫 발간 이후 올해로 발간 10주년을 맞이했다.


연감은 2018년 한 해 동안 추진된 한의약 관련 사업과 활동, 한의약 시설 및 이용 현황 등을 다루고 있으며, △행정 △교육 △연구 △산업 등 총 4개 부문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시계열적 지표와 통계자료를 제공하며, 한의약 관련 정책과 시장의 변화 추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행정 부문에서는 △정부 인력 및 사업 △주요 정책 추진 성과를, 교육 부문에서는 △대학별 교원 및 시설 현황 △대학별 교육훈련 현황 및 교육과정 등이 게재돼 있다. 또한 연구 부문에서는 △한의약 R&D 투자규모 △한의약 선도 기술개발사업 등을, 산업 부문에서는 △한약재, 한약제제, 한의 의료기기 등 시장현황 △한방산업 추진 현황 등을 다루고 있다.


이와 함께 연구와 산업 부문에는 중국, 일본, 미국 등 해외 전통의학 현황도 함께 수록해 국가간 한의약 현황과 비교할 수 있다.


연감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한의학연 홈페이지(www.kiom.re.kr, 연구마당-연구성과물-출판물)에 PDF 파일로 제공된다.


한편 발간 10주년을 기념해 오는 10월 중 국회에서 연감발간 10주년 기념 및 한의약 통계 발전 관련 토론회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김종열 원장은 “올해 발간 10주년을 맞이한 한국한의약연감은 한의약 정책 수립, 학술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돼 왔다”며 “지속적인 연감 발간을 통해 한의약의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며, 한의학이 세계전통의학을 선도하는 주춧돌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34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코로나19 백신 확보 위해 투트랙 전략 필요”


///부제 “국내 백신 개발 지원하면서 글로벌 백신 선구매 나서야” 


///부제 보건산업진흥원, ‘글로벌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확보전략’ 포럼 개최    


///본문 코로나19 백신의 확보를 위해서는 국내 자체 백신 개발과 더불어 해외 개발 백신을 도입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달 31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글로벌 코로나19 백신 개발 동향 및 확보전략(이하 헬스케어 미래포럼)’을 열고, 전문과들과 ‘전 세계 백신 개발 동향 및 주요국 대응 현황’과 ‘코로나19 백신 확보 및 접종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먼저 주제발표로 나선 묵현상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장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조사한 백신 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현재 임상3상이 진행 중인 코로나19 백신은 5개라고 밝혔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백신 개발사는 미국의 모더나와 바이오엔텍/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옥스포드대학, 노바백스 등으로 이들 기관이 개발하고 있는 백신이 가장 앞서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묵 단장은 국내의 경우 SK바이오사이언스가 합성단백질 백신을 개발 착수해 올 하반기에 임상1상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그는 “우리나라 백신 원천기술이 훌륭하다고 하기엔 어려운 만큼 백신 글로벌 공동 연구개발에 참여하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정부는 백신 자체개발을 위한 R&D 지원과 함께 해외 개발 백신 도입을 위한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 연자로 나선 송만기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차장은 글로벌 차원의 백신 분배와 접근성 보장을 위해 출범한 COVAX(COVID-19 Vaccine Global Access) Facility와 자체 공급 계약을 통한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송만기 사무차장은 “COVAX는 전세계 백신 공급을 위해 사전 공급을 약정하는 기업에겐 최소 마진과 공급물량을 보장하고, 장기적으로는 차별적 가격 정책 보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현재 165개 국가와 전 세계 인구 60%가 COVAX 퍼실리티에 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송 사무차장은 “우리나라에서도 백신 개발 중이지만 임상 3상은 국내에서 할 수 없기 때문에 국내 개발이 상당히 늦어질 것”이라면서 “해외에서 임상3상 진행 중인 백신에 대한 제약사와 개별적인 접촉을 통해 공급 물량 확보가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태준 SK바이오사이언스 전무도 코로나19 백신 확보를 위해서는 “투 트랙 전략이 시기적절한 방법”이라면서 “우리 또한 백신 생산역량을 가지고 있지만, 글로벌 임상 중인 백신 선구매를 어떻게 해야 하느냐에 대한 접근 방법이 나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백신이 국내에 수입될 경우 국내 공급 정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확보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COVAX를 통한 백신 공급량은 국내 인구 20%에 불과한 만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워킹그룹을 통해서 백신 접종 필수인력을 정하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끝




///시작


///면 35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전문병원 명칭사용’ 어떻게 해야 하나? 


///부제 “보건복지부 지정받은 분야만 명확히 표기해야”


///부제 미지정 분야 진료과목명과 ‘전문병원’ 명칭 사용 시 표시광고법 위반  


///부제 비지정 기관의 SNS 해시태그를 통한 ‘전문병원’ 문구 사용도 법 위반


///부제 객관적 근거 없거나 입증 어려운 ‘전문’, ‘특화’, ‘첨단’ 용어 사용 자제


///본문 [편집자 주] 최근 보건복지부와 의료광고 자율심의기구가 의료인이나 의료기관에서 의료광고를 진행할 때 점검·준수해야 할 사항 및 실수하기 쉬운 위반 사례를 정리한 ‘유형별 의료광고 사례 및 점검표(체크리스트)’를 제작·배포했다. 이에 본란에서는 불법 의료광고 주요 유형별 사례를 정리해 게재한다.




의료법 제3조의5 제1항에서는 ‘보건복지부장관은 병원급 의료기관 중에서 특정 진료과목이나 특정 질환 등에 대해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을 전문병원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불법 의료광고 유형을 살펴보면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이 아님에도 전문병원 진료과목명과 ‘전문병원’ 명칭을 사용하거나 전문병원 미지정 분야의 진료과목명과 ‘전문병원’ 명칭을 사용하는 사례가 있다.


예를 들면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이 아님에도 ‘관절 전문병원 ○○병원’ 문구를 광고한다거나 ‘임플란트’는 전문병원 미지정 분야임에도 ‘임플란트 전문병원’ 문구를 사용하는 경우다.


이는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할 우려가 잇는 부당 표시·광고 행위로서 ‘표시광고법’ 제3조에 의한 거짓·과장의 표시·광고로 볼 수 있다.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을 광고할 때 올바른 표기법은 먼저 지정받은 분야 등을 명확히 표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지정분야가 관절질환이라면 ‘관절전문병원’이라고 표기해야지 ‘관절·척추 전문병원’과 같이 표기하는 것을 잘못된 것이다.


네트워크병원 중 일부 지점이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인 경우라면 지정받은 기관의 지점명 또는 소재지 등을 병기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의료기관이 전문병원으로 지정된 것으로 오인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노인복지법 종전 규정에 따라 허가된 노인전문병원의 경우 ‘전문병원’ 명칭 사용이 가능하지만 지난 2011년 6월 노인복지법 개정(2011년 12월8일 시행)으로 ‘노인복지법’의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제외되고 ‘의료법’의 요양병원에 포함됨에 따라 법 개정 이후 설립된 요양병원은 사용이 불가하다.


SNS에서 해시태그 등을 통한 ‘전문병원’ 문구 사용도 법 위반에 해당된다.


보건복지부 ‘전문병원 광고관련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이 아닌 의료기관의 키워드 광고를 포함한 배너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등 인터넷 포털 광고 전체에서 ‘전문병원’ 용어가 노출되는 광고를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키워드 검색광고에서 ‘전문병원’, ‘전문’, ‘특화’, ‘첨단’ 또는 특정 질환명, 신체부위, 시술명(척추, 관절, 코골이, 라식 등) 등으로 검색 시 결과 값으로 비지정 의료기관의 ‘전문병원’ 용어가 노출되는 광고와 ‘전문병원’ 또는 ‘전문’ 키워드로 검색 시 결과 값에 ‘전문병원’, ‘전문’ 명칭이 노출되지는 않지만 비지정 의료기관의 명칭 및 소개 등이 노출되는 광고를 금하고 있는 것.


SNS 해시태그의 경우 해당 키워드 검색을 통해 게시물이 노출될 수 있고 의료기관 계정으로 SNS를 운영하는 경우 해시태그도 의료기관이 게시한 게시물의 일부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성형 #전문병원’ 등과 같이 표현한 사례 역시 전문병원 명칭사용 위반으로 본다.


또한 보건복지부 ‘전문병원 광고관련 가이드라인’에서는 의료기관명칭(고유명칭+종별명칭)과 함께 ‘전문’ 용어를 사용한 광고는 소비자를 오인하게 만드는 것으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의료기관명칭과 함께 해당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객관적 근거가 없거나 입증이 어려운 경우 ‘전문’, ‘특화’, ‘첨단’ 등의 용어 사용을 자제하도록 하고 있다.


의료광고 사전심의 기준에서도 ‘전문’, ‘특화’ 등의 경우 객관적으로 인정되지 않거나 근거가 없는 내용으로 보고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끝




///시작


///면 35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급여 기부 캠페인으로 사회공헌 실천


///부제 소람한방병원, ‘급여 1% 기부’ 캠페인 실시


///본문 소람한방병원이 지역사회 공헌을 위해 급여의 1%를 기부하는 캠페인을 실시한다.


소람한방병원은 기부금 모금 캠페인인 ‘단1%의 사랑’을 지난 2018년부터 시작해 올 해까지 3년째 이어오고 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단 1%의 사랑은 소람한방병원 임직원이 지역사회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기부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급여 1%, 2%, 3% 중 하나를 선택해 기부하는 캠페인이다. 올 해 모은 기부금을 강남복지재단에 기부하기로 했으며 지난해에는 1% 사랑나눔 캠페인을 통해 5000만원의 기부액이 조성됐다.


소람한방병원은 연말에는 바자회를 통해 조성한 수익금을 소외된 이웃에게 전달하는 ‘사랑 나눔 캠페인’도 진행할 예정이다. 


성신 소람한방병원 병원장은 “소람인이 추구하는 우선가치 중 하나가 더불어 함께하고 나누는 삶”이라며 “다양한 모금과 기부, 나눔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호흡하며 함께 발전해가는 병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36


///세션 인터뷰


///이름 김태호 기자


///제목 “한의치료 덕에 운동도 맘껏 할 수 있죠” 


///부제 태권도 국가대표, -68kg급 세계랭킹 1위 이대훈 선수 


///부제 ‘뭉쳐야 찬다’ 에이스로 자리매김…“무엇이든 최선을 다하려고 노력”


///부제 ‘코로나19 한의진료센터’에 투입된 한의사 분들에게 경의 표해 


///본문 아시안게임 태권도 3연패, 각종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우승만 23번, 태권도 세계챔피언 이대훈 선수가 최근 JTBC 인기 예능프로그램 ‘뭉쳐야 찬다’에 출연해 팬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스포츠 전설들로 꾸려진 ‘어쩌다FC’의 용병으로 초대받아 뛰었던 그의 첫 번째 경기 상대는 다름 아닌 한의사 축구클럽인 ‘한의FC’, 그는 데뷔전에서 2골을 기록하는 등 맹활약을 펼쳐 결국 ‘어쩌다FC’의 멤버로 영입됐다.


이대훈 선수는 한의FC와의 맞대결을 회상하며 “훌륭하신 선배님들 사이에서 뛸 수 있는 것만으로도 영광이었고, 깊은 연이 있는 한의사 선생님들과 함께 땀을 흘릴 수 있어 즐거웠다”며 “태권도 경기에 임하듯 맡은 역할에 최선을 다하자는 생각으로 프로그램에 임했는데 시청자 분들이 좋게 봐주셔서 감사할 따름”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된 도쿄올림픽도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는 그와 함께 한의신문이 인터뷰를 진행해봤다. 




Q. 최근 JTBC 예능 ‘뭉쳐야 찬다’에 출연해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우선 감사한 마음이 앞선다. 또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스포츠 레전드 선배님들과 함께 그라운드에 설 수 있어 영광이다. 아시다시피 태권도 대회는 아시안게임, 세계선수권대회, 올림픽 등 짧게는 2년 길게는 4년에 한 번 돌아오기에 그 순간에만 대중들로부터 관심을 받는다. 


좋은 기회로 일주일에 한 번씩 프로그램에 출연해 많은 분들이 알아봐주시고, 축구뿐만 아니라 태권도에 대한 응원과 관심도 받고 있다. 출연하는 동안 태권도와 축구 두 종목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드릴 것을 약속한다.




Q. 축구 경기에서 지는 것이 태권도 경기에서 지는 것보다 더 마음 쓰인다고 말했다.


태권도는 오랜 시간 해왔던 종목이기에 시합을 하다보면 승패에 대한 예측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매 경기 최선을 다하기 때문에 지는 상황이 오더라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편이다. 


하지만 태권도와는 달리 축구는 팀 스포츠다. 내가 좋은 모습을 보이더라도 팀에 도움이 되지 못하면 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래서인지 더욱 지기가 싫고, 매 경기 최선을 다하게 되는 것 같다.




Q. ‘한의FC’와의 경기에서 첫 데뷔전을 치렀다.


당시 정식 입단이 아닌 용병의 자격으로 경기에 참여하게 돼 여유는 물론 정신도 없는 상황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방송에는 소개되지 않았는데 양회천 원장님께서 어쩌다FC 선수들에게 추나요법을 시연하는 등 한의학을 소개하는 시간도 있었다. 유능하신 분들이 ‘뭉쳐야 찬다’를 찾아주셨기 때문에 너나 할 거 없이 손들고 치료를 받겠다고 외쳤다. 나 역시 침, 추나 등 치료를 받고 싶었지만 시간이 부족해 받지 못했다. 아쉬움이 남는다.


이후 경기에 돌입했는데 그 날 두 골을 기록하신 김정환 원장님께서 찬스 때마다 좋은 위치를 선점하고 있어 어쩌다FC 선수들도 매우 경계했던 게 기억난다.


이와 함께 경기를 하면서 놀랐던 점은 국민건강증진에 이바지하는 의료인 분들이 운동을 업으로 삼고 있는 선수들에게 전혀 뒤지지 않는 운동실력과 승부욕을 보였다는 것이다.




Q. 한의학과는 남다른 인연이 있는 걸로 알고 있다.


침 치료를 통해 오랫동안 앓아왔던 족저근막염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 학창시절 족저근막염 때문에 고통스런 나날을 보냈던 적이 있다. 아침에 일어나 발을 땅에 내딛는 순간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이 수반됐고 오랫동안 서 있기가 힘들었다. 당시 병원을 찾아 다양한 치료를 받았었지만 호전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그러던 찰나 한의원에서 족저근막염을 치료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방문하게 됐다. 지속적인 치료를 받았더니 어느샌가 발바닥이 아프지 않았고, 완치라는 짜릿함을 맛보게 됐다. 이후에도 근골격, 햄스트링, 담 등과 관련된 문제가 생길 때면 한의학을 선호하고 찾게 되더라. 이젠 오랜 시간 운동을 해도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요즘은 약침, 추나 등이 재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특히 추나의 경우는 꼭 한 번 받아보고 싶은데 꾸준히 받을 시간이 없어 너무 아쉽다. 태권도 국가대표가 돼서도 한의학과의 인연은 이어졌다. 각종 국제대회에서 태권도 선수들의 몸 상태를 관리해주시는 한의사 선생님들이 계셨고, 그 중 척추신경추나학회 부회장을 맡고 계신 송경송 원장님과 연이 닿아 많은 조언을 받았다.




Q. 코로나19로 인해 도쿄올림픽이 연기됐다. 몸 상태는 어떠한가?


올해 초까지만 하더라도 도쿄올림픽 일정에 맞춰 몸 관리를 꾸준히 잘하고 있었다.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라 개최여부가 불확실해지자 걱정이 됐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반대로 더 열심히 준비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자신감도 많이 생겼었다.


대회를 앞두고 있는 선수 입장에서는 동기부여가 매우 중요하다. 또 한 번 1년이라는 시간을 기다려야 하다 보니 동기부여가 떨어져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다시 한 번 마음을 단단히 먹고 준비해보고자 한다. 부상 없이 레이스를 마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Q. 최근 대한한의사협회가 ‘코로나19 한의진료 전화상담센터’를 진행했다. 의료진에 응원의 메시지 부탁드린다.


어떤 병이든 몸이 약한 사람 특히 노인 분들에게 타격이 크다. 쉽지 않은 일임에도 불구하고 병에 취약한 분들을 위해 좋은 한약과 한의치료를 통해 환자 분들을 돌보고 있다는 사실에 존경을 표한다.


코로나 환자 가운데 20%가 넘는 초진 환자들이 한의진료를 경험했다는 사실을 오늘에서야 알게 됐다. 한 사람의 국민으로서 이 자리를 빌려 한의사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의료진들의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나 역시 예방을 철저히 할 것이며, 주변 동료 선·후배들과 함께 예방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도록 하겠다.




Q. 국민들에게도 응원의 메시지 부탁드린다.


코로나19로 인해 불편하고 답답한 생활이 오래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국민들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나 하나 쯤이야’하는 생각을 ‘나 하나라도 지키자’로 전환하길 바란다. 의료진들의 노고를 생각해서라도 청결을 유지하고 마스크 착용을 꾸준히 하면 더 빠른 시일에 코로나19를 극복할 수 있을 거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어려운 여건 상황에 놓여 있지만 이 위기를 함께 극복해나가자!




Q. 독자들에게 남기고 싶은 말은?


‘뭉쳐야 찬다’ 덕분에 많은 관심, 사랑을 받고 있다. 실망스러운 모습 보이지 않도록 어떤 분야에서든 성실하게 임해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최선을 다 하겠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곳곳에서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힘쓰고 있는 한의사 선생님들의 노고에 다시 한 번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끝




///시작


///면 39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팔물탕’ 美 FDA 신규 건강보조성분 인증 


///부제 통합의료진훙원·아리바이오, 의학·한의학 통합의료 국제화 및 상용화 기여 전망 


///본문 (재)통합의료진흥원(이사장 손건익)과 아리바이오(대표 정재준)는 '팔물탕(ARI-PM)'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규 건강보조성분(NDI, New Dietary Ingredient) 인증을 획득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이는 2018년 6월 자음강화탕(ARI-JE), 2018년 12월 보중익기탕(ARI-BJ), 육미지황탕(ARI-YM)에 이어 추가로 인증을 받은 것으로 NDI는 미국 FDA가 새로운 건강식품 원료에 대한 안전성을 부여하는 제도다. 


복잡하고 까다로운 절차 때문에 매년 수백 건의 신청 중에서 최종 인증을 받는 경우는 연간 2, 3건에 불과할 정도로 엄격하다.


팔물탕(八物湯)은 인삼, 백출, 백복령, 자감초,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등 8가지 약재로 구성된 대표적인 보약 중 하나로 빈혈, 월경 장애, 기능성 자궁 출혈, 만성 소모성 질환 등에 처방된다.


2011년부터 보건복지부와 대구시의 지원을 받아 국책사업으로 NDI 인증 4가지 성분과 양방치료제와의 병용투여 연구가 진행중으로 대구한의대 구세광 교수와 함께 팔물탕과 hrG-CSF(과립백혈구 집락자극인자)의 병용투여 시 골수유래 줄기세포 증식 및 부작용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해 밝혀낸 바 있다.


이후에도 바이오 벤처기업인 아리바이오(대표 정재준)와 함께 팔물탕(ARI-PM)의 NDI 인증을 위해 동물실험 및 임상시험을 통한 안전성 증명 완료, 서양인들도 복용이 쉽도록 정제를 개발하는 등 인증 절차를 위한 준비를 거쳤다.


아리바이오 천연물 연구소장인 강승우 상무이사는 “ARI-PM은 원료를 OECD와 미국 FDA 가이드라인에 따라 표준화 및 안전성을 확보한 제품일 뿐 아니라, 복용이 편리한 과립 및 환 형식으로 개발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에 유리할 것”이라 설명했다. 


이번 결과는 오는 9월 11일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주최하는 KIOM-SAR 2020 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 기조세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끝




///시작


///면 38


///세션 인터뷰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한의학 알리는 영어 동화책 5권까지 간행…주인공 인형도 제작


///부제 고정민 원장, 한의원 경영과 함께 영어 동화책 출판


///부제 육아·콘텐츠 탐색하며 자연스레 한의학에 접근 가능


///본문 Q. 자신을 소개한다면.


한의사 고정민이라고 한다. 분당에서 한의원을 하고 있고, ‘올댓코리안메디슨’ 이라는 법인을 절친한 후배 한의사 권효정과 함께 운영하고 있다. 올댓코리안메디슨은 한의학을 영어로 표현한 책을 출판하는 일을 주로 하고 있다. 대표작은 시리즈물로 출간 중인 ‘Coco’s magic’ 이라는 영어 그림 동화책이다.  그림책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성인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독자층이 넓다고 할 수 있다.




Q. ‘올댓코리안메디슨’이란 명칭을 짓게 된 배경은?


사실 ‘한의학’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는 아직도 풀리지 않은 고민이라고 생각되고, 경희대 한의대 영어동아리 활동을 하던 시절부터 저희의 화두이기도 했다. 그래서 난독증 걸리기 딱 좋은 ‘Orientalism’이라는 두꺼운 책도 발제했던 기억이 난다. 


한의학을 한자로 표기할 때 한나라 ‘한(漢)’ 자를 쓰다가 우리 대한민국 할 때 ‘한(韓)’ 자로 바꿨다. 분명 우리의 한의학은 중의학과는 차이가 있다. 해외에서는 ‘TCM(traditional Chinese medicine)’이라는 표현을 일반적으로 쓰는데, 우리가 그 일부가 되는 건 아주 자존심 상하는 일이다. 우리의 우수하고 독창적인 한의학에 대한 역사적 소유권을 뺏길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Korean Medicine’에 긍지를 가지고, 실력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른 어떤 일에서도 최종적으로는 실력, 효과가 있어야 인정받기 때문이다. 한의학이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인정받을 때 비로소 세계에도 당당히 알려질 수 있을 것이다. 여러 방면에서 한류, 즉 K-trend가 각광받는 시대인데, K-Medicine이 꼭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순간이 오면 좋겠다.




Q. 현재 진행 중인 출판 사업은?


현재 Coco’s magic 시리즈가 5권까지 간행됐고,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Coco’s magic 그림책 시리즈를 동영상으로 업로드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계정도 개설해 ‘korean medicine’, ‘herbal medicine’, ‘acupuncture’ 등이 친숙하게 다가가질 수 있도록 Coco’s magic 관련 홍보도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Coco 인형도 제작하게 됐다.




Q. 법인 설립 후 반응이 좋은 책은?


진료를 하면서, 올댓코리안메디슨을 병행해서 운영하기로 결정한지 벌써 4년이 흘렀다. 목표했던 Coco’s magic 시리즈가 5권까지 나와서 뿌듯하게 생각한다. 아무래도 1권인 Coco’s magic 이 가장 반응이 좋은 편이다.




Q. 진료와 영어 출판물 간행을 병행하면서 어려운 점은 없는지?


진료를 하면 남녀노소 환자분들이 내원하시기 때문에, 영어 출판물 중에 그림책이든 한의사 진로를 소개하는 책이든 모두 영감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시간이 부족한 게 가장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지만, 영감을 얻는 부분도 시간을 할애하는 일과 별개로 어려운 점이다. 줄거리나 편집이 꽉 막혀 있다가 어느 순간 뭔가 떠올라 진행이 쓱쓱 되면 정말 기분이 날아갈 것 같다.




Q. 유튜브, 인스타 등이 채널을 운영할 때의 방침은?


처음엔 어린 아이들이 영상 매체에 자꾸 노출되는 건 안 좋다고 생각해서 종이책 출판만 고집을 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문제 등을 고려해서 그림책도 전자책 형태로 같이 출판을 했고,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면서 아이들이 영상을 아주 피할 수 없다면 양질의 콘텐츠를 보도록 도움을 주자는 생각이 들어 그림책에 있는 내용을 영상에 싣기 위해 유튜브를 시작했다.


인스타그램도 워낙 검색을 많이 하는 통로가 되다 보니, 저희가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Korean medicine 알리기’를 위해 저희 법인의 마스코트인 Coco 를 활용해서 Korean medicine 이 친숙하게 다가가도록 업로드를 하고 있다.


지금 아이들의 부모 세대는 한의학이 친숙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작정하고 “#한의학”을 검색하다가 우리 사이트가 눈에 들어오긴 어렵다고 본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육아, 교육 콘텐츠를 탐색하는 중에 Coco와 All That Korean Medicine에 눈이 갈 수 있도록 일상 속의 Coco의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싶다. 모두가 공감할 수 있고, 여기에 더해 흥미와 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다. 


예를 들어 Coco 인형이 마스크를 쓴 모습과 마스크가 쓰기 싫은 아이의 투정을 영어로 보여주면, 현재 대부분의 아이들이 겪고 있는 일이니 관심을 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Coco 시리즈를 더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다.




Q. 앞으로의 출간 등 한의학 홍보 계획은?


앞으로 Coco’s magic 시리즈는 더 많이 나오게 될 예정이다. 세계 청소년들의 진로 탐색에도 Korean medicine 이라는 분야를 소개하는 서적이나 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서적도 추가적으로 구상해서 출판할 예정이다. 현재 Coco 시리즈를 유튜브에서 보여주고 있는데, All That Korean Medicine의 다른 채널로 성인 일반인을 위한 한의학 정보를 알려주는 방송도 진행할 수 있다. 전 세계의 동양의학 또는 전통의약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Korean Medicine 알리기’도 계획 중이다. 


///끝




///시작


///면 39


///세션 사설


///제목 ‘의료통합’으로 가는 길


///본문 정부가 오는 2022년부터 10년간 의과대학 정원을 총 4000명으로 늘리고, 이중 3000명을 지역 의료 인력으로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이후 한·양방 의료계에 적지 않는 논란이 일고 있다.


당장 대한의사협회는 의대정원 확대 및 공공의료대학 설립 계획이 철회 되지 않는다면 14일 전국의사총파업에 나서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한의계 또한 의료통합, 의료일원화 이슈가 급부상하며 부산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한의사협회 명예회장단들은 지난 1일 성명서 발표를 통해 여당은 한의대 정원을 의대정원으로 이관 검토하는 것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앞서 한의협 12개 시도지부장들도 지난 달 30일 성명서 발표를 통해 기 면허자의 상호 호혜에 따른 자율권 확대가 선결되지 않는다면 학제통합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같은 상황에서 대한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은 지난 3일 유튜브 한의협 공식 채널인 ‘AKOM-TV’ 라이브 방송에 출연해 ‘의료통합에 대한 한의협 입장’을 상세히 소개했다.


최 회장은 한의사는 한약이나 침 등 도구의 전문가가 아닌 질병의 예방·관리·치료의 전문가가 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의료통합, 의료일원화가 그 수단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기존 한의사의 통합의사 역할 부여를 위한 경과조치를 마련하지 않고는 통합의사, 의료일원화는 결코 추진하지 않겠다는 것을 확약한 뒤 멀지않은 미래에 회원의 뜻을 물어 한의협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하지만 급작스런 통합의사 및 의료일원화 추진으로 많은 회원들이 당혹해 하고 있다. 정책 추진은 목적 달성 못지않게 추진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이해와 협력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 그렇기에 과하다싶을 정도의 소통을 통해 회원들로부터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 내야만 한다. 


10월부터 예정돼 있는 첩약 급여화 시범 사업의 안정적인 진행과 더불어 통합의사, 의료일원화 추진 정책이 급부상하면서 한의협 회무에 대한 회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첩약 급여화 사업이나 의료통합, 어느 것 하나 쉽지 않은 과제인 만큼 회원들의 절대적인 성원을 얻기 위한 소통이 절실한 때다. 


한의약의 백년대계를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해도 그것이 전체 회원의 공감을 얻지 못한다면 거기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너무 많은 혼란과 갈등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소 늦더라도 충분히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이 전제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정책 목표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충분히 공감할 때 정책 추진의 속도는 급물살을 탈 수 있다. 이는 결코 늦고, 더디게 가는 게 아니라 바른 길을 적당한 속도로 나아가 결국 원하고자 하는 목적에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