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12.6℃
  • 구름많음13.1℃
  • 구름많음철원13.6℃
  • 흐림동두천14.0℃
  • 구름많음파주14.3℃
  • 구름많음대관령8.3℃
  • 구름많음춘천12.6℃
  • 흐림백령도11.6℃
  • 구름많음북강릉12.5℃
  • 구름많음강릉13.5℃
  • 구름많음동해14.6℃
  • 흐림서울14.6℃
  • 흐림인천15.4℃
  • 구름많음원주14.7℃
  • 구름많음울릉도12.2℃
  • 흐림수원14.8℃
  • 구름많음영월13.6℃
  • 흐림충주14.6℃
  • 구름많음서산16.1℃
  • 흐림울진13.8℃
  • 구름많음청주15.2℃
  • 구름많음대전15.2℃
  • 구름많음추풍령13.1℃
  • 흐림안동14.0℃
  • 구름많음상주13.8℃
  • 구름많음포항14.0℃
  • 구름많음군산16.3℃
  • 흐림대구14.5℃
  • 구름많음전주17.0℃
  • 흐림울산13.5℃
  • 구름많음창원14.9℃
  • 구름많음광주15.6℃
  • 흐림부산14.8℃
  • 구름많음통영15.2℃
  • 구름많음목포15.5℃
  • 흐림여수14.7℃
  • 흐림흑산도15.2℃
  • 구름많음완도15.3℃
  • 구름많음고창15.8℃
  • 흐림순천13.3℃
  • 구름많음홍성(예)15.7℃
  • 구름많음15.6℃
  • 흐림제주16.0℃
  • 흐림고산15.4℃
  • 흐림성산16.4℃
  • 흐림서귀포16.4℃
  • 구름많음진주14.5℃
  • 구름많음강화14.2℃
  • 구름많음양평15.0℃
  • 구름많음이천14.7℃
  • 구름많음인제12.5℃
  • 구름많음홍천13.6℃
  • 구름많음태백9.4℃
  • 흐림정선군12.6℃
  • 구름많음제천13.1℃
  • 구름많음보은13.2℃
  • 구름많음천안15.5℃
  • 구름많음보령16.4℃
  • 구름많음부여16.5℃
  • 구름많음금산15.9℃
  • 구름많음15.1℃
  • 구름많음부안17.2℃
  • 구름많음임실14.4℃
  • 구름많음정읍16.4℃
  • 구름많음남원15.3℃
  • 구름많음장수12.8℃
  • 구름많음고창군16.2℃
  • 구름많음영광군15.7℃
  • 구름많음김해시14.6℃
  • 구름많음순창군15.4℃
  • 구름많음북창원15.2℃
  • 구름많음양산시15.6℃
  • 구름많음보성군15.2℃
  • 구름많음강진군15.4℃
  • 구름많음장흥15.2℃
  • 구름많음해남15.2℃
  • 구름많음고흥15.0℃
  • 구름많음의령군15.7℃
  • 구름많음함양군14.3℃
  • 흐림광양시14.3℃
  • 흐림진도군15.5℃
  • 흐림봉화13.5℃
  • 구름많음영주12.9℃
  • 구름많음문경13.5℃
  • 흐림청송군12.3℃
  • 구름많음영덕13.3℃
  • 흐림의성14.7℃
  • 구름많음구미15.2℃
  • 흐림영천13.5℃
  • 흐림경주시14.0℃
  • 구름많음거창12.9℃
  • 구름많음합천15.3℃
  • 흐림밀양15.1℃
  • 구름많음산청13.7℃
  • 구름많음거제14.5℃
  • 구름많음남해14.9℃
  • 구름많음15.6℃
기상청 제공

2024년 11월 25일 (월)

PDF 신문보기

2019-05-20

  • 작성자 : 한의신문
  • 작성일 : 19-07-11 16:07
///제 2213호

///날짜 2019년 5월 20일

///시작

///면 1, 2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한의협, 혈액검사·엑스레이 활용 선포

///부제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확대 선언’ 기자회견

///부제 혈액검사, 한약 투약 전후 안전성 확보 위해 추진

///부제 엑스레이, 추나 급여화에 따른 정확한 진단 목적

///본문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가 올 상반기 혈액검사기 사용을 시작으로 하반기 엑스레이까지 의료기기의 사용에 적극 나설 것임을 선포했다.

한의협은 지난 1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의사 의료기기(혈액분석기·엑스레이) 사용 확대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2만5000명의 한의사들이 의료기기 사용 확대 운동을 본격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날 한의협이 발표한 내용은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확대운동을 주도해 나갈 범한의계 대책위원회(위원장 방대건 대한한의사협회 수석부회장, 이하 범대위) 출범과 △범대위를 중심으로 ‘혈액검사’와 ‘엑스레이’ 활용 운동의 전개다.

혈액검사와 엑스레이를 우선 대상으로 결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시범사업을 준비 중인 첩약 급여화와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는 추나요법에 실질적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혈액검사 데이터 수집해 급여화 추진

혈액검사의 경우 첩약 급여화를 앞두고 한약 투약 전과 후의 안전성, 유효성 확보를 위해 가장 먼저 사용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금도 한의사의 혈액검사와 혈액검사기 활용은 보건복지부의 유권해석상으로는 가능하다. 그러나 양방과는 달리 건강보험 청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시 한의사가 자비 부담으로 검사를 시행하고 있는 불합리한 상황이다.

최혁용 회장은 “첩약 건보 시범사업 실시를 앞둔 상황에서 한약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유일한 수단은 복용 전 후 혈액검사를 통해 비교하는 것”이라며 “첩약을 처방하면서 혈액검사를 통해 간과 콩팥에 기저 질환이 있는지 확인해야 복용 뒤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그동안 한의사가 혈액검사를 실시할 수 없었던 이유로 비급여 외에 의협의 불매운동을 꼽았다. 그는 “의협은 한의사의 혈액 검사 샘플을 받아 검사해 주는 업체에 불이익을 줬고 이 때문에 공정거래위원회가 의협의 거래 거절 강요 행위에 과징금 11억원이라는 결정을 내린 것”이라며 “적어도 복지부 유권해석에 의하면 한의사의 혈액검사는 면허 범위 내 의료행위인데도 가격적인 부분과 검사 수탁 기관의 거절로 인해 제대로 된 혈액검사를 현실적으로 할 수 없었고 이 때문에 그동안 한약은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했던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의협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한의사 회원들의 혈액검사 샘플을 모두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수탁기관을 지정, 회원들의 혈액검사를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방대건 범대위원장은 “혈액검사에 드는 비용을 절반 정도는 한의협에서 부담하고 나머지는 한의사가 부담하는 형태로 구상하고 있다”며 “현재 전국 시도지부를 중심으로 사업에 참여할 회원들에 대한 안내를 조율 중이며 2200여명 대상 22건의 설명회 개최를 준비 중”이라고 답했다.

향후 한의협은 혈액검사로 10만 건 이상의 데이터를 수집해 정부에 건강보험 급여화를 요구하고 ‘한의 의료기관에서 혈액검사를 실시한다’는 통념이 국민들에게 자리잡을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10mA 이하 엑스레이부터 선도적 사용

엑스레이 사용권과 관련해서는 지난 4월부터 건강보험 적용이 개시된 추나요법을 보다 안전하게 진단하기 위해 10mA 이하 저출력 엑스레이부터 자발적으로 사용하겠다는 회원들을 중심으로 선도적 사용 운동을 펼쳐나간다는 방침이다.

최 회장은 “한의사의 포터블 엑스레이 사용에 대해서는 현행법상 불법인지, 합법인지에 대한 판단이 없다”며 “그러나 추나 의료행위 정의에 ‘이학적 검사를 통해 변이의 위치와 존재를 파악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고 적어도 복잡 추나를 시행하려면 척추 전장을 어떤 식으로든 볼 수 있는 눈을 갖춰야 하는 만큼 진단을 엑스레이로 해 추나치료의 안전성, 효과성 제고까지 한의사가 책임있게 하겠다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엑스레이는 CT, MRI보다 진단의 유효성이 떨어지는 측면도 있어 실제 한방병원에서는 복잡 추나 시행 전에 MRI 촬영을 하고 있지만 로컬 한의원에서 현행법상 불법적 요소가 없고 눈으로 진단하는 것보다는 유의성이 높다고 판단해 포터블 엑스레이부터 사용하겠다는 설명이다.

전세계적으로 엑스레이는 미국의 정골의사, 중국과 대만의 중의사, 북한의 고려의사는 물론 MD가 아닌 미국의 카이로프랙터도 자유롭게 진료에 활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만 한의사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지난 2017년 9월 여야 동시 입법발의로 방사선안전관리책임자에 한의사를 포함시킨다는 내용의 의료법 일부개정안이 발의된 바 있다. 그러나 힘의 논리를 앞세운 양방의 방해로 현재 해당 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범대위’ 중심으로 사용 운동 확대

의료기기 사용 운동은 범대위가 중심이 돼 이끌어 나갈 예정이다. 방대건 한의협 수석부회장이 위원장을 맡아 지난 11일 출범한 범대위에는 전국 16개 시도한의사회, 대한한의학회, 대한한방병원협회, 한국한의과대학장협의회, 대한공중보건한의사협의회, 대한한의사전문의협의회 등 한의계를 대표하는 단체들이 모두 참여했다.

범대위는 한의사나 양의사 모두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따라 진단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진단에 필요한 도구(의료기기)의 공동 사용과 동일한 질환에 대한 한양방 모두의 건강보험 청구가 실현돼야 국민건강 증진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다며 활동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끝



///시작

///면 2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자보 경상환자, 척추·관절 상병 복합시 추나요법·약침 동시시술 ‘인정’

///부제 경증 염좌 외 관절상병 등 추가 수상 있는 경우에는 인정키로

///부제 심평원 자보센터 심사분과위원회 개최

///본문 지난달 8일 추나요법 급여화 이후 건강보험 요양급여로서의 추나요법이 부위별 구분없이 단일 수가로 전신의 수상 부위를 치료할 수 있게 정의됨에 따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서는 2016년 동일 부위 중복시술을 조정하는 심사방향을 내용으로 한 공개심의사례에 따라 자보 경증 환자에 대해 추나요법과 병행한 약침술에 대해 심사조정을 단행했다.

이후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에서는 이같은 조치는 환자의 진료권을 침해하는 동시에 치료권을 박탈하는 것이라며, 심평원 자동차보험심사센터(이하 자보센터) 앞에서의 시위를 비롯해 자보센터와의 간담회를 통해 관련된 청구건에 대해 심사를 보류하는 한편 자보센터 심사분과위원회(이하 분과위) 회의를 통해 심사방향을 결정키로 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5일 개최된 분과위에서는 염좌 및 긴장의 경증 환자에 대해 척추상병과 관절상병이 복합될 때 추나요법과 약침술의 동시 시술을 인정키로 결정했다.

즉 이날 회의에서는 경증 염좌에 추나요법과 약침술 두 치료의 동일 부위 중복시술은 과잉이라는 기존 심사방향을 고수했으며, 추나요법이 단일수가로 경흉요추부 염좌를 함께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척추부 수상 부위에 약침을 추가시술하는 것은 조정하지만 관절상병 등의 추가 수상이 있는 경우에는 추나요법과 병행한 약침술은 인정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상 자보환자의 경우 추나요법과 약침술의 병행치료시에는 경흉요추부의 수상 부위에 대해서는 추나요법을 적용하고, 이외에 상지부나 골반하지부의 관절 수상이 추가로 있을 때에는 해당 부위에 약침술을 적용한다면 두 치료 모두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중앙회에서는 추나요법과 약침술 동시시술에 대해 이미 조정된 사례에 대해서는 이의신청과 자보심의회 심사청구를 이용토록 했으며, 이의제기 및 심사청구 절차 등 관련 내용 등을 홈페이지에 공지한 바 있다.

///끝



///시작

///면 3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의료기기 사용 확대 위한 범대위’ 출범  

///부제 한의협 등 7개 한의계 단체 참여…30여명 위원 구성

///부제 범대위원장은 방대건 한의협 수석부회장이 맡아

///부제 혈액검사·X-Ray 사용은 의료기기 사용 확대의 출발점

///본문 혈액검사와 포터블 엑스레이의 한의사 사용을 위한 ‘범한의계 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가 본격 닻을 올렸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지난 11일 협회 5층 대강당에서 ‘의료기기 사용 확대를 위한 범한의계 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사용 확대를 선언했다.

범대위는 한의협을 중심으로 △전국 16개 시도한의사회 △대한한의학회 △대한한방병원협회 △한국한의과대학(원)학장협의회 △대한공중보건한의사협의회 △대한한의사전문의협의회 등 한의계 7개 단체가 모여 구성됐다. 또 전국한의과대학 한의학전문대학원 학생회 연합과 전국한의과대학 졸업준비위원회 등은 협력단체로 참여한다. 범대위원장에는 방대건 한의협 수석부회장이 맡고, 부위원장에는 김경호 한의협 부회장이 맡는다.

범대위의 구성은 협회 관계임원을 비롯한 각 시도지부 수석부회장, 지부임원, 대한한의학회 부회장, 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 학장 등 약 30여명이다.

최혁용 회장은 범대위 출범식에서 “폭증하고 있는 의료비로 인해 만성질환 관리, 일차의료 강화는 대한민국의 시대적 요구가 되고 있고, 한의사는 그러한 요구에 최적화 되어 있다”면서 “범대위가 시작은 엑스레이, 혈액검사로 출발하지만, 한의사가 만성질환관리, 일차의료영역에서 의사로서의 역할을 제한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소중한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기기 활용은 의료인의

당연한 책무이자 권리”

방대건 범대위원장(사진)은 출범식에서 선언문을 낭독하며 “한의사가 진료에 의료기기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것은 국민에게 보다 정확하고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당연한 책무이자 권리”라면서 “한의약의 현대화와 과학화를 위한 기본적 전제조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범대위는 국민의 소중한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을 더 이상 늦출 수 없음을 밝힌다”면서 “오늘부터 혈액검사·의료기기 사용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에 들어갈 것을 천명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오는 6월까지 한의사를 대상으로 한 혈액검사 오프라인 교육을 마무리 짓고, 7월부터는 본격적인 첩약 사용 전후 혈액검사 10만건 이상 확보에 나서겠다는 것.

방 범대위원장은 “첩약 건보 시범사업을 대비해 첩약 투약 전후의 상태를 분석할 혈액검사의 본격적 시행과, 올 4월 시작된 추나요법 급여에서는 보다 정확한 근골격계 진단이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한 전국 단위의 혈액검사와 엑스레이 활용이 의료기기 사용 확대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의 2만 5천 한의사들은 범대위를 중심으로 일치단결해 국민이 열망하는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을 적극 실천에 옮김으로써 의료인의 맡은 바 소임을 완수해 내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임을 다시 한번 다짐한다”고 덧붙였다.

“혈액검사 시행 후

수탁업체 연계에도 만전”

범대위는 출범식 직후 바로 대한약침학회 4층 회의실로 이동해 초도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세부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한의협 임원들은 △부위원장 선출의 건 △의료기기 사용 확대를 위한 사업계획 및 세출(안) 검토의 건 △혈액검사 확대 사업(교육 및 지원) 검토의 건 △기타 추진방안 검토의 건 등을 각각 논의했다.

논의 결과 이달부터 오는 6월 말까지 전국 16개 시도지부를 대상으로 혈액검사 확대를 위한 22차례의 회원 오프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위해 한의협은 오프라인 교육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채혈교육에서는 △혈액검사의 개요 △검사의뢰 절차 △검사결과의 이해와 활용 △채혈 전 준비·확인사항 및 혈관탐촉 △부작용 대처 등을 각각 배우게 된다.

이밖에도 범대위는 오는 7월부터 전국 일선 한의원이 본격적인 혈액검사 사용 운동에 들어가게 되면 혈액검사 샘플 일체 모두가 원활히 처리되게끔 현재 수탁을 진행한 혈액검사 업체와의 연계 구축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끝



///시작

///면 4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갈등 아닌 국민 편의 위한 노력으로 봐달라”

///부제 한의사의 엑스레이 활용, 의협과 마찰 야기 질문세례

///부제 한의의료의 안전성, 유효성 입증에 매우 중요한 사안

///본문 지난 13일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확대 선언을 위한 대한한의사협회 기자회견장에는 취재진들의 뜨거운 취재 열기로 가득 찼다.

혈액검사와 엑스레이 사용 운동 전개를 이번 기자회견을 통해 한의협이 본격화하겠다는 사실이 일부 의약전문지에 보도되면서 더욱 관심이 집중된 상황.

이에 이날 오전 10시에 시작된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는 이미 30분 전부터 방송사와 종합일간지, 의약전문지 취재진들과 방청객들로 만원을 이뤘다.

이러한 가운데 최혁용 회장과 방대건 수석부회장은 준비된 원고를 읽어가며 한의계 전 직역이 참여하는 ‘범한의계 대책위원회’의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추나요법이 건강보험 급여에 진입한데다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환자의 치료를 위해 혈액검사·엑스레이의 활용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명분에서다.

범한의계가 의료기기 사용 확대를 펼쳐나가겠다는 방대건 수석부회장의 선언문 낭독이 이어진 후에는 취재진들의 질문세례가 이어졌다.



“엑스레이 영상 판독,

한의사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

취재진들이 가장 관심을 가진 사안은 한의사가 엑스레이 판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겠느냐는 의구심이었다.

최 회장은 “엑스레이 영상 해석은 기존 일반 양방 정형의학과는 진단방식이 다르다. 한의사들은(엑스레이 영상에서) 척추 각도를 별도로 본다”면서 “즉, 정형외과, 내과 전문의들이 엑스레이 보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카이로프랙터들도 엑스레이로 진단하는데 그들이 보는 진단 기법역시 기존 미국 의사와 다르다”며 “(한의사들은) 한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영상 해석을 다 배운다”고 강조했다.

이진호 한의협 부회장도 단상에 올라 한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의사들의 MRI, 엑스레이 영상 활용 현황에 대해 설명했다.

이 부회장은 “영상 필름을 병원에 상주하는 영상의학과 원장이 판독해서 주긴 하지만, 임상 한의사가 본인 임상 경험에 따라 판독해서 활용한다”면서 “영상을 가지고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예를 들면 무릎을 진단했을 때 양방에서는 인대가 파열됐는지 반월상연골이 파열됐는지를 본다. 하지만 추나를 시행하는 한의사 입장에서는 대퇴골과 정강이뼈 점멸 상태, 슬개골의 모양·상태 등을 보고 근육 긴장도를 유추한다. 한의사들은 같은 필름을 가지고도 임상에서 여러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이번 공식 사용운동으로 한의협과 의협의 충돌은 불가피할 것이란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서는 “국민 편의를 위한 노력으로 봐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그는 “의협이 이런 상황으로 고발하지 않길 바란다. 또 고발하지 않을 것이다”면서 “한약의 안전성·유효성 문제를 가장 먼저 제기하는 건 의협이었다. (안전성·유효성을 밝히기 위해 실시하는 것인 만큼)고발을 안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의학을 과학적으로 응용·개발한 행위

다만 최 회장은 “포터블 엑스레이는 쓸 수 있다고 정해진 바도 없고, 있다고 정해진 영역도 아니다. 고발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선도 사용운동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 회장은 이번 사용운동을 한의사와 의사간 갈등이라 생각하지 말고 국민 입장에서 지켜봐줄 것을 취재진들에게 강조했다.

최 회장은 “한의사가 혈액을 채취해서 수탁기관에 보내면 검사 결과가 자동으로 나오는 과정이 환자에게 위해가 얼마나 되는가. 반면 환자가 얻을 수 있는 편익은 얼마나 되겠는가. 또 포터블 엑스레이 써서 환자가 얻을 위해와 편익은 얼마나 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한의학을 과학적으로 응용·개발해서 국민들에게 한의치료의 안전성·유효성을 검증한다는 이번 노력이 단순한 의사와 한의사간 갈등이 아닌 국민 편의를 위한 노력으로 봐줬으면 좋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끝



///시작

///면 5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생애주기별 한의약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보급

///부제 우수기관 13개소, 우수사례 15개소, 우수시범사업 7개소, 유공자 21명 시상

///부제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성과대회 최우수기관 양산시보건소

///본문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지난 2일과 3일 양일간 부산 한화리조트에서 ‘2019년 지역사회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성과대회’를 개최, 지난해 지역에서 운영된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우수기관 13개소, 우수사례 15개소, 우수시범사업 7개소, 유공자 21명에게 포상이 이뤄졌다.

경상남도 양산시보건소는 적극적인 타 사업 연계를 통해 한의약건강증진사업을 체계적으로 운영한 공적을 인정받아 전국 135개 한의약 사업 수행 기관 중 우수기관부문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중풍, 갱년기, 골관절질환 예방관리사업인 ‘우리는 레드써클!’과 아동 성장과 노인 만성퇴행성질환 집중관리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경로당 등으로 찾아가는 취약계층 맞춤형 방문 사업인 ‘천천히, 조금씩, 다같이 건강하자!’가 대표적이다.

지역사회 협력과 참여 기반의 우수사례부문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된 충청남도 부여군보건소는 2017년 시행된 청소년 스마트폰·누리망(인터넷) 중독 예방관리 표준프로그램 시범사업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을 보완, 확대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 외에도 노인 대상 치매예방 중풍교육, 우울증 예방교육, 뇌 건강에 좋은 기공체조 사업을 운영한 전라북도 남원시보건소, 의료보건교육을 통해 청소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한 경상남도 통영시보건소 등 총 15개 기관이 우수사례로 뽑혔다.

2018년 우수시범사업부문 최우수기관으로는 충청남도 홍성군보건소(성인대상 프로그램)와 경기도 고양시일산동구보건소(장애인대상 프로그램)가 선정됐다.

특히 충청남도 홍성군 보건소가 진행한 ‘방 탈출! 한방도전! 갱년기여 가라~’를 통해 참여자의 우울감이 14.8% 감소했으며 삶의 질은 1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성과대회에 참석한 보건복지부 이창준 한의약정책관은 “정부는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어떻게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지에 대한 것을 계속 고민하고 있다. 2014년부터 아동청소년, 성인, 노인 등 생애주기별 한의약건강증진 표준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취약계층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방문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 올해부터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라며 일선 사업 담당자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지역사회 수요에 맞게 적극 활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지역단위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지역 보건소 간 협력과 정보 교류가 중요하다”며 “지역사회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현장에서 필요한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정책이 마련돼 시행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오유미 건강증진사업실장은 “여러 성과들을 평가하다 보니 눈에 띄는 것이 기존에 많이 해오던 노인 대상 관절염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아동, 청소년 등 대상을 확대하고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같은 다양한 주제로 실시해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이라며 “앞으로도 이렇게 전 생애주기에 맞춰 전 국민을 대상으로 건강을 증진하는데 한의학이 더욱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한한의사협회 임장신 부회장은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각종 퇴행성, 노인성 질환을 비롯한 만성질환 치료 및 관리에 한의약이 큰 기여를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차원의 지원 부족과 제도 미비로 인해 한의약의 공공의료분야 진출 확대는 아직도 요원하기만 하다”며 “그러나 이러한 열악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공공의료의 최일선이라고 할 수 있는 전국의 보건소에서는 한의진료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여기서 확보된 각종 임상 및 연구결과들은 한의약의 장점과 우수성을 입증하는데 소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향후 한의공공의료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공중보건한의사가 현장에서 느낀 다양한 생각들을 현실화함으로써 한의약건강증진사업이 공공의료를 선도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상식 후에는 우수사례(충청남도 부여군보건소) 및 우수시범사업부문 최우수기관(충청남도 홍성군보건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보건소)의 발표로 지역현장의 경험을 공유하고 성공적 운영 전략과 향후 사업 발전방향을 논의했다.

선정된 우수사례 및 우수시범사업 운영 내용은 ‘2018년 한의약건강증진사업사례집 함께하는 한걸음’ 책자로 발간됐으며 해당 자료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누리집에서 열람할 수 있다.

///끝



///시작

///면 6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첩약 급여화·제제분업 등 정책 현안 ‘열띤 논의’

///부제 추나요법의 안정적 급여 정착 회원 대상 홍보·안내 ‘지속’

///부제 한의협, 제6·7회 보험위원 및 시도 보험이사 연석회의

///본문 대한한의사협회(위원장 이동원·이하 한의협)는 지난 11, 12일 한의협회관 중회의실에서 ‘제6·7회 보험위원 및 시도 보험이사 연석회의’를 개최, 그동안 진행됐던 보험업무 추진경과에 대해 보고받는 한편 첩약 급여화 방안 등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지난 8일 자동차보험 추나요법 관련 고시 등 그동안의 경과에 대해 설명한 김경호 부회장은 “자동차보험에서의 추나요법 관련 고시와 함께 단순추나-약침요법 동시시술시 조정되는 사례에 대해 중앙회에서는 가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동원해 대처해 왔다”며 “그러나 앞으로 첩약 급여화, 제제한정분업 등을 추진함에 있어 더 큰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 중앙회의 보험정책은 누구보다 이 자리에 있는 지부 보험이사들이 잘 이해하고 있는 만큼 일선회원들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 등 중앙회가 보험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많은 도움과 함께 생산적인 조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어진 회의에서는 △추나요법 급여 관련 청구현황 보고 △노인외래정액제 관련 현황 보고 △2018회계연도 연구용역 발주 내역 및 진행상황 보고 △첩약 급여화 방안 논의 등에 대해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

우선 추나요법 청구현황과 관련해서는 향후 2년간 모니터링 기간임을 감안해 추나요법 급여화가 잘 정착될 수 있도록 정확한 진료차트 작성 등 회원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안내 및 홍보 등이 꾸준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중앙회에서도 회원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진료차트 작성 가이드라인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함께 제시됐다.

또 향후 추진되는 제제분업이 될 경우 노인외래정액제의 일부 구간 소실에 따른 손실이 있을 것이라는 회원들의 우려와 관련 중앙회에서는 손실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만약 제제분업으로 인해 얻어지는 이익이 소실되는 부분보다 작을 경우에는 정책을 추진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 했다. 또한 이 부분은 현재 정부에서 연구용역이 진행돼 오는 11월경 연구결과가 나올 예정인 분야인 만큼 그 전에 세부적인 통계자료를 구축해 재논의하는 등 연구결과에 예의주시하며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첩약 급여화 방안과 관련 찬성과 반대의 다양한 의견들이 논의된 가운데 김경호 부회장은 중앙회는 첩약 급여화 추진시 △관행수가 이하로는 가지 않을 것 △원내탕전에서의 직접조제가 중심이 될 것 △첩약분업을 절대 없을 것 등 세 가지 원칙은 반드시 고수하면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첩약 급여화, 제제한정분업 등은 한의계가 지금까지 가지 않았던 길이기에 현재 제기되고 있는 일선 회원들의 우려의 목소리와 같이 정책 추진에 있어 반대의 입장이 제시된 반면 또 다른 입장에서는 향후 3, 4만 한의사 시대가 도래했을 때 과연 현재와 같은 파이로 한의사제도가 유지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영역을 적극 개척해야 한다는 찬성 입장을 놓고 열띤 논의가 진행됐다.

또한 발생하지 않은 미래에 대한 우려는 가능할지라도 가정을 단정짓는 것은 옳은 것은 아니며, 우려를 앞세우기보다는 정책 추진이 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꼼꼼히 따져보는 자세도 필요하다고 제안됐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건강보험 등 보험 관련 업무에 대한 회원들의 이해를 도모하고, 보험청구 관련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보험 관련 교육자료 제작을 위해 구성·운영되고 있는 ‘보험교육자료 제작 소위원회’의 운영 결과 및 향후 추진일정도 보고됐다.

///끝



///시작

///면 6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2020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 위한 수가협상 ‘스타트’

///부제 한의원, 보장성 강화 통한 진료비 증가 ‘0’ 한의의료기관 경영 악화 ‘심각’

///부제 첩약 등 향후 추진될 한의보장성 강화에 적극적인 협력 당부

///부제 한의협·건보공단 수가협상단 상견례, 1·2차 협상 22일·29일 각각 진행

///본문 2020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을 위한 수가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대한한의사협회 수가협상단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수가협상단은 지난 9일 서울 당산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상견례를 갖고, 향후 협상 일정 및 수가계약 관련 논의 등을 진행했다.

올해 수가협상단은 한의협은 김경호 부회장(단장)·이은경 부회장·박종훈 보험이사·초재승 보험이사로, 또 건보공단은 강청희 급여상임이사·정해민 급여1선임실장·박종헌 급여전략실장·이성일 수가기획부장으로 각각 구성됐다.

이날 김경호 단장은 상견례 후 가진 기자브리핑을 통해 “지난해 상견례에서는 성명서까지 발표했지만, 올해는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협상에 임하려고 한다”며 “그러나 타 유형에 비해 경영 악화가 심한 한의의료기관의 현실 등을 고려해 본다면 내용적인 부분에서는 날이 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단장에 따르면 최근 4〜5년간 실수진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한의의료기관의 실질적인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보장성 강화정책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제도적인 문제이며, 실제 한의원의 경우 ‘14년부터 ‘18년까지 보장성 강화로 인해 증가된 진료비는 ‘0원’이라는 설명이다.

김 단장은 “한의 영역과는 달리 대비되는 다른 직역의 경우에는 보장성 강화가 많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의원급을 대상으로 비교시 의과와 3배 정도나 차이가 날 정도로 어려운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개선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며 “더불어 첩약 등 향후 추진될 예정인 한의 보장성 강화가 무리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건보공단측의 협조를 부탁했다”고 말했다.

또한 김 단장은 “최저임금 인상분 반영은 물론 주 52시간 근무, 주 5일제 정착 등과 같은 고용형태의 변화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함께 제시했다”며 “이같은 고용형태의 변화는 최저임금 인상과 더불어 일선 의료기관에서는 경영압박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김 단장은 현재와 같은 수가협상 구조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 단장은 “현재 재정운영위원회에서 밴딩을 주고, 건보공단을 앞에 세워 중간에서 공급자단체와 협상을 진행하는 구조가 과연 합당한지는 의문스럽다”며 “앞으로 좀 더 충실한 수가협상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재정위가 앞으로 나와 적극적인 협상에 임해야 하며, 이러한 수가협상 방식에는 모든 공급자단체에서 문제가 있다는 공감대 형성은 물론 개선을 위해 극약처방을 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의협 수가협상단은 오는 22일 강원도 원주 건보공단 본부에서 1차 협상을, 오는 29일에는 당산 스마트워크센터에서 2차 협상을 각각 진행키로 했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하재규 기자

///제목 “첩약보험 시행 전회원 투표로 결정할 것”

///부제 최혁용 회장, 정기 이사회에서 첩약보험 관련 전회원 투표 실시 보고

///부제 올 연말 최종안 나오면 투표 실시 예정

///부제 의료기기 사용 범대위 구성, 예산 편성

///부제 11~12일 제24, 25회 정기 이사회 개최

///본문 대한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첩약보험 최종안이 나오면 전회원 투표를 통해 시행 여부를 결정할 것임을 재확인시켰다.

최혁용 회장은 지난 11~12일에 걸쳐 개최됐던 제24, 25회 정기 이사회에서 지난 번에 대회원 문자 발송을 통해 공지했던 ‘전회원 투표를 통한 첩약보험 시행 여부 결정’과 관련한 입장을 다시 한번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첩약보험과 관련해 제기되고 있는 적정수가 보장, 처방명 공개 등 회원들이 제기하고 있는 여러 우려점을 최대한 제거하여 한의의료의 보장성이 확대되고, 한의의료기관의 경영 수익 역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첩약보험 로드맵을 만들어 가고 있는 중이며, 첩약보험 관련 최종안이 나오면 전체 회원의 투표를 통해 첩약보험 실시 여부를 판가름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첩약보험 최종안이 나오기까지 이와 관련한 정책설명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회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것은 물론 올바른 정보 전달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제제한정 의약분업도 한의계에 큰 변화를 주는 중차대한 사안인 만큼 제도 변화가 갖는 장단점 등에 대해 차기 이사회에서 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사회에서는 또 ‘의료기기 사용 확대를 위한 범한의계 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의 구성 추진을 보고받고 범대위의 사업계획 및 관련 예산의 세출(안)을 승인했다.

또한 추나요법 급여화에 따른 사전교육 현황도 보고됐다. 지난해 11월 29일 제20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추나요법의 건강보험 적용이 의결된 이후 중앙회가 주관한 추나급여화 관련 사전 교육은 모두 27차례에 걸쳐 약 1만6591명의 회원들이 오프라인 교육을 이수했다. 중앙회는 향후 추가교육도 실시해 사전교육 미이수로 인해 회원들이 시술자격을 받지 못하는 불이익을 방지하기로 했다.

이사회에서는 또 회비 완납 회원과 체납 회원간의 형평성 제고와 보수교육 개최에 따른 지출 비용(보수교육 운영 인건비, 관리비 등)을 감안해 보수교육 시행시 회비 체납회원에 대해 간접비를 부과하는 것을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보수교육 면제, 유예신청에 따른 관련 서류를 시도지부에 제출토록 했던 것을 시도지부 외에도 중앙회에 제출하여 처리 가능토록 한 것을 비롯해 분회가 시행하는 보수교육의 경우 시도지부를 통해 보수교육 개최를 신청하도록 하는 등의 ‘보수교육 규정’도 개정했다.

또한 회비납부 최고장(내용증명)을 발송했음에도 아직 회비 납부를 이행하지 않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변호사를 선임해 체납회비 청구 지급명령 및 채권압류 등의 후속 조치를 진행키로 했다.

또 체납회비 분납금과 관련해 회비 분납기간은 최대 36개월 이내로 하며, 수납처리 방법은 최초연도 체납회비부터 수납하고, 체납회비 납입은 분회비, 지부회비, 중앙회비 순으로 처리키로 했다.

이와 더불어 시도지부는 매월 10일 중앙회에 송금 시 해당회원의 분납현황을 제출키로 한 것을 비롯 중앙회 통합정보프로그램인 ‘아리스’의 기능을 개선해 향후 회비 납부 분납관리 기능을 신설하고, 분납자의 경우 사이버 보수교육을 무료 수강토록 하는 등의 체납회비 분납금 관리 방안을 마련했다.

회의에서는 이와 함께 한의학정책연구원 운영위원회의 구성 인원을 기존 7명 이내에서 6명 이내의 위원과 원장으로 구성토록 하는 내용을 담은 ‘한의학정책연구원 규정’을 개정했다.

또한 정영진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성남 목포대 금융보험학과 교수, 신덕상 서정대 사회복지행정학과 교수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키로 했으며, 자황한의원 안덕근 원장을 언론특보(대변인)로, ㈜팀엘리시움 주성수 대표이사를 의무특보로 위촉키로 했다.

///끝



///시작

///면 9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첩약 건강보험 공개토론회 최 회장, 의견 경청해 정책추진에 녹여낼 것

///부제 비의료인 참여 첩약건보 인정 못해… 협의체 참여 중단 촉구

///부제 노인정액제 포기하는 한약제제 분업 반대

///부제 “첩약건보·한약제제 분업 안 나오면 회원 의사 물을 것”

///부제 ‘한의계 반대 시 첩약건보 철회’ 복지부 확약 받겠다

///본문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 이하 한의협)는 지난 12일 세종대학교 광개토관 컨퍼런스룸에서 ‘첩약 건강보험 공개토론회’를 개최, 최근 진행되고 있는 한의계 현안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회원들과 현황을 설명하고 토론하는 자리를 가졌다.

한의협에서는 최혁용 회장과 김경호 부회장이, 상대측에서는 이종안, 조현모 한의사가 패널로 참석해 △추나 급여 △한약제제 한정 분업 및 급여 확대 △첩약 건보 △회원 투표 및 기타 등 주요 현안을 주제로 토론을 벌였다.

먼저 첩약건보와 관련해서는 2017년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첩약 건보 논의를 진행할 것인가(찬성 78%)에 대한 전회원 투표 결과가 과거 사원총회에서 의결된 비의료인과 함께하는 첩약 건보를 반대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인지를 두고 설전이 이어졌다.

이종안, 조현모 한의사는 지난 2013년 사원총회에서 회원들은 절대적 지지로 비의료인과 함께하는 첩약 건보를 반대했던 만큼 한의협은 약사회, 한약사회가 함께하는 협의체 참여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반면 최 회장은 사원총회의 절차와 관련해 문제가 있다는 판결도 있지만 사원총회에서 드러난 뜻은 존중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원총회 결의가 이후 회원들의 결정을 귀속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2017년 전회원투표에서 비의료인을 제외하라는 말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투표결과의 본질은 논의를 해서 안을 만들어 보고 첩약 건보를 추진할 것인지 최종 결정은 회원들이 다시 판단하겠다는 것으로 논의 자체를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후 논의 자체를 하지 말라는 것은 과거의 우를 반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첩약보험 적용 기준은 ‘원내탕전’

또 협의체에서는 소수의견과 다수의견을 병기해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에 제출하게 되고 복지부는 이를 참고해 최종안을 만들게 되는데 이 최종안을 가지고 전회원의 의견을 물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자 정부와 1대1로 논의를 하는 것도 아닌데 일방적으로 한의계가 반대한다고 해서 파기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토론회에 참석한 한 회원은 2012년 첩약 건보 논의 당시 한의사가 반대하면 언제든 파기가 가능하다는 복지부 공문을 받은 적이 있는 만큼 이번에도 이러한 확약을 받아줄 수 있는지를 물었고 최 회장은 “복지부에 그 뜻을 명확히 전달해 2012년에 그랬듯 한의계가 동의하지 않으면 첩약 건보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 공식적으로 표명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원외탕전실 한약만 건보적용을 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최 회장은 원내탕전의 질 향상은 필요하지만 심사기준으로 도입될 가능성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원내탕전의 경우 책임소지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내탕전시설의 수준제고는 단체 표준으로 권고로 도입될 예정이며 원내탕전 수준을 어느정도로 할 것인지는 한의계 합의를 통해 도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원외탕전실은 오히려 훨씬 많은 도전을 받게 될 것이고 불가피한 인증규제도 더 많아 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약제제 급여 확대 및 분업 문제에서는 이종안 한의사가 약사와의 분업에 대해 전체 한의사의 의견을 물어본 적도 없을 뿐 아니라 한약제제 분업을 할 경우 당장 노인정액제 부분에서 손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대책이 있는지를 따져물었다.

이 한의사에 따르면 노인정액제 10% 상한구간이 현재는 한약제제 투약 시 2만5000원까지인데 한약제제 의약분업을 실시하게 되면 2만원으로 하향돼 5000원이 줄어들어 자연스럽게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도 대부분 2만원 이하로 줄어들게 된다.

2018년 기준 1일 한약제제 청구건수 1700만건을 기준으로 추계해 보면 약 850억 원의 진료비가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기 때문에 한약제제분업을 결사 반대하며 협의체 참여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노인정액제 부분에서의 손실은 최 회장도 인정했다.

그러나 최 회장은 한약제제 한정 분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최 회장에 따르면 보험급여 한약제제 확대에 대해서는 한의계 모두가 동의할 것이고 지난 25년간 모든 집행부가 이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그러나 약사의 업무에 한약제제가 포함돼 있다 보니 약사회는 ‘분업 없는 보험급여 한약제제 확대는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 결과 한의계는 분업을 하지 않기 위해 2007년과 2010년에 보험급여 한약제제 확대에 대한 논의를 해놓고도 결국 포기해야만 했으며 그 이후로도 분업을 제외한 제제급여 확대를 위한 모든 방법을 동원했음에도 지금까지 전부 실패했다.

이에 현 집행부에서는 제제분업을 전제로 하는 제제급여 확대 방안에 대한 정부의 연구용역을 용인했고 그 결과가 올해 연말에 나오게 되면 내년 이맘때쯤 회원들이 추진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노인정액제 손실 넘어선 수익 추구

특히 최 회장은 노인정액제가 정부에 의해 일몰될 예정이며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진찰료나 처방전 발행률 등 모든 것의 득실을 따져 한의계가 얻을 이익이 없다고 판단될 시 제제분업을 결코 하지 않을 것이고 또 회원들의 의견을 물어 원치 않는다면 추진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제제한정 분업 시 한의계에 기대되는 이익을 묻는 회원의 질문에 최 회장은 제도개선이 우선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복합과립제와 천연물유래의약품까지 범위를 확대하면서 제제한정 분업이 이뤄지면 노인정액구간에 의한 손실을 넘어선 수익이 만들어 질 것으로 기대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추진하지 않겠다고 다시한번 말했다.

회원들의 동의를 얻어가면서 정책을 추진해야 회원들이 불안해하지 않는다는 당부에도 최 회장은 “지난해 초부터 전국 시도지부와 한의대를 돌면서 정책설명회를 하고 있다. 그럼에도 제 말이 회원 모두에게 다 전달되지 않다 보니 뭔가 독단적으로 일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살 수도 있었을 것이다. 회원들의 의견을 더 듣고 정책추진에 녹여내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끝



///시작

///면 10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첩약 급여화, 최종 추진 여부는 ‘회원들의 몫’”

///부제 최혁용 회장·김동수 연구원·박경숙 소장, 첩약 건보 관련 다양한 의견 제시

///부제 한조시약사·한약사 참여, 수가 산출근거, 처방전 공개 등 쟁점사항 열띤 토론

///부제 한의생태계연구소, ‘첩약 건강보험, 한의계의 지혜를 모으기 위한 긴급토론회’ 개최

///본문 첩약 건강보험 급여화가 추진되면서 회원들 사이에서 찬반을 놓고 다양한 의견들이 개진되고 있는 가운데 한의생태계연구소는 지난 7일 삼경교육센터에서 ‘첩약 건강보험, 한의계의 지혜를 모으기 위한 긴급토론회’를 개최, 첩약 건보에 대한 한의계의 찬반의견을 허심탄회하게 듣고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 △한의생태계연구소 박경숙 소장 △한국한의학연구원 김동수 연구원이 각자의 의견 개진과 함께 첩약 건보 급여화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부분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날 최혁용 회장은 2012년 첩약 급여화 추진부터 현재까지의 진행사항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한약 급여화 협의체를 통해 논의가 시작됐지만, 협의체의 의결 결정방식을 보면 다수와 소수의 의견이 갈릴 경우 모두 명시토록 하고 있어 사실상 최종안을 도출해낼 수 없는 구조”라며 “협의체의 논의를 거쳐 마련되는 최종안은 결국 복지부가 행위전문위원회에 올리는 것이며, 이 최종안을 갖고 회원투표를 붙여 첩약의 급여화 추진 여부를 묻겠다는 것이 협회의 입장”이라고 밝혀, 결국 첩약 건보 급여화 시행은 회원들의 의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임을 분명히 했다.



“첩약분업, 정부는 생각조차 하지 않고 있다”



최 회장은 이어 “첩약분업에 대한 우려도 큰데, 사실 첩약분업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들며, 분업할 상대가 없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첩약에 대한 분업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또한 첩약분업이 언젠가 될 수도 있다면 한의사 기술료가 중요하다. 때문에 첩약 수가를 한의사가 가진 무형의 기술에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설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최 회장은 “첩약이 급여화되면 원외탕전만 허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는데, 정부의 기본방침은 원내탕전은 기본이며, 오히려 원외탕전의 관리감독 강화에 더욱 관심을 갖고 민감하게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라며 “원내탕전의 경우 책임자가 명확한 반면 원외탕전은 책임이 모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원내탕전은 인정하고, 원외탕전의 경우에는 인증제와 같은 제도를 통해 국가가 관리해 나가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동수 연구원은 “현재 첩약 급여화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인 시행방안에 대한 논의보다는 첩약을 급여화 해야 하느냐, 마느냐가 논의의 중심이 되고 있는 것 같다”고 운을 뗀 후 첩약의 시장현황, 첩약 급여화에 대한 한의사 회원들의 인식, 첩약 급여화를 둘러싼 외부환경 등에 대해 기존에 조사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첩약 급여화, 추진 여부 자체가 ‘쟁점’ 대두



김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첩약시장은 지속적으로 정체돼 있는 상황이며, 첩약의 가격탄력성은 0.9〜1.7 정도로 만약 현재 관행수가 24만원에서 환자부담금이 7만원 정도로 가격부담이 70% 정도 하락한다면 이용률은 63〜119%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의사들은 첩약 급여화에 대해서는 높은 찬성률을 보인 반면 한약사와 한조시약사의 참여 여부에 따라 찬성률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이 있다고 밝혔으며, 향후 첩약 급여화가 추진되기 위해서는 건정심 통과가 필요한데, 현재 건정심 위원들은 건보재정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만큼 무엇보다 국민들이 첩약 급여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더욱 확산시키는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협회의 정책 결정은 임상현실에 기반해 추진”



이와 함께 박경숙 소장은 “첩약 급여화 추진은 마치 지금 살고 있던 집이 재개발돼 떠나야 하는 상황에서 보상이 얼마나 되는지, 다시 들어올 때 어떤 조건인지를 살펴보는 단계인 것 같다”며 “첩약이 건강보험이 되면서 국가 차원의 다양한 통제가 들어오는 것에 대해 무조건 현재의 정책이 그러하니 따라가야 한다는 식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박 소장은 또 “전체 한의사 회원을 대표하는 협회에서의 정책 결정은 임상현실을 기반해 정책을 내놔야 한다”며 “(정책 추진에 앞서)사실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하며, 그러한 근거에 기반해 정책의 추진 여부를 결정하는 회원투표가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박 소장은 “지금 그러한 근거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회원들이 불안해 하고 있는 것”이라며 “협회에서는 사실에 근거해 회원들에게 이야기를 전달해야 하며, 확인이 필요한 부분은 명확히 확인하고, 문제되는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점을 찍고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본격적으로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보고서에서 제시된 안은 수정이 가능한 안인가? △한조시약사와 한약사의 실질적 배제가 가능한가? △보고서에서 제시된 수가의 산출근거는? △급여화 이후 쏠림현상에 대한 대처방안은? △처방전 공개에 대한 견해 등 첩약 급여화를 놓고 한의계 내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부분에 대한 허심탄회한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미래의 득실 균형있게 보는 시각 필요하다”



한편 최혁용 회장은 “누구에게나 변화는 두렵게 마련이며, 새로운 정책 추진 전에는 언제나 우려가 더 크게 보이는 법이다. 그래서 지난 2012년에도 한의계의 이득보다 우려가 더 커보였기 때문에 첩약 급여화를 거부한 것이다”라며 “그러한 우려의 시선들 때문에 여러 가정이 만들어지게 되고, 정책이 추진된 이후 미래에 대한 득과 실을 균형있게 보지 못하게 하는 것 같아 아쉬운 마음이다. 미래는 누구도 확신할 수 없기에 협상을 진행하고 최종안이 마련되면 회원들의 뜻을 묻겠다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박경숙 소장도 “협회장의 말대로 우리에게는 미지의 것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확실한 것과 아닌 것을 명확히 하고자 이러한 자리를 마련하게 된 것”이라며 “회원들도 이러한 기회를 통해 공부가 되는 것이고, 상호간의 이해를 통해 안을 만들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무엇보다 자신의 임상현실에 기반해서 첩약 급여화를 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의생태계연구소 관계자도 “첩약 급여화 추진을 놓고 찬성-중립-반대의 입장을 대변하는 토론자를 초청한 이유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자칫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을 사전에 점검하고, 다양한 시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긴급하게 토론회 자리를 마련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이러한 기회가 자주 마련돼 회원들이 느끼고 있는 불안감을 해소하고,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좋은 대안이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11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바닥 민심 신중하고 세심히 살펴야”

///부제 한의협, 서울시한의사회 분회장 간담회 개최

///부제 최 회장, 처방전 공개 관련 회원과 인식의 간극 인정

///부제 DUR 선제적 요구 보류, 처방공개 최소화로 선회

///부제 악의적 가짜뉴스로 악화가 양화 구축 못하게 협조 당부

///본문 지난 13일 서울시한의사회 회의실에서 가진 서울시한의사회 임원 및 분회장과의 정책간담회에서 분회장들은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일선 회원들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 심리적 저항감을 갖지 않도록 해줄 것을 당부했고 대한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 역시 회원들이 불안감을 갖게 한 데 대한 사과와 더불어 DUR 및 처방 공개 등의 문제에 있어 한발 물러선 입장을 밝혔다.

최 회장은 이에 앞서 지난 12일 가진 첩약 건강보험 토론회에서 회원들의 의견을 경청해 정책 추진에 녹여내겠다고 약속한 바 있어 이러한 변화가 일각에서 제기된 우려를 잠재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의협 방대건 수석부회장이 진행을 맡은 이날 정책간담회에서 최 회장은 “회원들에게 신뢰를 충분히 주지 못하고 자보추나 과정에서 불안케 했던 점, 이로인해 불신을 받게 된 점이 안타깝고 죄송하다. 추나 건보로 자보에서 더 큰 이익이 있을 것이란 기대감에 들떠 유례없는 국토부의 행정해석과 새롭게 기준이 만들어져 가는 과정에서의 불안정성이 회원들에게는 고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예견하지 못했고 상황에 따라 손해를 보는 회원도 있다는 것을 신중하고 세심하게 살피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이어 “이러한 것이 어떻게 보면 첩약 건보를 반대했던 소수가 목소리를 낼 여지를 준 것 같다. 첩약 건보 진입에 우리의 미래가 있다고 생각한다. 성공적인 첩약 건보를 위해 지혜를 모아주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첩약 건보 시 첩약 단가에 대한 질문에 최 회장은 1제당(10일 분) 17~18만 원 선으로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도 자보첩약 수준은 보장해 주겠다는 입장이어서 적어도 15만원 밑으로 책정될 일은 없으며 만에 하나 그 이하로 책정하려 한다면 비급여로 남겨두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정부는 약가마진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지만 첩약은 제제약 처럼 약가 책정이 어려워 1제분의 약제비를 약 4만7000원 정도로 상한선을 정하는 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최 회장은 이러한 번거로움을 감내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적기 때문에 실제로 약가를 받을 때는 정부도 자보방식의 포괄적 수가를 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첩약 건보 대상 한약의 처방 공개와 관련해 최 회장은 “처방전 공개에 있어서 일선 회원과 간극이 있는 것으로 보여 임의로 판단하지 않겠다”며 최대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을 수렴해 처방 공개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DUR 도입 선제적 요구 방침을 보류하며 논의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시도지부장과의 협의를 거쳐 결정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정부에 DUR 도입을 먼저 요구하고 건보 적용 대상 첩약에 들어가는 한약재의 용량을 제외한 종류를 공개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기존 방향에서 한발 물러선 것.

한약재는 규격품 한약재로 제조되기 전에는 농산물로 유통이 되고 식약공용한약재도 많아 처방 공개 시 자가조제의 위험성이 매우 크다는 일선 회원들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2012년에 한의계가 합의하지 않으면 첩약 건보를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건복지부의 공문까지 받아 제시했음에도 거짓 선동을 앞세워 의도적으로 파기시켰던 전례가 있었던 만큼 건전한 비판이 아닌 악의적으로 훼손하려는 시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도 뒤따랐다.

이에 최 회장은 “가보지 않은 미래이기에 불안할 수 있다. 회원들의 불안감을 충분히 이해한다. 새로운 정책으로 실제 피해를 보는 분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가짜뉴스는 적어도 막아야 한다. 100%가 찬성하는 정책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반대 의견도 그대로 안고가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악의적인 가짜뉴스로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일이 없도록 분회장님들이 도와달라”고 답을 대신했다.

추나 급여화와 관련해서는 횟수제한이 회원들의 심리적 저항감을 키웠다는 지적에 최 회장은 단가를 지켜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에 따르면 시범사업 그대로 본사업에 들어갈 경우 재정이 8000억원 이상 들어가게 돼 본사업 추진이 무산될 위기에서 정부 예상 소요재정과의 절충이 필요했다.

횟수 제한은 추나 치료의 효과를 본 국민들이 앞으로 풀어줄 것으로 생각해 단가를 지켜내면서 상병명을 통제하고 교육이라는 허들과 횟수 제한을 받아들여 소요재정을 낮출 수 밖에 없었다는 것.

질책과 당부도 이어졌다.

“분회원들과 대화해 보면 기존에 많은 환자에게 추나시술을 해왔던 곳에서는 손해가 있지만 그렇지 않았던 대다수의 회원은 추나급여화로 많은 혜택을 보고 있다는 반응이어서 대부분의 회원이 손해를 봤다는 일각의 문제제기에 동의하지 않는다. 다만 사전에 경고했고 그럼에도 제대로 준비하지 않아 뒤늦게 회복시키려해 신뢰를 잃었다. 이것은 사과해야할 부분”이라며 “그래도 빨리 대처해 일궈낸 능력을 견지해 앞으로 같은 실수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약제제 시장의 확대가 첩약시장의 위축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최 회장은 제제사용이 활성화되면 첩약 사용이 줄어들 개연성은 있지만 첩약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재발견하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 회장에 따르면 중국의 경우 제제급여화에 이어 2000년 후반에 첩약 급여화를 실시했으며 이후 첩약 사용이 20%씩 늘어났다.

환자 개개인에 대한 맞춤치료에 중점을 둔 중의사들이 첩약으로 거의 옮겨갔기 때문이다.

또 제제를 많이 사용하는 함소아한의원 네트워크의 경우 제제사용 비중이 높을수록 환자의 한약 순응도가 높은 것을 확인했다.

꾸준하게 관리할 수 있는 약이 있으면 메인인 첩약에 대한 순응도 또한 높아진다는 것.

따라서 사용할 도구가 많아지면 이를 조합하는 과정에서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이날 정책간담회에 참석한 서울시한의사회 임원 및 분회장들은 △자보에서 복잡추나 및 약침과 추나의 합산 문제 해결 △원내탕전이 사라지거나 관리가 엄격해질 것에 대한 우려 불식 △과거의 과오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밑바닥 민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 △회원들의 심리적 저항선을 제대로 파악해 사전에 대처할 것 △이해상충의 문제에서 회원들이 믿을 수 있는 약속을 해줄 것 등을 요청했다.

한편 서울시한의사회 홍주의 회장은 마무리발언을 통해 “찬성과 반대를 떠나 고비가 많은 정책들이다. 그래서 불안해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논리적으로 완벽하고 제도적인 부분에 허점이 없도록 보완해 회원들에게 신뢰를 주도록 노력해 달라”고 조언했다.

///끝



///시작

///면 12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산청한방약초축제위, 동의보감상 후보자 접수

///부제 7월 31일까지, 한의약 학술 발전 공헌자 발굴…상패 및 상금 500만원 수여

///본문 경남 산청한방약초축제위원회가 제15회 ‘동의보감상(賞)’ 수상자 선정을 위한 후보자 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축제위에 따르면 후보자 추천 접수는 오는 7월31일까지이며 수상자는 8월 중에 포상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해 확정, 오는 9월27일 제19회 산청한방약초축제 개막식에서 500만원의 상금과 상패가 주어진다.

‘동의보감상’은 동의보감의 저자 의성 허준 선생의 업적을 후세에 전승하고 산청군이 전통 한방약초의 본고장임을 널리 알리기 위해 산청한방약초축제위원회에서 제정했다.

2004년 류의태·허준상으로 시작해 매년 한의약의 육성 발전에 기여한 자를 발굴·포상해 왔으며 201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동의보감의 우수성 및 가치를 재조명함으로써 전 세계적인 명성 부여를 위해 ‘동의보감賞’으로 개정했다.

올해 시상 부문은 학술 부문 1개로, 한의약 기술의 연구개발 등으로 전통 한의약의 학술적 발전에 공헌한 인사 또는 단체다.

수상 후보자 자격은 추천 마감일 기준 생존해 있는 한의약 발전에 업적이 있는 인사 또는 운영 중인 단체로, 업적 기준은 △위민정신을 바탕으로 자원봉사, 무료진료 등 한의약의 정신적 위상 제고 및 학술 발전을 비롯한 국민의 건강 증진에 탁월한 업적을 남긴 인사 △전통 한방에 관한 축적된 업적이 한의약계에 귀감이 되고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인사다.

구비서류는 추천서와 업적 증빙자료로, 관련 서식은 산청군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우편접수는 경남 산청군 금서면 동의보감로 555번길 45-6 동의보감촌 엑스포주제관 2층 산청한방약초축제위원회로 하면 된다. 자세한 문의는 055-970-6001~6605로 가능하다.

///끝



///시작

///면 12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윤용갑 원광대학교 교수, 제1회 대남한의학술상 수상

///부제 한의학 기초 분야 교수 선발…시상금 1000만원

///본문 제1회 대남한의학술상에 원광대학교 방제학교실 윤용갑 교수(사진 왼쪽 두번째)가 선정돼 1000만원을 수상한 것으로 지난 2일 확인됐다.

대남한의학술상은 전주 대남한의원 정현국 원장(사진 오른쪽 두번째)이 원광대학교에 1억원을 약정해 한의학 발전의 공로가 큰 한의과대학교 기초의학 교수들을 위해 제정한 상으로 올해 첫 시상식을 진행했다.

최근 원광대학교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정현국 대남한의원장은 “원광대학교 학부 시절부터 석사 학위를 받을 때까지 장학금의 도움을 받았다”며 대남한의학술상 제정 배경을 밝혔다.

///끝



///시작

///면 14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의료일원화, 국민을 위한 상생의 길 찾아야”

///부제 한 직능을 흡수·통합해 단일화하자는 개념 아냐…국민은 한·양의 모두 필요

///부제 한의의 미래발전 방향 포함한 의·한 MIX 방법론 필요

///부제 복지부, “조만간 관련 위원회 구성해 논의 시작할 것”

///부제 “융복합 통해 서로의 장점을 더욱 발전시켜야”

///부제 복지부, 2년간 로드맵 만들고 법령화 작업 진행

///부제 “정책도 미흡하지만 통합 담론도 굉징히 부실”

///본문 의료체계의 큰 변화에 따라 한의와 의과의 통합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많아지면서 의료일원화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윤일규 국회의원이 7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의료일원화를 위한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국민과 사회에 득이 되는 방향으로 현 이원화된 의료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한·양의가 함께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는 공통된 목소리를 냈다.

반면 대한의사협회(회장 최대집, 이하 의협)는 기존의 입장만을 고수해 향후 논의가 쉽지만은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이는 축사에서부터 고스란히 드러났다.

대한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은 “세계를 통틀어 우리나라처럼 상호 배제적 의료 이원화제도를 채택한 나라는 없다. 이로인해 융복합을 통한 학문 발전을 기대할 수 없으며 양 직능간 갈등을 가중시키고 국민의 불편과 산업화에도 약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무엇보다 전통의학을 향유하고 있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한의사의 역량을 우리 사회가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협이 세부적인 방안은 다르지만 일원화라는 대의에 동참한데 대해 높게 평가한다”며 “정치적 기회의 장은 열리고 있는 것 같다. 정부를 포함해 의료일원화라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희망한다”고 적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의협 최대집 회장은 △미래세대를 대상으로 의과대학으로의 단일 의학교육제도 도입을 위해 현 한의대를 폐지하고 의과대학으로의 단일 의학 교육을 통한 단일 의사 면허자 배출 △기존 면허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의 면허자 및 재학생은 의료일원화의 논의대상에 배제하며 의료일원화 시행 이후에도 기존의 면허자는 변함없이 기존의 면허와 면허범위를 유지하고 상호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다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토론에 나선 의협 성종호 정책이사 역시 “제도의 발전을 얘기하려면 중국, 대만 이”런 곳 보다 선진화된 모델의 세계화된 논의를 해야 하는데 의료일원화를 논의할 때는 왜 못사는 나라를 예로 드는지 이해가 안된다”며 “의학교육 일원화에 있어서도 질적 차이가 많이 남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한의사는 침을 경혈에 놓는다고 하는데 개원 5년차 이하 한의사들은 50%가 해부학 바탕의 침 시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과연 전통의학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도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대한의학회 염호기 정책이사는 “전제에 오류가 있다. 한의와 양의를 일대일로 동등하게 비교하는 것이다. 이는 양쪽 모두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며 “의료는 하나다. 의료라는 큰 바다가 있고 여기에는 여러 영역이 있는데 한의는 그중 하나다. 의료일원화는 한의의 독창성을 잘 살려 의료 체계로 들어올 것이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한의계로서는 의료일원화가 한의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다. 그리고 의료계에서는 양보가 필요하다. 단언컨대 한의학은 없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교육을 통한 의사 인력이 늘어나는 것 쯤은 수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대해 한의협 손정원 보험이사는 한의학에 대한 양의계의 기본 인식 자체가 잘못돼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손 이사는 “젊은 한의사의 50%가 해부학을 바탕으로 침을 놓고 있다는 것은 이미 한의사가 의학적 진료를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의학에서 보는 몸과 한의학이 보는 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의사는 해부학적으로 하고 한의사는 해부학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님에도 양의사만 해부학을 할 수 있다는, 한의학과 서양의학에 대한 기존 고정관념에서 모든 것을 해석하다보니 오해가 생기고 한의학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의료일원화를 했을 때 국민에게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 의사에게 어떠한 이익이 있는지를 알려주고 한의사는 한의사답게, 의사는 의사답게 각자의 일을 할 수 있을 때 선입견을 내려놓고 의료일원화도 앞당겨질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한의학회 한창호 정책이사는 “1995년 한·양방 상호발전방안에 대해 발표한 바 있는데 그때 상호인정, 상호교류,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라는 3가지를 제언한바 있다”며 “그 이후 사회적으로는 논의가 있었지만 정작 의료공급자인 한의사, 의사는 이에 부응할만한 치열한 논의나 노력이 있었는지 반성하게 된다”고 말을 꺼냈다.

이와함께 “통합을 하려면 전제조건이 최소한 만나야 하고 서로를 알아야 한다. 한의대에서 의과교육이 질적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최소한 일정한 양을 채우려는 노력을 해온 반면 의대에서는 한의에 대해 알려는 노력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턱없이 부족했다”며 이제라도 논의를 시작할 것을 촉구했다.

소비자시민모임 윤명 사무총장은 “의료일원화가 한 직능을 흡수, 통합해서 단일화하자는 개념이 아니다. 융복합을해 서로의 장점을 더 잘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미래의 그림을 좀 더 명확하게 할 수 있는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건복지부 이기일 보건의료정책관은 지난 2018년 합의문에 포함된 4가지 중 기존 면허자에 대한 부분을 빼고는 모두 동의됐던 만큼 실현을 위해 발전위원회를 조만간 구성해 2년간 로드맵을 만들고 법령화하는 작업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다만 현재로서는 정해진 방향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후 의료일원화 방향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이날 ‘의료면허일원화의 조건’을 주제로 발표한 의료리더십포럼 임기영 회장은 “의료일원화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정의를 명확히 하고 특히 국민과 사회에 옳은 길이 무엇이고 학생들에게 옳은 길이 무엇인지를 찾아내 모두가 윈-윈 할 수 있는 옵션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의료일원화의 가능성과 과제’에 대해 발표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조병희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의사의 한의학에 대한 고정관념이 있고 이원화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데 다른 나라들을 살펴보면 수준의 차이가 있지만 존재하고 있고 이를 굳이 없애려 하지 않는다”며 “최근 WHO가 제시한 의료통합에 대한 기준을 보면 우리나라는 이미 통합 단계에 진입해 있는데 또 일원화를 하자 하는 것은 국제사회에서 볼 때 아이러니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통합을 단일의학으로 인식하다 보니 교육과 면허통합에 관심이 집중돼 있어 통합방식이 다분히 기계적이고 비현실적”이라며 “정책도 미흡하지만 통합에 대한 담론이 굉장히 부실하고 미래 한의학의 정체성을 어느쪽으로 갈 것인지에 대한 미래 전망(의-한 MIX)이 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윤강재 보건의료연구센터장은 ‘의료이원화 체계 : 개선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발표에서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충분한 논의를 통해 추진하되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돼야 하며 국민건강과 환자안전 제고, 한국 의료체계의 발전, 미래세대의 의학교육 개선, 사회적 갈등 해소에 가치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의-한-정협의체를 복원해 포괄적인 방향성 추진에 직역간 합의를 추진하되 구체적인 방안은 별도의 조직을 통해 논의할 것을 제언했다.

///끝



///시작

///면 15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의료일원화 국민에게 이득이 되는 옵션인지가 중요

///부제 임기영 회장 “각자의 입장 아닌 국민 이득 고려해야”

///부제 조병희 교수 “의대가 학부, 한의대는 전문대학원 형태로…”

///부제 윤강재 센터장 “한의정 협의체, 신속 복원 필요”

///본문 지난 7일 윤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최로 열린 ‘의료일원화를 위한 대토론회’에서 보건의료계 전문가들은 일제히 일원화의 필요성에 한목소리로 찬성 의견을 내놨다.

‘의료 면허 일원화의 조건’을 주제로 첫 발제를 맡은 임기영 의료리더십포럼 회장은 “일원화는 의사면허와 의학교육의 단일화를 의미하며 완전한 일원화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며 “일원화를 한다 해도 한의학의 수요는 없어지지 않고 필요를 느끼는 국민이 있어 어떤 방법으로든 생존한다는 사실에 기반해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로저 피셔의 ‘YES를 이끌어내는 협상법’을 예로 들며 의료일원화 추진시 필요한 협상의 4원칙에 대해 제안했다. 문제와 사람을 구분할 것, 각자의 입장보단 이익에 초점을 맞출 것, 다양한 옵션을 생성해낼 것, 객관적 기준에 근거할 것을 토대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임 회장은 “의료일원화의 정의를 우선 명확히 하고 이해당사자들이 각각의 입장을 고려하거나 당사자간 합의를 중요시하면 반드시 실패한다”며 “의사나 한의사의 입장이 아니라 무엇이 국민에게 가장 이득이 되는 옵션인지를 각자가 생각할 것”을 주문했다.

‘의료일원화의 가능성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맡은 조병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일원화는 가능하지만 일원화가 한·양 갈등의 끝은 아니다”라며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만 한의사와 의사간 갈등관계가 악화된 데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우리나라는 이러한 갈등의 해소책으로 일원화를 이전부터 제안했다. 싹 다 없애고 하나로 만들자는 취지인데 한국은 기본적으로 교류 연구가 미흡하다”며 “의사들 중 침술에 관심있는 의사들이 무자격 침구사의 학원에서 특설 의사반을 만들어 수백명의 의사들이 침을 배우고 임상에서 치료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직의 관할 영역은 사회 변화, 기술 변화, 내부 구성 변화에 의해 바뀌므로 의료 분야 역시 이러한 흐름에 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어 조 교수는 “결국 양쪽의 주장을 조합하면 교육일원화는 의대와 한의대의 역할 분업을 토대로 의대가 학부 수준, 한의대는 전문대학원 형태로 전환해 한방 전문의 과정을 운영하는 식으로 그림이 그려진다”며 “물론 일원화가 되면 의사들도 생약 기술을 활용한 융합 치료를 발전시켜 국제적으로 한국의학을 빛낼 기회를 만들 수도 있고 한의사들은 지금 기대하고 있는 진단기기 사용, 급여 확대는 물론 의사면허자로서 국제 교류도 가능해지는 데다 정부도 소모적 갈등을 줄일 수 있어 효율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현재의 통합 과정과 관련해 “교육과 면허 통합에만 집중돼 기계적이고 비현실적이며 통합 이후의 한의학 제도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아무리 찾아봐도 논의된 게 없다”며 “일본 침구대 10여 군데를 방문해보니 침구사 제도를 어떻게 발전시킬지 미래 전망 논의를 깊게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강재 보건사회연구원 보건의료연구센터장은 ‘의료이원화 체계: 개선 필요성과 방향’ 발제에서 이원화 체계를 개선해야 하는 이유로 “환자의 치료 성과 제고나 비용 절감 등의 편익이 달성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센터장은 “이원화된 체계가 환자에게 편익을 제공하려면 완전히 한·양이 구분돼 독자적 지식 체계를 갖추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심지어 같은 직역 내에서도 대형병원과 동네의원이 같은 환자를 보는 식의 경쟁이 극심한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서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비효율적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환자 입장에서 편익을 얻으려면 어떤 치료가 더 맞고 안전한지 근거가 제공돼야 하는데 가뜩이나 의료 서비스가 정보 비대칭인 상황에서 한·양은 심지어 서로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어 환자에게 선택의 혼란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윤 센터장은 “세계적으로도 전통의학은 없애는 게 아니라 주류 의학으로 편입돼 난치성, 만성 질환의 한계를 극복해 나가는 추세인데 우리나라는 직역 갈등의 뿌리가 깊다 보니 발전은커녕 접근조차 못하고 있다”며 “이원화 제도에 대한 기대 편익이 우리 의료현실에 맞지 않다면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작년에 무산된 한의정 협의체와 관련해서는 “당사자간 협의가 굉장히 중요한 만큼 협의체 논의 구조는 신속하게 복원될 필요가 있다”며 “위원회든 TF든 포괄적, 선언적이라도 쟁점에 대해 안을 내놓아야 하며 서로간 갈등 요소가 클수록 오히려 소비자나 환자가 판단하기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협진과 관련해서는 “의과 내에도 재활의학과나 가정의학과는 한방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는 만큼 면허 범위가 아닌 학회 차원에서 협진을 추진해 볼 수도 있을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일원화나 통합을 지향하더라도 단기적으로 교류 협력할 분야를 찾아볼 것”을 조언했다.

또 한의약 표준화, 과학화와 관련 “작년 한의협 기자회견에서 한방 의료행위를 검증받겠다고 했는데 현재 한의 의료기관에서 많이 이용되고 효과성을 인정받는 부분들을 식약처나 보건의료연구원에서 공동 검증해 보는 것도 방법”이라며 “서로 정치적 입장을 떠나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다면 열린 마음으로 합의할 수도 있는 만큼 R&D영역에서 시작해 보는 것도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끝



///시작

///면 17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한의난임치료는 출산율 향상을 위한 디딤돌”

///부제 윤현민 교수, 여성건강 증진에 중점둔 한의난임치료…임신율 향상에 도움

///부제 손정원 이사, 한의난임치료의 건강보험 급여화 위해 모든 노력 경주할 것

///부제 부산여성신문·부산시한의사회,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전문가 정책토론회

///본문 부산여성신문(대표 유순희)이 주관하고, 부산광역시한의사회(회장 이학철)가 협력한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전문가 정책토론회’가 지난 3일 부산광역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김경호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 노기태 부산 강서구청장 등 내외빈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돼 전국 평균 출산율을 밑도는 부산시의 출산율 제고를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유순희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저출산 문제가 어떤 이슈보다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인 가운데 정부에서는 지난 13년 동안 153조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매월 출생아 수는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며 “여러 가지 정책 추진도 필요하겠지만 국민 개개인과 사회 전체의 적극적인 노력이 없이는 개선될 수 없는 만큼 오늘 토론회를 통해 시민들이 공감대를 형성, 인식 전환에 도움이 되는 뜻깊은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의 난임치료 지원사업의 적극적인 홍보 필요

유 대표는 이어 “부산시한의사회에서는 부산시와 함께 한의 난임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홍보가 부족한 것 같다”며 “한의난임치료를 통해 출산이 가능한 만큼 앞으로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홍보를 통해 이 사업이 많이 알려져 출산율을 제고하는데 더 많은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학철 회장은 “부산의 인구가 점차 줄어들어 이제는 한국 제2의 도시라는 브랜드를 인천에 내어줄지도 모르는 시점에 와있다. 부산은 출산율 제고를 통해 재도약해야 하며, 그 디딤돌의 핵심이 바로 한의 난임치료 사업”이라며 “현재 부산시를 시작으로 전국 지자체로 한의난임사업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부산시한의사회는 부산시민, 특히 부산 여성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들을 수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부산시의 출산보육시책과 방향(원세연 부산시 출산보육과 보육평가팀장) △난임과 출산율 제고를 위한 한의적 접근방안(윤현민 동의대 한의과대학 교수)을 주제로 한 발표에 이어 손정원 대한한의사협회 보험이사, 박철순 부산여대 유아교육학과 교수, 윤지영 부산시의회 의원, 김효정 부산일보 기자, 김규리 부산시여성단체협의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패널토론이 진행됐다.

원세연 팀장은 발표를 통해 부산시는 정부의 저출산·고령사회 정책로드맵에 따라 △아이와 부모가 모두 행복한 육아친화 환경 조성 △공보육 운영 강화 및 부모 양육 지원 △보육현장 지원으로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 △안전하고 건강한 어린이집 환경 조성 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소개하는 한편 “부산시는 저출산과 관련 집중적인 투자와 관심을 갖고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지금이 저출산 해결을 위한 ‘골든 타임’이라는 인식 아래 모든 사회적인 역량을 총집중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부산시한의사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의난임치료 지원사업을 소개한 윤현민 교수는 한의난임치료는 임신뿐만 아니라 여성건강을 증진하는 효과도 있으며, 또한 올해부터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까지도 함께 치료를 시작하는 만큼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초기의 한의난임치료…임신율 높이는데 도움

윤 교수는 “여성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수승화강이 원활해야 한다. 때문에 한약과 침, 뜸 등과 같은 한의치료를 통해 여성의 배를 따뜻하게 하는 등 임신이 잘 될 수 있는 신체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로 한의난임치료”며 “또한 지원사업을 하다보면 양방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다한 뒤 한의치료를 받다보니 몸상태도 안좋고, 스트레스도 많아 임신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우선 자신의 건강을 돌볼 수 있는 한의난임치료를 초기부터 선택한다면 임신율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날 토론회에서는 한의 난임치료를 통해 지난해 10월 출산에 성공한 A씨가 참석해 자신의 생생한 경험담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A씨는 “늦은 나이에 결혼한 것도 있지만, 결혼 전 자궁내막증으로 수술을 받는 등 자연임신이 어려울 것이라는 병원의 얘기를 들었다”며 “그러나 남편이 아이를 너무 원해 시험관아기 시술을 권유받기도 했지만 내키지가 않던 중 평소 다니던 한의원에서 우연히 한의 난임치료 지원사업을 알게 됐고, 사업에 참여해 그렇게 바라던 아기를 출산하게 됐다”고 말했다.

A씨는 이어 “자연임신이 어렵다는 부정적인 말만 하던 양방의료기관과는 달리 긍정적이고 따뜻한 말로 치료를 지속해준 한의사 선생님의 말을 믿고 끝까지 치료에 임했다. 임신테스트기로 임신을 확인한 후 맨 처음으로 알린 사람도 남편이 아닌 원장님이었다”며 “난임여성의 경우 급한 마음에 (양방)시술을 받기도 하는데, 그보다는 우선 자신의 몸과 마음을 돌보기를 바라며, 내 몸이 회복되면 자연스레 아이는 찾아오는 것 같다. 한의난임치료와 같은 정책이 확대돼 혜택을 받는 난임부부들이 더욱 늘어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여성 자체가 건강하고 행복해야 출산율 제고될 것

한편 이어진 토론회에서 손정원 한의협 보험이사는 임신은 물론 여성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되는 한의 난임치료가 전국민 건강보험이 적용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손 이사는 “정부의 저출산 정책 패러다임이 기존 출산율 목표에서 아이와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삶의 질 개선으로 전환됐다”며 “지금은 한의·양의가 싸울 때가 아니라 어떤 방법이든 환자에게 해가 되지 않고, 정말 국가가 원하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라면 모든 자원을 투자해 시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손 이사는 이어 “전 세계를 통틀어 봐도 한국만큼 한약을 많이 먹는 나라도 없는데, 과연 한약을 많이 먹는다고 기형아 출산율이 높은가, 건강상태가 안좋은가, 간질환의 발병 비율이 높은가”라고 반문하며, “시민들은 한약의 안전성을 지금 이 시간에도 몸소 체험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한의약을 적극 활용해 여성이 출산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정말 소중한 존재로서 여성 자체가 건강해지고 여성이 행복해져야만 임신이 가능하고, 지속적인 출산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손 이사는 “현재 국가는 인공 체외수정 등 양방 난임시술에는 거의 전액을 지원하고 있지만 한의 난임치료의 경우에는 지자체의 예산으로만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부산시 선배 한의사들이 노력으로 이 땅에 한의사제도가 지켜진 것처럼 한의난임치료도 부산시에서부터 더욱 확대돼 한의약의 효과 입증은 물론 여성이 행복해지고, 그래서 임신과 출산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부산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하며, 대한한의사협회에서도 한약 등 한의난임치료과 양방의 난임치료와 같이 전국민 건강보험에 포함될 수 있도록 모든 힘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동·청소년기 때부터의 교육에도 관심 가져주길

이와 함께 이날 패널토론자들은 부산시의 저출산 정책이 수혜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현장 중심형 정책이 마련돼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입을 모았다.

이밖에도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한 청중은 “임신 시기에 맞춰 여성의 건강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동·청소년기 때부터 여성의 건강을 증진해 성인이 된 이후에도 난임이라는 고통을 겪게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며 “부산시한의사회에서 관련 교육자료를 만들어 학생들은 물론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등의 사업도 추진해 줬으면 한다”고 건의키도 했다.

///끝



///시작

///면 19

///세션 인터뷰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신임 시도지부장에게 듣는다 <6>

///부제 “청소년 월경곤란증 한의약 치료 홍보 박차”

///부제 이필우 회장 충청남도한의사회

///부제 한의원서 사용가능한 콘텐츠 제작 등 정보 제공에 주력

///본문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지난 4월부터 충청남도한의사회(이하 충남지부)의 수장으로 당선된 이필우 회장으로부터 소감과 향후 포부를 들어봤다.

◇충남지부 회장을 맡게 됐다.

충남 아산시분회장을 도맡으며 당연직 부회장으로서 한덕희 전 집행부와 일을 시작하게 됐고 이후 지부에서 보험부회장으로서 경력을 쌓으면서 한의계 지부 회무에 더욱 깊은 관심을 갖게 됐다. 개별 한의사로서 진료실에서 환자를 보는 일도 중요하지만 우리 지역 내 한의사들의 발전을 위한 일에 작은 힘이 되고자 한다.



◇아산분회장, 보험부회장을 거치며 회무 경력을 쌓았다. 분회장, 부회장, 회장 직함에서 느끼는 차이는?

분회장으로 활동할 때는 회원들의 참여율을 끌어올리는 게 주 목표였다. 아산시 회원이 현재 70명 정도인데 실제 회비를 납부하고 참여하는 회원이 40명 정도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요 임원들과 전임 회장단을 중심으로 회원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일에 앞장섰다. 지부에서 보험부회장이 되고 나니 한의약 제도화로 초점이 조금 옮겨졌다. 한의계가 처한 환경이 불합리하고 을의 입장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제도권으로 들어가야 하는가가 중점이었다. 급여화와 관련 보험이라는 키워드에 맞게 회무를 추진하면 됐다.

그리고 이번에 회장 직함을 맡고 보니, 회장이라는 자리는 여러 회원의 의견을 많이 듣는 게 중요하더라. 전체를 하나로 잘 이끌어야 하는 위치다 보니 부담이 이전보다 큰 게 사실이다.



◇충남지부만의 특색을 소개해 달라.

충남 회원들은 대체로 조용한 듯 하면서 정의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한 것 같다. 충남 같은 지부는 광역시와는 다르게 지역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회원들과 소통하는 것도 쉽지가 않다. 전 집행부에서 분회 방문을 해봤는데 실제 회원들과 소통하면서 우리 회원들이 의견을 쉽게 내지는 않지만 열의는 대단하다는 것을 느꼈다.

앞으로 회원들의 가슴 속에 들어있는 열정을 끌어낸다면 더욱 발전하는 한의사회가 될 것으로 본다. 특히 충남은 현재 국회에서 보건복지위원으로만 14년을 활동하고 보건복지위원장을 역임한 양승조 도지사가 취임해 저출산, 고령화, 사회양극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앞장서는데다 한의약에 대한 기본적 관심이 크다.

덕분에 충남의 난임 사업, 월경곤란증 사업 그리고 향후 계획하고 있는 산후조리 한약지원 사업도 적극 지원을 약속했다. 회원들이 충남이 처한 여러 정책 현안에 관심을 더 갖고 지지해주면 한의사가 일하기 더 좋은 환경이 될 것이라 믿는다.



◇올해 중점을 두고 있는 사업은?

충남에서 월경곤란증 사업을 올해 처음으로 시행하게 됐다. 월경곤란증 때문에 진통제를 한 주먹씩 먹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의약이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것으로 평가를 받았다고 들었다. 운 좋게도 전 집행부의 노력으로 이미 시행안은 짜여 있었는데 실제 수요조사나 홍보 부족으로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예산이 줄어든 점이 조금 아쉽다.

하지만 첫 해인만큼 시행한다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고 내년에는 교육청과 각 학교에 홍보를 적극적으로 해서 청소년들이 월경통을 치료하는데 한의학의 우수성을 더욱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싶다.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김연 도의원이 청소년 건강과 진통제 오남용 문제를 해결하는데 관심을 갖고 지지해주고 있다. 그래도 필요한 상황마다 정책적으로 힘이 돼 주는 분들이 있어 충남은 복 받은 곳이라고 생각한다. 지면을 빌려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임기 동안 이루고 싶은 목표는?

취임 당시 최대 공약이 한의약 홍보사업이었다. 추나요법이 건강보험에 적용됐는데 충남에서는 극장용 광고영상을 제작해 모든 분회에 제공하려고 한다. 이외에 각 회원들의 한의 의료기관에서 홍보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할 계획도 하고 있다. 중앙회에서 정책적으로 큰 그림을 그리고 제도화를 위해 추진한다면 지부 차원에서는 실제 회원들이 환자와 만나는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본다. 회원들과 소통하면서 한의원 경제 활성화에 앞장설 것이다.



◇한의사로서의 삶의 계획은?

지부장을 시작한지 얼마 안 돼 그 이후의 삶까지는 아직 진지하게 그려보지는 못한 것 같다. 다만 확실한 것은 한의원을 운영하는 한의사 회원으로서 평범하게 한의약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고 싶다는 것이다. 회장 재임 기간 동안 느끼고 배운 것들이 임상에서도 환자를 케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회장이라는 자리를 떠나 한의사로서의 삶에 가치와 보람을 느낀다.

///끝



///시작

///면 21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경기도 한의약 난임사업은 순항 중

///부제 최종현 부위원장 “국가·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사업”

///부제 제1차 난임대상자 선정 완료 단 한명만 임신해도 가치 있어

///본문 2019년도 경기도 난임부부 한의약 지원사업이 제1차 난임대상자를 선정하면서 본격적인 난임치료사업에 착수했다.

경기도한의사회는 지난 2일 경기도한의사회관 2층 회의실에서 ‘2019 경기도난임부부 한의약 지원사업 제1차 난임대상자 선정 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심의위원회에서는 난임치료 대상자에 대한 심의와 함께 경기도민의 보건복지 사업을 위한 실무자들의 다양한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

심의의원으로는 최종현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해 나경란 경기도 보건복지국 건강증진과 정책팀장, 정연표 경기도 보건복지국 건강증진과 사무관이 참여했다.

경기도한의사회에서는 윤성찬 경기도한의사회장과 함께 이용호 난임사업단장외 정은철 부회장, 최병준 부회장, 김제명 홍보이사, 정재성 총무이사, 황재형 보험이사, 최보광 총무이사가 함께했다.

최종현 부위원장은 “8억 예산중 단 1명의 임산부라도 임신에 성공한다면 이 사업은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가치가 있다”며 “기존 인공수정과 시험관시술 등으로 여러 차례 실패를 경험하고, 현재 자연임신이 어려운 여성이라 하더라도 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만드는게 난임 가족을 위한 일이며 이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경기도는 난임부부를 위한 이 사업이 한의약 지원사업과 양의약 시험관시술이 병행되더라도 한의약, 양의약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임신과 출산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였으면 좋겠다”고 피력했다.

나경란 정책팀장은 “이 사업은 연구 목적의 사업이 아닌 난임부부에게 임신이라는 좋은 결과를 도출해내기 위한 목적의 사업이다”면서 “수요자 중심의 사업으로 진행되도록 전향적인 협조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용호 단장은 “2017년도부터 3년간 사업을 진행하면서 경기도, 경기도의회와 함께 선정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게 된 것은 처음”이라며 “앞으로는 자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도록 하며, 사업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 경기도한의사회가 힘써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19 경기도난임부부 한의약 지원사업은 기존의 여성뿐만이 아닌 남성불임 요인에 대한 지원도 함께하는 사업으로 현재 236명이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끝



///시작

///면 21

///세션 종합

///이름 김태호 기자

///제목 대한한의학회-PRIMA, 업무 협약 체결

///부제 한·필 양 단체간 학술교류로 한의학 국제화 실현

///본문 대한한의학회(회장 최도영)가 지난 7일 필리핀 마가티 알파랜드 시티클럽에서 필리핀 통합의학학회 PRIMA(Preve

ntive, Regenerative, and Integrative Medical Alliance)와 학술교류를 위한 업무 협약(MOU) 체결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MOU에는 대한한의학회 최도영 회장과 남동우 기획총무·국제교류이사를 비롯해 PRIMA 회장과 부회장, 재무이사를 포함한 이사진과 Aegles Wellness 센터 의사 및 홍보팀 직원이 참석했다.

대한한의학회는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으로 향후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학술대회에 필리핀 PRIMA의 전문가를 연자로 초청 및 PRIMA에서 개최하는 학술대회에 관련 학자와 전문가를 강연자로 추천하기로 했다.

또한 필리핀 의료계에 한의학이 정착할 수 있도록 홍보와 관련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필리핀 현지에서 한의학을 교육해 의사 및 의대 교수를 양성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추진하기로 했다.

대한한의학회는 한의학의 학술 발전과 국제화에 이바지하기 위해 앞으로도 PRIMA와 다방면으로 교류 및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끝



///시작

///면 22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한의 임상연구 확대 위해 공공 CRO·R&D 예산 확충”

///부제 한의약 안전성·유효성 위해서는 임상연구 확충 필요

///부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 임상연구 확대토론회’

///본문 한의약이 근거중심의학으로 나아가기 위해 한의 임상연구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한의 공공 CRO를 통해 약침이나 한약의 안전성·유효성을 확보하고, 정부의 한의약 R&D 예산 확보를 통한 한의약 보장성을 더욱 강화해나가자는 측면에서다.

지난 3일 대한한의사협회 대강당에서 열린 ‘한의약 임상연구 인프라 확대 토론회’ 참석자들은 정부 주도의 한의약 임상연구 인프라 구축 필요성에 대해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김종열·이하 한의학연)이 주최하고, 대한한의사협회가 주관했다.



‘한의 공공 CRO’ 설립 반드시 필요

임병묵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한의 공공 CRO(Con tract Research Organization) 설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임병묵 교수는 “올해 들어 복지부가 한의약 급여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가장 외부에서 많이 들어오는 공격이 한의약의 안전성·유효성 입증이다”며 “한의계 내 근거 자료가 있기 때문에 제출하고 있지만, 임상 근거 없이는 더 큰 한 발자국은 나갈 수 없다”고 소개했다.

그에 따르면 한의약 임상연구 과제 수는 꾸준히 상승해 한의학의 안전성·유효성을 입증하는데 공을 세웠다.

한의학연은 지난 2010년 3건에 그치던 임상연구 과제를 지난해 27건을 수행해냈고, 주요 대학들의 한의 임상시험 실적도 2015년 30여건에서 2017년 70여건 이상으로 증가됐다. 하지만 한의 임상연구 확대를 위해서는 한의약 산업계의 영세성을 고려할 때 정부 주도의 공공 인프라 자원 확충이 필요하다고 임 교수는 강조했다.

임 교수는 “특히 무엇보다 한의 공공 CRO가 필요하다. 전 세계 CRO 시장과 국내 임상 CRO 시장 규모는 각각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있지만 한의약 쪽은 매우 미비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의약 관련 민간업체의 영세성, 임상시험 경험 부족 등을 고려할 때 한의약 이론에 대한 객관적 규명을 위한 임상연구는 공공에서 주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하인혁 자생척추관절연구소장도 한의약 치료법에 대한 기전 규명을 더욱 다양하게 밝히기 위해선 반드시 공공 CRO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인혁 소장은 “한의약 임상연구를 하는 사람으로서 가장 어려울 때가 임상시험 규제·감독기관인 식약처와 협의해 나갈 때”라며 “임상시험 교수나 병원 의료진이 하기엔 전문적으로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침이나 추나요법은 그 과학적 원리가 많이 규명됐음에도 약침이나 한약, 의료기기의 경우 과학적 규명에 많은 고민거리가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들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식약처가 규정한 의약품 품목허가에 준하는 임상시험을 거쳐야 하지만 환자모집, 비용 부분에서 현실적으로 한의단독기관이 이를 다 해내기란 쉽지 않다는 것.

하인혁 소장은 “한의 공공 CRO는 필요하다. 또한 CRO에 있어 관계기관과 원만하게 협의해나갈 수 있는 식견과 경험을 갖춘 전문가 수급도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한의 임상시험을 의약품 품목허가 기준에 맞춰 밟으라는 것은 엄청난 규제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R&D 예산·임상연구센터 확보해야

한의 연구개발(R&D)을 더욱 늘리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 하에 국가연구기관 설립을 통해 육성·투자해야 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윤영희 씨와이 대표는 “국내 주요 제약사의 경우 R&D에 연 15%를 투자하고 있다”며 “반면 한방제약사의 연구개발 비용은 연 1%미만일 듯 싶다”고 말했다.

한방제약사 같은 경우 한약제제 연구개발에 투자를 하고 싶어도 영세한 회사 규모상 R&D 투자는 ‘언감생심(焉敢生心)’이라는 게 그의 설명.

윤영희 대표는 “제품 하나 품목허가 받기 위해 임상시험 참가자 80명을 모집하면 5억원을 투입해야 한다”며 “민간 주도가 어렵다면 공적 주도로 인프라 만들어서 변곡점을 만들어 연구개발을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위해 임병묵 교수는 미국의 ‘국립보완통합의학연구소(NCCIH)’나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 산하에 있는 ‘중국중의과학원’과 같은 국책연구기관 중심의 임상연구센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NCCIH에 대한 R&D 투자액은 2016년 4743억원이고, 이를 통해 보완대체의학을 포함한 임상연구 1600건 이상이 수행 중에 있다.

임 교수는 “중국중의과학원은 한해 2000억원이 넘는 예산 지원 아래 6개의 부속병원, 17개의 연구소가 있다”면서 “특히 2개 병원에는 임상의학연구소를 설치해 많은 임상연구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7월 복지부가 발표한 연구의사 양성 및 병원 혁신전략에 사실상 한방병원은 소외된 만큼 정부정책 부응에 필요한 연구특화한방병원 설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한의계 주요 인사들도 공공 주도의 임상연구 인프라 확대에 대한 당위성과 이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종열 한의학연 원장은 우리나라 한의학 R&D분야 대표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서 국가 한의학 발전을 위해 한의임상연구센터 설립을 밝혔다.

김종열 원장은 “(한의임상연구센터를 통해)현대과학적인 방법으로 한의학의 임상근거를 확보하고, 새로운 한의학적인 연구방법론을 제시해 한의학만의 독창적인 임상연구모델을 제시하겠다”며 “IT와 BT간 융합치료기술, 우리 연구원이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한의인공지능플랫폼 등 미래의학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공공 주도 임상연구 인프라 확대 공감

방대건 한의협 수석부회장은 “근거중심의학이 세계 의학의 중심이 된 상황에서 한의학의 안전성·유효성 확보는 필수조건”이라며 “한의계가 힘을 합쳐 공공 임상연구가 한의 의료서비스의 확대로 이어지도록 만들자”고 강조했다.

최도영 대한한의학회장도 “한의약 임상연구 인프라 확대를 통해 보다 객관화된 임상 진료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며 “정부의 보건 의료정책에 한의학이 잘 활용돼 보장성이 강화되도록 학회에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최문석 한의협 부회장도 “협회 입장에서는 회원들의 의료행위 역할 확대가 중요하지만 근거 부족을 이유로 보장성이 담보되지 않고 있다”면서 “서양의학은 국가적 지원이 엄청나지만 한의약은 미흡한 만큼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권영규 한국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 부회장은 “임상 인프라 사업이 구축되면 임상연구를 위해 진료 외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센터가 있어야 된다”면서 “IRB전문가들과 산업도 같이 발전해야 임상 연구가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23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난임사업 방해하는 편파적인 행정 중단하라!”

///부제 양방 일변도 지원 결과 출산율 지속 하락…한의약 등 모든 자원 동원할 때

///부제 부산한의 메디포럼, 성명서 발표…난임가정 위해 어떠한 방해도 극복할 것

///부제 부산 한의난임사업, 모범적 모델 자리매김

///부제 부산시 난임 바우처사업, 양방만 14억 지원

///본문 부산광역시한의사회는 부산광역시와 함께 ‘한의 난임부부 치료비 지원사업’(이하 한의난임사업)을 진행하면서 부산시의 저출산 문제 극복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가운데 양의사 단체의 지속적인 폄훼는 물론 의사 출신 부산시청 공무원의 편파적 행정으로 인해 한의난임사업을 진행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부산한의 메디포럼(대표 오세형)은 지난 15일 성명서 발표를 통해 의사 출신 부산시청 공무원의 편파적 행정에 큰 우려를 표명하며, 부산시민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행태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메디포럼은 성명서에서 “한의계는 불모지에 가까운 한의난임사업을 부산에 뿌리내리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을 아끼지 않았고, 부산시민 특히 난임으로 고통받는 가임기 부산여성과 그 가족들을 위해 엄마가 스트레스 없이 건강한 임신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왔다”며 “그럼에도 부산시청의 의사 출신 A과장은 한의난임사업을 음해하는 양의계 집단의 민원에만 귀 기울이고 한의난임사업의 순항을 지속적으로 방해해 왔다”고 지적했다.

실제 한의난임사업이 진행되면서 정상적인 업무 처리라고 볼 수 없는 눈에 보이지 않은 수많은 방해를 통해 한의난임사업을 담당했던 일선 부산시한의사회 임원들은 심적인 고통과 시간 낭비를 피할 수 없었다는 것.

메디포럼은 “A과장 본인은 아니라고 부정하겠지만, 한의사들은 이미 중립의 얼굴을 한 엄격한 잣대를 한쪽에만 드리우는 공권력을 오랫동안 경험해 왔다. A씨가 계속해서 편파적인 행정을 하고 싶다면 그곳을 떠나 개원하기를 바라며, 그것이 아니라면 공무원으로서 의사 출신이라는 편견을 씻기 위한 노력을 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메디포럼은 “한의계는 당신의 이름을 기억할 것이며,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며 “A과장을 비롯한 양의계의 지속적인 방해에도 불구하고 우리 한의계는 앞으로도 끊임없이 시민들 곁으로 가고자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그 어떤 방해도 극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임으로서 국민의 건강을 돌보는 의료의 한 축으로서의 역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부산 한의난임사업은 지난 2014년부터 시행된 이래 가장 모범적인 모델로 자리매김하면서 한의난임사업이 전국 지방자치단체로 확대되는데 큰 역할을 해온 만큼 사업 추진에 있어 지속적인 양의계 단체의 방해를 받아오고 있다.

실제 지난 2017년에는 부산시청 및 각구 보건소의 한의난임사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성과보고회에도 양의사 10여명이 참석해 회의 진행을 방해하는 등 참석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가 하면, 부산시청에 한의난임사업과 관련된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공문을 지속적으로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오세형 대표는 “부산시청에서는 양의계 단체들에 의해 접수되는 공문으로 인해 업무 자체가 어렵다는 말도 여러 번 듣기도 했으며, 한의난임사업을 폄훼하는 여러 자료 배포를 통해 사업 진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오 대표는 이어 “최근 부산시에서는 전국 최초로 ‘부산시 난임 지원 추진을 위한 바우처사업’을 진행해 양방에만 14억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발표했다”며 “결국 A씨의 편파행정은 양방에만 난임예산을 지원키 위해 한의난임사업 추진을 방해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까지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오 대표는 “부산 한의난임사업은 전국 지자체를 대표하는 한의난임사업인 만큼 부산 지역 한의사 회원들은 물론 전국 한의사 회원들이 단합해 대응해야 할 중차대한 문제”라며 “정부에서는 그동안 양방에만 편중된 예산을 지원한 결과 오히려 출산율 최저치를 계속 경신하고 있는 성적표를 받았다. 이를 개선키 위해서는 이제라도 한의학, 양의학을 가릴 것이 아니라 모든 사회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을 활용해 저출산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



///시작

///면 23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오인동지회의 얼을 이어 한의계 발전에 일조할 것”

///부제 부산한의 메디포럼 ‘창립’…오세형 초대 대표 선임

///본문 부산시 한의사 회원들을 중심으로 한의학을 비롯한 의료계 전반에 대한 정책 연구 및 논의를 진행하는 포럼이 창립됐다.

부산한의 메디포럼은 지난 7일 부산시한의사회관에서 창립식을 갖고, 초대 회장에 오세형 전 부산시한의사회장을 초대 대표로 선임하는 힘찬 출발을 알렸다.

‘오인동지회의 얼을 잇는 힘찬 부산’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건 부산한의 메디포럼은 부산 지역 한의사 회원들이 고민하고 염려하는 정책적 문제에 대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회원들의 목소리를 담아 결성된 것으로, 앞으로 다양한 한의계 및 의료계의 현안 공유를 통해 생산적인 논의는 물론 한의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적 대안들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오세형 대표는 “부산시한의사회 회장을 맡아 회무를 진행하면서 주변의 많은 도움으로 인해 한의 난임 지원사업과 치매 예방사업을 전국 지자체의 모범사례가 될 만큼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었다”며 “그러한 과정에서 구축된 인적 네트워크를 유지해 한의계에 지속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한편 회원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하나로 담아낼 수 있는 포럼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오 대표는 “자칫 사장될 수도 있었던 한의사제도를 살려 오늘날 한의학이 현재의 위치에서 서있게 한 오인동지회는 지금까지도 부산 지역 한의사들의 자랑”이라며 “앞으로 부산한의 메디포럼을 ‘제2의 오인동지회’로 발전시켜 지역 한의사 회원들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한의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도록 일조함으로써 한의계의 발전을 위한 보탬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끝



///시작

///면 24

///세션 인터뷰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부천 독거노인 곁 지키는 방문진료 한의사

///부제 배승호 원장, 17년 동안 한결같은 우리동네 지킴이

///부제 “인도주의적 차원의 돌봄 제공이야말로 한의사의 소임”

///본문 “식구 없이 혼자 사는 분들이 남의 얘기 같죠? 그런데 주변에 이런 이웃들이 은근히 많습니다. 설사 아들이나 자녀가 있더라도 신용불량자여서 연락도 안 되는 사정이 딱한 분들인데, 이런 분들은 육체적으로 건강하더라도 정신적으로는 우울증이 있어 방안에 혼자 있다 보니 갑자기 건강이 악화될 확률이 크죠. 가족이 필요한 분들에게 단순히 치료를 넘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의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야말로 한의사로서의 소임 아닐까요?”

부천시 오정구 원종동에서 보성한의원을 운영하고 있는 배승호 한의사에게는 매주 금요일마다 특별한 일정이 있다. 오전 9시 반에 부천 원종복지관으로 출근해 복지사와 지역 내 가가호호를 직접 돌며 방문진료 봉사를 하고 있는 것. 의료기관조차 가지 못할 정도로 신체적, 경제적 능력을 상실한 소외된 이웃들에게 방문진료를 시작한지는 올해로 17년째다. 봉사라는 게 일회성으로 하기는 쉬워도 17년 동안 한결같이 하기는 어려운 법. 특히 환자의 가정을 방문해 안타까운 삶의 현실을 눈으로 보고 나면 심적인 부담도 커지지 않느냐는 질문에 그는 “도움이 필요한 분들께 나눌 수 있는 게 있다는 사실이 감사할 뿐”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찾아가는 한의사, 배승호 원장으로부터 그간의 방문진료 경험에 대해 들어봤다.



◇방문진료 대상자의 선정 과정은?

방문진료는 2003년 5월부터 지역 내 원종복지관 주관 하에 복지사와 원종동을 중심으로 고강동, 대장동, 오쇠동까지 진행했고 요즘은 원종동 내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오전 시간 동안 진료대상이 많을 때는 대여섯가구를 가기도 한다. 요즘은 2~3명 정도 정기적으로 집중 진료를 하고 있다.

대상자 발굴 자체는 지역 내 주민들을 잘 아는 복지사가 주로 하고 우리 한의원 환자분들 중에서도 거동이 불편해 자주 올 수 없는 분들을 직접 추천하기도 한다. 최종 결정은 복지사와 함께 하고 있다. 주로 거동이 불편하고 가족이 없는 독거노인이다.



◇주로 하는 치료는?

침구치료와 물리치료를 주로 한다. 간혹 약물치료가 필요한 분들께 의료보험약재나 첩약을 처방해 투약하기도 한다. 진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일상 생활 개선에 대한 조언도 함께 하고 있다. 물론 상급병원에서 추가 진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에게는 복지관과 연계된 병원을 소개, 적시에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도록 돕고 있다.

특히 부천은 지역 내 의료네트워크가 잘 형성돼 있어 수술이 필요해 큰 병원으로 전원해야 하는 분들의 경우에는 복지관이 주도해 병원과 연결시켜 이송시키고 있다.



◇방문진료를 처음 시작하게 된 계기는?

자본주의에 큰 반항심을 가진 사람은 아니지만 수련의 시절부터 자본주의적 의미의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약간의 염증을 느낀 것 같다. 병원 과장직을 마치고 지금 이곳에 1999년에 개원해 진료하던 중 2003년 부천분회 신년회를 통해 지역 내 한의사의 봉사 얘기를 전해 듣고 참여 의지를 불태우게 됐다. 소개로 복지관과 연이 닿아 봉사를 시작하게 됐다. 처음에는 복지관에서 일정시간을 진료할지, 복지관에서 선별한 환자들을 한의원으로 인도해 진료할지 등을 얘기하다가 자력으로도 충분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외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분들보다 그렇지 못한 분들에게 의료의 손길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을 해 가족이 없는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방문진료를 하게 됐다.



◇시작은 쉽지만 17년 동안 한결같은 태도를 유지할 수 있던 비결이 궁금하다.

주변에 선행과 봉사로 의료인, 한의사로서 소명의식을 가진 분들이 있다는 점도 지속적인 동기부여가 될 수 있었던 비결 같다. 경기지부, 부천분회 한의사들이 허준봉사단으로 활동을 하면서 얘기를 듣기도 하고, 불교 한의의료봉사단체인 한의사불자연합회가 주축이 돼 ‘자비의 인술’을 펼치고 있기도 하다. 매주 일요일 사찰에 가서 정진 중인 스님은 물론, 베트남·몽골 등지에서 온 이주노동자, 다문화가정, 새터민, 어르신 등을 대상으로 건강상담과 한의진료를 하는데 정기적으로는 아니지만 여유가 될 때 참여하고 있다. 진료 등 현업으로 바쁜 와중에도 묵묵히 봉사에 나서는 분들을 보며 그 자체로 힐링을 얻는 셈이다.



◇방문진료의 장점과 단점은?

방문진료는 직접 환자의 집을 방문한다는 의미에서 신경 써야 할 게 많다. 환자의 개인적인 삶 속으로 직접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대신 더 인간적으로 여러 상황들을 파악할 수 있고 진료하는 환자에 정을 더 느낄 수 있다. 의료인으로서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질병관리를 하다 보니 환자 상태가 개선되는 것을 지켜보며 성취감을 느낄 수도 있다.

물론 대부분이 열악한 상황에 처한 독거노인들이기 때문에 삶의 마지막까지도 지켜봐야 하는 심적 부담감도 있다. 특히 끝내 불행하게 진료를 종료시켜야 하는 경우가 그렇다. 또 아무래도 이동시간 대비 진료시간을 보면 다수에게 혜택을 줄 수 없는 부분도 있다.



◇정부가 커뮤니티케어를 추진 중이다. 한의사의 역할은 무엇일까?

진료를 하면서 한계를 느끼는 부분들도 분명 있다.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든가 감염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 현대 첨단 과학기술에 의한 진단 등 한의학만 가지고 해결이 안 되는 상황에 직면하는 게 우리의 삶이다. 그러나 이런 것들이 의료의 전부는 아니지 않은가? 한 명의 환자를 돌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돌봄이 뒷받침돼야 한다. 특히 요즘은 만성 질환이 많아 한의학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다. 의료인으로서의 양심에 따라 진료한다면 시대의 소용돌이에서 휩쓸리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1차 의료뿐 아니라 2차, 3차 의료에서도 한의학이 설 자리는 분명히 있다. 의료계가 서로를 구분하지 않고 장점을 승화시키는 일이야말로 커뮤니티케어에서 가장 필요한 자세가 아닐까.



◇한의사로서의 삶의 목표는?

병을 고치는 것이 의료인의 역할이다. ‘더 잘 치료하는’ 한의사가 되고 싶다.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기회가 주어져야 하고 지금까지 그랬듯 직접 찾아 나서려고 한다. 좋은 동료, 좋은 사람들과 더 많이 교류하고 나누고 더불어 살아가는 인생이었으면 좋겠다.

///끝



///시작

///면 26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제목 “효과적 치료 진행에 의료기기 사용 절실”

///부제 영상진단과 이화학 검사 관련해 중점 교육

///부제 2019년 서울시한의사회 회원보수교육 실시

///본문 서울특별시한의사회(회장 홍주의)는 지난 12일 세종대학교 대양홀에서 2019년도 회원보수교육(1권역)을 실시했다.

이번 보수교육은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 확대를 위한 영상진단과 이화학 검사에 초점을 맞춰 △의료윤리 및 의료법(보건한의원 김준연 원장) △한의 일차진료 영역에서의 근골격계 영상의 이해(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황의형 교수) △한의 일차진료 영역에서의 이화학 검사의 사용(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김소연 교수)을 주제로 진행됐다.

특히 김준연 원장은 의료윤리 및 의료법 강의에서 설명의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원장에 따르면 침 치료 시 기흉이나 감염에 대해 자침 후 ‘숨 크게 쉬지 마라’, ‘기흉 위험성 있어 약하게 침 놓는다’,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니 이렇게 소독을 한다’와 같이 자연스럽게 사전에 설명해 주는 것이 좋다. 뜸, 부항의 경우도 수포 및 화상에 대한 위험성을 사전에 설명하도록 직원들에게 설명 매뉴얼을 만들어 시행하는 것을 권장했다.

한약의 경우에는 ‘한약 드시면 일시적으로 간수치나 당뇨수치가 올라갈 수 있어요’, ‘변이 묽어요’ 등과 같이 복약지도를 하고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면 가급적 환약을 해주는 것이 좋다.

낙상 사고도 많이 일어나는데 주의 스티커를 붙여놓고 구두로도 낙상에 주의할 것을 고지하도록 한다.

또한 민사는 환자에게 발생한 손해를 금전적으로 배상하는 절차이고 형사는 진료를 잘못함으로써 환자의 신체를 상하게 한 것에 대해 벌금 등 형벌을 가하는 절차로 민사와 형사 모두 합의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된다.

우선 과실이 인정된다고 생각되고 인과관계도 추정되는 경우에는 환자와 적당한 금액으로 빨리 합의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데 추후 민·형사상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내용과 사고에 관해 발설하는 등 업무를 방해하지 않을 것을 합의서 내용에 넣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과실이 인정되지 않고 인과관계도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말 못할 사정으로 환자가 억지를 부리며 환자의 요구로 부득이하게 합의 요청을 받는 경우에는 과실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은 하지 말고 진정시키기 위한 위로금 전달도 자제해야 한다.

서울시한의사회 홍주의 회장은 보수교육에 앞서 “최근 첩약 급여화의 구체적 각론부분에서 회원 여러분들의 우려가 크신 점 잘 알고 있다. 저희가 직접 집행할 수는 없지만 회원의 우려와 걱정을 안고 중앙회에 지속적인 건의와 의견을 전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민에게 더욱 친숙히 접근하고 시대에 맞춰 효과적인 치료를 진행하기 위해 의료기기 사용은 더욱 절실하며 이를 가로막고 있는 각종 법과 제도의 개선이 필요해 이번 보수교육은 이러한 취지에 맞춰 근골격계와 내과적 치료를 도울 수 있는 초음파 등 영상진단과 이화학 검사의 도입을 위한 교육을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보수교육장 밖에서는 대한한의사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을 설명하는 ‘대한한의사협회’ 부스와 이러한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첩약의보정상화추진한의사모임’의 부스가 나란히 설치됐다.

첩약의보 정상화추진 한의사모임에서는 보수교육장 밖에서 피켓 시위도 벌였다.

///끝



///시작

///면 26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한약진흥재단, 대한공중보건한의사 명예기자단 발대식

///부제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사업단 근거기반 한의약 확산에 박차

///본문 한약진흥재단(원장 이응세)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사업단(단장 김남권, 이하 사업단)은 지난 3일 한약진흥재단 서울 정책본부에서 ‘대한공중보건한의사 명예기자단(이하 공보의 기자단)’ 발대식을 갖고 한의약 근거 확산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생산 및 홍보 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근거기반 한의약의 확산을 목표로 연구 성과 확산 및 국가한의임상정보센터 활성화를 위해 조직된 공보의 기자단은 올해 5월부터 12월까지 8개월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의 확산과 한의약치료기술 공공자원화사업에 참여한 임상한의사 인터뷰, 한의약 연구 방법론 교육 및 사업단 주관 행사 취재 등 사업단 연구 성과 홍보 일선에서 활약하게 된다.

사업단 김남권 단장은 “공보의 기자단이 매개체가 되어 어렵게만 느껴지는 한의약 임상연구에 대해 일반 한의사의 관심을 유도하고 접근성을 제고해 근거기반 한의약의 성과확산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공보의 기자단의 활약상은 국가한의임상정보센터(www.nckm.or.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3차 한의약육성발전계획에 따라 한의 진료의 근거를 강화해 신뢰도를 높이고 보장성 확대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사업단은 현재 30개 질환에 대한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 국가한의임상정보센터 운영, 한의약 치료기술 공공자원화 사업 등 한의약 관련 근거창출 및 확산·보급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끝



///시작

///면 28

///세션 종합

///이름 김태호 기자

///제목 “다양한 문화권에 ‘한의학’ 우수성 알리겠다!”

///부제 울산시한의사회, ‘세계인의 날’ 기념행사 참여… 한의약 상담부스 운영

///본문 울산시한의사회(회장 주왕석, 이하 울산지부)는 지난 11일과 12일 이틀간 태화강 둔치에서 열린 ‘제12회 세계인의 날’ 기념행사에 참여했다.

특히 올해 행사는 ‘소통’과 ‘화합’을 주제로 △글로벌 댄스대회 △세계전통문화공연 △퓨전요리대회 △세계전통의상 패션쇼 △외국인 가요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기획됐고, 캄보디아 등 6개국의 주한 대사관 및 영사관이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울산지부는 한의약상담부스를 설치해 추나요법 건강보험 적용·자동차보험 적용 내용 홍보와 더불어 다문화가정 및 시민들을 위한 건강상담을 진행했다.

울산지부 주왕석 회장은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형성하기 위해 한의사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고민했다”며 “먼저 지역주민들의 건강을 위해서 최선을 다할 것이고,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도 보편적으로 한의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주 회장은 이어 “울산지부 이수홍(중산 한의원) 총무이사가 울산시장으로부터 다문화가정을 위한 유공자 표창을 수상했다”며 “세계인의 날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항상 생각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실천할 것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세계인의 날(The Together Day)’은 내국인과 재한외국인이 더불어 살아가는 환경을 만들고자 정부가 제정한 기념일이다. 다양한 민족·문화권 사람들이 서로 이해하고 공존하는 다문화사회를 만들자는 뜻으로 제정되었다.

///끝



///시작

///면 28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2019 청주문화재야행, 한의학 치료 등 시민 아이디어 프로그램 선보인다

///부제 시민 아이디어 공모전 통해 한의학 거리 치료 ‘한방의료서비스’ 등 5건 선정

///본문 오는 8월과 10월 두번에 걸쳐 진행될 ‘2019 청주문화재야행’에서는 시민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로 마련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청주시는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즐기는 ‘청주문화재야행’의 실현을 위해 지난해 12월10일부터 올해 4월9일까지 ‘2019 청주문화재야행 시민아이디어 공모’를 진행, 지난 10일 최종 5건을 선정해 발표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제출된 아이디어는 총 31건으로 유형문화재 공간 활용 프로그램, 어린이 대상 투어프로그램, 향교를 활용한 설치 미술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이에 시는 지난 4월26일 문화예술 및 문화재 전문가 7인의 심사위원을 위촉, 문화재야행에 대한 이해도와 창의성, 실현(적용) 가능성, 효과 및 발전성 총 5가지의 기준으로 심사를 진행해 최종 5건의 아이디어를 선정했다.

선정된 아이디어는 야행 관람객을 위한 한의학 거리 치료 ‘한방의료서비스(황형남)’를 비롯해 청주의 이미지를 기념품으로 제작하는 ‘충청도의 매력(장지연)’, ‘아날로그 사진 체험(윤미순)’, ‘환갑잔치 재현(정성채)’, ‘잉어등불 설치미술(감연희)’ 이다.

선정된 5인은 청주시장 표창을 수상함과 동시에 2019 청주문화재야행 팀메이트로 활동하며 본인의 아이디어를 직접 기획하고 실행하게 된다.

심사위원들은 “상당히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성이 높은 내용이 많아 심사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아쉽게도 5개로 한정돼 공모에 선정되지는 않았으나 실현의 가능성이 높은 복식체험, 무형문화재 연계 프로그램, 어린이 대상의 미션 수행 문화재 탐방 등의 아이디어는 추후 협의를 통해 적극 반영하면 좋을 듯하다”고 말했다.

청주시 관계자는 “시민이 직접 문화기획에 참여하는 만큼 네 번째 문화재야행의 방향이 어떻게 준비되고 실현될지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한편 청주문화재야행은 문화재청의 문화재활용 전국 공모사업으로 지역의 유·무형 문화재와 문화 자원을 활용한 야간 문화프로그램이다.

2016년부터 3년간 시민들의 높은 관심 속에서 진행됐으며 매년 7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청주의 대표적 야간 문화행사다.

///끝



///시작

///면 29

///세션 인터뷰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의료봉사 통해 한의학이 전세계에 뿌리내리길”

///부제 최윤용 큰나무한의원장, 콤스타에 1100만원 쾌척

///부제 지구촌 의료 소외 계층을 위한 기부에 지인도 동참

///본문 지난 2일 대한한의사협회관 3층 대한한방해외의료봉사단(KOMSTA·이하 콤스타) 사무실은 기쁜 소식으로 들뜬 분위기였다. 지구촌 의료 소외 계층을 위한 기부에 최윤용(큰나무한의원 원장·사진 위 왼쪽) 한의사가 흔쾌히 참여하겠다고 밝힌 뒤 지인까지 이러한 나눔 릴레이에 동참하게 됐다는 것.

허영진 콤스타 단장은 “재정안정성 확보가 늘 화두인 콤스타의 운영은 철저히 단원들의 자발적인 후원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해외 개발도상국의 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한의학을 알리는 여정에 동참해 주신 최윤용 한의사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번 기부를 통해 한의사는 물론 더 많은 국민들이 콤스타의 취지에 공감해 릴레이 기부에 동참하도록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쳐나갈 것”을 다짐했다.

이어 허 단장은 “지난 25년간 콤스타는 전세계 150여 회의 해외의료봉사를 통해 한의학의 민간외교단체로서의 역할을 묵묵히 실천해 왔다”며 “의료봉사와 함께 대상국 국가의 의사, 전통의사들에게 한의학을 교육하고 학문적, 문화적으로 교류해 한의약이 현지 국가에 뿌리내리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윤용 한의사의 1100만원 기부 소식을 전해 들은 그의 지인도 100만원의 기부금을 선뜻 내놨다. 정연환 신한은행 후곡마을 지점장(사진 아래 왼쪽)은 “콤스타라는 단체와 한의약에 대해서 잘 알지는 못했으나 최윤용 한의사 덕분에 알게 됐다”며 “해외에 봉사까지는 직접 못 가더라도 우리 한의학을 널리 알리고 지구촌 이웃들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일이라 생각해 소액이지만 후원하게 됐다”고 전했다.

다음은 최윤용 한의사와의 일문일답이다.



Q. 소개를 부탁드린다.

1994년 강서구에서 까치한의원을 개원해 2017년까지 진료하다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1년간 쉰 후 양천구에 큰나무한의원으로 개원했다.



Q. 콤스타에 후원하게 된 계기는?

88학번으로 만으로 올해 50세다. 40대의 인생 버킷리스트 중 하나가 사회복지 단체에 1억 이상 기부를 해야 자격이 주어지는 아너스클럽 가입이었다. 한의원 수익으로 이룰 수도 있지만 이왕이면 다른 한의사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일로 기부금을 만들자고 생각해 지난 4~5년간 한의사 대상 강의를 하며 강의료 수익 전액을 기부해 왔는데 개인적으로 건강이 좋지 않아 중간에 그만둬야 했다.

그러나 건강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힘이 돼 주는 연락과 강의에 대한 요청이 이어져 강의를 다시 기획하게 됐고 수익금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하려다가 우연히 한의신문에 실린 콤스타 후원 광고를 보게 됐다. 힘든 시간 동안 응원해 준 한의사 동료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담아 한의계를 위해 쓰기로 결심하게 됐다.



Q. 후원금이 어떻게 쓰이길 바라는가?

허영진 콤스타 단장의 성향을 개인적으로 알기 때문에 적재적소에 유용하게 쓰실 것으로 생각한다. 알아서 잘 쓰시라고 말씀드렸다.



Q. 의료봉사에 대한 개인적 경험이 있다면?

학교를 다니던 90년대 초만 해도 시골에 의료봉사를 가면 학생인데도 선생님으로 대우해 주시면서 미안할 정도의 융숭한 대접을 받았다. 콤스타에서 의료봉사를 가는 지역은 우리의 80년대 후반보다 더 열악한 환경으로 알고 있다. 아마 의료 서비스라는 말 자체가 사치일 것이다. 그래서 해외 의료봉사는 한의약에 대한 단순한 홍보를 넘어 인간이 타인에게 할 수 있는 매우 가치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Q. 앞으로의 계획이나 목표는?

건강을 회복하는 단계에 있다. 개인적인 소망으로는 좀 더 회복된다면 안나프루나 트래킹을 해 보고 해외의료봉사도 나가보고 싶다.



Q. 남기고 싶은 말은?

해외봉사든 기부든 관심있는 한의사들이 적극 참여하라고 전하고 싶다. 망설이다 보면 바람을 실천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확실한 것은 한의학만큼 완벽하고 치료에 놀라운 효과를 보이는 치료방법은 없다는 것이다. 우리 한의사들이 열심히 한의학을 연마하고 널리 알려 한의학이 세계적인 의학으로 우뚝 서기를 기원한다.

///끝



///시작

///면 30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한의학연구원, 한의약 치료사례 과학적 검증 지원 나선다

///부제 한의치료의 임상 효능 및 객관적 데이터 검증 통한 임상연구 가능성 평가

///부제 ‘KORE 프로젝트’로 한의약 신뢰 확보 위한 임상근거 마련

///부제 건선의 한의치료 효과 국제학술지 ‘메디슨’에 게재

///본문 일선 한의의료기관의 한의약 치료사례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돕는 프로그램이 마련돼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이하 한의학연)은 지난 7일 임상의학부 증례연구팀이 한의약 치료 사례(증례)의 과학적 검증을 지원하는 ‘KORE 프로젝트’(KOrean Medicine Case REport Project·이하 코어 프로젝트)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한의학연이 추진하는 코어 프로젝트는 한의원·한방병원 단위의 증례를 모아 객관적 검증을 통해 임상연구 가능성을 검토하고, 임상 증례 논문 출간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프로젝트는 임상 현장에서 실제 치료효과를 보인 사례들을 과학적 검증을 통해 국제학술지에 논문으로 발표함으로써 해당 질환, 진단, 치료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며, 또한 한의치료기술의 신뢰 확보를 위한 임상 근거 마련 및 후속 연구 확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한의학연 증례연구팀은 한의의료기관으로부터 특정 질환이 호전된 치료 사례가 접수되면 증례연구 가치, 정량화 가능성, 미래지향성 등 3가지 기준에 따라 증례보고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 후 전문가와 협업해 데이터를 정량화하고, 임상연구 가능성을 검토해 증례보고를 진행하게 된다.

또 증례보고 단계로 들어가면 한의학연과 공동연구로 객관적인 데이터를 선별하고 연구계획서를 작성해 임상연구 및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를 받게 되며, 이어 전문가와 연계해 치료 전후 결과를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증례 보고 논문 출간의 기회를 갖게 된다.

이와 관련 한의학연 임상의학부 이준환 부장은 “임상현장에서 한의약 치료로 실제 효과를 보고 있는데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한의약 치료 증례를 지속적으로 논문화한다면 향후 국내외 의료인들의 진료 근거로 활용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의학연 김종열 원장은 “코어 프로젝트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효과가 있는 치료기술의 과학적 근거 구축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한의학연 코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하늘마음한의원과 공동으로 진행된 한의치료기술의 건선 완화 효과 증례 논문이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메디슨’ 3월호에 게재됐다.

건선은 붉은 반점과 비늘 같은 피부 각질이 일어나는 질환으로, 아직 발생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육체적·심리적·사회적 웰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하늘마음한의원 이삼로 원장은 스테로이드 치료로 호전이 없는 건선 환자들을 ‘혈열’(血熱·선천적 또는 후천적 요인으로 혈액에 열이 생기게 된 상태를 말함. 피부에 열독으로 작용해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이라고 진단하고, 이들에게 양독백호탕, 침, 광선, 프로바이오틱스, 식이요법 등 한의 통합치료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우석대 한의과대학 이동효 교수와 연계해 건선 평가도구(PASI)로 치료 전후 결과를 도출했으며, 건선 중증도 점수 평가에서 두 환자 모두 치료 후 점수가 감소해 상태가 호전됨을 확인했다.

///끝



///시작

///면 32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물리치료사법’ 발의…별도 법률 제정

///부제 윤소하 의원, “업무 특성에 맞게 별도의 관리 체계 마련”

///본문 현행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물리치료사 관련 규정을 떼어낸 물리치료사 단독법안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지난 7일 이같은 내용의 ‘물리치료사법안’을 대표발의했다.

물리치료사는 신체의 교정 및 재활을 위한 물리요법적 치료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현대 의학의 발달과 의료영역의 세분화로 인하여 의료계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 급속한 인구 고령화 등으로 인해 재활치료의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의료기관이나 보건기관 이외에 각종 사회복지시설 등에서도 물리치료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물리치료의 영역에 있어서도 골절, 근육질병 등을 치료하는 근골격계 물리치료, 척수손상 등을 치료하는 신경손상 물리치료, 뇌성마비, 소아마비 등을 치료하는 소아 물리치료 등 뿐만 아니라 운동선수의 특성에 따라 상해를 입는 것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스포츠 물리치료까지 그 영역이 확대돼 가는 추세다.

그러나 현재 물리치료사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의료기사 종류의 하나로 분류되고 있는 상황으로 물리치료사가 수행하는 업무의 다양성과 전문성 등을 고려할 때 별도의 법률 제정을 통해 물리치료 업무 및 의료 서비스 전달체계를 새로이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윤소하 의원은 “물리치료사법을 제정해 기존에 의료기사로 분류된 물리치료사를 업무 특성에 맞게 분리해 별도의 관리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의료환경 변화에 맞게 물리치료사 제도를 개선해 활성화하는 한편, 국민에게 수준 높은 의료 재활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국민의 건강증진 및 보건향상에 이바지하려는 것”이라고 법안 발의 배경을 밝혔다.

///끝



///시작

///면 32

///세션 종합

///이름 김태호 기자

///제목 청연한방병원-국립중앙의료원, 의한협진 공동연구 진행

///부제 의한협진에 관한 청사진 제시할 것

///본문 청연한방병원(병원장 김지용)은 지난 8일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연구소와 청연중앙연구소가 지난달 16일부터 ‘의한의 협진의 장점, 장애요인 파악과 협진 활성화를 위한 질적연구’를 주제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 단체는 이번 연구가 협진 사업에 종사하는 일선 의료인들의 목소리를 담은 질적연구로 협진 시범사업의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정책적 해결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할 것으로 평가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윤인애 침구과 전문의는 “1차적으로는 공공병원, 민간병원 그리고 대학병원에 종사하는 한의사전문의들을 그룹별로 나눠 인터뷰를 수행한 뒤, 2단계로 각 병원에서 몇 명의 전문의를 선정해 성공적인 의한의 협진사례와 전략을 분석할 예정”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의한의 협진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제언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32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경희으뜸한의원, 계양2동에 이웃돕기 백미 기탁

///부제 착한가게에도 등록…지속적인 나눔 실천 ‘약속’

///본문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2동에 위치한 경희으뜸한의원(원장 홍성의)에서 지난 7일 어버이날을 기념해 ‘함께 사는 세상, 나누는 행복’을 실천하고자 이웃돕기 백미 20kg 12포와 계란 12판을 기탁했다.

평소 나눔에 관심이 있었던 경희으뜸한의원에서는 “이번에 전달한 백미와 계란이 관내 경로당에 기탁돼 어르신들을 위해 사용되길 바란다”고 밝히는 한편 관내 저소득계층 지원사업에 사용되는 착한가게로 등록해 지속적인 나눔 실천을 약속하기도 했다.

이에 김완복 계양2동장은 “지역 내에서 나눔을 실천하는 곳과 나눔을 받아야 하는 곳에 대한 발굴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34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신의료기술평가와 보험등재심사 동시에 진행

///부제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본문 신의료기술평가와 보험등재심사를 동시에 진행하도록 하는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개정안이 지난 9일부터 6월 16일까지 40일 간 입법예고 되고 있다.

새로운 의료기술이 포함된 신개발 의료기기의 보험등재를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이후에도 요양급여·비급여 대상확인 및 신의료기술평가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최대 490일) 시장 진입이 늦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정부는 신개발 의료기기가 시장에 빠르게 진입할 수 있도록 신의료기술평가와 보험등재심사를 동시에 진행하는 절차를 마련하는 내용 등을 담은 ‘의료기기 규제혁신 및 산업육성방안’(’18.7.19)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후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이영성)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은 제도개선 협의체를 구성,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이번 개정안을 마련한 것이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신의료기술평가와 보험등재심사를 동시 진행해 신개발 의료기기의 시장 진입 기간을 단축하도록 하고 있다.

신의료기술평가 시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 보험급여 등재를 위한 자료를 제출할 경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험등재심사도 자동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

이렇게 되면 신의료기술평가가 완료될 때 보험급여 등재심사도 종료될 수 있어 의료기기의 시장 진입 기간이 100일 가량 단축된다.(최대 390일)

///끝



///시작

///면 34

///세션 종합

///이름 김태호 기자

///제목 의료분쟁조정중재원 부산지원 출범

///부제 영남권역 의료분쟁 해결에 긍정적 효과 기대

///본문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원장 윤정석, 이하 의료중재원)은 지난 2일 국민연금공단 부산회관 3층 에메랄드 홀에서 윤정석 원장을 비롯한 임직원, 보건복지부, 유관기관 및 직능단체장 등 내외 인사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지원 개원식’을 개최했다.

의료중재원 부산지원은 지난 해 5월부터 방문상담 및 조정신청·접수, 출장 조정을 시범적으로 운영해 현재까지 577건의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126건의 사건을 접수해 81.8%의 조정개시율을 보이는 등 영남권역 의료분쟁 해소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이번 개원식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영남권역 의료분쟁 해결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하게 됐으며, 윤 원장은 개원사를 통해 “그동안 쌓아온 의료분쟁 해결 역량을 바탕으로 지방의 의료분쟁 해결과 국민들의 제도 접근성을 제고하여 의료중재원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부산지원은 의료중재원의 첫 번째 지방지원으로써 큰 의미를 부여하고, 영남권역에서 환자와 의료인 모두로부터 신뢰받는 중추적인 기구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의료중재원 부산지원은 피신청인의 사무소 또는 영업소 소재지가 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등 영남권역에 속한 경우를 관할로 하고, 신청인이 희망하는 사유가 합리적일 경우에는 서울 본원에서도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그동안은 조정·중재사건의 기일 출석을 위해 환자 측과 병원 측 모두가 서울로 1회 이상 원거리 이동이 불가피했으나 부산지원 개원을 통해 접근성이 크게 완화됨으로써 조정개시율이 향상돼 제도 실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지원은 평일 오전 9시에서 12시,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방문상담과 조정·중재 신청서 접수가 가능하다.

///끝



///시작

///면 35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DMZ 500km에 한반도 평화 염원의 목소리 퍼져”

///부제 평화인간띠 잇기 행사 개최, 20만여명 시민 참여해 이 땅의 평화 기원

///부제 공이정 전 강원도한의사회장, 강원도본부장으로 참여해 성공적 행사 위해 동분서주

///본문 죽음과 전쟁의 땅 DMZ에서 한반도의 평화를 염원하는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DMZ평화인간띠운동본부는 지난달 27일 20만여명의 시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고성∼인제∼양구∼화천∼철원∼연천∼파주∼고양∼김포∼강화에 이르기까지 500km에 달하는 평화인간띠 잇기 행사를 개최했다.

‘꽃피는 봄날 DMZ로 소풍 가자’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된 이날 행사는 4·27 정상회담을 기념해 10개 구간으로 나눈 평화누리길 가운데 사전신청을 통해 지정된 지역에서 참가자들이 1m 간격으로 손과 손을 맞잡으면서 한반도의 평화를 기원했다.

특히 평화인간띠 잇기 운동 강원본부 공이정 본부장(전 강원도한의사회장)은 고성군 화진포에서 진행된 지역 행사에서 ‘평화선언문’을 낭독하며, 이날을 기점으로 죽음과 전쟁의 땅으로 인식되던 DMZ가 앞으로는 평화와 생명의 새 땅으로 다시 탄생하게 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는 굳은 의지를 참석자들과 함께 공포했다.

공 본부장은 평화선언문을 통해 “오늘 우리는 ‘죽음과 전쟁의 땅 DMZ’를 평화와 생명의 새 땅으로 만들겠다는 마음 하나로 지금껏 낯설었던 이웃들의 손을 힘껏 잡고 있다”며 “언젠가는 DMZ만이 아닌 한라에서 백두까지 남북의 손을 함께 맞잡을 날을 기대하면서 모두 이 자리에 서있다”고 밝혔다.

또한 공 본부장은 “종교, 이념, 성별, 신분 차이를 넘어 함께 손잡는 4·27 사람 띠잇기 행사가 사람을 편 가르는 일체 분단체제를 불사르는 단초가 될 것”이라며 “이 땅의 평화가 세계의 대세이자 하늘의 뜻이며 민족의 염원이라는 것을 분단 70년 고통을 겪은 남북 ‘민(民)’의 이름으로 힘껏 선포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공 본부장은 이번 행사를 위해 지난 1월26일 DMZ 평화인간띠 운동 강원본부 발대식을 가진 이후 참석 독려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는 등 성공적인 행사 진행을 위해 노력해 왔다.

공이정 본부장은 “이번 행사의 가장 큰 의미는 통일운동에 우리 민이 주체로 나섰다는 것이다. 즉 그동안 통일 논의에서 소외되던 객체의 위치에서 주체가 되었다는 점에 가장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행사를 준비하는 100여일의 긴 여정 동안 어깨동무하고 평화와 통일의 길을 함께 걸었던 동지들을 항상 기억할 것이며, 이제는 우리 모두가 역사의 주인이고 통일의 일꾼이라는 마음가짐으로 앞으로도 우리나라 평화 정착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강원도한의사회 의료봉사단은 이날 행사 참가자들의 안전을 위한 진료부스를 운영하는 한편 행사 종료 이후 공이정 본부장을 비롯한 강원도한의사회 의료봉사단은 천진초등학교로 이동해 강원도 산불로 인한 피해 복구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지역주민 및 자원봉사자들의 건강을 돌봤다.

///끝



///시작

///면 34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신병철 부산대학교한방병원장 ‘연임’

///부제 지난 5·6대 병원장 이어 7대 병원장에 선임

///본문 부산대한방병원 제7대 병원장에 한방재활의학과 신병철 교수(사진)가 연임됐다.

신병철 병원장은 원광대학교 한의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방재활의학 박사를 받았으며,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장과 기획협력부장, 진료부장 및 제 5·6대 병원장을 역임했다.

또한 신 병원장은 현재 척추신경추나의학회 회장, 대한한방병원협회 이사, 경상남도한의사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며, 한의학 발전에 노력해 오고 있다.

한편 신 병원장의 임기는 지난 1일부터 2년간이며, 현재 진행 중인 한·의 협진 모니터링센터, 탕약표준조제시설 구축사업과 함께 한약의 표준화와 신뢰받는 한방병원 구축에 매진할 계획이다.

///끝



///시작

///면 34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김윤환 부산대 한의전 학생, ‘2019 국민법제관’ 위촉

///부제 향후 2년간 활동…사회문화 법제 분야 개선 및 정비 활동 기대

///본문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과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김윤환(前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제20기 청소년회의 의장·사진) 학생이 ‘2019년 국민법제관’에 위촉됐다.

국민법제관은 법령 정비 및 심사 등 법제처 주요 업무에 참여해 의견을 제시하는 전문 분야별 국민의견 수렴제도로, 2017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 공개모집을 통해 여성·청년 및 비수도권 거주 국민법제관의 비율을 높여 김윤환 학생 등 99명을 위촉했다.

국민법제관은 간담회, 국민참여심사제, 불편법령 개선제안 제출 및 법령 정비안의 자문 등의 활동을 하며, △행정법제 △경제법제 △사회문화법제 등의 분야로 구성돼 있다. 김윤환 학생은 사회문화법제 분야에서 활동하게 되며, 임기는 2년이다.

김윤환 학생은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청소년회의 등 청소년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김윤환 학생은 “국민법제관으로서 활동할 수 있어서 감사하고, 기쁘게 생각한다”며 “선배 법제관님들께 많은 것을 배우고, 시민과 현장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사회문화법제 분야 개선 및 정비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끝



///시작

///면 35

///세션 기고

///이름 김남일 교수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제목 醫史學으로 읽는 近現代 韓醫學 (403)

///부제 1974年 裵元植 先生의 제25회 日本東洋醫學會參觀의 所感

///부제 “日本 두 분 학자의 瘀血證에 대한 견해를 비교해 봅시다”

///본문 1974년 간행된 『大韓漢醫學會誌』 제156호에는 裵元植 先生(1914〜2006)의 ‘第二五回 日本東洋醫學會 參觀의 所感’(소제목: 漢方科學은 日本이 앞지르고 있다)이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하고 있다.

裵元植 先生은 한의학의 국제화에 한몸 바친 한의계의 巨木으로서 1954년 한의학 학술잡지인 『醫林』을 창간해 학술토론의 장을 마련했고, 이후 1956년에는 동방의학회 회장, 1960년에는 동방장학회 회장, 1968년에는 대한한의사협회 회장(연임) 등으로 활동했다. 그의 활동으로 1970년 한국동양의학회 회장을 하면서 일본 한방의학계와 지속적인 학술적 교류를 이어간 것을 꼽을 수 있다.

‘第二五回 日本東洋醫學會 參觀의 所感’이라는 裵元植의 글 속에서 당시 일본 동양의학회에서 전개하는 과학적 한방의 모습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서 한국 한의학을 발전시킬 방안을 찾아보자는 그의 간절한 바람을 발견할 수 있다.

제25회 일본동양의학 학술대회는 1974년 5월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간 京都國際會館에서 開催됐다. 이 글에서 裵元植은 東京 醫大 矢數道明 博士의 「瘀血을 둘러싸고」라는 演題와 關西 醫大의 伊原信夫 博士의 「瘀血의 病理學的 考察」이라는 논제의 주장을 한의학의 과학화에 있어서 어느 쪽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라는 입장에서 검토하고 있다.

아래에 그 내용을 裵元植의 목소리로 요약한다.

○ 東京 醫大 矢數道明 博士의 「瘀血을 둘러싸고」: 臨床治驗을 통해서 瘀血이란 것을 完全히 파악한 연후에 연구순서로서 ①瘀血에 대한 字義解釋 ②瘀血의 成因에 대한 諸說 ③ 臨床上의 瘀血處理에 대하여 등등의 순서를 갖추어 연구한다. 이를 위해서 瘀血을 硏究하는 一人이 행하여야 되는데 만일 科學的 能力이 없을 경우에는 하는 수 없이 科學을 하는 제3자와 合作推進하는 수밖에 없다. 그 科學者가 한방에 대한 전혀 門外漢이라면 相互間의 意見相反이 생겨 연구진행에 지장을 가져옴은 물론이다. 그러나 한방을 아는 科學者라면 그러한 弊端은 없을 줄 믿는다. 瘀血에 대한 지식을 얻으려면 書誌上의 文獻讀書나 所見만으로는 불가능한 것으로써 반드시 臨床治驗을 통하지 않고서는 안될 것이다.

○ 關西 醫大의 伊原信夫 博士의 「瘀血의 病理學的 考察」: 정형적인 瘀血證을 나타내는 골반 및 하복부 장기병변을 장기질환을 모토로 한다. 그러나 瘀血證이 남자보다 여자가 많고 발생부위가 하복부위의 우측보다 좌측이 많다는 등의 차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는 것은 유감이다. 또한 博士가 말한 前立腺肥大, 潰瘍性直腸炎, 糖尿病性脫疽, 慢性膵炎, 副腎萎縮, 淋巴球體甲狀腺 등의 질환을 한의학에서 瘀血과 관련성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드물다. 瘀血의 疾病은 月經時에 産後의 血液 등이 骨盤 및 下腹腔內에 瘀血로 轉變하여 그 부위의 臟器들의 조직과 기능에 지장을 주어 瘀血證을 일으킨다고 한의학의 견해가 있다. 그런데 伊原信夫 博士는 골반 및 下腹部의 臟器病變에 의하여 瘀血證에 이르는 것처럼 말하고 있는데 그와 같은 瘀血證에 한방치료제로서 치료가 될 것인가가 의문스럽다. 치료가 아니된다고 하면 한방에서 瘀血證과는 다르다고 볼 수밖에 없다. 그러고 보면 先生의 硏究가 한방도 아니요 양방도 아닌 제3의 의학이 되는 수밖에 없지 않을까 杞憂되는 바이다.

○ 이와 같이 한양방의 두 길로 분리하는 것을 지양하고 하루 속히 한방에 능한 분과 양방에 능한 분이 공동합작으로 추진한다면 所期의 目的 達成이 無難할 것으로 본다. 여기에 필수조건은 공동추진하는 연구기관을 속히 설립하여 한방을 科學化로 이끌어 갈 基本體系를 세우는데 한층 더 분발해주기를 기원하는 바이다.

///끝



///시작

///면 37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대구한의대, 조무상 연구기금 전달식 성료

///부제 조무상 원장, 총 2억원 연구기금 조성 대학에 기탁

///부제 현재까지 12년간 23명에게 연구 장려금 매년 지급

///본문 대구한의대학교(총장 변창훈)가 지난 15일 대구한방병원에서 한의학과 1기 졸업생으로 모교 발전을 위해 기부활동을 펼치고 있는 조무상 A3 한의원장(사진 오른쪽 두번째) 연구기금 전달식을 가졌다.

조무상 원장은 학문의 융합발전과 연구진흥을 위해 매년 1000만원씩 20년간 2억원의 연구기금을 조성해 대학에 기탁하고 있다.

조무상 연구기금은 지난 2007년부터 대구한의대에서 우수한 연구를 하고 있는 교수를 선정해 연구 장려금을 지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12년간 23명을 선정했다.

2019년 조무상 연구기금 수상자는 △제약공학과 이세중 교수의 식중독균의 독성인자에 대한 숙주면역 방어체계 조절기전 연구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홍주연 교수의 미숙한 적과 사과의 유용성분 분석 및 사과정과 제조방법의 개발 △기초교양대학 김권동 교수의 시조한역과 시조중역에 대한 비교 연구가 각각 선정됐다.

특히 제약공학과 이세중 교수는 꾸준한 연구와 실적으로 한국연구재단과 경산시로부터 각각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어 선정됐다.

연구기금 선정은 조무상 원장의 뜻에 따라 학문의 균형발전과 다른 학과를 배려하기 위해 한의학분야는 연구기금 선정에서 제외하고 있다.

전년도 정부공모 연구 과제를 수탁한 조교수 이하 교수 중 연구수행을 통한 대학기여도, 후진양성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기초연구계열과 전공연구계열에서 각각 1명씩 선정하고 있다.

조무상 원장은 “대학에서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젊은 교수님들의 활발한 연구 활동이 필요하다”면서“교수님들의 수준 높은 연구에 미흡하지만 작은 도움을 줘 또 다른 대학사랑을 실천하고 싶다”고 말했다.

조무상 원장은 대구한의대에서 학사·석사·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알러지(Allergy), 아토피(Atopy), 천식(Asthma)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A3 한의원을 운영하고 있다. 대구시한의사회부회장, 대구한의대 총동창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구한의대 자랑스러운 대한인회 회장을 맡고 있다.

///끝



///시작

///면 37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의협, 안아키 엄벌 촉구·최혁용 회장 고발

///부제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와 공동기자회견

///본문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상고심이 진행 중인 ‘약 안 쓰고 아이를 키운다(이하 안아키)’ 대표 한의사의 구속수사를 주장하는 등 엄벌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난 15일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이하 소청과)와 공동으로 용산 의협회관에서 개최된 기자회견에서 이들은 일부 한의사 회원의 일탈을 한의계 전체로 싸잡아 비난하며 “한의사 집단에 회의가 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현택 소청과 회장은 “안아키 단체 대표 한의사는 항소심의 선처에 불복해 상소하고 지역사회까지 집단감염병의 위기에 처하게 하는 등 이 나라 국민 보건과 영유아 건강을 심각한 위기에 몰아넣었다”며 “해당 재판부에 대해 엄벌을 요청할 것이며 검찰은 오늘 당장이라도 구속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구고등법원 제2형사부는 지난 2월 12일 ‘안아키’ 단체 대표 한의사에 대해 징역 2년 6개월, 집행유예 3년, 벌금 3000만원 1심 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항소기각 판결을 내렸다. 그리고 이에 불복한 피고인의 상소로 현재 상고심이 진행 중이다.

최대집 의협 회장은 안아키 사례를 한의계 전체로 확대해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자성도 부족한 마당에 명예훼손으로 의사들을 고소한 안아키 한의사의 추가 카페 개설도 수사에 들어가야 한다”며 “이는 예외적 일탈이 아니다. 통계가 정확하진 않지만 전국 14000개 한의원을 전수조사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오후 최대집 회장과 박홍중 서울시의사회장은 대검찰청을 방문해 ‘최혁용 한의협회장 무면허의료행위 교사·방조혐의’ 고발장을 제출했다.

고발장에서 의협은 “의료법 제2조에 따라 한의사는 한방의학적 원리에 의한 의료행위만 할 수 있을 뿐이므로 의과의료기기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는 사용할 수 없음이 명백하다”고 적시했다.

혈액검사와 관련해서는, 인체의 화학적·생물학적인 변화를 관찰·측정하는 데 주안을 두고 있는 혈액검사를 이용한 진단도 의료법 제2조에 따라 한의사가 할 수 없는 행위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최혁용 한의협회장 고발과 관련해 “한의사와 변호사 자격을 동시에 갖고 있어 ‘한의사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법원의 판단을 모른다고 보기 어려운 최혁용 회장이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사용 및 혈액검사 시행 등 의료법에 위반되는 면허범위 외의 의료행위를 적극 유도하고 교사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중대하게 위협하고 보건질서에 큰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



///시작

///면 37

///세션 인터뷰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900여개 창방 통해 국민 위한 한의학으로 거듭나길”

///부제 김기현 동의정리학연구회 이사

///부제 박해복 선사 고유 처방 모아 ‘동의정리학처방집’ 출간

///부제 “타성 젖기보다 물음표 갖고 늘 한의학 정진했으면”

///본문 태무진 박해복(1923~1999) 선사는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사물과 현상의 정해진 이치를 깨달음으로써 대우주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우주인 인체의 질병 치료와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동의정리학’을 창시했다.

그 과정에서 박해복 선사는 ‘창방(創方)’ 중심의 처방을 900여개 만들었고, 1995년에는 동의정리학연구회를 창립해 후학 양성에 힘을 쏟았다.

그의 유지를 이어받은 제자들은 그 뜻을 이어받아 동의정리학을 발전·계승시켜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박해복 선사가 창방한 900여개의 처방을 엮어 ‘동의정리학처방집’을 출간했다.

박해복 선사의 제자이자 동의정리학연구회 학술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기현 이사(토당한의원 원장)를 만나 동의정리학에 대해 들어봤다.

김기현 이사는 우선 동의정리학처방진 출간 의의에 대해 “그간 비방으로 공개가 안됐던 박해복 선사의 900여개 처방을 후학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책으로써 공개했다”고 말했다.

<동의보감> 등 고서에 나와 있는 한의학 각각의 이론을 정리하고, 이를 임상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게 그의 설명.



태무진 박해복 선사를 말하다

일찍이 박해복 선사는 한의계 내에서도 명의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못 고치는 난치병이 없다는 소문이 나 이태원동에 위치한 그의 한의원은 늘 환자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이러한 내공에는 집안의 도움도 있었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한의사 가문이었다. 증조부는 궁중의 어의였고, 조부, 선친 모두 한의사였다. 박해복 선사의 아들 또한 대구한의대를 졸업한 한의사로 현재 한의사만 5대째 이어져 오고 있다.

박해복 선사는 1984년부터 1999년 교통사고로 유명을 달리하기 전까지 후학 양성에 힘을 쏟았었다. 국민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석류장을 수여받기도 했다.

그의 사후에는 직·간접으로 전수받은 ‘치방(治方)’과 ‘치법(治法)’을 김영동 선생(동의정리학연구회 명예이사장)이 2012년 ‘동의정리학’으로 출간했다.

김기현 이사는 박해복 선사에 대해 “공리(公理)나 정의(定義)를 바탕으로 이미 진리의 일부로 증명된 일반적인 천문·지리·인사의 명제인 정리(定理)를 의학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깊게 연구하신 분”이라고 정의했다.

이어 그는 “깊고 다양한 진료, 절제와 수양, 자연과의 교감, 참선 등을 통한 각고의 노력과 사유의 결과인 인체관, 진단, 질병관, 법제 및 처방, 침법, 골도추나법 등의 정리는 선사님의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여정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르침 집대성한 ‘동의정리학처방집’

이번 처방집에서는 박해복 선사가 제자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전수한 약 900여개의 창방 중심의 처방들을 ‘원문(原文)’, ‘방의(方意)’, ‘참고사항’ 등의 형태로 구성했다.

이 처방들을 허로, 내과, 부인과, 소아과, 정신과, 피부과, 오관과, 외과, 근골과, 잡과 등으로 각각 구분해 임상 적용에 편리하게 순서를 정했다. 하지만 출간 과정에서 어려움도 있었다.

김기현 이사는 “선사님께 직접 호(號)를 받은 46명을 포함한 그 당시 약 600분의 제자들이 수강을 했지만 적은 수의 중심 제자들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처방을 수집하는 것은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그는 “선사님께서 선계(仙界), 입적(入寂)하신 이후여서 의문이 있는 책의 내용을 직접 여쭙지 못하는 부분 또한 아쉬운 점”이라고 덧붙였다.

정부의 보건정책기조가 급성질환 중심에서 예방의학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는 만큼 김 이사는 동의정리학처방집 또한 일선 한의사와 국민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기현 이사는 “이 책 내용은 현재 우리의 식생활과 보건의료 환경을 기반으로 탄생한 데에 특장이 있다”면서 “근·현대 한의학 역사상 월등한 유효성과 안전성을 지닌 창방들이 이 책의 중심에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제시된 새로운 처방들이지만 적어도 30년 이상의 현대 국민들의 질병 치료와 예방에 적용해 검증된 결과물”이라며 “향후에도 현대 국민들의 건강 유지에 지대한 기여를 하면서 수정 보완될 수 있는 처방집이다”고 강조했다.



학문에 늘 정진하고 환자에게 정성 다해야

동의정리학연구회는 매년 학술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1984년부터 강좌를 진행한 박해복 선사의 뜻을 이어받아 이들 또한 후학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올해도 지난 3월부터 시작된 입문과정을 거쳐 오는 6월부터 11월까지 는 고급과정을 격주로 동의정리학 강의실에서 진행하고 있다.

김기현 이사는 1984년 경희대 한의대를 졸업한 뒤, 경원대(현 가천대) 서울부속한방병원 교수/병원장을 비롯해 대한한의학회 부회장, 한의사국가시험 출제·채점 위원 등을 역임한 한의학계 산증인이기도 하다.

이제는 쉬어갈만도 한데 한의사들을 대상으로 매번 학술강좌를 개최하는 이유에 대해 그는 “한의사는 늘 물음표를 던져야 한다”고 답했다.

김기현 이사는 “그동안 공부한 것만 가지고 타성에 젖어 치료해선 안 된다. 환자를 보면서 늘 물음표를 던져야 한다”며 “그 물음표 속에서 환자에게 더 정성을 들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술을 잘 발전시켜 현대에 맞는 처방을 해야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한의학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동의정리학처방집을 출간한 이유도 후배 한의사들이 환자에게 더욱 정성을 다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는 것.

그는 “동의보감, 사상의학 처방 이후 한의사의 지극한 노력으로 창방된 900여 처방을 동의정리학연구회만 알고 있기에는 선사님의 뜻을 저버리는 것이라 생각한다”면서 “그간 공개, 비공개된 처방을 함께 나누고 임상에 적용하는 것 또한 동의정리학연구회가 복을 짓는 일이라 분명 확신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이사는 동의정리학처방집을 보고 많은 한의사들이 한의학을 더욱 진보시켰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김기현 이사는 “동의정리학이 고서에 나와 있는 기존 이론들을 재해석해 창방으로써 응용·발전시킨 것처럼 후배 한의사들도 이 책의 내용들을 참고로 한의학을 더욱 발전시켜 나갔으면 좋겠다. 그것이 한의사가 상도(商道)하는 길이고, 의학적 도덕을 갖추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끝



///시작

///면 29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제1차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안) 무엇을 담고 있나? 4

///부제 본인부담 체계, 경증질환 높이고 중증질환 낮추도록 개선

///부제 보험료율 인상율 평균 3.2%에서 안정적 관리

///부제 건강보험에 적합한 재정 추계모형 개발

///부제 공·사 의료보험 연계강화 대책 추진

///본문 지난호에서는 4대 과제 중 ‘의료 질과 환자 중심의 보상 강화’를 위한 추진과제인 △의료 질 제고 △적정 진료 및 적정 수가 보상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들을 알아봤다.

이번호에서는 ‘건강보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추진과제 중 △건강보험 재정 관리 강화 △의료이용 적정화에 대해 살펴보겠다.



건강보험 재정 관리 강화

먼저 ‘건강보험 재정 관리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재원조달 안정화 △보험재정 관리·운영 체계 개선에 나선다.

재원조달 안정화를 위해 정부지원에 대한 현행 한시적인 지원 방식 및 적정 지원규모를 재검토하고 사회적 합의를 거쳐 2022년까지 법 개정을 추진한다.

보험료는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와 보험료 부담이 균형을 이루도록 매년 보험료율 인상율을 적정수준(평균 3.2%)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보험료 부과 대상 소득 확대 등을 통한 수입기반 확충을 병행해 추진할 방침이다.

보험재정의 투명성과 예측가능성,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관리·운영 체계도 개선한다.

우선 올해 건강보험 가입자 및 공급자간 합의에 기반한 건강보험 제도 고유의 특성을 존중하면서 민주적 절차를 통한 재정운영 투명성 확보 방안(보험료율 결정 근거, 재정전망 등 공개 확대)을 검토한다.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단기보험 특성, 복잡한 수입·지출 변수 등을 반영한 시나리오 추계 등 건강보험에 적합한 재정 추계모형을 연구·개발하고 2020년에는 그간 추계들을 비교·분석해 객관적인 분석틀과 연구방법론을 도출, 추계모형에 따른 중장기 재정전망을 추진할 예정이다.

안정성은 급여청구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보험급여 지출현황 분석 및 체계적인 재정 관리를 추진해 높인다.

올해 보험급여 항목, 요양기관, 상병, 환자, 재원일수 등 특성별 이용량 변화 및 지출에 대한 원인 분석 등을 통해 제도를 개선하고 재정투입의 효과성 확보를 위해 지출 특성 등을 고려한 분야 또는 항목 대상으로 건강보험 재정 내 구분계리해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의료이용 적정화

‘의료이용 적정화’ 방안으로는 △가입자의 합리적 의료이용 지원 △공·사 의료보험 연계강화 대책이 추진된다.

가입자의 합리적 의료이용 지원을 위해 법정본인부담 체계를 경증질환은 높이고 중증질환은 낮추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의료전달체계 개편 등과 연계한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 방안을 2020년에 마련할 계획으로 올해에는 의료 이용·제공에 미치는 영향, 타 제도와의 관계 등 운영평가를 실시하고 대상질환·항목·적용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의료이용도 관리한다.

극단적인 과다·과소 의료이용에 대한 급여 기준과 과다(과소) 이용 컨설팅·서비스 연계 등 관리체계를 2020년에 마련할 예정이다.

먼저 낮은 본인부담으로 의료필요 대비 과다 의료이용 가능성이 존재하는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 대상자부터 시범 실시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가입자의 합리적 의료이용 유도를 위해 의료기관 이용내역, 의료기관 관련 정보 등의 제공을 강화한다.

단계적으로 건강보험과 실손보험 간 역할 재정립에 들어간다.

올해 실손보험 보장내용이 의료이용과 건강보험 급여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장범위 조정을 검토하고 2021년에 의학적 비급여의 급여화 등 공보험 체계개편에 맞춰 실손보험의 보장 영역 변경 등 역할 재정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올해 연계 관리위원회 설치, 실태조사 및 제도개선 권고 등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2020년에 전체 의료비 부담 적정화 관점에서 민간의료보험 및 의료보장을 담당하는 자동차보험, 산재보험 등 각종 제도와의 합리적 역할 분담 방안도 검토한다.

///끝



///시작

///면 40

///세션 기고

///이름 안 상 영 책임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제목 ‘한의약과 WHO의 협력 기록’ 발간

///부제 지난 40여년간 WHO에서의 한의계 발자취 정리

///본문 저자는 한의약 관계자가 세계보건기구(이하 WHO)와 협력한 객관적 기록을 모으고 개인 설명을 더하였다. 한의약 관계자가 WHO 서태평양 지역사무처 주관 회의에 언제 처음으로 참석하였을까? 기록에 따르면 1977년 일본 동경 회의이다.

한의약 관계자가 WHO 본부 주관 회의에 언제 처음으로 참석하였을까? 1985년 기록이 있다.

한의계 최초의 WHO 전통의약 협력센터는 1988년 4월에 지정받았다. 한의사가 WHO 서태평양 지역사무처에 첫 근무를 시작한 것은 2003년이다. 한의사가 WHO 본부에 첫 근무를 시작한 것은 2016년이다.

UNICEF와 WHO는 1975년에 ‘Alternative health approaches to meeting basic health needs in developing countries’ 보고서를 출판한다. WHO 본부는 1977년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medicine’ 회의를 개최하여 전통의약 활용 현황을 살펴본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을 기반으로 1978년 Alma Ata 일차보건의료 선언문에 전통의약 문구가 포함된다.

WHO에서 전통의약 관련 프로그램이 운영된지 40여년 경과하였다. 한의약 관계자가 지난 40여년 동안 WHO와 동행한 기록을 모아 ①WHO 조직 구조 ②WHO 전통의약 회의 목록과 참가자 명단 ③WHO 협력센터 ④WHO 근무 한의사 ⑤국제 보건 동향 시사점으로 구성하였다.

저자가 WHO 서태평양 지역사무처(2012년 10월~2015년 12월) 및 WHO 본부(2016년 3월~2019년 2월)에 근무하는 동안 비슷한 유형의 질문을 여러 차례 받곤 하였다.

어떤 후배는 대화 내용을 정리해서 신문에 기고하거나 블로그에 올리기도 하였다. 개별 상담으로 끝나는 경우도 많았다. 한의계 모처에서는 소속 수장이 세 번 바뀌는 동안 똑같은 질문을 정확히 세번 하였다.

또한 WHO 표준, 가이드라인 관련 업무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여러 나라가 기여한다. 그러다보면 당연히 여러 기억과 소견이 혼재된다. 한 사건을 바라볼 때 각 전문가와 참여 국가의 의견은 물론 WHO 내부의 생각조차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다.

더 많은 한의약 관계자가 WHO 구조와 담당 역할, 그간의 과정과 성과를 이해한다면 더 올바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된다.

2018년 10월 25~26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Alma Ata 선언문 40주년을 기념하여 Global Conference on Primary Health Care를 개최하였다.

저자는 전통의약 담당자로 선언문에 관련 문구가 포함되는데 기여하였다. 담당 부서는 이 선언문을 금년 세계보건총회 안건으로 상정하였고, 유엔총회에서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1978년 선언문 이래 또 다른 계기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의약 관계자는 지난 40여년 동안 WHO와 협력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발자취를 기록하는데 오류 및 입장과 해석의 차이는 피할 수 없다.

이 졸고를 통해 다양한 의견과 기록이 정리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끝



///시작

///면 40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담은 법안 발의 ‘환영’

///부제 100일간 릴레이 1인 시위 전개…개정안 신속한 국회 통과 ‘촉구’

///부제 의료사고 피해자·가족·유족, 환자단체연합회 논평

///본문 안규백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지난 14일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를 내용으로 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가운데 한국환자단체연합회와 의료사고 피해자·가족·유족들은 지난 15일 논평을 통해 수술실의 안전 및 인권, 무자격자 대리수술 근절을 위한 이번 법안 발의를 환영하며, 이번 개정안이 신속히 통과돼야 할 것을 촉구했다.

무자격자 대리수술은 외부와 차단된 수술실에서 전신 마취된 환자에게 가해지는 비윤리적인 범죄행위지만, 의료인은 무자격자 대리수술을 교사했더라도 현행법상 1년 이내의 의료인 면허 자격정지만 가능하고, 이 기간이 경과하면 다시 의사로 활동하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

이를 개선코자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과 윤일규 의원이 무자격자 대리수술을 교사한 의료인에 대해 면허를 취소하고 3년 또는 10년 동안 재교부받지 못하도록 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또한 최근에도 김상희 의원은 누구든지 무면허 의료행위를 교사하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의료법 개정안’과 함께 이로 인해 중상해가 발생하면 2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으로, 사망이 발생하면 5년 이상의 징역으로 가중처벌하는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무자격자 대리수술을 했거나 교사한 의료인이 의사면허가 취소되거나 정지되었다고 하더라도 현행법상 해당 의료인의 인적사항과 위반사실 및 행정처분의 내용을 공개하는 무자격자 대리수술 관련 ‘행정처분 정보 공개제도’가 없었으며, 또한 애당초 발각될 것을 우려해 무자격자 대리수술을 아예 하지 못하도록 하는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제도’도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의료사고 피해자와 환자단체는 수술실 CCTV 설치를 위해 지난해 11월22일부터 올해 4월18일까지 100일 동안 국회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이어오며 법제화를 촉구해 왔다.

환단연 등은 논평을 통해 “오랜 숙원이었던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법안(일명 권대희법)이 국회에 발의된 것에 대해 환영한다”며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의 반대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수술실에서의 환자 안전과 인권을 위해 수술실 CCTV 설치 법제화 요구에 국회가 응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의료사고 피해자와 환자단체는 국민들과 함께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법안이 국회를 최종 통과할 때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국회는 의사면허제도의 신뢰를 추락시키고 수술실 환자 안전과 인권을 위협함으로써 의사에 대한 환자의 불신을 가중시키는 무자격자 대리수술 근절을 위한 ‘의료인 면허 취소제도’와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제도’ 관련 의료법 개정안을 신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끝





///시작

///면 41

///세션 기고

///이름 고석재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화기/보양클리닉

///제목 ♦KMCRIC와 함께 임상논문 쉽게 읽기

///부제 기능성 변비, 전침 치료로 배변·빈도 불안 개선 및 소화관 운동 항진에 효과

///본문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KMCRIC 제목

기능성 변비에서 전류 세기에 따른 전침 치료의 효과 임상연구



서지사항

Xiong F, Wang Y, Li SQ, Tian M, Zheng CH, Huang GY. Clinical study of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with different intensities for functional constipation patients. J Huazhong Univ Sci Technolog Med Sci. 2014 Oct;34(5):775-81. doi: 10.1007/s11596-014-1351-8. Epub 2014 Oct 16.



연구설계

randomised, single blind



연구목적

기능성 변비에서 전침의 효과를 기존의 약과 비교하여 유효성을 확인. 또한 전류의 세기에 따라 전침 치료의 효과가 달라지는지 조사함.



질환 및 연구대상

기능성 변비 환자 111명



시험군중재

· 시험군은 두 개의 군으로 나누어 하나의 군은 고전류군, 나머지 군은 저전류군으로 명칭함.

· 두 군 모두 양쪽 곡지 (LI11)와 상거허 (ST37)에 4주 동안 자침함(첫 2주는 1주 5회, 나중 2주는 한주 3회 치료).

· 치료시간은 한 회 30분 유지함.

· 자침 후 고전류군에는 해가 되지 않고 참을 수 있는 가장 큰 세기의 전류를, 저전류군에는 느낌이 있는 가장 작은 세기의 전류를 흘려줌.



대조군중재

5mg의 mosapride citrate (MC)를 하루 3번 4주간 복용



평가지표

1일 배변 횟수 (spontaneous bowel movement frequency), 자가 불안 지수 (SAS), 자가 우울 지수 (SDS), 혈중 코티솔 (CORT), substance P (SP),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VIP)



주요결과

· baseline과 비교하여 1일 배변 횟수가 3군 모두 통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군간 통계적 차이는 없음.

· 저전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SDS, CORT, 수치가 줄어들고 SP와 VIP 수치가 증가함.

· 고전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SAS와 SDS, CORT 수치가 줄어들고 SP와 VIP 수치가 증가함.

· MC군에서는 CORT와 VIP 수치가 통계적으로 증가함.

· MC군과 비교하여 SP 수치가 실험군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증가함.



저자결론

저전류 및 고전류의 전침 치료를 하였을 때 기능성 변비 환자들의 배변 빈도와 불안, 우울 정도를 개선하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 소화관 운동을 항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 저전류와 고전류의 유효성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됨.



KMCRIC 비평

기능성 위장관 질환에서 심리적, 감정적인 요인과 증상의 발현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수차례에 걸쳐 밝혀져 왔다 [1,2]. 최근에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에 대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 (coping style)과 [3], fMRI를 적용한 연구 [4,5]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5년 최신 논문에는 침 치료가 뇌 영역 중 인지, 감정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었다 [6].

본 연구로 전침 치료가 기능성 변비 환자의 불안과 우울 정도를 개선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나 SP 수치를 제외하고 그룹간 차이를 보여주지 못해 대조군에 비해 우위성을 증명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기능성 변비는 standard therpay가 정해지지 않은 질환군으로써 상부 위장관 증상에 주로 쓰는 mosapride가 대조군으로 적절했는지는 의문점으로 남는다. 차라리 wait-list와의 비교, 혹은 또한 불안과 우울, 스트레스 정도는 placebo의 영향을 많이 받는 변수이기 때문에 blind가 될 수 있는 sham 침군을 두어 비교하는 것이 어떠하였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본 연구에 쓰인 곡지와 상거허는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기능성 변비에 많이 연구가 되는 혈자리들이 아닌데 STRICA 기준에 따른 혈위 선정에 대한 근거가 밝혀지지 않은 것도 아쉬움 중의 하나이다. 이밖에도 치료 방법이 2주마다 바뀐 점에 대한 근거 결여, 삶의 질 변수가 없는 아쉬움, 고전류와 저전류 기준의 모호함 등도 앞으로의 연구에서 개선해나가야 할 점이라고 생각된다. 침 기전 중 스트레스나 불안과 관련된 연구는 fMRI 와의 연계와 더불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이며 향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Koh SJ, Kim M, Oh da Y, Kim BG, Lee KL, Kim JW. Psychosocial stress in nurses with shift work schedule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4 Oct 30;20(4):516-22.

https://www.ncbi.nlm.nih.gov/pubmed/25230903





[2] Van Oudenhove L, Aziz Q. The role of psychosocial factors and psychiatric disorders in functional dyspepsia.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13 Mar;10(3):158-67.

https://www.ncbi.nlm.nih.gov/pubmed/23358396



[3] De la Roca-Chiapas JM, Solís-Ortiz S, Fajardo-Araujo M, Sosa M, Córdova-Fraga T, Rosa-Zarate A. Stress profile, coping style, anxiety, depression, and gastric emptying as predictors of functional dyspepsia: a case-control study. J Psychosom Res. 2010 Jan;68(1):73-81.

https://www.ncbi.nlm.nih.gov/pubmed/20004303



[4] Liu P, Qin W, Wang J, Zeng F, Zhou G, Wen H, von Deneen KM, Liang F, Gong Q, Tian J. Identifying neural patterns of functional dyspepsia using multivariate pattern analysis: a resting-state FMRI study. PLoS One. 2013 Jul 12;8(7):e68205.

https://www.ncbi.nlm.nih.gov/pubmed/23874543



[5] Nan J, Liu J, Zhang D, Yang Y, Yan X, Yin Q, Xiong S, von Deneen KM, Liang F, Gong Q, Qin W, Tian J, Zeng F. Altered intrinsic regional activity and corresponding brain pathways reflect the symptom severity of functional dyspepsia. Neurogastroenterol Motil. 2014 May;26(5):660-9.

https://www.ncbi.nlm.nih.gov/pubmed/24467632



[6] Zeng F, Lan L, Tang Y, Liu M, Liu X, Song W, Li Y, Qin W, Sun J, Yu S, Gao X, Tian J, Liang F. Cerebral responses to puncturing at different acupoints for treating meal-related functional dyspepsia. Neurogastroenterol Motil. 2015 Feb 19. doi: 10.1111/nmo.12532.

https://www.ncbi.nlm.nih.gov/pubmed/25693969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RCT&access=R201410033

///끝



///시작

///면 42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한의공공의료 참여 확대시켜야”

///부제 시청 내 한의약 담당관 신설, 보건소·서부산의료원에 한의진료실 설치 제안

///부제 부산시한의사회, 오거돈 부산시장과 간담회서 한의약 분야 논의

///본문 부산광역시한의사회(회장 이학철·이하 부산시회)는 지난 3일 부산시청 시장실에서 오거돈 부산광역시장과 간담회를 갖고, 각구 보건소 및 새로 설립될 예정인 서부산의료원 내에 한의진료실 설치 등 한의공공의료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건의했다.

이날 부산시회에서는 한의 난임 지원사업 및 치매 예방사업을 총괄하고 각 구·군 보건소의 한의약 관련 사업을 전담하는 부산시청 내 한의약 담당관 신설을 건의하는 한편 부산시 16개 구·군 보건소 내의 한의진료실 설치 및 오는 2024년 신설 예정인 서부산의료원 내의 한의진료실 설치를 건의했다.

이학철 회장은 “현재 부산시의 16개 보건소 중 부산진구, 남구, 연제구, 강서구 등 4곳의 보건소에만 한의진료실이 설치돼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모든 보건소에 한의진료실이 설치된다면 현재 정부가 중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커뮤니티케어에 대한 기여는 물론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을 통해 예방의학적 강점을 갖고 있는 한의약을 통해 시민건강 증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부산 강서구에서 공중보건한의사로 근무했던 김영호 부산시회 홍보이사도 “한의사야말로 보건소의 각종 건강증진사업을 추진할 가장 최적화된 인력”이라며 “특히 공보의 시절 한방허브보건소 사업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한의사 인력이 보건소 인력으로 채용된다면 시행착오의 과정 없이 바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학철 회장은 오는 2024년 300병상 규모로 응급의료센터, 감염병 예방센터, 공공난임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인 서부산의료원에도 한의진료실이 반드시 설치돼야 하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부산의료원에도 한의진료실을 설치해 시민들이 한의공공의료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부산시 관계자는 “서부산의료원에는 이미 한의진료실이 설치예정과로 포함돼 있다”며 “또한 각 구 보건소에도 법적으로 한의사·치과의사를 배치하도록 되어 있는 만큼 다시 한번 각 구에 한의진료실 설치를 권고하는 공문을 보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부산시회에서는 매년 한의 난임 지원사업을 통해 출산에 성공한 가족들을 초청해 진행되고 있는 ‘하니탄생 축하 기념식’에 오거돈 시장의 참여를 요청하는 한편 앞으로 부산시와 부산시한의사회, 부산일보사가 연대해 출산율 증가를 위한 정책포럼 실시 등 부산시의 출산장려를 위한 시민의식을 고양시키는 공동캠페인 추진도 함께 건의했다.

이에 오거돈 시장은 “한의계가 차별받지 않고 시민들이 한의학의 충분한 혜택을 통해 자신의 건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담당자들에게 잘 살피도록 하겠다”며 “부산시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의료관광에 대해서도 부산시한의사회가 적극 협조해 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부산시한의사회 이학철 회장과 좌승호 수석부회장, 금종철·조현우 부회장, 김영호 홍보이사, 홍성운 사무처장 등이 참석했다.

///끝



///시작

///면 42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진료기록 없이 마약류 투약·처방전 위조한 27개 병·의원 적발

///부제 식약처, 의료용 마약류 ‘과다 투약·불법 유출’ 빅데이터로 찾아내

///본문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 이하 식약처)가 지난 4월 15일부터 19일까지 대검찰청, 경찰청,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합동으로 프로포폴 등 의료용 마약류를 취급하는 병·의원(3만 6천여 개) 가운데 52곳에 대해 기획합동감시를 실시한 결과 27곳에서 위반사항을 적발하고 이 중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4곳에 대해서는 담당 지자체에 행정처분을 의뢰했다.

과다투약이 의심되는 병·의원을 포함한 23곳에 대해서는 검·경에 수사를 의뢰했으며 이 가운데 10곳은 행정처분을 병행한다.

병·의원 외에도 처방전 위조 의심 환자(1명), 사망자 명의도용 의심 환자(4명), 같은 날 여러 병·의원을 방문해 프로포폴 등을 투약한 환자(44명) 등 49명에 대해서도 검·경에 수사를 의뢰했다.

8일 식약처에 따르면 이번 기획합동감시에서 적발된 주요 위반사례는 △처방전(진료기록부)에 따르지 않고 마약류 투약(4건) △사실과 다르게 마약류 취급내역 보고(4건) △보고한 재고량과 실제 재고량의 차이 발생(2건) △마약류 저장시설 관리기준 위반(9건) 등이었다.

이번 기획 감시는 2018년 5월부터 운영을 시작한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수집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위반 의심 대상을 선정한 최초 사례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전국 3만6000여 의료기관 가운데 △프로포폴 과다투약 사례가 많은 경우 △허위 주민등록번호나 사망자 명의로 조제·투약(행안부와 정보 검증)한 경우 △의사 본인에게 처방한 경우 △같은 날 여러 병원(3곳 이상)을 방문해 프로포폴을 투약한 경우 등을 선정 기준으로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법률 위반이 의심되는 병·의원 52곳을 선정한 것이다.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도입 이전에는 마약류의약품 품목과 수량 중심의 ‘기록 점검’ 체계로 과다투약 등 법률 위반 대상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시스템 도입 후 인적정보, 투약·조제정보, 제품정보 등이 포함된 빅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오·남용 등 위반 가능성이 높은 대상을 선정할 수 있게 됐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의 분석 기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마약류 취급정보에 대한 빅데이터 체계를 강화, 마약류를 적정 사용하는 병·의원의 부담은 줄여주고 위반 우려 병·의원에 대해 선택·집중하는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이뤄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식약처는 최근 의료용 마약류 관리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식약처에 ‘마약안전기획관’을 신설했으며 불법사용 신고 채널 가동 등 마약류 오·남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마약안전기획관 산하에 ‘마약류 현장대응팀’을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3월부터 수사·단속 관련 6개 기관이 참여해 운영 중인 ‘범정부 합동단속점검 협의체’를 활용, 의료용 마약류 범죄에 대한 부처 간 공동 대응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끝



///시작

///면 43

///세션 기고

///이름 정우열 명예교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제목 “아빠, 이 연극 보실래요”

///부제 아무 때나 만나자고 부를 친구가 있다는 것, 만나자고 할 때, 아무말 없이 그저 “알았어!”하고 나올 수 있는 친구가 있다는 것, 그런 사람은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다.

///본문 “아빠, 이 연극 보실래요?” 며칠 전 샌프란시코에 사는 딸로부터 카톡을 받았다.  연극 <앙리할아버지와 나>란 제목과 함께  “친구분들하고 같이 가실 분 있으시면  제가 표 알아 볼께요”했다.  

5월은 가정의 달.  혼자 있는 아버지를 배려한 것이다. 딸의 고마움에 마음이 울컥했다. 딸은 아빠인 내가 엄마와 함께 대학로 극장을 자주 찾았던 걸 알았나 보다. 난 연극 보기를 좋아했다.

“그래, 두 장 예매해 보내줘! 고맙다!” “몇일날이 좋으세요? 가실 수 있는 날짜와 시간 알려주세요” “5월6일 3시경?” 얼마 뒤 또 ‘카톡’소리와 함께  ‘인터파크-예매완료’란 문자 및 좌석 안내도가 왔다. “최은영 이름으로 예매했어요. 자리는 17열, 그림에 빨간 동그라미로 되어있는 곳이예요. 표를 배송받을 수가 없어서 직접 가셔서 예매번호 알려 주고 현장 수령하셔야 해요. 가서 보시면 티켓 현장 수령하는 곳이 있어요. 가셔서 예매번호 알려 주시면 돼요”라는  자상하고도 친절한 문자까지 보냈다. 빈틈없이 매사에 철저한 딸이다.

“그래, 스콜라스틱카!  고맙다!”  또 바로 ‘카톡!’하고 문자가 왔다. “대학로 유니플렉스 1관이예요. 4호선 혜화역에서 하차 후 2번 출구 방향 도보 5분. 종중사무실 들렸다가 가시면 될 것 같네요.”

“5월 5일이 일요일이라 6일(월요일)이 대체휴일이란다. 그래서 그날 종중사무실 출근 안해. 원택이 아저씨랑 대학로에서 만나 점심 먹고 가려해. 대학로 극장 길은 예전에 엄마랑 다니던 길이라 낯설지 않단다.  자상한 배려 고맙다.”



혼자되고 보니 동행할 수 있는 친구를 찾는다는게…



“아빠, 그럼 원택이 아저씨랑 재미있게 보고 오세요” 사실 난 탄월(원택이 아저씨)에게 사전 연락도 없이 내 뜻대로 정한 것이다. 허나 막상 표를 받고 보니 망설여졌다. 탄월 사정이 어떤지도 모르고 그랬으니 말이다. 예전엔 미처 몰랐는데, 혼자되고 보니 이러할 때 동행할 수 있는 친구를 찾는다는 게 정말 어려웠다.

생각 끝에 처지가 같은 우영(조동원)에게 카톡을 보냈다. 우영은 8년 전에 부인을 보냈다. “우영, 6일(월) 시간 어떤가? 연극 좋아하나? 대학로 연극 보러가세!” 바로 우영의 댓글이 왔다.  “한송, 미안하이. 그날은 약속이 있네.” 생각 끝에 허물없는 탄월에게 “탄월, 6일(월) 시간 어떤가 봐!”하고 카톡을 보냈다. 카톡 대신 바로 그의 전화가 왔다. “어떻게 하지? 5일이 어린이날이라 손주들이 와서 자고, 그 이튿날 6일 구석기 축제 보기로 했는데…왜? 무슨 좋은 일 있어?” 미안하다는 듯 목소리가 가라앉았다.

“그럼 알았어. 실은 딸이 극장표 2장을 보냈어…” “그래, 혜원이가. 그거 참 좋은 기횐데…” 그럼 누구랑 갈까? 망설여졌다. 아내가 살아 있을 땐 그 빈자리를 몰랐는데, 아내가 없으니 이렇게 아쉬웠다. 옆에 동행할 친구 ‘아내’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비로소 깨달았다.  “여보 당신 어디 갔어?”

그날 오전 10시, 연령회 모임이 있어 성당으로 갔다. 기도를 하고 있을 때 ‘카톡’하고 문자가 왔다. “간만에 딸네 모녀와 나들이 나왔어요. 한송! 허적하시겠네. 6일 대체휴일, 시간되면  나들이 갑시다. 탄월한테 가볼까? 아니면 대명항? 목적지는 한송이 정하시오!” 범산(이경회)의 문자다. 범산은 배려심이 깊은 친구다. 내가 혼자된 뒤 자주 문자를 보내 날 위로한다.

그도 몇년 전부터 부인의 건강 때문에 마음이 불편한 처지다. 그런 그가 혼자된 나를 걱정했다. “범산, 감사하오. 걱정해줘. 그럼, 시간 허락되시면 그날 우리 오랜만에 연극 보러 갑시다. 내 표 예매해 놨으니…” “한송, 고맙소.” 우여곡절 끝에 범산과 함께 대학로 유니플랙스에서 연극을 보기로 했다.

‘앙리할아버지와 나’는 불란서 작가 이방 칼베락 원작으로 원제는 ‘앙리할아버지와 여학생’이다.

출연은 이순재, 신구, 권유리, 채수빈, 김대령, 조달환, 김은희, 유지수가 맡았다.  공연장은 마치 영화관을 방불케 했다. 연극은 종합예술로 배우의 연기는 물론 표정, 행동, 대사, 무대 장치, 조명 등 종합적 관찰이 필요한 장르다. 조명이 밝아지며 파리의 한 아파트에서 혼자 살고 있는 앙리가 등장한다. 까칠까칠하고 도도하며 괴팍한 도시 할배다. 이순재가 맡았다. 이번 연극에서 앙리역을 이순재와 신구가 맡았는데, 우리가 보는 이 공연은 이순재가 나왔다.

앙리는 오래전에 아내와 사별하고 혼자 산다. 아마 이 때문에 딸 스콜라스틱카가 아빠인 나에게  이 작품을 추천했나 보다. 동병상련(同病相憐)이라고나 할까? ㅎㅎㅎ^^

까칠한 도시 할배와 방황하는 청춘의 예측불허! 동거동락! 파리의 아파트에서 혼자 살고 있는 까칠까칠하고 도도한 괴팍한 도시 할배 앙리, 시골마을에서 뭐하나 제대로 되는 일 없이 아버지의 잔소리를 듣고 사는 여학생 콘스탄스, 그녀는 아버지에게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꿈꾸며 파리에서의 독립을 결심한다. 그 많은 관람석을 젊은이들로 꽉 메운 것은 이 콘스탄스 때문일 것이다.



아내에게 평소 늘 했던 소리 “감기 걸리지 마라”



흡연 금지! 애완동물 금지! 애인출입 금지! 등 까다로운 입주조항을 통과하고 가까스로 앙리의 룸메이트가 된 콘스탄스. 하지만 첫날부터 허락없이 앙리의 피아노를 건드려 쫓겨날 위기에 처하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콘스탄스는 시키는 것은 뭐던지 하겠다고 매달린다.

이 콘스탄스는 누구인가? 바로 오늘을  살고 있는 젊은 미혼여성들이다. 절대 어울리지 않는 앙리와 콘스탄스의 예측불허! 불협화음! 조금 특별한? 동거생활은 무사히 정착할 수 있을까? “삶이란 성공하거나 실패로 가르는 게 아니야. 사랑하는데 얼마나 성공했느냐야. 결국 그거였어.” 문득 아내 아녜스의 임종 순간이 떠올랐다. “그리고… 감기 걸리지 마라!” 앙리 이순재의 마지막 대사가 극장을 나와 집에 와서도 한동안 뇌리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왜, 일까? 그건 결코 콘스탄스에게만 국한된  소리가 아니라 아내에게 평소 늘 했던 그 소리였기 때문이다. “감기 걸리지 마라!”

지하 4층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통로가 복잡하고 혼잡했다. “아, 범산, 이거 위험한데…어째 건물이 가건물 같아. 만일 화재라도 발생하면 어떻게 하나.”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 없길 바랄 따름이다.  오후 5시 10분, 저녁을 먹기엔 이른 시간이었다. “범산, 우리 모처럼 시간 냈으니 낙산 둘레길 걷세!”  사실 지난 탐방 때 성곽길은 걸었어도 동숭동, 이화동 골목길은 못 걸었었다.



인생은 성공하거나 실패하는데 있는 게 아니다



“한송, 을지로 3가 ‘양미옥’으로 가세!” 택시를 탔다. 범산이 자주 찾던 양고기, 대창 전문 식당이다.  “여기 양고기 2인분에 맥주 1병 우선 주세요” 오랜만에 범산과 단둘이서 먹는 술자리다. 탐방 때 회원들과 여럿이 어울렸던 일은 있어도 이처럼 둘이 먹는 건 처음이다.  

평소 술을 마시지 않던 범산이 요즘 날 만나면 술을 많이 한다. 나 또한 평소 술을 안했는데 역사탐방을 하며 술이 늘었다. 우사, 우영과 대작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술이 늘었다. 범산이 평소 안마시던 술을 나를 만나면 마시는 것은 나를 위한 배려며 또한 범산 자신의 위로다. 나 또한 요즘의 허전함을 달래기 위한 자위다.

“酒食兄弟千個有나 急難之朋一個無라” 했던가. 대작을 할 수 있는 친구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허심탄회(虛心坦懷)하게 터놓고 대화할 수 있는 친구가 있다는 것, 아무 때나 만나자고 부를 친구가 있다는 것, 만나자고 할 때, 아무말 없이 그저 “알았어!”하고 나올 수 있는 친구가 있다는 것, 그런 사람은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다.

그런데 난 그런 친구를  만나 술잔을 기울였다. “탄월, 나 지금 범산과 한잔 하고 있어!” “우영, 나 지금 범산과 한잔 하고 있네”, “범산 바꿔 줄께!” 행복한 시간이다. 범산은 3호선, 난 2호선, 동서로 석별의 정을 나눴다. ‘안녕!’ 딸에게 범산과 찍은 사진을 보냈다.

“잘 보셨어요? 원택 아저씨는 못가셨나 보네요” “그래, 원택이 아저씬 그날 손주들이 와서 못오고 대신 범산(한국환경연구원 이사장) 이경회 아저씨랑 같이 봤다. 이순재가 앙리역으로 나오더구나. 인생은 성공하거나 실패하는데 있는 게 아니라 사랑하는데 얼마나 성공했느냐다’란 대사가 여운을 남겼다.

고마웠어. 딸아, 사랑해!  범산, 정말 고마웠오!

 -김포 하늘빛마을 여안당에서-

///끝





///시작

///면 44

///세션 기고

///이름 안상우 박사 한국한의학연구원 동의보감사업단

///제목 고전에서 느껴보는 醫藥文化 13

///부제 불교설화와 삼국시대의 의학

///부제 『삼국유사』, 僧醫 혜통은 신문왕의 등창 치료

///부제 속의의 범주가 아닌 세상의 질고 고치는 대의

///본문 올해도 어김없이 석가탄신일을 맞아 곳곳에 연등 의식이 분주하다. 불교가 이 땅에 들어온 지 천오백여년 세월이요, 고구려, 백제, 신라와 고려가 모두 불교국가였으니 불교의약이 없을 리 만무하건만 의학사 분야에서 아직껏 불교의학의 대체가 밝혀지지 않고 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 가운데 하나이다.

근래 중국에서는 불교를 종교나 사상, 철학적 입장에서 국한하지 않고 종교의학적인 측면에서 탐구한 연구성과가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몇몇 단편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아니나 불교의학의 성격이나 치병방법이 자세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아쉬움을 달래길 없어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한 기념으로 일연스님이 지은 『삼국유사(三國遺事)』와 이능화(李能和·1869~1943)의 역작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에 전하는 불교의약설화를 몇 가지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삼국유사』에 전하는 신라의 승려 혜통(惠通)은 신라시대의 중기 신문왕~효소왕대에 활약했던 인물로 중국에 건너가 밀교승인 무외삼장(無畏三藏), 혹은 선무외(善無畏)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 그가 애초에 불가에 입문하게 되는 동기 또한 매우 특이하다. 그는 속세에서 경주 남산 기슭 은천동(銀川洞) 어귀에 살고 있었다. 하루는 집 근처 시냇가에서 놀다가 물가에 사는 수달을 잡아 그 고기를 먹고 뼈를 뒷동산에 버렸다.





僧醫로서의 혜통의 의약설화

여러 가지 전해지고 있어



다음날 새벽, 그곳에 가보니 수달의 뼈가 보이지 않아 핏자국을 따라가 보니 수달이 살던 동굴로 이어져 있었다. 그 안을 살펴보니 놀랍게도 뼈만 남은 수달이 어린 새끼 다섯 마리를 품에 안고 있는 것을 보고서 크게 뉘우치고 출가를 결심했다고 한다. 함부로 살생을 저지르지 않도록 경고하고 이적(異蹟)을 보여주어 경외감을 주기 위한 설화적 장치라 하겠지만 승의(僧醫)로서 혜통이 시작부터 매우 남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혜통은 해동진언종의 개조(開祖)로 밀교승 밀본(密本)의 뒤를 이어 세상을 주유하면서 사람을 구원하고 교화와 해원 사상을 역설하였다고 한다. 승의로서의 혜통의 의약설화는 여러 가지가 전해진다. 그 중 하나는 신문왕 때의 일이다. 임금에게 등창이 생겨 혜통에게 치료해 주길 요청하였다. 혜통이 찾아와 주문을 외우자 등창은 금새 나았다. 혜통은 왕에게 그 병의 원인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수인성 전염병 신통한 스님의

願力을 빌어 해결하려



“폐하는 전생에 재상으로 있으면서 양민인 신충(信忠)의 죄를 잘못 판단하시어 종으로 삼았기에 죽은 신충이 원한을 품게 된 것이고 신충이 환생할 때마다 보복하려 하는 것이니 이 등창 또한 그로 인한 것입니다. 그러니 그를 위해 절을 세우고 명복을 빌어주십시오.”

신라 후기 골품제의 폐단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분노를 사원 건축과 종교적 교화를 통해 화해시켜 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여 그가 단지 상습질환이나 다스리는 속의의 범주에서 머무르지 않고 세상의 질고를 고치는 데 주력한 대의의 길을 걸었음을 보여준다.

그의 치병 사적은 유학 갔던 당나라에서도 이어져 신라로 귀국할 때까지 이어진다. 당나라 고종의 공주가 병이 들자 혜통에게 왕진을 청하였다. 공주의 병이 교룡(독룡·毒龍)의 장난임을 알아차린 혜통은 멀리 떨어진 방에 자리를 잡고 앉아 흰콩 한말을 은그릇에 담아두고 주문을 외었다. 그러자 흰콩들이 흰 갑옷을 입은 신병(神兵)이 되어 병귀와 싸웠으나 이겨내지 못했다. 다시 금그릇에 검은 콩 한말을 담아 두고 주문을 외우니 검은 갑옷을 입은 군사가 되어 함께 싸우게 하니 독룡이 이겨내지 못하고 달아나 공주의 병이 낫게 되었다고 한다.

공주의 병은 병귀를 퇴치하여 치료하였으나 이에 앙심을 품은 독룡은 신라에 도망 와서 변란을 부려 앙갚음을 하고자 하였다. 이에 신라 사람들이 혜통을 청해 다시 돌아와서 구제해 주길 청하였다. 어린이 동화에도 소개되는 구구절절한 설화의 내용을 모두 옮길 필요는 없겠지만 그는 나라의 질고를 구하기 위해 문무왕 5년에 귀국한 것으로 나와 있다.

이를 두고 문학에서는 대개 불교와 용신(龍神)의 대립구도로 해석하여 사금갑(謝金匣 ) 설화와는 반대로 불교의 우위 구도를 이룸으로써 토착신앙이 외래종교인 불교에 굴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해석한다. 하지만 필자의 머릿속엔 혹시 중국에서 시작한 수인성 전염병이 신라 땅에 까지 두루 퍼져 신통한 스님의 원력(願力)을 빌어 해결하려 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상상이 떠오른다.

스님이 악귀를 물리칠 때 사용했던 독경(讀經)과 주문(呪文), 부적(符籍) 같은 방법은 무술(巫術)과 도교, 의학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기에 하나의 영향권 안에 가둬두기 어려운 성격의 것들이다. 하지만 수당시기에 걸쳐 승의, 혹은 도사들의 신통력에 힘입어 크게 유행했던 이러한 기주(祈呪) 요법들이 불교와 도교의학의 일면을 이루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 하겠다.

///끝





///시작

///면 45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온 국민의 평생건강을 위한 믿음직한 동반자’

///부제 비전 선포식 및 워크숍 개최

///본문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이 ‘온 국민의 평생 건강을 위한 믿음직한 동반자’를 뉴 비전으로 선포했다.

또 이를 달성하기 위한 4대 핵심가치로 신뢰(Trust)·협력(Network)·혁신(Innovation)·성과(Performance)를 발표했다.

2011년 한국건강증진재단으로 시작해 2014년 7월에 출범, 2019년 1월에는 준정부기관으로 지정되면서 기관의 새로운 도약을 맞이한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지난 9일 경기도 양평 현대종합연수원에서 전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새로운 비전과 경영전략을 선포하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비전 선포식 및 워크숍’을 가졌다.

이번 비전선포식은 기관의 새로운 도약기를 맞아 국민건강의 위험요소(흡연, 음주, 비만, 고령화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민건강증진을 선도하는 전문기관으로의 혁신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알리고자 마련됐다.

이날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전 임직원은 선서를 통해 새로운 보건의료 환경에 대응하고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며 새로운 비전 달성에 최선을 다 할 것을 약속했다.

조인성 원장은 기관의 뉴 비전을 통해 지역사회 중심의 국민건강증진과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기관의 새로운 도약을 마련할 것을 선포하고 ‘사람을 최우선’으로 ‘사람중심 신뢰경영’을 경영철학으로 선언했다.

또한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해 기관과 구성원의 동반성장을 도모하고 수요자 중심의 ‘숙의 민주주의형 의사결정’을 통해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조직 거버넌스’와 ‘지역사회 중심의 보건의료체계 확립’을 경영방향으로 제시했다.

///끝





///시작

///면 45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미추홀구, 경로당 한방 주치의사업 ‘본격 추진’

///부제 42개 경로당 대상 진행…한의원과 1대1 연계해 방문 진료 등 실시

///본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구청장 김정식)가 ‘경로당 한방 주치의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미추홀구는 지난 10일 주안2동 부곡경로당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42개 경로당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한방주치의 사업은 미추홀구와 미추홀구한의사회, (사)대한노인회 미추홀구지회가 지난달 업무협약을 맺고 진행하고 있는 사업으로, 지역 내 42개 경로당과 42개 한의원을 1대1로 연계해 매월 1회 한의사가 경로당을 방문, 건강검진 및 건강상담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어르신들이 선호하는 한의진료 및 중풍·치매·관절염·소화불량·우울증 등에 대한 한의약적 건강교육도 진행한다.

미추홀구 관계자는 “경로당 한방 주치의사업이 민·관 협력 사업의 좋은 사례가 됐으면 한다”며 “보다 전문적이고 내실 있는 어르신들의 건강 관리로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추홀구는 경로당 한방 주치의사업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한의사회와 5차례에 걸쳐 간담회를 개최한 바 있다.

특히 지역 내 경로당 수가 총 158곳에 달하는 있어, 시범사업 참여 한의원을 당초 21곳에서 42곳으로 늘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추홀구는 올 12월까지 한방 주치의사업을 시범 운영한 이후 어르신들의 만족도와 사업내용을 모니터링해 추후 사업에 반영할 계획이다.

///끝





///시작

///면 45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사무장병원 신고한 공익신고자 등에게 5억여원 지급

///부제 허위·과장광고한 안과병원 공익신고자도 포상

///본문 사무장병원과 허위·과장광고를 일삼던 안과병원을 신고한 공익신고자 등 47명에게 총 5억여원의 보상금과 포상금이 지급됐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부패행위 및 공익침해행위를 신고한 부패·공익신고자 47명에게 총 5억 4675만원의 보상금과 포상금을 지급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해당 신고들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회복한 수입금액은 28억 7727여만 원에 달한다.

공익신고 보상금 지급 사례로는 비의료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해 운영하는 ‘사무장병원’을 신고한 사람에게 포상금 970만원이 지급됐다.

거짓이나 과장된 내용으로 소비자를 현혹할 우려가 있는 의료광고를 한 안과병원을 신고한 공익신고자에게도 보상금 1060만 원이 지급됐다.

이 밖에도 △정부지원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인건비 및 연구수당 등을 용도 외로 부정 사용한 대학교수들을 신고한 사람에게 보상금 9428만 원 △사립학교법인의 회계에서 집행할 경비를 교비회계에서 지출하는 등 부패행위를 저지른 사립대학교 총장을 신고한 사람에게 보상금 8781만 원이 지급됐다.

국민권익위 민성심 심사보호국장은 “연구개발비 부정수급 등 부패행위와 사무장병원 운영 등 공익침해행위가 점점 지능화·다양화되고 있다”며 “공공기관의 수입 회복을 가져온 부패·공익신고자에게 보다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보상금을 지급하겠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45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장애인 한의왕진서비스 ‘통증, 한방에 타파!’ 운영

///부제 고양시 일산서구보건소,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과 연계돼 진행

///본문 고양시 일산서구보건소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신체 기능 향상 및 통증 완화를 도모하고자 한방왕진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과 연계해 대상자를 선정 후 1일 3〜4가구, 1가구당 4회 방문해 △한의진료(진맥, 침 시술) △만성질환 상담 및 예방교육 △재활운동(관절운동치료) 등을 제공하며, 한의사 및 작업치료사가 직접 방문함으로써 한의진료뿐만 아니라 재활운동치료 제공을 통해 의료혜택으로부터 소외된 재가 장애인들을 등록·관리할 수 있다.

일산서구보건소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해 취약계층의 의료 형평성 제고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46

///세션 인터뷰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서로 다른 부분은 차이를 인정해야”

///부제 연극 ‘낯선 사람’ 리웨이 역 배우 김대흥

///부제 “한·양방 서로 차이를 인정하고 상생의 길 찾아야”

///부제 경희대 재학시절 배운 한의학 전인적 치료에 ‘매료’

///본문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은 역사에 대해 “과거는 그대로 반복되지는 않을지라도, 분명 그 운율은 반복된다”고 정의했다.

이탈리아 철학자 움베르토 에코 또한 역사를 두고 지극히 과학적인 의미에서 ‘삶의 스승’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역사에는 몇몇 법칙이 있고 작용과 반작용을 하기 때문에 수사학적 의미가 아닌 과학적 의미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미다.

연극 <낯선 사람>도 역사적 소재를 사용한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미완성 소설 ‘의화단 운동’을 동시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의화단 운동은 1900년 중국 화베이 일대에서 일어난 반 그리스도교, 반 제국주의 운동이다.

열강의 침략과 과학적으로 발전된 폭력적 도구 앞에서 주인공 천샤오보는 유럽 연합군을 대항해 싸운다. 그러나 연합군의 오스트리아 장교 울리히에게 생포되고, 사형을 가까스로 면한 천샤오보는 현재 시점에서 다시 울리히와 재회한다.

극의 서사는 일본의 ‘민족말살정책’에 의해 명맥이 끊길 뻔했던 우리 한의학과도 유사하다. 다시 현재에서 제국주의로 상징되는 인물과 마주한다는 점도 그렇다.

과거와 현재라는 시공간을 통해 역사는 어떻게 서사되는지, 또 그 속에서 한의학의 미래를 어떻게 찾아가야 할지 연극 <낯선 사람>에서 리웨이 역으로 출연한 김대흥 배우를 통해 물었다.



Q. <낯선 사람> 소개를 부탁한다.

“낯선 사람은 극에서 중국과 독일, 과거와 현재라는 시공간적 특성을 두고 펼쳐진다. 낯선 사람은 현대 비극의 미학적 특징을 강조하면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역사와 일상을 심리적으로 관찰한다.

이를테면 작중에서 울리히에게 붙잡힌 천샤오보는 사형장으로 끌려가지만 가까스로 살아난다. 시간이 지나 현재에서 울리히는 오페라를 보던 중 오스트리아 연합국 장교였던 자신의 모습을 떠올린다. 그 순간 천샤오보가 그의 눈앞에 나타난다. 울리히는 천샤오보를 다시 사형대에 세우고 총살하려 한다. 오페라는 멈추지 않고 결국 총소리는 울린다.”



Q. 리웨이는 어떤 역인가?

“울리히라는 노인의 상상 속에서 그의 과거 부하도 되었다가, 오페라 가수도 된다. 극의 마지막에는 반전을 주는 의사로 등장한다.”



Q. 작품에서 의화단 사건을 모티브로 다뤘다.

“사실 일제 강점기의 한의학 죽이기는 처음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사 청산이 중요하다. 당시 열강들은 우리가 갖고 있는 서양문물은 과학화됐다고 자신했다. 반면 약소국의 문화는 미개하다고 치부했다. 사실 문화가 서로 다를 뿐인데 말이다. 낯선 사람의 천샤오보와도 유사해 보인다.

민족말살정책으로서 행해진 한의학 죽이기와 같은 이야기도 연극화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나중에 서점에 가 한의학 역사에 대한 책을 찾아봐야겠다. 가능하다면 이 사건에 대해 작품화할 수 있도록 주변 작가나 연출들에게 추천을 해보고 싶다.”



Q. 작품에서 공존을 위한 상생도 말한다. 우리나라 의료체계상 한·양방도 늘 갈등이 있어왔다.

“상생의 방법은 한의사와 의사 본인들이 가장 잘 알지 않을까. 어떤 상생을 하던지 서로를 잘 알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서로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그 차이를 인정해야 된다는 의미다. 그리고 부족한 부분이 보였을 때 서로 채워줄 수 있어야 한다. 양·한방 협진도 이와 같은 의미로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닌가. 의료일원화 얘기도 많이 나오던데 통합해서 상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다.”



Q. 평소 한의학에 대한 생각은?

“대학교 재학(김대흥 배우는 경희대학교 졸, 96학번) 시절 교양과목으로 한의학 과목을 수강한 적이 있었다(웃음). 의학은 어떠한 질병을 치료할 때 그 국소만을 본다면 한의학은 국소가 아닌 각 장기의 상호작용에 따라 원인을 제거한다는 점이 인상에 남았다. 한의학은 한글과 마찬가지로 우리 힘으로 일궈낸 의술이다. 한글에 외래어 표기법이 있듯, 한의학도 접목할 의술을 더 늘려서 일반인들이 더욱 친근하게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마치 동네 소아과처럼 말이다.”



Q. 향후 계획은?

“다음 작품은 10월16일부터 대학로 예그린 극장에서 ‘분홍나비 프로젝트’라는 독립투사 이야기를 공연한다. 스마트폰을 켜시고 달력에 꼭 체크하셔서 다음 작품에서 만나 뵙고 싶다. 작년에 전석 매진을 기록했던 작품이니만큼 기대하셔도 좋을 듯싶다(웃음).”

///끝





///시작

///면 47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의협, “의료일원화 논의 중단”

///부제 “한의사 회원들, 고소장 받고 범법자 될 것”…으름장

///본문 지난 13일 열린 대한한의사협회의 의료기기 사용 확대 기자회견에 대해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당장 ‘의료일원화 중단’을 선언하며 “한의사 회원들이 고소장을 받고 범법자가 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의협은 성명서를 통해 “한의사가 첩약 급여화를 위해 의과 혈액검사를 시행하고 추나요법 급여화를 핑계로 의과 의료기기인 엑스레이기기를 사용하겠다는 것은 무면허의료행위를 정당화 하겠다는 불법적 망발”이라며 “현행법과 제도를 무시하는 한의협의 행태는 이제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의 유권해석에 따르면 한의사가 할 수 있는 혈액검사는 ‘어혈’과 ‘점도’를 확인하는 ‘한의학적 혈액검사’에 한정되는데도 한의협은 마치 복지부가 전혈검사나 간 기능검사와 같은 의학적인 혈액검사까지 한의사에게 모두 허용한 것처럼 거짓 선동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의협은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한의사의 무면허 의료행위 척결에 나설 것”이라며 “일선 한의사들은 한의협의 무책임한 선동을 믿고 불법행위를 자행했다가 고소장을 받고 범법자가 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들은 정부를 향해 “복지부가 공인하는 한의사 중앙단체인 한의협이 공공연하게 회원들에게 법을 어기라고 종용하고 장려하고 있는데 복지부가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심각한 직무유기”라며 “주무부처로서 곤란한 일은 피하고 보겠다는 식의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한다면 정말 곤란한 일이란 어떤 것인지 알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의료일원화와 관련해서는 “한의대 폐지를 통한 의학교육 일원화를 방안으로 정부의 의료일원화 논의에 참여해 왔으나 더 이상 어떠한 일원화 논의에도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올해 열린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지난해 결의를 뒤엎으며 의료일원화 논의에 의협 집행부가 적극 참여할 것을 촉구한 결의를 또 다시 뒤집게 됐다.

///끝



///시작

///면 47

///세션 사설

///제목 혈액검사와 X-Ray 사용 운동

///본문 대한한의사협회가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 운동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한의사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은 진료현장에서 온당한 진료권 사수를 위한 투쟁이다.

한의사는 의료법 제2조 ①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료인’이다. 의료인은 종별에 따른 각각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한의사의 경우는 의료법 제2조 ②항에의거 한방의료와 한방보건지도를 임무로 한다. 한의사의 임무라고 지칭돼 있는 ‘한방의료’와 ‘한방보건지도’의 범주는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 여부와 관련해 다소 불분명하다. 합법인지, 불법인지 가늠하기가 애매한 셈이다.

하지만 한의 분야를 별도로 규정하고 있는 한의약육성법을 살펴보면 한의사들의 업무 범주를 예상케 하는 단서가 있다. 이 법 제2조(정의)에서 ‘한의약’이란 우리의 선조들로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한의학을 기초로 한 한방의료행위와 이를 기초로 하여 과학적으로 응용·개발한 한방의료행위 및 한약사(韓藥事)를 말한다.

즉, ‘과학적으로 응용·개발한 한방의료행위’의 범주에 의료기기 활용은 당연히 포함돼 있다.

하지만 의료법상 ‘진단용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의 자격기준’에는 한의사가 포함돼 있지 못하다. 이 기준은 한의사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을 제한하는 족쇄다. 이런 불합리함을 고치기 위해 지난 2017년 9월에 여야 국회의원이 각각 의료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그러나 개정 법률안은 아직까지 통과되고 있지 못하다.

이런 상황에서 두 가지의 돌발 변수가 발생했다. 하나는 지난 4월8일부터 시행된 추나요법의 급여화다. 추나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시술 전·후에 영상진단기기(X-Ray)를 이용해 정확한 손상부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치료부위 및 치료방법을 결정해야 함으로 X-Ray의 활용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또 다른 하나는 올 연말 시행을 목표로 현재 논의 중인 첩약보험 시범사업이다.

첩약 복용 전·후의 혈액검사는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관찰, 적합한 진료를 행하는데 중요한 판단근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의협은 선별된 한의의료기관을 중심으로 10mA 이하의 휴대용 영상진단기기(X-Ray) 활용이라는 선도적 사용 운동과 복지부 유권해석으로 기허용하고 있는 한의사의 혈액검사라는 대중적 사용 운동을 펼쳐 국민의 인식 개선과 관련 제도의 개선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는 한·양방간의 영역 다툼과 갈등 조장이 결코 아니다. 변화하는 의료제도의 흐름에 맞게 한의의료 역시 제대로 부합해야 한다는 당위에서 출발하고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