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11.8℃
  • 구름많음속초6.9℃
  • 구름조금6.3℃
  • 맑음철원6.3℃
  • 맑음동두천8.6℃
  • 맑음파주7.4℃
  • 구름조금대관령-0.9℃
  • 맑음춘천6.9℃
  • 구름많음백령도7.6℃
  • 구름많음북강릉7.3℃
  • 구름많음강릉7.9℃
  • 구름조금동해6.9℃
  • 맑음서울10.4℃
  • 구름조금인천8.6℃
  • 맑음원주8.0℃
  • 맑음울릉도8.7℃
  • 구름조금수원7.4℃
  • 맑음영월6.5℃
  • 맑음충주7.3℃
  • 구름조금서산4.3℃
  • 구름조금울진7.6℃
  • 맑음청주10.8℃
  • 맑음대전8.5℃
  • 맑음추풍령5.0℃
  • 맑음안동7.9℃
  • 맑음상주8.4℃
  • 맑음포항9.9℃
  • 맑음군산5.9℃
  • 맑음대구10.2℃
  • 맑음전주7.9℃
  • 맑음울산9.1℃
  • 맑음창원10.1℃
  • 구름많음광주10.3℃
  • 맑음부산11.6℃
  • 맑음통영9.9℃
  • 구름많음목포7.7℃
  • 맑음여수11.6℃
  • 구름많음흑산도8.4℃
  • 구름많음완도10.5℃
  • 구름많음고창3.3℃
  • 구름조금순천4.7℃
  • 구름조금홍성(예)5.6℃
  • 구름조금5.3℃
  • 구름많음제주12.0℃
  • 구름많음고산12.5℃
  • 구름많음성산9.4℃
  • 구름조금서귀포13.5℃
  • 맑음진주7.0℃
  • 구름많음강화6.0℃
  • 맑음양평8.6℃
  • 맑음이천6.7℃
  • 구름조금인제5.9℃
  • 맑음홍천7.0℃
  • 맑음태백1.7℃
  • 맑음정선군4.2℃
  • 맑음제천4.6℃
  • 맑음보은5.1℃
  • 구름조금천안5.4℃
  • 맑음보령3.3℃
  • 맑음부여5.3℃
  • 맑음금산5.8℃
  • 구름조금8.0℃
  • 구름조금부안6.2℃
  • 맑음임실3.9℃
  • 구름조금정읍6.0℃
  • 맑음남원5.5℃
  • 맑음장수1.5℃
  • 구름많음고창군4.1℃
  • 구름많음영광군4.8℃
  • 맑음김해시11.3℃
  • 구름조금순창군4.9℃
  • 맑음북창원12.8℃
  • 맑음양산시12.4℃
  • 구름조금보성군8.5℃
  • 구름조금강진군6.7℃
  • 구름조금장흥3.8℃
  • 구름조금해남3.0℃
  • 구름조금고흥6.2℃
  • 맑음의령군8.3℃
  • 맑음함양군5.0℃
  • 맑음광양시10.9℃
  • 구름많음진도군4.4℃
  • 맑음봉화3.3℃
  • 맑음영주5.9℃
  • 맑음문경8.3℃
  • 맑음청송군4.1℃
  • 구름조금영덕5.9℃
  • 맑음의성5.8℃
  • 맑음구미8.3℃
  • 맑음영천6.8℃
  • 맑음경주시6.4℃
  • 맑음거창
  • 맑음합천8.7℃
  • 맑음밀양9.0℃
  • 맑음산청7.4℃
  • 맑음거제12.1℃
  • 맑음남해9.8℃
  • 맑음11.8℃
  • 구름많음속초6.9℃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9일 (수)

“롱코비드, ‘정신적 피로감’ 두드러져…만성피로증후군 수준”

“롱코비드, ‘정신적 피로감’ 두드러져…만성피로증후군 수준”

대전대 한의대 손창규·이진석 교수팀,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
“신종바이러스 후유증 및 만성피로증후군 해결에 도움”

논문사진.jpg

[한의신문] 롱코비드 환자들에 대한 생체지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치료제 개발의 근거를 마련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대전대 한의대는 손창규 교수와 이진석 교수팀이 진행한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Fatigue-Dominant Long-COVID Subjects: A Cross-Sectional Study’라는 제하의 연구논문이 저명 학술지 ‘미국의학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IF 5.1)’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237244_297602_030.jpg

 

대전대 한의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로 롱코비드 환자들의 생체지표 및 치료법 개발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롱코비드 환자의 71%는 피로, 32%는 브레인포그(Brain fog) 증상을 호소하며 일상생활에 심각한 장애를 겪고 있고, 이에 대한 생리학적 원인으로는 △면역관용 △신경-내분비 고갈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벼운 활동에도 쉽게 피로감이 유발되고,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후 약 30~75%의 환자들이 최대 20개월 이상 신경계·내분비계·면역계의 복합적인 증상을 겪는 ‘롱코비드(Long COVID)’로 발전하는 점을 확인했으며, 이는 만성피로증후군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 후 1개월 이상 극심한 피로감과 브레인포그 증상을 호소하는 99명의 롱코비드 환자를 대상으로, 생리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했다.


기전.png

 

그 결과 롱코비드 환자의 평균 피로도는 ‘만성피로증후군(피로 질환 중 가장 극심한 유형)’에 가까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육체적 피로보다는 정신적 피로감이 두드러졌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심한 피로도를 보이며 피로와 브레인포그 증상의 심화도가 비례해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경향을 확인했다.

 

손창규 교수(동서생명과학연구원장)는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도래할 신종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후유증 및 만성피로증후군 등의 임상 문제 해결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오늘 인기기사
  • 주간 인기기사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