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한국재택의료협회 춘계학술제 참여(6일)
[한의신문] 롱코비드 환자들에 대한 생체지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치료제 개발의 근거를 마련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대전대 한의대는 손창규 교수와 이진석 교수팀이 진행한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Fatigue-Dominant Long-COVID Subjects: A Cross-Sectional Study’라는 제하의 연구논문이 저명 학술지 ‘미국의학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IF 5.1)’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대전대 한의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로 롱코비드 환자들의 생체지표 및 치료법 개발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롱코비드 환자의 71%는 피로, 32%는 브레인포그(Brain fog) 증상을 호소하며 일상생활에 심각한 장애를 겪고 있고, 이에 대한 생리학적 원인으로는 △면역관용 △신경-내분비 고갈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벼운 활동에도 쉽게 피로감이 유발되고,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후 약 30~75%의 환자들이 최대 20개월 이상 신경계·내분비계·면역계의 복합적인 증상을 겪는 ‘롱코비드(Long COVID)’로 발전하는 점을 확인했으며, 이는 만성피로증후군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 후 1개월 이상 극심한 피로감과 브레인포그 증상을 호소하는 99명의 롱코비드 환자를 대상으로, 생리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롱코비드 환자의 평균 피로도는 ‘만성피로증후군(피로 질환 중 가장 극심한 유형)’에 가까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육체적 피로보다는 정신적 피로감이 두드러졌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심한 피로도를 보이며 피로와 브레인포그 증상의 심화도가 비례해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경향을 확인했다.
손창규 교수(동서생명과학연구원장)는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도래할 신종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후유증 및 만성피로증후군 등의 임상 문제 해결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현대 한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김정연·박진상 효사랑가족요양병원장, 원광한의대에 3년째 장학금 기부
“오래는 사는데 건강하지 않다” 초고령사회 한국의 과제
[자막뉴스] 2024년 외국인 환자, 한의의료기관 방문 84.6% 증가
대전시한의사회 한의방문진료 지원비 1350만원 후원
보건복지부, 국민연금 개혁 시행 추진단 첫 회의
바른부부한의원 수원, 지역사회 건강 증진 ‘동참’
“약 한 움큼 드시지 마세요∼”
다학제로 진화하는 ‘미래 돌봄 한의약’
고통받는 이재민들 위해 한의약의 따뜻한 돌봄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