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9.3℃
  • 구름많음속초6.1℃
  • 구름많음4.6℃
  • 구름많음철원4.4℃
  • 구름많음동두천6.6℃
  • 구름많음파주5.0℃
  • 구름많음대관령-2.3℃
  • 구름많음춘천5.8℃
  • 흐림백령도9.3℃
  • 구름조금북강릉8.6℃
  • 구름조금강릉7.8℃
  • 구름조금동해6.6℃
  • 구름많음서울9.3℃
  • 구름많음인천7.8℃
  • 구름많음원주6.4℃
  • 맑음울릉도8.4℃
  • 구름많음수원6.1℃
  • 구름많음영월3.7℃
  • 구름많음충주5.0℃
  • 구름많음서산3.3℃
  • 구름조금울진5.4℃
  • 구름많음청주8.8℃
  • 구름많음대전7.1℃
  • 구름많음추풍령3.2℃
  • 맑음안동5.2℃
  • 구름많음상주4.9℃
  • 맑음포항8.7℃
  • 구름조금군산4.0℃
  • 맑음대구8.1℃
  • 구름조금전주7.1℃
  • 구름조금울산7.2℃
  • 맑음창원8.9℃
  • 맑음광주7.6℃
  • 맑음부산10.5℃
  • 맑음통영10.8℃
  • 구름조금목포7.0℃
  • 맑음여수10.2℃
  • 구름조금흑산도9.4℃
  • 맑음완도6.6℃
  • 맑음고창2.4℃
  • 맑음순천1.7℃
  • 박무홍성(예)3.5℃
  • 구름많음5.1℃
  • 구름많음제주10.9℃
  • 구름많음고산11.4℃
  • 구름조금성산9.4℃
  • 구름조금서귀포12.8℃
  • 맑음진주4.3℃
  • 구름많음강화5.5℃
  • 구름많음양평7.0℃
  • 구름많음이천5.1℃
  • 구름많음인제3.9℃
  • 구름많음홍천5.2℃
  • 구름많음태백-0.2℃
  • 구름조금정선군1.7℃
  • 구름많음제천3.0℃
  • 구름많음보은2.5℃
  • 구름많음천안3.8℃
  • 구름많음보령2.9℃
  • 구름많음부여2.9℃
  • 구름조금금산3.1℃
  • 구름많음5.7℃
  • 구름조금부안4.2℃
  • 구름조금임실2.0℃
  • 구름많음정읍4.5℃
  • 구름조금남원2.9℃
  • 구름조금장수0.5℃
  • 맑음고창군3.4℃
  • 맑음영광군2.8℃
  • 맑음김해시9.8℃
  • 구름많음순창군3.1℃
  • 맑음북창원10.8℃
  • 맑음양산시9.5℃
  • 맑음보성군5.5℃
  • 구름조금강진군4.3℃
  • 구름조금장흥1.5℃
  • 구름조금해남1.3℃
  • 맑음고흥3.3℃
  • 맑음의령군5.6℃
  • 구름조금함양군2.4℃
  • 맑음광양시8.8℃
  • 구름조금진도군2.8℃
  • 구름많음봉화0.8℃
  • 구름많음영주3.6℃
  • 구름많음문경5.7℃
  • 구름조금청송군2.3℃
  • 맑음영덕4.7℃
  • 맑음의성3.6℃
  • 구름많음구미5.2℃
  • 맑음영천4.3℃
  • 맑음경주시4.4℃
  • 구름조금거창
  • 맑음합천5.9℃
  • 구름조금밀양6.5℃
  • 맑음산청4.1℃
  • 맑음거제8.0℃
  • 구름조금남해8.6℃
  • 맑음9.3℃
  • 구름많음속초6.1℃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9일 (수)

청소년기 수면 부족, 성인기 학습·기억능력 저하 기전 ‘규명’

청소년기 수면 부족, 성인기 학습·기억능력 저하 기전 ‘규명’

대전대한방병원 손창규·이진석 교수팀, ‘Sleep’에 논문 게재
뇌 해마의 ‘별아교세포’ 불활성이 주요 원인

대전대 수면2.jpg


대전대 수면1.jpg

 

[한의신문=강현구 기자] 청소년기 수면 부족이 성인이 된 후에도 학습·기억력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 만성피로증후군연구센터 강지윤 연구원(주저자)·손창규 교수(지도교수)·이진석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Sleep deprivation in adolescent mice impairs longterm memory till early adulthood via suppression of hippocampal astrocytes’란 제하의 연구논문을 수면 분야 대표적 국제학술지인 ‘Sleep(IF: 6.313)’에 게재했다고 31일 밝혔다.

 

성장기 충분한 수면은 피로 개선이나 신체 발달뿐만 아니라 뇌 기능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학습에 대한 기억 생성 및 장기저장에 필수적이다.

 

한국청소년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국제 수면시간 권장 기준(National Sleep Foundation, 2017)은 8~10시간인데 반해 우리나라 10대 청소년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약 6시간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대전대 수면3.jpg

 

이에 연구팀은 최초로 청소년기 수면 부족이 성인기의 학습과 장기기억까지 저해하는 연결고리를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사람의 청소년기(14~16세)에 해당하는 동물모델을 2주 동안 하루 4시간 수면으로 제한하고, 이후 정상적인 수면을 취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수면 부족에 노출된 10년 뒤인 25세에 해당하는 기간이 지났음에도 어른 쥐들은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과 뇌의 기억기능을 담당하는 ‘해마(Hippocampus)’ 영역의 신경 재생이 억제됐음을 확인했다.

 

대전대 수면4.jpg

 

특히 연구팀은 그 기전으로, 해마 영역의 다양한 세포들 중 뇌세포에 건강한 영양인자를 공급하고, 찌꺼기는 제거하는 ‘별아교세포(Astrocytes)’의 활성이 성인기까지 지속해서 감소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70% 이상의 청소년들이 불충분한 수면에 노출된 현실의 경각심을 가져야 하며, 청소년기 수면 부족으로 인한 성인기 뇌 악영향 기전이 노인기 치매의 발생에도 직접적으로 관여하는지도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오늘 인기기사
  • 주간 인기기사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