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12.5℃
  • 맑음속초6.6℃
  • 맑음7.3℃
  • 구름조금철원6.6℃
  • 맑음동두천9.8℃
  • 맑음파주8.3℃
  • 구름조금대관령-0.7℃
  • 맑음춘천7.7℃
  • 구름많음백령도7.4℃
  • 맑음북강릉8.3℃
  • 맑음강릉8.6℃
  • 맑음동해7.4℃
  • 맑음서울11.2℃
  • 맑음인천8.6℃
  • 맑음원주9.1℃
  • 맑음울릉도8.9℃
  • 맑음수원7.6℃
  • 구름많음영월7.3℃
  • 맑음충주7.7℃
  • 맑음서산4.9℃
  • 구름조금울진7.8℃
  • 맑음청주11.5℃
  • 맑음대전9.8℃
  • 맑음추풍령6.9℃
  • 맑음안동10.5℃
  • 맑음상주9.4℃
  • 맑음포항10.4℃
  • 맑음군산7.0℃
  • 맑음대구10.8℃
  • 맑음전주9.0℃
  • 맑음울산9.2℃
  • 맑음창원10.9℃
  • 맑음광주10.6℃
  • 맑음부산12.1℃
  • 맑음통영10.7℃
  • 박무목포8.1℃
  • 구름조금여수12.1℃
  • 구름조금흑산도8.6℃
  • 구름조금완도10.7℃
  • 맑음고창4.6℃
  • 맑음순천7.0℃
  • 맑음홍성(예)6.4℃
  • 맑음7.8℃
  • 구름많음제주12.6℃
  • 구름많음고산12.4℃
  • 구름조금성산10.8℃
  • 구름조금서귀포14.2℃
  • 맑음진주8.5℃
  • 맑음강화7.6℃
  • 맑음양평9.7℃
  • 맑음이천10.6℃
  • 구름조금인제6.7℃
  • 구름조금홍천8.1℃
  • 구름많음태백2.2℃
  • 맑음정선군4.8℃
  • 구름조금제천5.4℃
  • 맑음보은6.1℃
  • 맑음천안6.4℃
  • 맑음보령4.5℃
  • 맑음부여6.1℃
  • 맑음금산6.8℃
  • 맑음8.9℃
  • 맑음부안6.4℃
  • 맑음임실4.7℃
  • 맑음정읍6.2℃
  • 맑음남원6.1℃
  • 맑음장수3.1℃
  • 맑음고창군6.0℃
  • 구름조금영광군5.8℃
  • 맑음김해시12.5℃
  • 맑음순창군6.2℃
  • 맑음북창원13.1℃
  • 맑음양산시12.8℃
  • 구름많음보성군11.4℃
  • 구름많음강진군8.2℃
  • 구름많음장흥5.2℃
  • 구름많음해남5.1℃
  • 구름조금고흥8.0℃
  • 맑음의령군9.5℃
  • 맑음함양군6.5℃
  • 맑음광양시11.9℃
  • 구름많음진도군5.1℃
  • 맑음봉화4.1℃
  • 구름많음영주7.2℃
  • 맑음문경8.4℃
  • 맑음청송군5.0℃
  • 구름조금영덕6.5℃
  • 맑음의성6.9℃
  • 맑음구미9.2℃
  • 맑음영천7.9℃
  • 맑음경주시7.3℃
  • 맑음거창
  • 맑음합천9.9℃
  • 맑음밀양10.2℃
  • 맑음산청8.7℃
  • 맑음거제12.6℃
  • 맑음남해10.4℃
  • 맑음12.5℃
  • 맑음속초6.6℃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9일 (수)

“침 치료, 투석 환자의 요독성 소양증 개선에 안전하고 효과적”

“침 치료, 투석 환자의 요독성 소양증 개선에 안전하고 효과적”

20240426085524_d18da2d477a8278f907fa1f787782f6d_ebas.jpg[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2457-33 정창운.jpg


정창운

나은내일한의원


KMCRIC 제목

만성 콩팥병 환자의 가려움증은 침 치료로 개선할 수 있을까?


서지사항

Zhang L, Li Y, Xiao X, Shi Y, Xu D, Li N, Deng Y. Acupuncture for Uremic Prurit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Pain Symptom Manage. 2023 Jan;65(1):e51-e62. doi: 10.1016/j.jpainsymman.2022.08.017(2021 IF 5.576). 


연구 설계

기존에 발표된 요독성 소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시험 중 침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타 치료법과 비교 및 확인하기 위해 설계된 연구를 추출해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수행함.


연구 목적

만성 콩팥병 환자의 주된 증상 중 하나인 요독성 소양증에 대한 침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 대상

만성 콩팥병 환자 중 요독성 소양증으로 일상생활에 장애를 겪는 환자.


시험군 중재

침 치료 단독 혹은 침 치료를 포함한 다중 중재.


대조군 중재

침 치료를 제외한 중재(항히스타민제, 탄산 칼슘, 비타민 D, 공백 대조군).


평가지표

효과율 (Effectiveness Rate) - 연구에 따라 다양한 지표를 사용.


주요 결과

1. 요독성 소양증 환자에게 침 치료를 시행한 경우,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율 차이를 보였다(상대위험도 1.38, 95% 신뢰구간에서 1.21∼1.57, P값 < 0.00001).

2. 요독성 소양증 환자에서 침 치료와 약물 치료 간 효과율 차이는 없었다(상대위험도 1.20, 95% 신뢰구간에서 0.98∼1.47, P값 0.07).

3. 요독성 소양증 환자에서 표준 치료 대비 침 치료를 병행하는 것은 효과율 측면에서 의미 있는 개선이 될 수 있었다(상대위험도 1.42, 95% 신뢰구간에서 1.18∼1.72, P값 0.0002).


저자 결론

침 치료는 투석 환자들의 요독성 소양증을 개선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 치료로, 표준 투석 치료와 침 치료를 병행하는 것은 환자들의 증상 개선에 추가적인 효과를 가진다.


KMCRIC 비평

일반적으로 요독성 소양증은 신장 기능의 저하가 뚜렷한 만성 콩팥병 환자들, 투석 환자들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질환의 하나이다[1]. 

보고에 따르면 40% 이상의 투석 환자들이 요독성 소양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특히 투석 환자들에게서는 투석 도중, 혹은 투석 직후 증상이 명확한 특징을 가지므로 투석 센터 등에서 가려움을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치료 도입이 필요할 수 있다.

현재 본 질환의 병태 생리의 이해는 깊지 않으나, 고전적으로 칼슘 및 인의 대사 변화를 포함하여 오피오이드 시스템의 변화, 만성 저등급 염증, 만성 미세 염증과 가려움 발생 간의 관련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3].

침 치료는 잘 알려진 바대로, 콜린성 항염 작용을 포함한 전신적인 염증 조절 효과를 가지며, 중추에서의 가려움-긁음 반응을 억제하는 등 가려움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 효과가 확인되어 있다[4, 5]. 

또한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과 같이 가려움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들에서의 효과가 시사되고 있어, 비약물적인 항-소양 치료로 활용되고 있다[6, 7].

현재까지 요독성 소양증에 대한 명확한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침 치료의 작용 기전과 기존 진행된 소규모 임상시험 등에 기반하여 침 치료가 요독성 소양증 치료법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 진행된 무작위 대조시험을 바탕으로 침 치료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이지만, 포함된 연구 대부분이 방법론상 적절한 위약 대조군을 설정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기에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침 치료의 소양감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신중히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주로 중국 문헌들에서 보이는 효과율(유효율) 개념을 1차 평가지표로 사용한 것이 아쉬운 점이다.

다만 만성 콩팥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질병의 특성상 양질의 임상시험 진행에 제한이 있다. 

또한 침 치료가 가진 비약물적 치료라는 특성을 고려하면, 병태 생리에 부합하는 치료의 작용 기전을 고려할 때 효과 측면에서 합리적 결과가 시사되는 침 치료를 시행하는 것은 임상 현장에서 의미 있는 접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확증적 설계의 임상시험을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 SR&access=S202208141


참고문헌

[1] Mettang T, Kremer AE. Uremic pruritus. Kidney Int. 2015 Apr;87(4):685-91. doi: 10.1038/ki.2013.454.

https://pubmed.ncbi.nlm.nih.gov/24402092/

[2] Pisoni RL, Wikström B, Elder SJ, Akizawa T, Asano Y, Keen ML, Saran R, Mendelssohn DC, Young EW, Port FK. Pruritus in haemodialysis patients: International results from the Dialysis Outcomes and Practice Patterns Study (DOPPS). Nephrol Dial Transplant. 2006 Dec;21(12):3495-505. doi: 10.1093/ndt/gfl461.

https://pubmed.ncbi.nlm.nih.gov/16968725/

[3] Santos-Alonso C, Maldonado Martín M, Sánchez Villanueva R, Álvarez García L, Vaca Gallardo MA, Bajo Rubio MA, Del Peso Gilsanz G, Ossorio González M, Selgas Gutiérrez R. Pruritus in dialysis patients. Review and new perspectives. Nefrologia (Engl Ed). 2022 Jan-Feb;42(1):15-21. doi: 10.1016/j.nefroe.2022.02.004.

https://pubmed.ncbi.nlm.nih.gov/36153894/

[4] Li N, Guo Y, Gong Y, Zhang Y, Fan W, Yao K, Chen Z, Dou B, Lin X, Chen B, Chen Z, Xu Z, Lyu Z. The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Mechanisms of Acupuncture from Acupoint to Target Organs via Neuro-Immune Regulation. J Inflamm Res. 2021 Dec 21;14:7191-224. doi: 10.2147/JIR.S341581.

https://pubmed.ncbi.nlm.nih.gov/34992414/

[5] Tang Y, Cheng S, Wang J, Jin Y, Yang H, Lin Q, Xu S, Hui L, Yin Q, Yang Y, Wu X.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Itch: Peripheral and Central Mechanisms. Front Neurosci. 2022 Mar 30;15:786892. doi: 10.3389/fnins.2021.786892.

https://pubmed.ncbi.nlm.nih.gov/35431769/

[6] Jiao R, Yang Z, Wang Y, Zhou J, Zeng Y, Liu Z.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uncture for patients with atopic ecze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upunct Med. 2020 Feb;38(1):3-14. doi: 10.1177/0964528419871058.

https://pubmed.ncbi.nlm.nih.gov/31495184/

[7] Feng S, Han M, Fan Y, Yang G, Liao Z, Liao W, Li H.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Rhinol Allergy. 2015 Jan-Feb;29(1):57-62. doi: 10.2500/ajra.2015.29.4116.

https://pubmed.ncbi.nlm.nih.gov/25590322/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오늘 인기기사
  • 주간 인기기사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