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서울시당 정책간담회(20일)
김남일 교수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崔容泰 敎授(1934∼2017·호는 一石)는 침구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서 1982∼1985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장, 전국한의과대학협의회 초대회장, 1976∼1982년 대한침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의 저술로는 『경혈학신강(經穴學新講)』(1962년), 『침구학(鍼灸學)』(1969년), 『침구경혈도(鍼灸經穴圖)』(1973년), 『정해침구학(精解鍼灸學)』(1974년), 『원전침구학(原典鍼灸學)』(2000년) 등이 있다.
1973년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서울에서 열렸던 제3차 세계침구학술대회에서 최용태 교수는 「取穴法에 對한 硏究」라는 논문을 발표한다. 그는 이 논문에서 取穴法에 있어서 ‘四大要素’의 조건이 맞아야 소정의 경혈 부위에 이르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른바 ‘四大要素’란 ⑴자세를 중심으로 한 取法 ⑵骨度法을 중심으로 한 取法 ⑶經穴의 反應點 ⑷鍼刺時 分寸量이다. 취혈법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자세, 골도법, 반응점, 분촌량의 문제는 침구취혈법에서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 요소라는 점에서 세계적 단위의 침구학술대회에서 외국학자들과 정보를 공유해 침구학술의 국제적 표준을 마련하고자 하는 그의 열망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아래와 같이 사대요소를 정리하고 있다.
⑴자세를 중심으로 한 취법: 경혈은 체위에 따라서 그 경혈의 정확성을 찾기 때문에 어떠한 경혈을 취혈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그 자세를 바로 하고서 취혈해야 된다. 가령 頭面部 上에 있는 경혈을 취한다면 正坐直視하여야 그 주위의 경혈을 취할 수 있다. 취혈의 구분은 16개로 되어 있다.
⑵골도법을 중심으로 한 取法: 골격, 근육의 정상적 발달된 사람을 표준형으로 하여 인체를 크게 36구분하여서 각 구분에 ‘자’를 선정해서 필요한 경혈을 취하는 부위에 따라 ‘자’를 작성하여서 경혈 부위를 취하게 된다. 인체의 대표적 신장은 7척 5촌으로 정하고서 각 36구분한 것의 각 구분의 ‘자’로서 활용케 된다.
⑶경혈의 반응점: 일정한 피부상에 압력을 가하였을 때 그 부위에 따라 동통이 발생할 수 있는 부위와 없는 부위를 직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동통이 있는 부위는 몸 전체가 되는 것이 아니고 특수한 부위로서 국한된다. 많은 학자들이 수십개의 반응점을 발견하였으나 개개가 경혈과 일치되는 것을 인정할 수 있으며 Heads zone 또는 합기도, 태권도 등에서 나오는 급소점은 경혈들과 일치되며 양도락이론에서 말하는 양도점, 반응양도점 등은 경락상의 경혈과 같은 부위임을 알 수 있어 경혈의 부위가 경혈 이외의 부위보다 압통 및 다른 반응이 있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⑷刺鍼時 分寸量: 위의 세 가지가 완전히 피부상에서 결정이 된다면 경혈에 刺鍼하여 천심을 측정해야 되니 肥瘦人刺法, 嬰兒刺法이 있는 것으로 보아 부위에 따라 체질에 따라 자침량이 결정케 된다. 筋肉이 小한 부위인 骨端, 指端, 足端에는 1∼3分 깊이로 刺鍼하고, 筋肉이 小有한 부위인 筋肉間, 下腿部, 大腿部, 上部, 足背部에는 3∼5分 깊이로 刺鍼하고, 筋肉이 多한 부위인 腹部, 臀部, 肩胛部에는 5분∼1촌의 깊이로 刺鍼한다. 경혈은 피하지방과 근막간에 있게 되며 鍼灸大成에는 春淺冬深刺한 것으로 보아도 일정한 경혈 부위의 자침이 피부상이 아니고 피하 내에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아울러 冬이 春보다 지방층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깊이 자침하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방법은 평면상의 취혈법과 입체상의 취혈법이 합해져야만 하나의 경혈치료 부위를 얻게 되는 것이다.
‘합성생물학 육성법’ 통과…“AI·빅데이터 융합 바이오 국가 도약”
[자막뉴스] 19세 이상 국민 10명 중 7명, 한의의료 이용.. '만족…
[자막뉴스] 경북 한의진료소 오픈, 산불 이재민에 신체·심리 치료 시행
심평원 경기남부본부, 직원 자녀와 함께하는 식목행사 실시
보건복지부,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사업 계획 공고
권봉수 구리시의원, 한의약 산업 육성 위한 의견 청취
당진시, 2025년 제16호 한방장수마을 선포식 개최
“앞으로의 100년도 국민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한방부인과학회 학술대회, “한의학으로 접근하는 월경 질환”
울산 동구, 한의약 지원 명시한 난임극복 지원 조례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