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14.5℃
  • 맑음속초9.7℃
  • 맑음10.6℃
  • 맑음철원11.5℃
  • 맑음동두천12.8℃
  • 맑음파주10.0℃
  • 맑음대관령2.8℃
  • 맑음춘천12.1℃
  • 맑음백령도7.8℃
  • 맑음북강릉7.8℃
  • 맑음강릉10.9℃
  • 맑음동해9.3℃
  • 맑음서울13.4℃
  • 구름조금인천10.5℃
  • 맑음원주13.3℃
  • 맑음울릉도9.9℃
  • 맑음수원10.7℃
  • 맑음영월10.9℃
  • 맑음충주10.7℃
  • 맑음서산8.5℃
  • 맑음울진10.6℃
  • 맑음청주14.0℃
  • 맑음대전12.8℃
  • 맑음추풍령9.9℃
  • 맑음안동13.3℃
  • 맑음상주13.3℃
  • 맑음포항11.9℃
  • 맑음군산9.6℃
  • 맑음대구13.0℃
  • 맑음전주11.8℃
  • 맑음울산11.3℃
  • 맑음창원14.2℃
  • 구름조금광주12.4℃
  • 맑음부산13.7℃
  • 맑음통영13.5℃
  • 맑음목포9.8℃
  • 구름조금여수17.1℃
  • 구름조금흑산도7.6℃
  • 구름조금완도13.5℃
  • 맑음고창7.9℃
  • 맑음순천11.4℃
  • 맑음홍성(예)9.2℃
  • 맑음11.8℃
  • 구름많음제주13.8℃
  • 구름많음고산12.7℃
  • 구름많음성산12.5℃
  • 박무서귀포15.0℃
  • 맑음진주13.4℃
  • 구름조금강화14.0℃
  • 맑음양평13.8℃
  • 맑음이천12.5℃
  • 맑음인제10.4℃
  • 맑음홍천11.4℃
  • 맑음태백5.0℃
  • 맑음정선군9.2℃
  • 맑음제천8.9℃
  • 맑음보은10.8℃
  • 맑음천안11.4℃
  • 맑음보령6.4℃
  • 맑음부여9.7℃
  • 맑음금산12.7℃
  • 맑음12.0℃
  • 맑음부안8.8℃
  • 맑음임실9.9℃
  • 맑음정읍9.8℃
  • 맑음남원11.7℃
  • 맑음장수7.4℃
  • 맑음고창군9.1℃
  • 맑음영광군9.2℃
  • 맑음김해시14.4℃
  • 맑음순창군11.9℃
  • 맑음북창원16.4℃
  • 맑음양산시14.0℃
  • 구름조금보성군12.9℃
  • 구름조금강진군13.4℃
  • 맑음장흥12.8℃
  • 구름조금해남10.6℃
  • 구름조금고흥12.3℃
  • 맑음의령군14.6℃
  • 맑음함양군13.5℃
  • 맑음광양시15.2℃
  • 구름조금진도군10.0℃
  • 맑음봉화10.4℃
  • 맑음영주13.3℃
  • 맑음문경12.5℃
  • 맑음청송군8.5℃
  • 맑음영덕10.2℃
  • 맑음의성13.6℃
  • 맑음구미14.5℃
  • 맑음영천11.4℃
  • 맑음경주시10.5℃
  • 맑음거창
  • 맑음합천15.1℃
  • 맑음밀양15.1℃
  • 맑음산청14.4℃
  • 맑음거제13.3℃
  • 구름조금남해16.8℃
  • 맑음14.5℃
  • 맑음속초9.7℃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8일 (화)

대전대 한의대, 코호트 연구 ‘한의암치료-텔로미어 연관성’ 발표

대전대 한의대, 코호트 연구 ‘한의암치료-텔로미어 연관성’ 발표

유화승 교수 연구팀, 연구내용 ‘Integrative Cancer Therapy’에 게제
“한의학적 접근으로 암 환자 생존율 제고에 기여할 것”

대전대 유화승 코호트3.png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유화승 교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유화승 교수 연구팀은 최근 연구논문인 ‘Effec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ncotherapy on the Survival, Quality of Life, and Telomere Length: A Prospective Cohort study’를 SCI급 국제 학술지인 ‘Integrative Cancer Therapy(IF: 3.077)’에 게재했다고 지난 28일 밝혔다.

 

대전대 유화승 코호트1.jpg

 

연구팀에 따르면 본 연구는 지난 2016년 10월 5일부터 2019년 11월 21일까지 4년간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동서암센터에서 항암 약물인 항암단, 건칠정 등을 처방받은 총 83명의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율 △삶의 질의 변화 △텔로미어 길이 △단일염기다형성 부위(SNP)와의 연관성 등을 추적 관찰하고, 평가한 것으로, 국내 한의계 최초의 전향적 코호트 연구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끝부분의 염기서열로,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조금씩 줄어들다가 한계점에 다다르면 세포분열이 중단되고 세포사멸에 이르게 된다. 


진행된 연구에서 한의암치료를 장기간 받은 암 환자들(진행된 암환자들)에게서 일일 ‘텔로미어(telomere)’ 감소율이 높았으며, 더 나아가 진단 시 N 단계(TNM 병기 중)가 진행된 환자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이 텔로미어 길이가 짧다는 사실을 발견해냈다. 또한 텔로미어의 길이와 SNP 중 ‘rs4387287’과 연관성이 있음을 밝혀냈다. 

대전대 유화승 코호트2.jpg

 

‘rs4387287’은 OBFC1 유전자에 위치하며, 이 유전자는 ‘C17ORF68’ 및 ‘TEN1’을 포함하는 텔로미어-연관 복합체의 서브유닛 단백질을 코딩한다. ‘OBFC1’ 지점의 유전자 돌연변이는 텔로미어 생물학에 관여하고, 갑상선암, 췌장암, 상피 난소암을 포함한 암의 위험을 초래한다. 


연구책임자인 유화승 교수는 “본 연구는 암 치료에 있어서 통상적인 접근법만이 아닌 한의학적인 접근을 통해 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유전학 등의 현대 과학과 접목시켜 온고지신의 방향으로 한의암치료에 있어서 혁신적인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 중 ‘한의약 종양 특화 임상연구 체계구축 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오늘 인기기사
  • 주간 인기기사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