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서울시당 정책간담회(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2020년 진료비 통계지표’(심사일 및 진료일 기준)을 발표한 가운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해 요양기관의 내원일수가 ‘19년에 비해 12.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진료비 통계지표’(심사일 기준)에 따르면 건강보험 심사실적의 경우 요양급여비용은 86조8338억원으로 전년대비 1.21% 증가한 반면 내원일수는 12.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의료기관은 급여비는 1.20% 증가했지만, 내원일수는 10.76% 줄어들었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한의원의 요양급여비용은 ‘19년 2조5938억원에서 ‘20년 2조4660억원으로 4.93% 감소했으며, 내원일수는 100,714천일에서 90,374천일로 10.27% 감소했다. 한방병원은 요양급여비용은 15.76% 증가(4181억원→4840억원)한 반면 내원일수는 0.18% 감소(6,834천일→6,822천일)했다.
다른 종별을 살펴보면(요양급여·내원일수 順) △상급종합병원(1.63% 증가·5.38% 감소) △종합병원(1.31% 증가·8.57% 감소) △병원(2.40% 증가·13.74% 감소) △요양병원(3.95% 증가·2.56% 감소) △의원(1.01% 증가·13.11% 감소) △치과병원(0.94% 감소·3.94% 감소) △치과의원(0.09% 증가·2.75% 감소) △보건기관 등(14.48% 감소·32.58% 감소)으로 나타나는 한편 약국의 경우에는 요양급여비용은 0.58% 증가하고, 내원일수는 14.9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요양기관의 전반적인 내원일수 감소세가 나타났다.
이밖에 요양기관 종별 청구기관 수 현황을 살펴보면 한의원은 ‘19년 1만4829개소에서 ‘20년 1만4800개소로 0.2% 감소했으며, 한방병원 같은 기간 388개소에서 438개소로 12.9%가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상급종합병원은 42개소로 전년과 동일한 가운데 종합병원 338개소(3.4% 증가), 병원 1592개소(1.3% 증가), 요양병원 1644개소(0.4% 감소), 의원 3만2255개소(1.9% 증가), 치과병원 248개소(2.0% 감소), 치과의원 1만8562개소(1.2% 증가), 보건기관 등 3471개소(전년과 동일), 약국 2만3226개소(1.1%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질병은 입원은 노년백내장, 기타 추간판장애,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 등의 순이었고, 외래는 치은염 및 치주질환, 급성 기관지염, 본태성 고혈압 순이었다. 요양급여비용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질병은 입원은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에 대한 특수선별검사’로 ‘19년 0.57억원에서 ‘20년 332억원으로 580.6배 증가했으며, 외래의 경우에는 ‘본태성 고혈압’으로 같은 기간 8776억원에서 9369억원으로 6.7%의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암질병으로 입원한 진료인원은 43만1652명이고, 요양급여비용은 4조8352억원으로 전년대비 1.14% 증가한 가운데 다발생 암 가운데 입원 요양급여비용 증가액(율)이 가장 높은 암은 췌장암으로 252억원(13.77%) 증가했다.
이밖에 65세 이상 요양급여비용은 36조5320억원으로 ‘19년과 비교해 5.2% 증가했으며,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입원 16조7664억원(5.4% 증가) △외래 11조9692억원(2.8% 증가) △약국 7조7964억원(8.6% 증가)로 나타났다.
또 65세 이상 다발생 질병 1위는 입원은 노년백내장(21만4041명)이, 외래는 본태성(원발성) 고혈압(295만3724명)으로 나타났으며, 요양급여비용이 가장 높은 질병은 입원의 경우에는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1조7653억원), 외래에서는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1조5217억원)였다.
한편 지난해 자동차보험 진료비는 2조3370억원으로 전년대비 5.54% 증가했으며, 입원진료비는 1조2825억원(4.48% 증가), 외래진료비는 1조544억원(6.86% 증가)이었다.
이를 요양기관종별로 보면 한의원은 6137억4200만원으로 10.27% 증가했으며, 한방병원의 경우에는 5505억3800만원으로 27.78% 늘었다. 이밖에 △상급종합병원 1953억6500만원(5.84% 감소) △종합병원 3835억400만원(8.06% 감소) △병원 2625억3900만원(1.41% 감소) △요양병원 816억1100만원(7.98% 증가) △의원 2446억2600만원(4.20% 감소) △치과병원 18억100만원(1.61% 감소) △치과의원 30억9700만원(6.28% 증가) △보건의료원 1억3200만원(33.26% 감소)으로 나타났다.
‘합성생물학 육성법’ 통과…“AI·빅데이터 융합 바이오 국가 도약”
[자막뉴스] 19세 이상 국민 10명 중 7명, 한의의료 이용.. '만족…
[자막뉴스] 경북 한의진료소 오픈, 산불 이재민에 신체·심리 치료 시행
심평원 경기남부본부, 직원 자녀와 함께하는 식목행사 실시
보건복지부,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사업 계획 공고
권봉수 구리시의원, 한의약 산업 육성 위한 의견 청취
당진시, 2025년 제16호 한방장수마을 선포식 개최
“앞으로의 100년도 국민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한방부인과학회 학술대회, “한의학으로 접근하는 월경 질환”
울산 동구, 한의약 지원 명시한 난임극복 지원 조례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