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강선우 국회의원과 간담회 개최(10일)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병원장 김영일)은 오민석 교수 연구팀이 봉약침의 근육조직 재생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였다고 7일 밝혔다.
교통사고나 낙상과 같은 외상성 손상에서 근육은 쉽게 손상된다. 근육의 손상은 곧 우리 몸의 기능적 장애를 유발하기 때문에 근육 손상의 적절한 회복은 매우 중요하지만, 기존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와 같은 치료법은 뇌출혈이나 심장질환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봉약침은 봉독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멜리틴을 추출해 정제한 약침으로 항알러지, 항염증, 항관절염, 항암효과 등을 가진다.
연구팀은 봉침의 주요 성분인 멜리틴(Mellitin)을 쥐의 상완이두근 손상을 유발한 뒤 주사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근육 회복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쥐의 활동량, 트레드밀 활동 정도를 관찰했고 염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염증 유발물질인 MCP-1, TNF-ɑ, IL-6등의 양을 측정했다. 마지막으로 근육 재생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yoD, myogenin, smooth muscle actin등의 물질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활동량과 트레드밀 운동평가에서 비교군인 소염진통제(디클로페낙) 투여군에 비해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 근육 재생의 지표가 되는 물질들의 수치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CI(E)급 국제학회지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IF 2.835)에 게재됐다.
연구책임을 진행한 오민석 교수는 “근골격계 손상의 기능적 장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뚜렷한 치료법이 정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에서 봉침의 활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울산시한의사회, 2025년도 상반기 보수교육 온라인으로 진행
공정위,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한의학적 섬유근육통 치료, 美 ‘플래시드웨이닷컴’에 등재
국가유공자 건강 증진에 ‘상호 협력’
서울시한의사회, 오는 6월22일 ‘K-MEX 2025’ 개최
서초구, 돌봄 특화 시스템 ‘서리풀 돌봄SOS 서비스’ 본격 운영
복지부, 30일까지 ‘의료분쟁 조정 환자대변인’ 모집
“의과 공보의 대란 현실화”…군 휴학, 공보의 직무교육 집단거부 등 속출
“대한민국 영웅들의 삶을 예술로 알리다”
“한의영상의학의 확장 속에서, 진료의 미래를 엿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