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한국재택의료협회 춘계학술제 참여(6일)
[한의신문=김대영 기자] 60세 이상 어르신들은 향후 늘려야 할 복지서비스로 '보건의료·건강관리 서비스'를 꼽았다.
복지, 사회참여,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등 5개 부문에 대해 전국 약 1만9000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만7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15일부터 30일까지 16일간 조사한 2019년 사회조사 결과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생활여건, 사회보장제도, 보건의료서비스 등이 2년 전에 비해 좋아졌다는 평가가 우세했다.
전반적인 생활여건은 48.6%, 사회보장제도는 60.8%, 보건의료서비스는 58.7%가 개선됐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2년 전보다 각각 6.8%p, 14.9%p, 2.7%p 증가한 것이다.
성별로는 남자보다 여자가, 지역별로는 도시보다 농어촌에 사는 사람들이 모든 부문에서 ‘좋아졌다’고 응답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령별로는 ‘좋아졌다’고 응답한 비중이 '보건의료서비스', '사회보장제도' 및 '전반적인 생활여건'에서는 60세 이상이 가장 높았고, '문화․여가 생활 향유 여건'에서는 40대가 가장 높았다.
향후 더 늘려야 할 공공시설로는 '보건의료시설(23.2%)', '사회복지시설(16.5%)', '국․공립 어린이집 및 유치원(15.9%)'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는 '국․공립 어린이집 및 유치원'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의견이 32.9%로 가장 많았고 60세 이상은 '보건의료시설', '사회복지시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향후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복지서비스로는 '고용(취업)지원 서비스'가 32.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보건의료․건강관리 서비스(18.7%)', '소득지원 서비스(16.4%)' 순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고용(취업)지원서비스'가 가장 많았으며 60세 이상에서는 '보건의료·건강관리 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에서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 수는 모든 영역에서 3명 미만으로 2년 전 대비 소폭 감소했다.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와 관련해 '믿을 수 있음'으로 응답한 사람의 비중은 50.9%로 '믿을 수 없음' 49.1%보다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지난 1년 동안 기부를 한 적이 있는 사람의 비중은 25.6%, 향후 기부 의사가 있는 사람의 비중은 39.9%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며 기부를 하지 않은 이유로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51.9%)'가 가장 많았다.
지난 1년 동안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사람의 비중은 16.1%로 2013년 이후 감소 추세이며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은 '상' 2.4%, '중' 58.5%, '하' 39.1%로 '중'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2년 전(57.6%)보다 0.9%p 증가했다.
본인 세대의 계층 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2년 전과 동일했지만 자식 세대의 계층 상승 가능성은 계속 감소 추세(2009년 48.3%, 2013년 39.6%, 2017년 29.5%, 2019년 28.9%)다.
여가 활동으로는 'TV 시청', '휴식', '컴퓨터 게임, 인터넷 검색'을 많이 하며 여가 활용에 대해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은 28.8%로 2년 전보다 1.6%p 증가했다.
여가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 10대는 '시간부족'을, 20대 이상은 '경제적 부담'을 1순위로 꼽았다.
10년 전에는 신문 보는 인구 10명 중 7명이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을 각각 읽었으나 현재는 10명 중 9명이 인터넷신문을 읽고 종이신문을 읽는 사람은 3명도 채 안됐다.
지난 1년 동안 책을 읽은 사람의 비중은 50.6%로 2013년 이후 감소 추세이며 독서 인구 1인당 읽은 책의 권수도 14.4권으로 최저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직업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수입(38.8%)', '안정성(25.6%)', '적성․흥미(16.1%)' 순이었으며 13~29세 청년들이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은 '국가기관(22.8%)'이며 다음으로는 '공기업(21.7%)', '대기업(17.4%)' 순으로 조사됐다.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는 '육아부담(50.6%)'을 꼽았으며 다음은 '사회적 편견(17.7%)', '불평등한 근로 여건(12.7%)'이 뒤를 이었다.
일과 가정생활을 비슷하게 여긴다는 응답은 44.2%로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42.1%)보다 처음으로 높게 나타나 일을 우선시하던 사회에서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사회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도인지장애의 한의치료, 인지기능·우울척도 개선 ‘확인’
대구한의대 한의학과, 2025학년도 본과 진입식 개최
"지친 몸과 마음 팔팔(88)하게 치유하세요”
제22대 국회 연금특위 출범…윤영석 위원장 선출
“차기 정부에 바라는 의료개혁은 ‘다학제 협업 존중’”
“산불로 어려움 겪는 이재민분들에게 힘이 되길”
한의디지털융합기술개발사업, 디지털 한의학 구현 의견 수렴
“현대 한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김정연·박진상 효사랑가족요양병원장, 원광한의대에 3년째 장학금 기부
“오래는 사는데 건강하지 않다” 초고령사회 한국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