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한방진흥센터의 역사 조명 및 조선시대 의학 관련 에피스드 등 담아
[한의신문]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활인(活人), 사람을 살리는 기술: 조선시대 의학 체계’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11월호를 발행했다.
이번호는 의과대학 정원 증원 발표로 시작된 의료대란을 바라보며, 현재에 관한 성찰과 내일을 위한 가치를 찾는 마음으로 조선시대 의학체계에 대해 하여 살펴보고자 기획됐다.
우선 ‘천년을 이어온 보제원의 의료 전통’에서 김호산 서울한방진흥센터장은 서울한방진흥센터의 역사와 그 의미를 짚어주고 있다.
서울시 동대문구는 고려부터 조선을 거쳐 현재까지 우리나라 전통의학의 중심지로, 천년 넘게 이어져온 의료문화의 정수를 이해하기 위해 그 시작인 ‘보제원(普濟院)’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조선시대 구휼기관으로 잘 알려져 있는 보제원은 고려시대에 설립된 읍내 비보사(裨補寺)가 그 뿌리로 삼국시대 불교의 전래와 함께 들어온 불교 의학은 선진 치료법으로 인정받았고, 불교 승려들이 의승(醫僧)으로서 치료 활동을 펼쳤으며, 사찰이 보유한 인프라를 활용해 당시 사회의 의료 공백을 채우는 공공의료 기관의 역할도 수행했다.
이후 조선에 들어와 의료활동을 펼친 사찰이 통·폐합되는 과정에서 일부 기관은 이름을 달리하고 그 성격이 축소·변화해 그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는데, 보제원이 대표적이다. 보제원은 왕화(王化)가 미치는 범위 안의 의료 구휼기관으로서 활동했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문화행사가 개최되거나 백성들의 상언(上言)을 접수하는 행정기관의 역할도 수행했다.
김호산 센터장은 “‘사람을 살리는 기술’을 이어가려는 노력은 늘 시대적 한계와 마주쳤지만 보제원의 역사는 그러한 한계 속에서도 ‘활인(活人)’이라는 본질적 가치만큼은 꾸준히 잇고자 했음을 보여준다”면서 “서울약령시와 서울한방진흥센터는 이와 같은 선인들의 뜻을 이어받아 지금도 전통의학의 새로운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로제타 셔우드 홀, 인류애의 실천을 위해 헌신하다(신규환 고려대 교수)’에서는 조선의 여성 의료와 특수 교육에 헌신한 로제타 셔우드 홀을 소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번호에서는 ‘활인(活人), 사람을 살리는 기술: 조선시대 의학 체계’에 대한 다양한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다.
우선 ‘스토리웹툰 독獨선생전’ 10화 ‘불치병’에서는 김광계(金光繼, 1580∼1646)의 ‘매원일기’ 속 에피소드를 웹툰으로 각색했다. 독선생이 기거하는 집의 주인 김대감은 건강염려증으로 갖은 약재를 사들이고, 공부해 상비약을 만들어 복용한다. 스스로 공부하고 익혀 자신과 가족을 치료하는 선비들의 모습을 보며 조선의 민간의학과 현 의료 체계에 대하여 돌이켜보게 된다.
또한 ‘백이와 목금’의 ‘손님이 찾아왔다’에서는 전염병이 창궐한 고을에서 확산을 멈추고 치료하고자 사또는 직접 방법을 수소문해가며 찾아 나선다. 또한 목금이를 만나 오늘날 백신의 효과와 같은 꿀팁을 배우기도 한다.
이밖에 ‘나무판에 새긴 이름, 편액’의 ‘각자도생(各自圖生)의 시대! 조선의 지방 공립 병원, 제민루(濟民樓)에 올라’에서는 1418년 경상북도 영주에 건립된 조선 최초의 지방 공립 병원 제민루(濟民樓)의 ‘백성을 구제한다’라는 긍휼(矜恤) 정신과 필자의 경험담이 함께 생생하게 펼쳐진다.
한편 웹진 담談 11월호는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홈페이지(https://story.ugyo.net/front/webzine/index.do)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많이 본 뉴스
- 1 “거의 모든 증례서 한약 활용…정형외과의로서 새로운 경험 지속”
- 2 한의학에서의 ChatGPT 활용법은?
- 3 무엇을 근거로 괜찮다고 설명할 것인가?
- 4 “한의사 활용 ‘지역 공공 필수 한정의사 면허’ 해법 될 수 있어”
- 5 “치매 예방과 관리, 한의학이 큰 강점 갖고 있어”
- 6 한의사 75% “급여 줄어도 수련 후 필수의료에 종사할 의향 있다”
- 7 PDRN을 넘어: PDRN-PL의 한의학적 가치와 치유의 새로운 패러다임
- 8 고종황제 주치의 재연 통해 ‘대통령 한의사 주치의 위촉’ 촉구
- 9 ‘자동차보험 대책위원회’ 가동, 자보 현안 능동 대처
- 10 한의사에서 시민까지 ‘돌보는 의료’ 참여…‘한국재택의료협회’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