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으로 풀어보는 한국 한의학 (171)

기사입력 2019.12.05 16:05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a ks url
    『東醫寶鑑』의 火就燥論
    “火就燥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된다”


    20191121171156_839ac0f66b8bbe76af178828fab83321_hxjb.jpg
    김남일 교수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火就燥’란 말은 본래 『周易』의 乾卦, 文言傳에 나오는 말이다. 文言傳은 乾卦와 坤卦를 儒家的 立場에서 기술한 것이다. 이 가운데에 ‘火就燥’란 말이 나오니 해당 부분은 다음과 같다.

    “九五에서 나는 龍이 하늘에 있으니 大人을 만나는 것이 이롭다고 하였으니 무슨 말인가? 공자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같은 소리는 서로 응하고 같은 기운은 서로 구한다. 물은 습기가 있는 곳으로 흐르고 불은 건조한 곳으로 나가고(火就燥) 구름은 용을 좇고 바람은 호랑이를 좇아 간다. 성인이 일어남에 만물이 쳐다보나니 하늘에 근본한 것은 위와 친하고 땅에 근본한 것은 아래와 친하여 각각 그 같은 부류를 좇아간다.”

    여기에서 ‘火就燥’란 “불은 건조한 곳으로 나간다”는 의미로서 “同聲相應, 同氣相求”의 “같은 소리는 서로 응하고 같은 기운은 서로 구한다”는 뜻의 傍證으로 언급된 것이다. 

    『東醫寶鑑』을 펼쳐보면 火就燥란 말이 사용된 用例가 여러 군데 보인다. 이들 用例를 통해 火就燥의 의미를 『東醫寶鑑』에서 어떻게 구사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첫째, 泄瀉가 심해져서 痢疾이 된 기전에 대한 설명에 활용되고 있다. 『東醫寶鑑·內景』 大便門의 【膿血痢】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膿血이 찐득찐득한 것은 모두 火에 속한다. 무릇 太陰濕은 泄瀉를 主하고 少陰은 痢를 主한다. 이것(膿血痢)은 먼저 설사하여 津液이 없어져 ‘화기운이 건조하게 만든 것(火就燥)’이다. 腎은 건조한 것을 싫어하는데, 下焦血分에 居한다. 그것이 邪氣를 받았기 때문에 膿血이 섞인 변을 보는 것이다. 이른바 泄瀉는 脾에 屬하고 痢疾은 腎에 屬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火就燥는 “津液의 亡失로 인해 생겨난 火氣가 乾燥하게 만들었다”는 의미가 된다.

    둘째, 肛門痒痛에 대한 설명에 활용된 경우이다. 

    『東醫寶鑑·外形』 後陰門에서 항문이 가려우면서 아픈 증상에 대해 五行의 生剋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火就燥에 대한 기발한 설명이다. “항문 끝이 크게 아픈 것은 火 때문이다. 또한 大便이 秘澁하여도 大痛이 일어난다. 무릇 사람이 취하고 배부른 상태에서 성행위를 하고는 사정하는 것을 참으면 생식기의 기운이 大腸으로 돌아가니 木이 火熱을 타고 燥金을 모욕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火就燥인 것이다. 大便이 반드시 막히게 된다.” 

    셋째, 피부에 생겨난 瘡腫에 붙이는 약에 대한 설명에 활용한 경우다.

    『東醫寶鑑·雜病』 癰疽門 【癰疽糝貼法】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무릇 瘡腫이 처음 생겨남에 꼭지가 있는 것 같으면 溫熱藥을 붙여서 熱毒을 引出시켜야 할 것이니 火就燥의 뜻이다.” 이것은 瘡腫에 溫熱한 성질의 약으로 고약을 만들어 붙이는 것이 熱毒을 빼내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이니, 이것은 外用藥을 사용할 때 溫熱한 약이나 有毒한 약을 사용할 수 있다는 원칙을 제시한 것으로서 후대에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火就燥의 火는 溫熱한 약물을 말하고 燥란 瘡腫이 생긴 患部를 말하므로 “火就燥”란 “溫熱한 약물이 瘡腫으로 건조해진 곳으로 나간다”는 의미를 띤다.

    넷째, 黃連에 대한 설명이다. 

    黃連은 『東醫寶鑑·湯液』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手少陰經에 들어가며 苦燥하므로 心에 들어가니 火就燥이다. 瀉心할 수 있는데, 실제로는 脾胃中의 濕熱을 瀉한다. (入手少陰經苦燥故入心火就燥也能瀉心其實瀉脾胃中濕熱也)” 여기에서 火就燥에서 火는 心을 지칭하고 燥는 黃連의 藥性이다. 그러므로 “火就燥”란 “黃連의 燥氣가 心火로 들어간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다섯째, 灸法上 熱證에 뜸을 떠주어 瀉熱되는 것에 대한 기전 설명이다. 

    이것은 『東醫寶鑑·鍼灸』  【灸法】에 나온다. “虛한 경우에 뜸을 떠주어 火氣로 하여금 元陽을 도와주도록 한다. 實한 경우에 뜸을 떠주어 實邪로 하여금 火氣를 따라서 發散되게 한다. 寒한 경우에 뜸을 떠주어 氣로 하여금 溫氣를 회복하게 한다. 熱한 경우에 뜸을 떠주어 鬱熱한 기운을 당겨서 밖으로 발산되게 하니 火就燥의 뜻이다.” 이것은 熱證에 뜸을 떠주어 熱을 내려가게 되는 원인을 火就燥로 설명하고 있는 장면이다. 이 문장상으로 살펴보면 ‘火就燥’의 의미가 “뜸쑥의 불을 열나서 건조한 증상에 사용한다”는 의미가 된다.

    김남일.png
    火就燥에 대한 논리가 들어있는 ‘동의보감’의 문장.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