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17.8℃
  • 구름많음속초17.4℃
  • 구름많음22.9℃
  • 구름많음철원19.6℃
  • 구름많음동두천22.5℃
  • 구름많음파주19.3℃
  • 구름조금대관령21.6℃
  • 구름많음춘천23.1℃
  • 박무백령도8.9℃
  • 구름많음북강릉22.8℃
  • 구름조금강릉24.8℃
  • 맑음동해19.6℃
  • 구름많음서울23.4℃
  • 구름많음인천20.6℃
  • 구름많음원주24.7℃
  • 구름많음울릉도16.1℃
  • 구름많음수원23.2℃
  • 구름많음영월24.8℃
  • 구름많음충주24.2℃
  • 구름많음서산19.8℃
  • 구름조금울진25.8℃
  • 구름많음청주26.0℃
  • 구름많음대전26.8℃
  • 구름조금추풍령24.9℃
  • 구름조금안동24.0℃
  • 구름조금상주23.6℃
  • 구름많음포항24.5℃
  • 구름많음군산24.6℃
  • 흐림대구21.4℃
  • 구름조금전주26.4℃
  • 구름많음울산21.7℃
  • 흐림창원18.6℃
  • 구름많음광주24.3℃
  • 흐림부산16.7℃
  • 흐림통영18.3℃
  • 구름조금목포19.0℃
  • 흐림여수17.2℃
  • 흐림흑산도14.9℃
  • 맑음완도24.3℃
  • 구름많음고창24.3℃
  • 구름많음순천19.2℃
  • 구름많음홍성(예)24.6℃
  • 구름많음26.3℃
  • 맑음제주22.4℃
  • 흐림고산16.4℃
  • 흐림성산19.2℃
  • 비서귀포17.9℃
  • 구름많음진주18.8℃
  • 구름많음강화18.8℃
  • 구름많음양평23.6℃
  • 구름많음이천24.7℃
  • 구름많음인제22.3℃
  • 구름많음홍천24.1℃
  • 구름조금태백22.6℃
  • 구름조금정선군24.8℃
  • 구름많음제천22.7℃
  • 구름많음보은23.5℃
  • 구름조금천안24.7℃
  • 구름많음보령21.2℃
  • 구름많음부여24.1℃
  • 구름많음금산25.8℃
  • 구름많음24.9℃
  • 구름많음부안24.5℃
  • 구름많음임실22.0℃
  • 구름많음정읍24.6℃
  • 구름많음남원23.0℃
  • 구름많음장수22.8℃
  • 구름조금고창군24.6℃
  • 구름조금영광군23.1℃
  • 흐림김해시18.2℃
  • 구름많음순창군25.1℃
  • 흐림북창원19.4℃
  • 흐림양산시18.0℃
  • 구름많음보성군21.1℃
  • 맑음강진군22.6℃
  • 맑음장흥21.5℃
  • 구름조금해남22.2℃
  • 구름많음고흥20.1℃
  • 흐림의령군20.3℃
  • 맑음함양군23.6℃
  • 흐림광양시18.8℃
  • 흐림진도군17.3℃
  • 구름조금봉화21.6℃
  • 구름많음영주21.0℃
  • 구름많음문경21.5℃
  • 구름조금청송군24.6℃
  • 맑음영덕25.1℃
  • 구름많음의성24.4℃
  • 구름많음구미23.4℃
  • 구름많음영천20.9℃
  • 구름조금경주시24.8℃
  • 구름조금거창22.3℃
  • 흐림합천21.1℃
  • 흐림밀양20.0℃
  • 구름많음산청22.4℃
  • 흐림거제18.1℃
  • 흐림남해19.0℃
  • 비17.8℃
  • 구름많음속초17.4℃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17일 (목)

“완과침, 노인환자 위수면내시경 검사서 프로포폴 사용량 줄여”

“완과침, 노인환자 위수면내시경 검사서 프로포폴 사용량 줄여”

20240426085524_d18da2d477a8278f907fa1f787782f6d_ebas.jpg[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666.jpg

 

이향숙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KMCRIC 제목

노인 환자 위수면내시경 검사에서 완과침 시술은 프로포폴 용량과 부작용을 줄여준다.


서지사항

Dong Y, Liang Z, Xu Z, Hao W, Wang D, Yang J, Yuan J. Effect of Wrist-Ankle Acupuncture on Propofol Dosage in Painless Gastroscopy of Elderly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Ther. 2022 Jul 1;29(4):467-70. doi: 10.1097/MJT.0000000000001272(2021 IF 3.098),


연구 설계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 완과침+프로포폴 vs 프로포폴.


연구 목적

노인 환자 위수면내시경에서 완과침이 프로포폴 용량과 부작용을 줄여주는지 평가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 대상

70∼85세 위수면내시경 환자(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grade II-III). 


시험군 중재

△완과침군(n=50)

1) 양측 상1, 상2, 하1 구역(자세한 치료 내용은 보고되지 않았음).

2) 날부핀 0.1mg/kg, 프로포폴 2.5ug/mL: 수술 중 신체 움직임에 따라 프로포폴 추가.

 

대조군 중재

△양성대조군 (n=50)

날부핀 0.1mg/kg, 프로포폴 2.5ug/mL: 수술 중 신체 움직임에 따라 프로포폴 추가.


평가지표

1) 프로포폴 총사용량(mg).

2) 회복 시간(min). 

3) 수면 회복 정도(Aldrete score)≥9가 될 때까지 걸린 시간(min.) 

4) 이상 반응: 호흡 억제(SpO2<90%), 저혈압, 오심구토 환자 비율.


주요 결과

1) 69.2±0.3 vs 78.4±0.2(p<0.05) 

2) 1.0±0.4 vs 1.9±0.5(p<0.05) 

3) 10.3±1.2 vs 13.4±1.6(p<0.05) 

4) 모두 p<0.05


저자 결론

노인 환자 위수면내시경 검사에서 완과침은 프로포폴 사용량을 유의하게 줄이고 회복 시간을 단축하며 마취제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KMCRIC 비평

나이가 들면서 종양 발생이 증가하고 다양한 진단 검사 등의 목적으로 위내시경 검사는 침습적이고 불편하지만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1], 미국에서는 매년 1000만명 이상이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받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2, 3]. 


시술 중에 진정제와 진통제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인데, 이는 불필요한 부작용[4]과 사회적 비용으로 이어지고[5], 특히 노인 환자에서는 프로포폴과 관련된 호흡, 순환계통에서의 다양한 이상반응을 주의해야 하므로 이러한 맥락에서 진정제 및 진통제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중재에 대한 지속적 요구가 있었다.


본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는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70∼85세 노인 환자에서 완과침(腕踝鍼) 시술을 추가적으로 더한 경우 완과침 치료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프로포폴의 사용량과 부작용이 유의하게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완과침은 1972년 장심서(張心曙) 교수가 신경증에 전기 자극을 활용하며 개발한 신침 요법으로 알려져 있는데, 횡경막을 경계로 병증이 나타나는 구역에 따라 대응점을 선택하는 침법으로 양측 손목 관절과 발목 관절에서 각각 2寸, 3寸 올라간 자리 각 6개를 정하여 상1-상6, 하1-하6까지 12개, 양측 24개의 대응점을 활용하며 통증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에 활용되어 왔다[6]. 


본 연구에서는 상1, 상2, 하1에 구역에 자침하였는데 이는 각각 영도(HT4), 내관(PC6), 부류(KI7) 부근에 해당하는 부위가 된다[7]. 

시술의 자세한 사항들은 본 연구가 편지 형태로 게재되어 지면상 생략된 것 같지만 완과침법 시술도 통상적인 침 치료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위내시경 검사에서의 침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들은 기존에 다수 이뤄졌는데 프로포폴 사용량부터 오심구토 횟수, 강도, 오심구토를 호소한 환자의 비율, 통증 정도 등 평가지표의 다양성, 눈가림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은 점 등의 한계들이 있다[8, 9]. 


본 연구 역시 A+B vs. A 연구 설계의 한계-항상 A+B가 이긴다-를 극복하기 위한 평가자 눈가림 등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여 이러한 부분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고 완과침의 이상 반응에 관한 기술이 결여된 점이 아쉽다. 


그러나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노인 환자들이 매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프로포폴의 사용량과 회복 시간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여주고 다양한 이상반응 역시 완과침군에서 유의하게 줄어든 것으로 보고된 바, 비교적 간단한 중재를 통해 위내시경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프로시저(Procedure)로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매우 흔히 이뤄지고 있는 상하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에 침의 추가적인 역할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참고문헌

[1] 감염 관리 중요성 커진 내시경실, 적정성 평가 구체화. 메디칼타임즈. 2019-01-07

https://www.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mode=view&ID=1123680&REFERER=NP

[2] Morrissey JF, Reichelderfer M. Gastrointestinal endoscopy (1). N Engl J Med. 1991 Oct 17;325(16):1142-9. doi: 10.1056/NEJM199110173251606.

https://pubmed.ncbi.nlm.nih.gov/1891023/

[3] Morrissey JF, Reichelderfer M. Gastrointestinal endoscopy (2). N Engl J Med. 1991 Oct 24;325(17):1214-22. doi: 10.1056/NEJM199110243251705.

https://pubmed.ncbi.nlm.nih.gov/1922209/

[4] Goudra B, Nuzat A, Singh PM, Borle A, Carlin A, Gouda G. Association between Type of Sedation and the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Endoscopy: An Analysis of 5 Years’ Data from a Tertiary Center in the USA. Clin Endosc. 2017 Mar;50(2):161-9. doi: 10.5946/ce.2016.019.

https://pubmed.ncbi.nlm.nih.gov/27126387/

[5] Aisenberg J, Brill JV, Ladabaum U, Cohen LB. Sedation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new practices, new economics. Am J Gastroenterol. 2005 May;100(5):996-1000. doi: 10.1111/j.1572-0241.2005.50034.x.

https://pubmed.ncbi.nlm.nih.gov/15842568/

[6] Zhu LB, Chan WC, Lo KC, Yum TP, Li L. Wrist-ankle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pain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2014:261709. doi: 10.1155/2014/261709.

https://pubmed.ncbi.nlm.nih.gov/25132858/

[7] 표준경혈 DB.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https://www.kmcric.com/database/acupoint

[8] Lee H, Ernst E. Acupuncture for GI endoscopy: a systematic review. Gastrointest Endosc. 2004 Nov;60(5):784-9. doi: 10.1016/s0016-5107(04)02030-9.

https://pubmed.ncbi.nlm.nih.gov/15557955/

[9] Gao N, Chen H, Wang Y, Guo Y, Liu Z, Wang W. Acupuncture to Improve Patient Discomfort During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nt Med (Lausanne). 2022 Jun 3;9:865035. doi: 10.3389/fmed.2022.865035.

https://pubmed.ncbi.nlm.nih.gov/35721049/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RCT&access=R202010005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