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12.1℃
  • 맑음속초10.5℃
  • 구름조금12.7℃
  • 구름많음철원11.2℃
  • 구름많음동두천14.6℃
  • 구름많음파주11.3℃
  • 구름조금대관령6.1℃
  • 구름많음춘천13.6℃
  • 구름많음백령도9.6℃
  • 맑음북강릉11.5℃
  • 맑음강릉14.5℃
  • 구름조금동해11.0℃
  • 구름많음서울15.6℃
  • 구름많음인천13.1℃
  • 구름많음원주15.3℃
  • 맑음울릉도9.2℃
  • 구름많음수원12.2℃
  • 구름많음영월15.0℃
  • 구름조금충주14.0℃
  • 구름많음서산9.9℃
  • 구름조금울진10.8℃
  • 구름많음청주17.8℃
  • 구름많음대전16.1℃
  • 구름많음추풍령15.8℃
  • 구름조금안동15.6℃
  • 구름많음상주15.6℃
  • 구름조금포항12.7℃
  • 구름많음군산10.8℃
  • 구름많음대구15.9℃
  • 구름많음전주14.9℃
  • 구름조금울산10.7℃
  • 구름조금창원12.2℃
  • 구름많음광주16.2℃
  • 구름조금부산12.6℃
  • 구름많음통영11.9℃
  • 구름많음목포13.8℃
  • 구름많음여수13.4℃
  • 구름많음흑산도11.1℃
  • 구름많음완도12.0℃
  • 구름많음고창10.7℃
  • 구름많음순천10.0℃
  • 구름많음홍성(예)12.1℃
  • 구름많음15.7℃
  • 구름많음제주14.4℃
  • 구름많음고산14.3℃
  • 구름많음성산12.8℃
  • 구름많음서귀포14.9℃
  • 구름많음진주11.2℃
  • 구름많음강화10.3℃
  • 구름많음양평17.1℃
  • 구름조금이천16.4℃
  • 구름조금인제11.6℃
  • 구름조금홍천13.9℃
  • 구름조금태백7.8℃
  • 구름조금정선군10.7℃
  • 구름많음제천13.4℃
  • 구름많음보은14.6℃
  • 구름많음천안13.8℃
  • 구름많음보령10.7℃
  • 구름많음부여12.4℃
  • 구름많음금산14.8℃
  • 구름많음15.3℃
  • 구름많음부안11.3℃
  • 구름많음임실11.0℃
  • 구름많음정읍11.7℃
  • 구름많음남원13.9℃
  • 구름많음장수10.9℃
  • 구름많음고창군11.7℃
  • 흐림영광군12.8℃
  • 구름조금김해시12.6℃
  • 구름많음순창군14.7℃
  • 구름조금북창원13.9℃
  • 구름조금양산시12.5℃
  • 흐림보성군11.0℃
  • 구름많음강진군13.0℃
  • 구름많음장흥13.2℃
  • 구름많음해남10.7℃
  • 구름많음고흥9.7℃
  • 구름많음의령군12.5℃
  • 구름많음함양군12.1℃
  • 구름많음광양시13.7℃
  • 구름많음진도군12.6℃
  • 구름조금봉화8.5℃
  • 구름조금영주11.7℃
  • 구름많음문경14.7℃
  • 구름조금청송군9.2℃
  • 구름조금영덕9.0℃
  • 구름조금의성12.6℃
  • 구름많음구미18.9℃
  • 구름많음영천12.6℃
  • 구름조금경주시10.9℃
  • 구름많음거창12.4℃
  • 구름조금합천14.8℃
  • 구름많음밀양13.5℃
  • 구름많음산청15.0℃
  • 구름조금거제12.7℃
  • 구름많음남해12.5℃
  • 구름조금12.1℃
  • 맑음속초10.5℃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11일 (금)

論으로 풀어보는 한국 한의학(294)

論으로 풀어보는 한국 한의학(294)

許任의 頭無冷痛腹無熱痛論
“근현대까지 계승되고 있는 허임의 침구학설”

김남일.jpg

김남일 교수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頭無冷痛, 腹無熱痛”이란 말은 許任(1570〜1647)이 처음 제기한 논이다. 이 주장은 그의 저술 『鍼灸經驗方』에 등장한다. 

먼저 서문에 나온다. 그 내용은 통증에 대한 설명을 하는 과정에서 등장한다. 

 

“그 부분의 색을 본다면 푸른 색이 많으면 痛이고, 검은 색이 많으면 風痹이고, 흰색이 많으면 찬 것이고, 黃赤색이면 熱이다. 風濕寒熱이 모두 오색으로 드러남에 찬 기운이 많으면 筋攣骨痛이고, 熱이 많으면 筋緩骨消이며, 惡寒하면서 몸이 차면 冷이다. 惡寒하면서 몸이 뜨거우면 熱이다. 또한 머리는 차서 아픈 경우가 없고, 배는 뜨거워서 아픈 경우가 없으니(且頭無冷痛하고 腹無熱痛), 무른 痛이 善行數變한 것은 風이고, 아픈 것이 한 곳에 있으면서 皮膚가 赤熱한 것은 膿의 징조이고, 혹 피부가 밖으로 들떠 오르데 가렵지도 아프지도 않으면 痰 때문이다.” 

 

즉 침구의 치료 대상인 통증이 생기는 원인에 대한 인식을 두통, 복통, 냉통, 열통의 열결을 통해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머리는 차가워서 아픈 경우가 없고, 배는 뜨거워서 아픈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頭無冷痛’은 『鍼灸經驗方』 頭面部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김남일.JPG
허임의 ‘침구경험방’ 서문에 나오는 頭無冷痛腹無熱痛論.

“머리는 모든 陽이 모인 곳이다. 그러므로 ‘머리는 차가워서 아픈 경우가 없다(頭無冷痛)’라고 하거늘, 침으로 치료하고자 하건데, 마땅히 手足諸陽經을 찔러야 하고, 頭部에 놓는 것이 마땅하지 않은 것은 무슨 이유인가. 鍼이라는 것은 능히 氣를 끌어당기는 데는 능한 것이기에 만약 頭部에 놓는다면 모든 陽의 氣가 아울어 머리에서 울체가 되어서 그 熱을 그치게 하여 억제시키기 어렵게 된다. 혹 不省人事가 된 경우라면 반드시 手足諸陽經을 끌어서 瀉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끓는 물을 까불어서 끓어오르는 것을 막는 데는 땔나무를 치우는 방법만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 ‘腹無熱痛’은 『鍼灸經驗方』 腹脇部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腹無熱痛이라 하니 치료하는 것을 足三陰經과 五臟兪穴에 둘 것이라.”

“頭無冷痛, 腹無熱痛”은 놀랍게도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에도 등장한다. 卷之三 少陽人脾受寒表寒病論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오는 것이다. 

 

“古醫有言頭無冷痛腹無熱痛此言非也何謂然耶少陰人元來冷勝則其頭痛亦自非熱痛而卽冷痛也少陽人元來熱勝則其腹痛亦自非冷痛而卽熱痛也古醫又言汗多亡陽下多亡陰此言是也何謂然耶少陰人雖則冷勝然陰盛格陽敗陽外遁則煩熱而汗多也此之謂亡陽病也少陽人雖則熱勝然陽盛格陰敗陰內遁則畏寒而泄下也此之謂亡陰病也亡陽亡陰病非用藥必死也不急治必死也”

“腹無熱痛, 頭無冷痛”의 논은 필자의 조사에 따르면 『察病要訣』, 황한주의 ‘鍼灸總論’ 등에도 등장한다. 『察病要訣』은 안상우에 따르면 대구 在田堂書鋪에서 1930년에 발행한 책으로서 雜病의 病機에서부터 臟腑·經絡·外形의 생리와 병리 등 의학 전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黃翰周의 ‘鍼灸總論’은 1914년에 간행된 한국 최초의 한의학 학술잡지인 『漢方醫藥界』 제2호에 실린 글로서 한국 침구학의 총론을 간결하게 정리한 글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허임의 침구학의 이론이 조선후기를 거쳐 근현대까지 영향을 미쳐왔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