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13.2℃
  • 맑음속초12.2℃
  • 맑음7.6℃
  • 맑음철원7.4℃
  • 맑음동두천8.4℃
  • 맑음파주7.4℃
  • 맑음대관령4.0℃
  • 맑음춘천7.8℃
  • 맑음백령도9.7℃
  • 맑음북강릉15.8℃
  • 맑음강릉13.2℃
  • 맑음동해13.2℃
  • 박무서울10.8℃
  • 박무인천9.2℃
  • 맑음원주9.8℃
  • 맑음울릉도10.8℃
  • 박무수원9.4℃
  • 맑음영월7.8℃
  • 맑음충주8.6℃
  • 맑음서산7.5℃
  • 맑음울진12.2℃
  • 맑음청주10.3℃
  • 맑음대전10.1℃
  • 맑음추풍령11.1℃
  • 맑음안동8.9℃
  • 맑음상주9.7℃
  • 맑음포항11.9℃
  • 구름많음군산6.4℃
  • 맑음대구11.6℃
  • 박무전주8.3℃
  • 맑음울산13.2℃
  • 맑음창원14.1℃
  • 맑음광주8.6℃
  • 맑음부산15.8℃
  • 맑음통영12.0℃
  • 구름많음목포7.1℃
  • 박무여수11.5℃
  • 맑음흑산도9.5℃
  • 맑음완도10.1℃
  • 구름많음고창5.0℃
  • 맑음순천8.7℃
  • 박무홍성(예)8.5℃
  • 맑음8.8℃
  • 맑음제주11.0℃
  • 맑음고산11.7℃
  • 맑음성산14.8℃
  • 맑음서귀포15.0℃
  • 맑음진주10.7℃
  • 맑음강화9.3℃
  • 맑음양평8.5℃
  • 맑음이천9.3℃
  • 맑음인제5.9℃
  • 맑음홍천6.6℃
  • 맑음태백8.3℃
  • 맑음정선군4.6℃
  • 맑음제천8.5℃
  • 맑음보은6.8℃
  • 맑음천안8.4℃
  • 맑음보령8.2℃
  • 맑음부여6.8℃
  • 맑음금산7.4℃
  • 맑음8.9℃
  • 흐림부안7.6℃
  • 맑음임실6.5℃
  • 맑음정읍7.5℃
  • 맑음남원7.0℃
  • 맑음장수5.6℃
  • 맑음고창군6.7℃
  • 구름많음영광군5.3℃
  • 맑음김해시12.6℃
  • 맑음순창군6.7℃
  • 맑음북창원13.5℃
  • 맑음양산시12.2℃
  • 맑음보성군9.7℃
  • 맑음강진군8.3℃
  • 맑음장흥7.6℃
  • 맑음해남6.8℃
  • 맑음고흥10.8℃
  • 맑음의령군11.4℃
  • 맑음함양군7.8℃
  • 맑음광양시12.1℃
  • 맑음진도군7.6℃
  • 맑음봉화5.2℃
  • 맑음영주8.4℃
  • 맑음문경10.1℃
  • 맑음청송군6.8℃
  • 맑음영덕11.6℃
  • 맑음의성8.2℃
  • 맑음구미12.1℃
  • 맑음영천7.7℃
  • 맑음경주시8.9℃
  • 맑음거창
  • 맑음합천8.5℃
  • 맑음밀양10.5℃
  • 맑음산청7.8℃
  • 맑음거제12.8℃
  • 맑음남해12.1℃
  • 맑음13.2℃
  • 맑음속초12.2℃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11일 (금)

세무/노무/법률

한의원 세무 칼럼 – 137

  • 작성자 : 한의신문
  • 작성일 : 19-02-15 02:51
  • 조회수 : 706
지속적으로 인상되는 최저임금, 그 산입범위는? 2018년부터 최저임금이 갑작스럽게 7530원으로 인상되면서 많은 소규모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가중돼 고용을 줄이는 움직임이 곳곳에 포착되면서,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임금 범위가 살짝 넓혀졌다.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임금에 정기상여금, 복리후생비를 산입함으로써 실제 지급받는 임금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연봉 3~4000만원을 받는 노동자 중 정기상여금, 복리후생비는 높으나 기본급이 최저임금 수준으로 낮은 경우, 심지어는 최저임금법에 위반되는 불합리한 사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매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이 최저임금에 산입된다는 원칙을 정함으로써 그간 복잡했던 임금체계 개편의 계기를 마련하고, 고임금 노동자까지 최저임금 인상의 혜택을 받는 불합리성이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번호에서는 요즘 사회적으로 시끄러운 최저임금 중에서 최저임금 산입범위에 대해서 다뤄보기로 한다. 1.현행 최저임금 산입범위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임금) 현행 최저임금 산입범위(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임금)는 노동자가 받는 임금에서 격월 · 분기별 정기상여금, 숙박비 · 식비 등 복리후생수당이 제외되고 있다. 제외하는 구체적인 항목은 최저임금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기본급과 직무수당 등 맡은 업무와 관련해 매월 지급되는 수당만 포함되는 등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임금의 범위가 협소하다는 불만의 소리가 여기저기서 많았다. 현행 범위는 ‘86년 최저임금법 제정 당시 산입범위 규정이 현재까지 유지된 것으로, 정기상여금과 각종 수당을 임금으로 지급하는 현행 임금체계 미반영 됐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번 최저임금 범위에 매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임금은 최저임금에 산입키로 했다. 다만, 아래의 임금은 최저임금에 미산입 한다. ① 근로기준법의 소정근로시간 또는 소정의 근로일에 대하여 지급하는 임금 외의 임금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임금(초과근로수당 등) ② 상여금,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것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임금의 월 지급액 중 해당연도 시간급 최저임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된 월 환산액의 25%에 해당하는 부분 ③ 식비, 숙박비, 교통비 등 근로자의 생활보조 또는 복리후생을 위한 성질의 임금으로서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 통화 이외의 것(현물)으로 지급하는 임금 ⓑ 통화로 지급하는 임금의 월 지급액 중 해당연도 시간급 최저임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된 월 환산액의 7%에 해당하는 부분 이에 따라 매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상여금과 현금으로 지급하는 복리후생비의 경우 해당 연도 시간급 최저임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된 월 환산액의 25%(정기상여금 연 300%)와 7%를 초과하는 부분*은 최저임금에 산입한다. *‘18년 최저임금 월 환산액 기준, 최대 50여만원 = 157만원 × 32% ㅇ다만, 미산입 비율은 단계적으로 축소돼 ‘24년 이후에는 전부 산입 [정기상여금, 현금성 복리후생비의 최저임금 미산입 비율] ☞ 정기상여금, 현금성 복리후생비 중 해당 연도 시간급 최저임금액을 월 단위로 환산한 금액의 아래 비율 2182-33 또한, 사용자가 개정법에 따라 산입되는 임금을 포함시키기 위해 1개월을 초과하는 주기로 지급하는 임금을 총액의 변동 없이 매월 지급하는 것으로 취업규칙을 변경할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94조제1항에도 불구하고 과반수 노동조합 또는 과반수 근로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는 취업규칙 변경절차의 특례를 규정 △취업규칙 변경시에 의견을 듣지 않으면 5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부과하도록 했다. 문의사항 Tel : 010-3422-1650 | Freecolt@naver.com

네티즌 의견 0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