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면보기

2018-09-10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9-07-11 16:07 조회49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제 2180호
///날짜 2018년 9월 10일
///시작
///면 1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역량 중심의 한의학 교육 개선에 주력
///부제 한평원, 한의학교육 심포지엄
///부제 주요 한의대의 교육 개선사례 공유 한의학 교육의 질 향상 도모
///본문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이하 한평원)이 한의학교육 개선을 위해 주요 한의과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개선방안에 대한 공유로 한의학교육의 질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적극적인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보다 안정적인 한의과대학 평가인증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평원은 지난 1일 서울역 삼경교육센터에서 ‘제4차 한의학교육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대전대·우석대·원광대 한의과대학에서 진행한 한의학교육 개선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적인 소개를 비롯해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평가인증과 관련해 진행된 심층면접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신상우 한평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일모도원(日暮途遠)’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갈길은 먼데 날은 저문다는 뜻으로, 한의계 일부에서는 (한의학교육 개선은)단계적으로 접근해야지 왜 이리 서두르느냐는 의견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한의계에는)날이 저물고 있다. 현재 한의학교육 개선에 있어 유일한 성과는 1주기 한의대 평가인증을 안정적으로 마친 것뿐인 만큼 그 다음 단계를 밟아가는 우리의 보폭이 지금보다 빨라져야 한다는 바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최혁용 대한한의사협회 회장은 축사에서 “현재 대한민국 한의사는 중국 한의사의 지위를 가지고 있지만, 정작 미국 침구사와 동일한 직책을 수행하고 있다는 불일치된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협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한의협에서는 이 같은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 나가고 있으며, 특히 이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한의학교육도 세계의학교육연합회가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만큼 우리 한의계 모두가 단합된 힘을 바탕으로 이 기준을 따라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성과기반교육의 평가(김영전 원광대 의대 교수) △대전대 교육과정 개편 사례(장은수 대전대 한의대 학과장) △우석대 역량중심 졸업역량 설정 사례(김홍준 우석대 한의대 교수) △원광대 졸업역량 설정 및 CQI 개발 사례(정명수 원광대 한의대 학과장) △한의학교육 평가인증의 성과와 개선방안(신상우 한평원 원장) 등의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이날 심포지엄에서 대전대의 교과과정 개편과 관련해 발표한 장은수 학과장은 “대전대 한의대에서는 본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 학생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해 교과과정을 개편하게 됐다”며 “이에 따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향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고와 선택의 기회를 부여하는 한편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한의사 양성을 위해 임상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개편이 추진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교과과정 개편을 통해 대전대 한의대는 본과에서 배우는 임상과목, 기초 필수 및 임상, 기초 필수 과목은 약 12개의 전공 선택 과목으로 통합됐다. 또한 예과 과정에서 배우는 기초 한의학 및 교육, 한의학 소양 및 교양은 예과 공통으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교육과목으로 통합됐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장 학과장은 “대전대 한의대에서는 한의학교육이 변화해야 한다는 공감대 형성 아래 지난 1월과 7월에 각각 워크숍을 개최하고 교수 차원의 합의는 물론 한의대의 발전적인 미래방향을 모색했다”며 “2017년 이후 의료 분야 키워드가 △예측·예방·맞춤·환자참여형 의학(4P 의학) △근거 중심 △표준화 △산업화 △통합의학 △공적 보험 복지의 시대 등으로 급변하는 상황에서, 대전대 한의대의 교과과정 개편 등을 비롯한 한의학교육 개선을 위한 노력들이 향후 한의학교육 변화에 보탬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끝
///시작
///면 2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과학기반·생의학기반·근거중심 담은 새 한의학 정의 적극 지지”
///부제 대한한의사협회 자문위원회
///부제 새 한의학 정의 담자는 학장협에 한의협 자문위 지지 표명
///부제 첩약보험, 추나요법 급여화 등 현안 논의도
///본문 대한한의사협회 자문위원회(이하 한의협 자문위)가 한국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에서 제안한 새로운 한의학 정의 정립에 적극적인 지지에 나섰다.
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 한의학 원리가 더욱 응용·발전할 수 있도록 한의학 교육에 힘을 실어주자는 의미에서다.
한의협 자문위는 지난 3일 서울 용산역 인근에서 ‘제3차 한의협 자문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이 의결했다.
앞서 학장협은 지난달 21일 한의사 국가시험을 단계별로 나눠 치루고, 기초종합평가를 도입하기로 의결한 바 있다. 이는 한의과대학 교육을 발전시키고,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해 역량 있는 한의사 양성에 힘을 기울이기 위해서다.
그러면서 장인수 학장협 부회장은 과학기반·근거중심 학문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새 한의학 정의를 담은 선언문을 발표하자고 제안을 한 것.
장 부회장이 제안한 선언문에는 △한의학은 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학문이다 △한의학은 생의학적 지식 체계를 바탕으로 한다 △한의학 교육은 근거중심의학에 기초한 교육을 기반으로 한다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이에 한의협 자문위는 새 한의학 정의와 학장협이 의결한 단계별 시험제 및 기초종합평가 시행에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했다.
아울러 이날 자문위에서는 한의약 건강보험 확대를 위한 추나요법과 첩약 건보 진입 추진 경과도 논의했다.
추나요법 건보 적용은 현재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급여 적용을 위해 복지부와 급여화 모델에 대해 막바지 협의 중에 있다.
첩약 건보 역시 국민건강보험공단 총괄 아래 오는 11월까지 ‘첩약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부산대 산학협력단은 연구 용역을 맡아 현재 국내·외 첩약 조제현황, 관리기준 등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첩약 급여화를 위한 단계적 기반 구축 등을 진행하고 있다.
최도영 대한한의학회장은 “한의 건보 비중이 전체 건보 재정에 4%가 안 된다는 점을 정부에 설득력 있게 제시해야 할 것”이라며 “4.5%, 5% 씩 단계별 퍼센티지를 올릴 수 있도록 한의 비급여의 급여 타당성을 내세워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재동 학장협 회장은 “정부 시책에 맞춰 아이템을 전략적으로 짜 맞추는 것 또한 중요하다”면서 “가령 저출산 문제가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만큼 예비 임산부, 산모, 어린이 한약 등 실제 정책에 부합하는 아이템을 급여화하는 방안 마련을 검토해 달라”고 제안했다.
한의사 영문명칭인 ‘OMD(Oriental Medical Doctor)’에 대한 개정 논의도 이뤄졌다.
한의학 영문명칭은 지난 2012년 제57회 한의협 정기총회에서 ‘KM(Korean Medicine)’으로 변경해 각종 서식에 사용하고 있지만, 한의사 기본 증명 서류인 한의사면허증 영문명은 ‘OMD’로 표기돼 온 실정.
해외 진출에 있어 제약을 받고 있는 점을 해결하고자 협회는 현재 세 가지 안을 마련해 복지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최혁용 한의협 회장은 “미국은 오리엔탈(oriental) 사용이 금지돼 있다”면서 “이번 메디컬 닥터(Medical Doctor)로 바꾸는 것이 목적이다. 표현 방안을 정해서 정부와 협의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2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복지부, 정신의료기관 격리·강박 관련 인권위 권고 ‘일부 수용’
///부제 격리·강박 지침 개정 및 2019년 약물 실태조사 등 추진
///본문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가 정신의료기관에서 격리·강박으로 인한 인권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격리·강박의 기준과 절차를 법령으로 강화할 것을 권고한데 대해, 보건복지부가 일부 수용 입장을 밝혔다.
인권위는 정신의료기관에서의 격리·강박으로 인한 진정이 지속 제기됨에 따라 ‘2015년 정신병원 격리·강박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격리·강박은 의료기관에서 행해지는 조치이지만 기본권을 제한하는 행위인 만큼 명확하고 엄격한 기준과 절차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인권위는 복지부에 △격리·강박에 대한 조건과 절차를 구체화하고, 현행 ‘지침’에서 ‘법령’으로 강화 △화학적 강박을 포함한 약물 투여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격리실의 구조와 설비, 강박도구의 표준화 △의료진 및 직원 대상의 격리·강박 관련 교육과 훈련 실시 △정신의료기관에서 실질적으로 환자 보호 및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보호사의 자격요건 규정 및 인력 관리 방안 마련 △신체적 자유를 제한하는 격리·강박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프로그램 연구·개발 등의 내용을 권고했다.
이에 대해 최근 복지부는 약물을 이용한 격리강박 실태조사와 격리·강박 대체프로그램에 대해 2019년 예산을 확보해 관련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의료인 및 종사자에 대한 격리·강박 관련 교육훈련은 ‘정신건강복지법’ 제70조 인권교육의 규정에 따른 종사자 의무교육에 포함해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끝
///시작
///면 2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대전대 둔산한방병원 다문화가정 어린이 성장 검진 실시
///부제 성장판·성장예측·성장인자 및 성호르몬 검사 등
///본문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은 의료취약계층인 다문화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무료 성장 검진을 실시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둔산한방병원에 따르면 이번 검진은 병원 통합을 기념해 진행 중인 지역민 건강 향상 캠페인의 일환으로 차상위계층 어린이 검진에 이어 실시됐다.
대전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10명의 대상자 신청을 통해 8월 중 2주간 시행했으며 검사항목으로는 성장판 검사, 성장예측검사, 성장인자 및 성호르몬 검사 외 7종의 성장 검진과 어린이별 한약 처방 등 약 300만원 상당의 무료 검진이 진행됐다.
또 대상 어린이들의 부모님에게 검진결과를 설명하고 추후 관리에 대한 안내를 통해 다문화가정 어린이의 성장에 부모님들이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했다.
김은진 소아청소년센터 교수는 “의료취약계층 어린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앞으로도 이 같은 무료검진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끝
///시작
///면 3
///세션 인터뷰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관련단체의 눈치가 아닌 국민만 바라볼 것”
///부제 최도자 의원, “직역 갈등 쟁점법안도 논의될 수 있게 목소리 내겠다”
///본문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바른미래당 최도자 의원을 만나 한의약을 비롯 국내 보건의료 분야의 발전 방향을 들어본다.
“한의사의 X-ray 사용은 무엇보다 국민의 입장에서 접근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0대 국회 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간사를 맡은 최도자 바른미래당 의원(초선, 비례)이 지난 5일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보건의료계의 주요 이슈인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문제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최 의원은 과거 한의 치료와 관련한 경험을 떠올리며 “공사장 구덩이에 발을 헛디뎌 넘어져 발목을 접질리거나 계곡 바위 위에서 미끄러지며 엉덩이 꼬리뼈를 다쳐 정형외과에 가서 진단을 받은 뒤 한의원에 가서 추가로 물리치료와 침 치료를 받아야 했다”며 “도저히 발을 못 디딜 상황이었는데도 며칠 동안의 한의 치료로 거짓말처럼 멀쩡해졌다”고 했다.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만족했지만 반드시 정형외과에 가서 X-ray를 찍어 부러진 곳이 없는지 검사를 받은 뒤에 다시 한의원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다는 것이다.
이어 최 의원은 “그나마 젊은 사람들이라면 정확한 사전 진단을 위해 의료기기 검사를 거치겠지만 아마 나이 드신 분들 중에는 귀찮아서 그러한 검사도 거치지 않고 바로 한의원으로 가는 분들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최 의원은 그 과정에서 반드시 선행돼야 할 과제로 한의사가 ‘판독’에서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방사선사를 고용해 촬영을 할 수 있더라도 진단 결과를 제대로 판독하지 않으면 환자의 안전성을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현재 한의대에서 해부학 등 진단기기와 관련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있다고 하나 대한의사협회 쪽은 그 정도 교육과 실습으로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반대측에서 인정할 만한 수준, 딴죽을 못 걸 정도로 답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방에서 인정할 정도의 X-ray 판독 능력만 갖춘다면 국회에서도 법안 통과에 전력을 다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법 개정과 관련한 향후 진행 방향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 교육부와 한의계가 머리를 맞대 의사들이 인정할 만한 수준의 과목 증설과 교육 개편이 이뤄져 법 개정의 타당성을 갖춘다면 해주는 게 맞다고 본다”며 “지금처럼 반대편의 목소리가 클 경우 한의사의 편을 들려 해도 국회의원들은 국민들로부터 잘못된 길로 가고 있다는 오해를 받을까봐 나서기가 쉽지 않다”고 조언했다.
다음은 최 의원과의 일문일답이다.
◇요즘 근황은?
법안 심의하느라 정신 없다. 보건복지위 법안 소위가 계속 열리고 있다. 아직 쟁점 법안은 다루지 않고 무쟁점 위주로 다루고 있다. 복지위가 실적이 없다는 내부적 소리가 많기 때문이다. 법안이 천 건 이상 밀려 있는데 국감 전에 2, 300개 다루자는 목표로 하고 있다.
◇간사를 맡은 포부는?
관련 단체의 눈치를 많이 안 보려고 한다. 국민만 생각하고 갈 것이다. 법안 심사할 때도 국민을 위한 반대인가, 반대를 위한 반대는 아닌가 고민하며 살펴볼 것이다. 특히 직역간 갈등으로 쟁점법안이란 꼬리표를 붙여 심사가 무기한 지연되고 있는 법안들이 많다. 한의계와 관련해서도 꽤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쟁점법안들이 상임위에서 논의되도록 간사협의에서 목소리를 내겠다.
◇추나, 첩약 등 한의약 보장성 강화에 대한 견해는?
양방에 비해 한의가 비급여의 비중이 훨씬 높다. 이 때문에 한의학을 선호하거나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더 큰 경제적인 부담이 될 뿐더러 한의약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보장성 확대는 국민경제에도, 한의학 발전에도 꼭 필요한 일이다. 추나, 첩약 등에 대한 보장성 강화는 이미 상당 부분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됐지만 정부가 제도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국회에서 정부가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협의하겠다.
◇국감을 앞두고 중점적으로 살펴볼 부분은?
민생 복지, 서민 복지라고들 한다. 예산이 어떻게 쓰이는지 잘 따져보겠다. 정부가 우선사업보다 공약했던 것을 먼저 챙기지는 않는지, 물론 공약했던 게 좋은 사업이라면 당연히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끝
///시작
///면 4
///세션 종합
///이름 하재규 기자
///제목 대한한의사협회, 제2회관 건축위원회 첫 가동
///부제 건립 필요성 및 적합 지역, 부지 용도, 예산 범주 등 열띤 논의
///본문 대한한의사협회의 새로운 회관 마련을 위한 제2회관 건축위원회(위원장 방대건)가 첫발을 내딛었다.
제2회관 건축위원회는 지난달 30일 제1회 회의를 갖고, 기존 가양동 소재 한의사회관 외의 제2의 회관 건립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을 모았다.
이미 지난 2005년 5월27일 서울시 강서구 허준로 91(가양동 26-27)에 ‘대한한의사협회 회관’(대지면적 4,047,50㎡, 건축면적 1,150,47㎡, 연면적 6,936,73㎡ 의 지상 5층 지하 1층)이 건립,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2회관의 건립 필요성이 대두된 것은 올 3월 열렸던 정기이사회 및 정기대의원총회와 관련돼 있다.
올 3월에 열렸던 한의협 제4, 5회 이사회에서는 세종시에 제2의 한의사회관 건립 부지 매입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이와 관련한 의안을 정기총회에 상정키로 의결된 바 있다. 또한 3월25일 개최됐던 제63회 정기대의원총회에서는 제2 한의사회관 건축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이사회에 위임하는 것으로 의결했고, 다만, 부지 매입 장소와 금액이 확정되면 대의원총회의 승인을 받는 것으로 통과시킨 바 있다.
이후 올 4월 열렸던 제5회 중앙이사회에서는 총회의 의결사항을 받아 ‘제2 한의사회관 건축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위원회 운영을 위한 관련 예산을 편성한 바 있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첫 회의를 가진 제2회관 건축위원회는 한의사회관 마련을 위한 새로운 건립 부지로 서울의 마지막 금싸라기로 일컬어지는 강서구 마곡택지개발지구, 강남권 최고의 노른자위라 불리는 수서택지개발지구, 대한민국 제2의 행정수도인 세종시(오송)의 바이오폴리스지구 등을 중심으로 현재의 모습과 향후 발전 가능성 등을 놓고 심층적인 분석에 나섰다.
이와 더불어 회관을 새로 건립하기 위한 부지 매입 및 기 건축된 건물을 매입하는 방법을 비롯해 택지지구의 부지 용도(상업시설 용지, 연구지원시설 용지, 근린생활 용지)에 대한 장단점(상징성 · 접근성 · 활용성 · 적합성 등)은 물론 협회에서 사용 가능한 예산의 범주 등도 주요 논의 대상에 올렸다.
건축위는 열띤 논의 끝에 우선적으로 충북도청 바이오산업국 바이오기업투자유치추진단에서 분양하는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연구시설 용지’의 부지 매입과 관련해 충북도청과 업무 협약을 추진키로 했다.
업무 협약을 맺었다 해도 이것이 곧바로 부지 매입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협회에서는 그 부지의 매입에 따른 발전 가능성 및 적정한 구입 가격비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해 추후 매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충북도청 또한 한의사협회가 최종적으로 그 부지를 매입해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에 맞는 목적 사업을 충실히 이행할 것인지 등을 심사 후 판매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대한의사협회는 올 1월17일 오송 바이오폴리스지구의 6600㎡ 부지를 확보해 2018∼2020년까지 3개년에 걸쳐 제2회관을 건립하고 첨단의료 교육 및 연구 등으로 활용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충북도청과 투자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건축위는 또한 충북도청이 제시하고 있는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를 비롯해 세종시와 오송 일대의 주요 택지지구에 대한 현장답사를 9월16일에 실시하기로 했다.
한편 이번에 구성된 제2회관 건축위원회 위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위원장: 방대건 수석부회장(중앙회) △위원: 고성철 부회장 · 김계진 총무이사 · 문호빈 재무이사 · 강영건 의무이사 · 정준희 약무이사(이상 중앙회), 이기준 회장(충북), 황건순 총무이사(서울), 차언명 부회장(경기), 정양식 분회장(인천 부평구) △자문위원: 김경태 감사(중앙회)
///끝
///시작
///면 4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심평원, ‘2019년 평가연구 논문화 사업’ 과제 공모
///부제 오는 30일까지 공모…연구실적, 연구계획 등 심의해 7편 선정
///본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10일부터 오는 30일까지 3주간 ‘2019년 평가연구 논문화 사업’에 참여할 연구과제를 공모한다고 지난 3일 밝혔다.
‘평가연구 논문화 사업’은 임상 진료정보가 포함된 적정성 평가정보와 요양기관 현황 등 공공 데이터를 융합한 연구를 통해 평가에 대한 제언과 방향성을 도출하고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심평원 · 보건의료 전문가가 진행하는 공동연구 사업으로, 평가항목은 대장암, 당뇨병, 고혈압, 천식, 약제급여, 혈액투석,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유방암, 폐암, 급성기 뇌졸중,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만성폐쇄성폐질환, 위암, 의료급여정신과, 폐렴 등이다.
연구과제 공모는 평가항목 관련 의학적 연구가 가능한 사람은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 접수된 연구과제는 ‘평가연구 논문화 위원회’에서 △연구실적 △연구계획 △연구방법 △연구기간 4개 부문을 심의해 최종 7편을 선정한다.
연구사업 기간은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로 심평원이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구축해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고, 연구자는 원격분석시스템으로 접속해 제공된 자료를 분석하고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끝
///시작
///면 5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양방의 한의 난임사업 보고서, 심각한 오류”
///부제 한의협, 바른의료연구소의 한의 난임사업 폄훼 ‘반박’
///부제 “임신 중 한약 안전성·유효성,SCI 논문에 이미 게재”
///부제 저출산 극복 위한 난임치료의 올바른 방향 정책토론회
///본문 바른의료연구소가 ‘20~30%’로 조사된 지자체의 한의 난임사업 시범사업 성공률을 폄훼했으나 심각한 오류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양방 인공수정도 실제 성공률은 10%에 불과한 데다 심지어 2016년 양방 전체 의료기관 중 30%에서 임신 성공 케이스가 전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손정원 이사, 양방의 왜곡 주장 반박
지난달 30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김명연 자유한국당 의원과 의협이 주최해 열린 ‘저출산 극복을 위한 난임치료의 올바른 방향 정책토론회’에서 손정원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 보험이사는 “한의 난임사업의 치료 효과가 평균으로 따지면 10%라 유효성이 없다고 했는데 양방 인공수정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10%에 불과하고, 심지어 보건복지부의 ‘2016년도 양방 난임 보조생식술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양방 의료기관 중 30%에서 단 한명의 임신도 없었다”며 “이것만 갖고 양방의 보조생식술은 유효성이 없다고 단정지을 수 있겠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양방의 보조생식술은 정자와 난자를 수정시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고 한의약 치료는 수정 이전에 임신을 준비하고 임신을 유지, 안정시키는 과정에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또 한약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한 바른의료연구소의 연구보고서에 대해 손 이사는 “해당 보고서가 인용한 논문들은 한약재 한가지만을 실험동물인 작은 쥐에게 경구투여도 아닌 정맥주사를 통해 고용량으로 투여한 실험”이라며 “논문의 내용은 편향되고 왜곡돼 있다”고 지적했다.
양방의 왜곡된 보고서는 이뿐만이 아니다. 2017년 의협의 의료정책연구소가 발표한 ‘임신 중 처방된 한약의 안전성 검토’ 보고서에는 임신 중 한약을 복용하면 위험하다고 돼 있는데 이와 관련 손 이사는 “해당 한약들은 임신 중이 아니라 임신 전에 임신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 처방되고 있으며 실제 한의원에서는 한 가지 약재가 아닌 복합처방을 통해 적절한 용량으로 처방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무엇보다 이렇게 왜곡된 의협의 실험 결과를 뒤집는 SCI급 논문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지난 2014년 독일의 Axel Wiebrecht 등이 발표한 ‘임신 중 17종 한약의 배아 독성과 기형유발 효과에 대한 두 건의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에 대한 연구 결과를 재평가(Safety aspects of Chinese herbal medicine in pregnancy?Re-evaluation of experimental data of two animal studies and the clinical experience)’라는 제하의 논문에 따르면 착상 유지 및 유산 방지를 위해 처방된 한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논문에서는 “임신 중 한약 사용에 대한 위해성을 입증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자료 역시 없다”고 결론지었다.
이어 손 이사는 “최대집 의협 회장의 인사말처럼 현재 난임 치료는 다층적, 유기적 대책이 필요하고 이명수 보건복지위원장 말씀대로 벽을 허물어야 할 시점”이라며 “더 이상 한·양방이 의료 직역간의 갈등에 갇힐 게 아니라 오로지 난임부부를 위해 힘을 합쳐 손을 잡고 국가적 위기 상황을 헤쳐나가자”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류상우 차의과대 강남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교수의 ‘난임치료를 통한 저출산 극복’ △주창수 서울마리아병원 주치의가 ‘난임치료 급여화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김성원 바른의료연구소장이 ‘지자체 난임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주제로 발표했고 패널토의에는 손정원 한의협 보험이사, 박광자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 사무관, 이용권 문화일보 건강의학 담당기자, 이중엽 함춘여성의원 전문의가 참석했다.
“난임 치료 위해 한·양방 협력해야”
패널토론에 참석한 이용권 문화일보 건강의학 담당기자 역시 난임 치료를 위해 의료계가 협력할 것을 주문했다. 이 기자는 “예산과 선택에 대한 문제가 있지만 환자 입장에서는 한·양방이 함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면 더 큰 효과가 있지 않을까”라며 “지인의 경우 국내에서 시험관 시술을 여러 번 시도했는데도 실패했지만 해외로 가니 자연임신으로만 자녀를 둘이나 낳는 경우를 보고 의학적 시술도 중요하지만 심리적 영향 같은 스트레스 관리 등의 병행 치료를 하는 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플로어에 있던 김승철 대한산부인과학회 이사장은 “오늘 한의계가 참석했는데 결국 한의든 양의든 환자 치료를 위해서는 근거 중심이 돼야 한다”며 “상생의 길을 찾기 위해 함께 논의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조언했다.
정부측 관계자로 참석한 박광자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 사무관은 “시술 비용과 비급여의 급여 확대 등을 검토해 달라는 얘기들이 있었는데 향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정책 방향을 이끌어 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면서도 “난임 보조생식술 시술시 여성 건강에 대한 내용이 포함이 안됐는데 시술로 인해 몸에 무리는 없는지, 부작용은 없는지에 대한 연구가 지속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에 앞서 토론회를 주최한 김명연 자유한국당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44살까지로 돼 있는 난임 지원 나이 제한, 시술횟수 10회 제한 등의 획일적인 기준을 없애고 연구개발에 예산을 늘릴 필요가 있다”며 “저소득층의 경우 시술 비용을 지원해서라도 아이를 낳으려는 의지가 있는 국민이라면 가능하도록 제도를 고치는데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이명수 보건복지위원장은 “정부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 10년간 저출산 대책으로만 130조원의 예산을 쏟아 부었는데도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1.05명에서 올해 2분기 0.97명으로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며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확실한 해결책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주창우 서울마리아병원 의사는 ‘난임 치료 급여화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이라는 주제발표에서 현행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관련해 △현재 만 44세로 돼 있는 보험적용 연령의 상향 검토 △신선배아 4회, 동결배아 3회로 돼 있는 보험적용 시술횟수 추가 △현재 50만원으로 돼 있어 유명무실한 저소득층 지원 추가 △시험관 시술에 비해 비용이 1/3도 안되는 냉동배아이식은 횟수제한 없이 급여화 고려 등을 제안했다.
///끝
///시작
///면 6
///세션 종합
///이름 하재규 기자
///제목 한·홍콩 전통의학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모색
///부제 홍콩 식품및보건부장관 일행 한의협 방문, 한의 의료시스템에 깊은 관심
///부제 국립 첫 중의약병원 건립 추진…한국 한방병원의 운영 노하우 등 기대
///본문 홍콩 식품 및 보건부 소피아 챈 장관을 비롯해 엘리자베스 치 차관, 중의약병원 건립 프로젝트 총감독 張偉麟 박사를 포함해 총 28명의 대표단이 지난 6일 대한한의사협회를 방문해 최혁용 회장을 비롯한 방대건 수석부회장, 고성철 부회장, 송미덕 부회장 등 한의협 임원진과 간담회를 통해 양국간의 전통의학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협회를 방문한 소피아 챈 장관은 “홍콩 정부에서는 수년전부터 중의약의 발전에 깊은 관심을 갖고 정부 조직내 중의약발전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홍콩 최초의 국립 중의약병원의 건립을 추진 중”이라면서 “이와 관련해 대한한의사협회로부터 국내 한방병원 운영 경험을 비롯해 선진화된 한의의료시스템의 전반에 대해 많은 도움을 얻어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최혁용 회장은 “의료는 동일한 질환을 바라보는 보편성과 한 · 양의의 서로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는 특수성이 존재하는데 한국의 경우 한의와 양의의 영역을 나누었고, 지나치게 특수성만을 강조해 그에 따른 갈등이 유발되고 있으며, 학문간 융복합 내지 보건의료 시스템의 발전을 일정 부분 저해하는 요소가 있다”면서 “홍콩에서는 중의학이라는 보편성을 기반으로 양의의 특수성을 잘 받아들여서 홍콩의 의료 발전을 이뤄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또 “지난 2003년 홍콩에서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가 발생했을 때 홍콩의 의료진들은 매우 위험했던 의료현장을 결코 외면하지 않고 희생을 마다하지 않은채 환자들을 돌봤다”면서 “당시 홍콩 정부가 양의와 중의의 장점을 잘 접목해 진료에 나섰기에 중의학이 국가 방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은 물론 전염병의 전파를 억제하고, 급성질병 치료에도 충분히 도움이 된다는 것을 증명했는데, 이는 홍콩 보건의료시스템의 파워이고, 이를 이끄는 보건부 장관의 훌륭한 역량이 있어 가능했기에 장관님께 깊은 경의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소피아 챈 장관은 특히 “첫 중의약병원의 건립을 추진하면서 임상 모델의 방향을 어떻게 할 것인지, 실제 운영에 있어 어려움은 무엇이며, 중의약병원의 사회적 포지셔닝은 어떻게 잡아 나갈 것이고, 운영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를 비롯해 중의약을 보다 전문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법과 제도의 뒷받침은 어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많은 조언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중의약병원 건립 프로젝트의 총책임자인 張偉麟 박사는 “향후 건립될 중의약병원은 공립 의료체계의 일부로서 전통 중의약 문화와 현대화된 양의의 의료서비스가 접목돼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면서 “기본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은 물론 교육 및 수련, 연구개발, 임상시험 수행 등을 통해 홍콩 내 중의약 의료시스템을 발전시키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의사협회 임원진은 홍콩 내 첫 중의약병원이 건립 운영되는데 필요한 △국내 한의의료의 법과 제도 실태 △한의사 전문의 시스템 운영 현황 △한의사 면허 시험 및 인력 수급 △한의과대학의 교육 체계 △한의약 치료기술 △환자의 한의약 선호도 △정부의 한의약육성 종합 계획 등을 상세히 설명했다.
또한 최혁용 회장은 최근 WFME(세계의학교육연합회)가 전통의학 관련 대학을 WDMS(세계의과대학목록)에서 삭제하려는 움직임을 상세히 설명한 뒤 이와 관련해 한 · 홍콩간의 긴밀한 공동 대처를 당부했다.
///끝
///시작
///면 7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독립운동가인 한의사 강우규 선생의 혼을 기리다
///부제 왈우 강우규 의사 의거 99주년 기념식 개최
///본문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 관계가 해빙모드로 접어든 가운데 99년 전 일제 조선총독에게 폭탄을 던진 한의사 강우규 선생의 혼을 기리는 기념식이 개최됐다.
지난 2일 서울역 광장에서 열린 ‘강우규 의사 의거 99주년 기념식’은 행사를 개최한 기념사업회 관계자와 광복회원, 일반 시민 등 약 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진행됐다.
장원호 기념사업회장은 “당시 일제의 통치가 지속되면 식민지가 될 절박한 상황에서 강우규 의사는 65세 고령의 나이에 정견을 일깨우는 극단적인 결정을 몸소 실천에 옮겼다”며 “강우규 의사의 숭고한 뜻이 젊은 청년들 가슴에 새겨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의계를 대표해 참석한 최문석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은 “왈우 강우규 의사께서는 한의사로서 일제강점기에 억압과 고통에 신음하는 민족의 아픔을 치유하는데 헌신하셨다”며 “그는 교육자로서 우리의 얼과 정기를 계승하고자 광동학교를 설립하고 애국계몽운동을 펼쳐 후학을 양성했을 뿐 아니라 1919년 오늘 65세의 나이에 신임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를 처단하고자 폭탄을 던진 국가와 민족을 위해 온몸을 바친 독립투사였다”고 밝혔다.
이어 최 부회장은 “오늘날 우리가 3.1운동의 정신을 계승한 대한민국에서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고 있는 것은 강우규 의사와 같은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과 노력 덕분임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후학인 대한한의사협회 2만 5000명의 한의사들은 강 의사의 애민 정신과 민족의 독립을 위해 힘쓴 고귀한 뜻을 이어받고 이를 널리 알려 국민건강 증진은 물론 나아가 국가와 민족의 발전을 위해 더욱 헌신해 나갈 것임을 이 자리를 빌려 약속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1859년 6월에 평안남도 덕천군에서 태어난 왈우 강우규 선생은 한의사이자 교육자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다.
1919년 9월2일 남대문역에서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한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해 폭탄을 던졌으나 암살에는 실패했다.
강 의사는 현장에서는 붙잡히지 않았으나 약 2주 후 일제 앞잡이의 밀정으로 인해 덜미를 잡혔고 이듬해 11월29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을 당했다.
당시 폭탄을 던진 남대문역은 지금의 서울역으로, 서울역 앞 광장에는 이를 추모해 강우규 의사 동상이 세워져 있다.
///끝
///시작
///면 7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한의학-의학-치의학 3개 분야 ‘통합 암치료’ 제공
///부제 외래진료실에 한-의-치의학 의료진이 방문 진료…협진치료 한 공간서 진행
///부제 내달 5일 경희의료원 후마니타스암병원 개원식 갖고 본격적인 진료 나서
///본문 경희의료원이 내달 5일 ‘후마니타스암병원 개원식’을 개최하고, 새로운 암 치료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공개하며 본격적인 진료에 나설 예정이다.
2016년 9월 착공해 2년간의 공사기간을 거쳐 지하 2층 · 지상 7층 규모로 경희의료원 전면 좌측에 들어서는 후마니타스암병원의 진료모델이자 설립취지는 ‘암을 넘어선 삶(Life Beyond Cancer)’이라는 미션에 담겨있으며, 이를 통해 암 환자별 맞춤정밀의학과 암 면역치료의 직접적 암 치료를 기본으로 정서적 · 사회적 관계의 회복까지 책임진다는 포부다.
특히 후마니타스암병원은 한의-의과-치과병원의 의료진이 암 통합치료를 한 곳에서 실시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고 있다. 후마니타스암병원 다분야 협진치료는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을 획득한 경희의료원 한의 · 의과 · 치과병원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암병원 외래진료실에는 암환자를 위한 별도의 한의학 및 치의학적 치료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세계 최초 암병원 및 세계 최대 규모의 암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英 로열마스덴’ 의료진과 화상협진을 실시한다. 경희의료원과 영국 로열마스덴병원은 지난 2015년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매년 정기적으로 국제 암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연구 및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 기관은 △화상협진 △암 임상 공동연구 △암 면역치료 및 면역제제 연구 등에 대한 협력 분야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로열마스덴에서 주관하는 ‘트리거 임상연구(TRIGGER Trial) 직장암’에 대한 임상시험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참여하고 있기도 하다.
이와 함께 환자 동선 제로를 목표로 한의학 · 의학 · 치의학 다학제 및 전담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의료진이 환자를 찾아가는 의료서비스가 진행된다. 더불어 한의과 · 의과 · 치과의 다분야 종합 진료시스템과 암 환자만을 위한 전문 외래진료 공간을 결합해 치료효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끝
///시작
///면 7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건보 보장성 강화와 실손보험 연계 법안 추진
///부제 성일종 의원, “실손보험이 건강보험의 보완 기능성 수행”
///본문 정부의 문재인케어 추진으로 건강보험 보장성이 확대됨에 따라 이를 실손의료보험과 연계시키는 내용의 법안이 추진된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성일종 자유한국당 의원(사진)은 이 같은 내용의 ‘국민건강보험과 실손의료보험의 연계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실손의료보험은 건강보험으로 보장되지 않는 비급여 의료비 등 가입자 본인이 의료기관에서 실제로 지출한 의료비를 보상하는 보험으로 현재 누적 가입자가 3000만명을 넘어섰다. 최근 가입자가 크게 늘면서 의료쇼핑 등의 영향으로 인한 손해율 급등과 이를 만회하기 위한 보험료 인상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실이다.
개정안에는 건강보험과 실손의료보험을 연계해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의료비 경감을 위한 공 · 사의료보험 제도 개선, 실태조사, 관련 자료의 활용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국무총리 소속으로 공 · 사의료보험심의위원회를 두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 보건복지부장관과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공동으로 공 · 사의료보험과 국민 의료비와 관련된 주요 사항에 대한 실태조사를 매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실시하도록 하는 한편, 공 · 사의료보험심의위원회는 국민 의료비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공 · 사의료보험의 보장 범위에 관한 의견을 보건복지부장관과 금융감독원 원장에게 제시할 수 있도록 했다.
성 의원은 “이번 법 개정안은 건강보험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실손보험이 건강보험의 보완기능을 제대로 수행해 국민의 의료비가 효과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건강보험과 실손의료보험을 연계하려는 것”이라고 발의 배경을 밝혔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하재규 기자
///제목 경찰, 의료기관내 폭행 강력 대처한다
///부제 경찰청-복지부-보건의료단체장 간담회…엄정 대응에 한 뜻
///부제 신속출동, 초동조치 적극 대처 즉시 제압 · 체포, 예방활동 강화
///본문 최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의료기관 내 폭력 사건과 관련해 앞으로는 즉각적인 제압 및 체포 등 강력 대처가 이뤄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 경찰청은 지난 4일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간호협회 등 보건의료단체장을 비롯한 보건복지부 이기일 보건의료정책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응급실내 폭력행위 근절을 위한 경찰청장-의료단체장 간담회’를 갖고 의료기관내 폭력행위에 대해 강력 대처키로 했다.
민갑룡 경찰청장은 “응급실은 국민의 생명 · 신체를 다루는 중요한 공간이고, 의료진들은 촌각을 다투며 역할을 직접 수행하는 당사자인데, 응급의료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폭행사건이 연달아 발생하여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이와 관련한 의료계의 입장을 다각적으로 청취하고, 예방 · 대응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복지부와 함께 간담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 참석한 보건의료단체장들은 국민들이 의료기관에서 안전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기관 내 폭력사범에 대해서 신속 · 엄정히 수사하고, 사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 활동을 강화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와 더불어 현장 경찰관들과 의료진들이 유사사례 발생시 신속 · 엄정 대응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만들 것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경찰청장은 응급실 내 폭력사건 근절을 위해 사건 발생시 상황 종료 여부와 관계없이 신속 출동하여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시켜 응급 의료진과 다른 환자들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확보할 것이며, 경찰관이 현장에 도착한 후에도 불법행위가 계속되는 경우 즉시 제압 · 체포하고, 필요시 전자충격기 등을 활용하여 검거하는 등 적극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또한 응급실 내 폭력사범에 대해서는 공무집행방해 사범에 준해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고, 특히 흉기 소지 · 중대피해 발생 등 중요사건은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할 것이며, 의료기관과 협의해 경찰차 순찰선에 응급실을 추가하여 탄력 순찰을 강화하는 등 폭력사범에 대해 엄정 대응하고, 예방 활동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경찰청장은 의료계와 복지부에 신속 · 정확한 수사로 피의자를 엄정처벌 할 수 있도록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응급실 내 비상벨 등 보안시설 설치, 경비인력 배치 등 자체 보안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만취자 치료 · 보호가 종합적으로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한 ‘주취자 응급의료센터’ 증설 검토 및 정신질환자 치료연계 활성화를 위한 ‘정신응급의료기관’ 지정 · 운영, 공실현황에 대한 실시간 공유시스템 구축도 함께 검토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이와 관련 이기일 보건의료정책관은 “오늘 나온 대책 가운데 당장 추진할 수 있는 행정적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 협력하고, 주취자 응급센터 확대 등 인력 · 예산이 수반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경찰 · 의료계와 함께 검토해 추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한의대 학생 논문 · 포스터, 학술대회서 전시된다
///부제 대한한의학회 ‘미래인재육성 프로젝트’…수도권역 전국한의학학술대회서 발표
///본문 한의대 학생들의 논문과 포스터를 공모하는 ‘미래인재육성 프로젝트’의 예비 수상 논문이 오는 11월25일 서울 COEX 3층 오디토리움에서 열리는 전국한의학학술대회 수도권역 행사에 전시된다.
지난 5일 프로젝트를 주관하는 대한한의학회(이하 한의학회)에 따르면 1차 심사를 거친 예비 수상작이 학술대회 로비에 전시될 예정이다. 전시되는 논문과 포스터는 다음 달 24일부터 31일까지 서면으로 진행된 1차 심사에서 선발된 작품에 해당한다. 이들 예비 수상작은 학술대회의 현장 심사를 통해 최종 선발된다.
프로젝트 수상자는 학술대회가 끝난 후 홈페이지 공지와 개별 통보로 알 수 있다. 프로젝트에 선발된 최우수상 1명에게는 100만원의 장학금과 한의학회가 지정하는 학술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우수상 1명과 장려상 2명, 입상 10명에게는 각각 80만원, 60만원, 50만원의 장학금이 수여된다.
선발된 학생은 이 외에도 △전국한의학학술대회 학술 포스터 발표 기회 제공 △전국한의학학술대회 참가증서 발급 △학술대회 참가 및 포스터 발표 후기 신문 및 본회 SNS 게재 △최우수 수상자에게는 장학금과 해외학회 참가기회 제공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한편 이 프로젝트는 미래의 한의사를 꿈꾸며 학업에 정진하는 우수한 한의대와 한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한방의료용품 전문기업 안진팜메디의 후원으로 시작됐다. 한의학회는 이후 전국한의학학술대회의 현장심사를 통해 장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한약진흥재단, 대구시와 ‘장애인 고용 증진 협약’
///부제 장애인 고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계기 마련
///본문 한약진흥재단을 비롯한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대구의료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청소년지원재단, 대구테크노파크,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9개 공공기관은 대구광역시,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함께 지난 4일 대구광역시청 2층 상황실에서 장애인 고용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대구시 관내 공공기관의 장애인 의무고용률 3.2% 조기 달성 및 장애인 고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에 적극 협력할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응세 한약진흥재단 원장은 “장애인 고용안정을 더욱 공고히해 안정된 일자리 제공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고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는 작업환경을 조성해 직업인으로서 당당한 역할 수행을 통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서 함께 공유하는 행복한 일터 만들기에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장애인 고용의무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상시 50명 이상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주는 2.9%,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은 3.2%의 장애인 고용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끝
///시작
///면 10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복지부 첫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18~2022) 발표
///부제 5개 추진전략 아래 14개 중점과제 추진
///본문 정부가 심뇌혈관질환 분야 첫 법정 계획인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18~2022)을 확정, 발표했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4일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에서 마련된 이번 종합계획은 ‘심뇌혈관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비전으로 급성심근경색·뇌졸중, 고혈압·당뇨병, 심부전 등 심뇌혈관질환을 ‘예방-치료-관리’하는 전주기적 관점에서 수립됐다.
이는 심뇌혈관질환(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및 고혈압·당뇨병 등)이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의 24.3%를 차지하고 있으며 노년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의 특성상 인구 고령화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의 진료비와 사회경제적 비용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큰 질병으로 발전하기 전의 예방관리와 함께 가까운 곳에서 적정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급성기 진료 후 후유증·재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후관리가 주요 정책 분야로 제시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데 따른 것이다.
이번 종합계획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동안 관련 학회와 분야별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현장중심형 계획으로 심뇌혈관질환 관리정책과 관련해 향후 5년간 추진해야 할 5개 추진전략(△대국민 인식 개선과 건강생활 실천 △고위험군 및 선행질환 관리 강화 △지역사회 응급대응 및 치료역량 강화 △환자 지속관리체계 구축 △관리 인프라와 조사·R&D 강화)과 14개 중점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대국민 인식 개선과 건강생활 실천을 위해 2014년부터 시행된 전국 캠페인을 강화하고 질환의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심폐소생술 등 초기 대응 방법 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시·도, 보건소)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협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알기 쉬운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 이용할 수 있는 종합포털사이트를 구축, 2020년부터 운영함으로써 정보의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고위험군 및 선행질환 관리 강화 차원에서 한국인에게 적용가능한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의 고위험군 선별기준과 선별도구·관리지침 등을 개발해 내년부터 확산시키고 동네의원 중심으로 만성질환 환자에 대한 등록·상담·교육 등 일상생활 속 생활습관 개선과 자가 관리를 지원하는 체계를 강화한다.
지역사회 응급대응 및 치료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중심의 안전망을 중앙-권역-일차(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로 연계되도록 안전망을 확충한다.
국가 심뇌혈관질환관리 사업의 구심점 역할 및 기술지원을 위한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운영하고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예방-치료-재활의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일차(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원하도록 기능을 정비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지역사회 내에서 급성심근경색·뇌졸중 등 응급상황 대처,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차(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운영하고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와 일차(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 급성기 치료가 종료된 입원환자에 대한 조기재활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내년에 조기재활 현황조사와 표준지침을 마련한 후 2020년부터 현장 적용을 추진한다.
환자 지속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급성심근경색증과 뇌졸중 환자의 퇴원 후 종합지원체계를 마련하고 급성기 치료를 마치고 퇴원한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역사회 내 재활서비스 제공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관리 인프라와 조사·R&D 강화를 위해서는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통계와 성과지표 산출방안을 마련하고 장단기전략을 개발해 2020년 이후 국가단위 통계를 산출하고 심뇌혈관 질환 분야 연구개발 5개년 종합계획 수립(2019년) 및 현재 개발돼 있는 임상진료지침 등의 현장 적용을 위한 방안 연구를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이를 통해 복지부는 5년 후 급성심근경색 증상에 대한 인지율을 2017년 기준 45.5%에서 2022년 55%로, 뇌졸중은 51.2%에서 61%로 높이고 조절률은 고혈압 50.0%(2018~2020)·당뇨병 35.0%(2018~2020)로, 치명률(입원 30일 이내 사망률)은 2020년까지 급성심근경색 7.5%, 출혈성 뇌졸중 6.6%로, 급성심근경색 조기재활 시행률은 50% 이상, 뇌졸중 조기재활 시행률은 80% 이상으로 주요 지표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복지부는 주요과제의 추진을 위해 과제별로 연구용역 등 모델 개발을 시작했으며 이를 토대로 내년부터 분야별 전문가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만들 방침이다.
윤태호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그동안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과 조기발견·관리를 위해 시행돼 왔던 다양한 사업들을 하나의 방향성에 따라 정리하면서 그동안 정책으로 포괄하지 못했던 환자의 급성기 치료 이후 사후관리까지 범위를 확장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11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전침 치료,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통증 완화 효과
///부제 전침 치료시 통증 20.56%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8.73% 감소에 불과
///부제 치료 종료 후 전반적 환자 개선 지수서 82.5%가 치료 전보다 ‘호전’
///부제 한의학연,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 전침 치료 다기관 임상연구
///부제 당뇨 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 ‘Diabetes Care’에 연구 성과 게재
///본문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에서 전침 치료가 통증을 완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이하 한의학연)은 지난 6일 한의학연 임상의학부 신경민 박사팀이 국내 4개 한방병원과 함께 수행한 다기관 임상연구에서 전침 치료가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완화시켜줌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 성과는 미국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ADA)가 발간하는 당뇨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를 가진 국제학술지 ‘당뇨케어저널(Diabetes Care, IF 13.397)’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한의학연 주도로 경희대한방병원·대전대한방병원·동의대한방병원·세명대충주한방병원이 참여한 다기관 임상연구로, 임상연구 참여자들은 평균 10년 이상 당뇨병을 앓아왔으며 3년 이상 당뇨병으로 인한 신경병증 통증으로 양쪽 발 다리에 통증이나 저리는 증상을 겪어온 환자들로 구성됐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고혈당에 장기 노출된 결과 신경조직의 구조·기능적 소실 또는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당뇨 환자에게 나타나는 흔한 만성 합병증의 하나다. 유병률은 대략 10∼15% 정도로 추정되는데, 당뇨병 유병기간이 증가할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통증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 수면, 업무 생산성은 나빠진다.
이에 따라 이번 임상연구에서는 총 126명의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침 치료군과 전침 치료를 받지 않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통증, 수면, 삶의 질 등을 비교했다.
연구에서는 전침 치료군의 경우는 주로 다리와 발 부위의 혈자리인 족삼리·현종·음릉천·삼음교·태충·족임읍에 전침 기기를 이용해 2Hz와 120Hz를 교대로 30분간 전기 자극해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의 전침 치료를 시행한 반면 대조군의 경우에는 8주간 전침 치료를 받지 않고 일상생활을 유지했다.
치료 효과는 임상연구 시작 시점(1주차), 전침 치료 종료 시점(9주차)과 종료 후 4주(13주차), 8주(17주차) 뒤 시점에 각각 평가했다.
연구 결과 전침 치료군은 치료 전과 비교해 치료 종료 시점인 9주차에 통증 지수가 20.56% 감소했지만, 치료를 받지 않은 대조군은 8.73%만 감소해 전침 치료군과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료 전과 비교해 50% 이상 통증 감소를 보인 환자 비율도 치료군이 15.52%로 대조군 6.25%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특히 전침 치료군의 통증 감소는 전침 치료 종료 4주, 8주 후에도 여전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치료 종료 후 전침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면방해정도(sleep interference scores)’가 감소했으며, ‘삶의질(EQ-5D)’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된 것은 물론 치료 종료 후 전반적 환자 개선 지수(Patient Global Impression of Change·PGIC)에서 전침 치료군의 82.5%가 치료 전보다 호전됐다(대조군 34.1%)고 응답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이번 다기관 임상연구를 통해 전침 치료가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의 증상 완화와 수면 및 삶의 질 증진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 주저자인 신경민 한의학연 임상의학부 박사는 “이번 연구는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한 전침 치료의 임상 효능을 보여주는 연구”라며 “전침 치료가 향후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의 치료 및 관리에 비약물 치료 방법 중 하나로서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종열 한의학연 원장은 “이번 성과로 한의약 치료기술의 우수성이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며 “한의학연은 앞으로도 다양한 질환에 대해 국민들이 한의약 치료기술을 신뢰할 수 있도록 과학적 근거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
///시작
///면 13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파킨슨병’ 한의치료법, 국제학술대회에 소개
///부제 박병준 한의사, 파킨슨 근사완치 3례 발표
///본문 파킨슨병 관련 세계 석학들이 모인 국제학술대회에서 한의학 치료가 높은 관심을 받아 주목된다.
지난달 29일과 30일 양일간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제4차 world congress Parkinson&Huntington Disease’에서는 파킨슨병의 기초 연구의 권위자인 킹스칼리지 RC Hider 교수, 어거스타대학의 Chandramohan Wakade 교수, 플로리다 보건의료센터 Ramon Bautista 교수 등이 참석해 과거와 현재의 파킨슨병 치료적 접근법에 대한 새로운 식견과 최근 학문적 성과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특히 한의사로서는 유일하게 초청된 박병준 영진한의원 원장은 ‘Hepad,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of Parkinson’s disease‘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근사완치 3례를 소개해 참석자들이 한의학적 개념과 치료방법에 대해 가장 많은 질의와 응답을 이어갔을 정도로 깊은 관심을 보여 큰 주목을 받았다.
또한 박 원장은 학술대회 둘째날 좌장을 맡으며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한편 매년 국제학회에 참가해 한국 한의학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노력하고 있는 박병준 원장은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김동희 교수·최정준 교수로 구성된 헤파드공동연구진과 ‘파킨슨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능이 있는 헤파드 x2 천연조성물’이라는 명칭으로 2016년 국내특허를 받았으며 이같은 성과를 인정받아 세계 3대 인명사전인 ‘The MARQUIZ WHO’S WHO’에 등재된 바 있다. 헤파드 x2는 순수 한약제제를 활용한 파킨슨병 치유제제다.
///끝
///시작
///면 13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박용신 서울시한의사회 부회장, 서울특별시 공공보건의료재단 이사 선임
///본문 박용신 서울특별시한의사회 부회장(사진)이 지난달 20일자로 서울특별시 공공보건의료재단 이사에 선임됐다.
공공보건의료재단은 서울시가 보건의료정책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13개 시립병원과 25개 보건소를 총괄하기 위해 지난 2017년 전국 최초로 출범시켰다.
보건의료의 혁신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공공보건의료재단에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구축, 정책 개발에 힘쓰며 시민 의료이용 데이터, 시립병원 및 보건소 통계 등을 분석해 계층간·지역간 건강격차를 분석하고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보건의료계획, 지역보건의료계획 등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 지원하는 정책 씽크탱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거버넌스 플랫폼 구축과 공공보건의료 역량 지원을 통해 시민 체감 의료서비스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공공보건의료재단 이사에 박용신 부회장이 선임됨에 따라 지난 3월 공포된 ‘서울시 한의약 육성을 위한 조례’를 근거로 추진될 다양한 한의약 정책들이 한층 더 탄력받을 것으로 보인다.
///끝
///시작
///면 13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최현명 원장, 상지대 한의과대학에 장학기금 전달
///부제 “새로운 변화와 도전 앞둔 상지대 발전에 도움되기를”
///본문 최현명 경희영창한의원장은 지난달 30일 상지대학교 본관 2층 총장실에서 상지대 정대화 총장직무대행·황신준 대학원장·안효진 주임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장학기금을 전달했다. 이번 기부금은 최 원장이 가정형편이 어렵지만 성적이 우수한 상지대 대학원생 학비 지원을 위해 500만원을 기탁한 것으로, 이 기부금은 석사과정 중인 학생 2명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최 원장은 과학적 연구치료법인 벌침 시술을 이용해 각종 난치성 질환들을 치료하고 있으며, 과거에 한약재의 진위감별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한 공진단·경옥고를 직접 만들어 진료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서울 강동구 지역에서 활발한 의료활동으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한편 상지대 대학원 한의학과 외래 교수로서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한의학 발전에 매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 최 원장은 “새로운 변화와 도전을 앞둔 상지대학교에 보탬이 될 수 있는 것 같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또한 한의학을 배우고 있는 후배들에게 장학기금을 전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정대화 총장직무대행은 “상지대학교의 정이사체제로의 전환과 통합추진에 맞춰 최현명 원장의 장학기금 전달은 한의학 후배들에게 뿐만 아니라 상지대학교 발전에 마중물이 되어 준 것 같아 기쁘다”며 “이를 계기로 다각적인 학교 발전과 학생들의 귀감이 돼 다양한 동문과 지역사회의 참여가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화답했다.
한편 상지대학교 발전기금은 동문, 지역사회, 교직원 등 다양한 참여를 기다리고 있으며, 전달된 기부금은 전액 대학 내 교육 인프라 구성과 학생 장학금, 학술 연구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끝
///시작
///면 13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서아프리카 가나에 부는 ‘한의학 바람’
///부제 강우영 제주한의약연 자문위원, 가나에 ‘한의클리닉센터’ 오픈
///부제 가나 한인교포, 올림픽선수, 원주민 건강 증진 기여 기대
///본문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 생산대국 가나에도 한의학 바람이 불어왔다.
강우영 제주한의약연구원 한방의료 분야 자문위원이 머나먼 서아프리카 가나의 한인회관 실내 체육관에 ‘한의클리닉센터’를 개소한 것.
강 자문위원은 가나는 물론 인접 국가인 토고, 나이지리아, 코티디부아르에서 찾아오는 한인교포를 대상으로 한의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의료서비스를 제대로 받을 수 없는 오지 지역인 ‘아만프롬’, ‘콰시 판테랑 에취’, ‘와’, ‘탈마래’ 등에 거주하는 원주민들을 직접 찾아가 한의의료봉사를 펼치는 등 원주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가나 올림픽선수촌에 출장 왕진을 다니며 한의약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안덕면 화순리에서 경희한의원을 운영하며 평소 한의약의 세계화에 큰 관심을 갖고 제주한의약연구원 자문위원으로서 의료관광 관련 자문에 적극적으로 임해온 강우영 자문위원은 “서아프리카 지역 교민과 원주민들이 한의약을 통해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한국 한의학에 좋은 인식과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송상열 제주한의약연구원 원장은 “가나 한의클리닉센터가 성공적으로 정착해 한의약의 해외진출 교두보로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며 많은 관심과 격려를 당부했다.
이와 함께 “제주한의약연구원은 한의학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한의학 국제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제주지역 한의사들과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끝
///시작
///면 14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 한의학교육 심포지엄 -
///부제 “한평원 평가인증 목적·방법의 폭넓은 공유 필요”
///부제 신상우 교수 한의학교육평가원 원장
///본문 신상우 한의학교육평가원(이하 한평원) 원장은 최근 인증기준개발위원장으로서 전국 한의대 교수와 심층면담한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전국 한의대 교수 100여 명을 비롯해 학생, 직원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번 심층면담은 △평가인증 기준 △평가인증에 따른 효과 △평가인증 절차·시스템 등을 묻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평가 인증 기준’에 대한 주요 의견으로는 한의학교육 방향성에 대한 혼란, 사례의 부재, 국내 연구실적 위상 제고, 교원 충원에 따른 시수 문제, 높은 기준, 한의학교육 조정기구의 필요성, 양적 보완에 대한 필요성, 소규모 대학 대상 평가인증 기준의 차등 반영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평가 인증 절차’에 대한 의견은 정량 자료에 대한 온라인 입력 고려, 평가인증 준비에 대한 한평원의 지원, 평가인증 기준에 대한 충분한 의견 수렴 등이 지배적이었다.
평가인증의 장점으로는 평가인증을 통한 한의학교육 인프라 구축, 평가를 통한 상호 의견 교류 등이 거론됐으며 단점으로는 평가에 대한 부담, 서류 위주의 평가 등의 의견이 나왔다.
이외에도 컨설팅을 통한 인큐베이팅 제공, 한의학교육을 위한 연구 및 교육 제공, 한의학교육 평가인증에 대한 홍보 확산, 표준안에 대한 고민 등의 기타 의견이 제시됐다.
신 원장은 “전국 11개 한의대·1개 한의학전문대학원은 한평원의 한계에 대해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었다”면서도 “그런데도 평가인증이 한의학교육의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한의학교육에 대한 공론화의 장을 마련했다는 데에는 공감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신 원장은 이어 “이후 한평원은 피 평가기관의 의견을 바탕으로 우수한 사례를 중점적으로 발굴하고, 역량중심 한의학교육을 위한 교수법을 워크숍 등을 통해 확산시켜 나갈 것”이라며 “또 한국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와 한의학교육의 지향점에 대해 합의하고 평가인증 기준에 대해 충분하게 의견을 수렴하는 등의 노력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
///시작
///면 14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 한의학교육 심포지엄 -
///부제 “한의대, 교육과정 개편으로 통합의 시대 선도해야”
///부제 장은수 교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학과장
///본문 장은수 대전대 한의대 교수는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학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고 수업시수 조정 등 교과과정을 개편한 결과를 공유했다.
장 교수는 2017년 이후의 의료 분야 키워드로 △예측·예방·맞춤·환자참여형 의학(4P 의학) △근거 중심 △표준화 △산업화 △통합의학 △공적 보험 복지의 시대 등을 언급하면서 현행의 한의학 교육도 이 흐름을 따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대 한의대가 지난해 7월 본과 4학년 76명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중복 과목을 조정하고 수업 시수를 단축하는 등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강의 내용 역시 암기보다는 이해 위주로 구성돼야 하며, 현대화·과학화 등 한의학에 대한 긍지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대전대는 이 같은 학생의 요구를 반영해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향하고, 다양한 사고와 선택 기회를 부여하는 방향의 교과과정 개편을 추진했다.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한의사를 위해 임상에서 필요한 핵심 역량을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방안도 포함됐다.
교과과정 개편 결과, 본과에서 배우는 임상 과목, 기초 필수 및 임상, 기초 필수 과목은 약 12개의 전공 선택 과목으로 통합됐다. 예과 과정에서 배우는 기초한의학 및 교육, 한의학 소양 및 교양은 예과 공통으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교양 과목으로 통합됐다.
장 교수는 “대전대는 한의학 교육 변화 흐름에 대한 교수 차원의 합의를 위해 지난 1월과 7월 두 차례의 워크숍을 개최하고 한의대의 발전적인 미래를 모색했다”며 “수시로 경계가 무너지고 통합이 이뤄지고 있는 오늘날, 대전대 한의대가 기초·임상 통합연구, 교과과정 개편 등으로 변화를 선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14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 한의학교육 심포지엄 -
///부제 “CQI 보고서로 학습 만족도 지속 개선”
///부제 정명수 교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학과장
///본문 정명수 원광대 한의대 교수는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육역량개선(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이하 CQI)’ 보고서 개발 과정을 중점 소개했다.
CQI 보고서는 교수가 자신의 수업을 분석, 평가해 수업의 질을 지속해서 개선하기 위해 개발됐다. 이 과정에서 교육목표, 학습성과, 강의내용, 강의 방법 면에서 보완점을 찾을 수 있다. 수강생들의 의견을 수용하고 분석해 지속적으로 학습 만족도를 높이는 게 목표다.
원광대 한의대 CQI는 지난 2016년 8월부터 원광대 차원에서 도입 논의가 시작된 후 지난해 1학기부터 의학계열에 활용됐다. 이에 원광대 한의대도 △최선의 진료 △합리적 의사소통 능력 △전문 직업성 함양 △사회적 책무 수행 △효율적인 의료 경영 및 관리 등을 담은 한평원의 한의사역량모델을 적용해 학습 성과와 연동했다.
그 결과 교과목별로 학습성과 중요도와 학습성과 내용을 담은 수업 계획서가 완성됐다. 합리적 의사소통 능력, 전문직업성 함양 등 ‘학습성과’는 상·중·하의 학습성과 중요도별로 나뉜 후 구체적인 학습성과가 기술되는 식이다. 학습성과 중요도가 ‘상’인 ‘합리적 의사소통 능력’의 경우 미병에 대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중요도가 ‘상’인 학습성과 ‘전문직업성 함양’은 각종 양생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같은 학습성과는 중간·기말·출석·과제·발표 등의 평가도구 가중치와 학기 말 성적이 합산돼 최종적인 성취도로 나타난다.
정 교수는 “원광대 한의대의 CQI 보고서는 지난해 개발된 원광대 한의대의 교육 목표 달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며 “원광대 한의대가 교육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든 교과목 교수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정 교수는 △원광대 한의대 평가인증 과정 △원광대 한의대 교육 목표 △원광대 한의대 졸업역량 설정 등에 대해서도 함께 소개했다.
///끝
///시작
///면 15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 한의학교육 심포지엄 -
///부제 “성과기반 교육 평가는 시대적 흐름”
///부제 김영전 교수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본문 김영전 원광대 의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원광대 의대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성과기반교육평가의 시대적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세계의학교육연합회는 지난해 새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인 ‘ASK2019’를 공개했다. 여기에는 의대가 교육성과와 교육방법에 적합하게 학생평가를 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의대는 또 평가 결과를 근거로 학생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이때의 교육 성과는 교육 목표와 구분된다. 학습 목표가 이해와 설명, 과목 중심, 지필 평가와 상대 평가 등이 핵심이었다면 학습 성과는 실질적인 수행 능력, 과제 중심, 수행 평가 등에 초점을 맞춘다.
교육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증례 상황에서 중환자에 필요한 처치를 하는 ‘실무 중심 지필 시험’이 소개됐다.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의 증례를 소개하면서 치료제를 객관식 문항으로 묻는 식이다.
교육 성과 평가 방법으로는 OSCE, CPX를 통한 △강의 △술기 교육 △증상 바탕학습 △모의 면담 영상 촬영 △동료 피드백 등이 언급됐다.
김 교수는 “성과기반 교육은 ‘무엇을 가르쳤나’보다 ‘무엇을 할 수 있나’에 중점을 둔 교육”이라며 “이 때문에 학교의 인증·평가를 담당하는 교육기관과 교원의 책임이 강조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어 “한의대도 최근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이 실시하는 평가·인증을 통해 성과기반 교육과정의 내용을 채워가고 있다”며 “이 같은 시도는 급변하는 의료환경 속에서 한의대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
///시작
///면 15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사단법인 약침학회 굿닥터스나눔단, 농업인 건강 증진에 앞장
///부제 농촌 재능나눔활동지원사업 일환… 올해 총 11번의 의료봉사 진행 예정
///본문 사단법인 약침학회 굿닥터스나눔단이 지난 2일 전북 완주군 동상면 문화센터에서 지역주민 약 180여명을 대상으로 한의 의료봉사를 실시해 호평을 받았다.
굿닥터스나눔단 소속 한의사 6명과 일반 봉사자 35명이 참여한 이번 의료봉사에는 동상면 김은중 면장과 직원들도 참여해 한의 의료서비스 제공 이외에도 지역 어르신 차량 동행, 정서지원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번 의료봉사 활동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 재능나눔활동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매년 전국을 순회하며 농촌재능나눔 의료봉사를 펼치고 있는 굿닥터스 나눔단은 올해 11회의 의료봉사를 기획한 이후 지금까지 △충북 괴산군 △전북 고창군 △충북 증평군 △전남 장성군 등을 순회하며 지역주민 약 700여명을 진료해 왔다. 앞으로 6회의 의료봉사를 남기고 있다.
강인정 굿닥터스나눔단장은 “올해 6번째 의료봉사이자 하반기 첫 시작을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재능나눔’ 한의 의료봉사사업으로 시작하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이 활동이 동상면 지역주민의 건강 증진과 농촌사회의 보건의료 향상에 기여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17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광주서 의료생협 악용한 사무장 한의원 적발
///부제 4년여 동안 6억5000만원 상당의 요양급여비 편취
///부제 최근 5년간 사무장병원 적발건수 923건, 환수결정 금액 1조6856억7600만원
///부제 의료생협 소속 의료기관 253곳 중 80%가 사무장병원
///부제 민법상 비영리법인 의료기관 개설자격 제외, 처벌규정 강화 개정안 국회 심의 중
///본문 광주동부경찰서가 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하 의료생협) 명의로 한의원을 설립하고 일명 ‘사무장병원’을 운영한 A(75)씨와 B(42)씨 등 2명을 의료법 위반, 사기 등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A씨 등은 의료생협 설립시 의료인이 아니더라도 병원을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해 의료생협 설립을 공모하고 ‘조합원 300명 이상, 출자금 1000원 이상’이라는 조합 인가 기준을 맞추기 위해 가족과 지인 등을 통해 조합원 314명 명단을 수집, 허위로 등록한 뒤 광주시로부터 인가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광주 서구에 한의원을 개설한 후 2013년 10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4년여 동안 6억5000만원 상당의 요양급여비를 편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수사결과를 광주시와 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해 조합설립 인가 취소와 요양급여 환수에 나설 예정이다.
현행법에서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적정 의료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해 의료행위에 대한 독점적 면허를 부여받은 의료인과 공적성격을 가진 자에 한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있도록(의료법 제33조제2항)하고 의료기관 개설 · 운영에 대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고자 의료인 면허대여 행위를 금지하고(제33조제8항) 있으며 수개의 의료기관 소유를 통한 영리추구를 방지하기 위해 1인 2개소 의료기관 설립을 제한(제33조제10항)하는 등 의료기관의 개설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무장병원’이나 1인이 수 개의 병원을 개설하는 이른바 ‘네트워크 병원’의 불법 개설 문제가 근절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사무장병원 적발건수는 923건(2013년 136건, 2014년 174건, 2015년 166건, 2016년 222건, 2017년 225건)이며 환수결정 금액만 1조6856억7600만원에 달했다.
의료기관 개설주체별 사무장병원 적발 비율(개설주체별 기관총수 대비비율)은 의료생협이 29.2%로 가장 많았고 사단법인이 23.7%, 종교법인 18.2%, 재단법인 9.0%, 의료법인 2.5% 순이었다.
특히 의료생협 소속 의료기관 253곳을 단속한 결과 80%인 203곳이 사무장병원으로 드러난 바 있다.
또한 최근 5년간 면허대여금지 위반 적발건수도 총 38건으로 2013년 2건, 2014년 4건, 2015년 5건, 2016년 7건, 2017년 20건으로 증가했다.
이에 국회에서도 ‘사무장병원’ 근절을 위한 법적 대책을 강구하고자 의료법 개정안들을 발의하고 있다.
지난 8월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법안심사소위로 회부된 의료법 개정안만 보더라도 김광수 의원 대표발의안 1건, 천정배 의원 대표발의안 2건이다.
김광수 의원 발의안에서는 의료인 면허증 대여와 ‘사무장병원’ 의심 의료기관의 공무원 업무 검사 거부 · 기피 또는 방해 행위에 대한 제재 강화를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먼저 이 개정안에서는 ‘사무장병원’ 개설을 막기 위해 의료인이 타인에게 면허를 대여하는 행위를 명문으로 금지하고 이에 대한 처벌 및 행정처분 규정을 신설하는 등의 입법적 노력을 해왔으나 여전히 근절되지 않은 만큼 ‘의료인 면허 대여 행위’에 대한 제재수준을 면허 재교부 제한기간을 현행 2년에서 3년으로 강화시켰다.
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사무장병원으로 의심되는 의료기관에게 자료 요청을 통해 불법 개설 여부를 확인하고자 해도 ‘국민건강보험법’상 조사목적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대한 적절성 논란이 있어 이를 거부하더라도 벌칙규정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행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신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했다.
천정배 의원은 ‘사무장병원’이 근절되지 않고 있는 원인을 위반행위의 중대성에 비해 처벌이 과소하기 때문으로 보고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의료기관을 개설한 경우 현행 처벌 수준(5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으로 상향 조정하도록 했다.
또 다른 개정안에서는 ‘민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의 경우 의료법인이나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 등 다른 설립 주체와 달리 법인에 대한 주무관청의 감독 기능이 취약하고 해당 법인의 목적사업을 위한 수익사업의 한 형태로 의료기관을 설립 · 운영하는 문제가 나타남에 따라 현행법상 의료기관 개설자격이 부여된 자 중 ‘민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을 제외시키는 내용을 담았다.
한편 보건복지부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와 협의해 사무장병원 개설 비율이 높게 나타난 의료생협의 의료기관 개설권을 삭제하고 기존에 의료기관을 개설한 의료생협을 ‘의료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끝
///시작
///면 19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강서 공진초에 특수학교 건립 최종 합의
///부제 인근학교 통폐합시 ‘한방병원’ 건립 최우선 협조키로
///본문 한방병원 설립을 원하는 지역주민들과 특수학교 설립을 주장하는 장애학생 부모들이 부딪혀 난항을 겪던 서울 강서구 공진초 부지 사용 문제가 합의에 이르렀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손동호 강서특수학교 설립반대 비상대책위원장,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지난 4일 강서 특수학교 설립 합의문을 발표하고 “지난 3년간 사회적 갈등을 빚어온 강서 특수학교 설립에 대해 소통과 협력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특수학교 건립 예정지가 지역구인 김성태 원내대표는 “더 이상 특수학교를 둘러싼 갈등이 지속돼서는 안된다”며 “분열과 다툼을 넘어 상생의 전례가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함과 동시에 강서주민의 숙원사업인 국립한방의료원 설립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주무부처, 교육청과 협조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손동호 비대위원장은 “그동안의 오해와 갈등에서 배려와 공감으로 특수학교 설립이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며 “강서특수학교 설립 이후에는 장애 · 비장애, 특수학교 · 일반학교를 떠나 강서구민으로서 함께하는 아름다운 강서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강서 특수학교 설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비대위와 지역주민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섬세하게 노력하지 못해 교육청과 주민이 대립적인 것처럼 비춰진 데 유감을 표한다”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주민편익 증진에 적극 지원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합의문에는 인근학교 통 · 폐합시 해당 부지 한방병원 건립에 최우선적으로 협조하고 공진초 기존 교사동 활용 주민복합문회시설 건립, 신설 강서 특수학교 학생 배정시 강서구 지역학생 우선 배정, 기타 지역주민이 필요로 하는 사항에 대한 추가협력 등이 담겼다.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인 서진학교는 내년 9월 개교할 예정으로 서울에서 특수학교가 신설되는 것은 17년만에 처음이다.
한편 공진초 폐교 부지에 특수학교 설립을 둘러싼 갈등은 지난 2013년 시교육청이 공진초등학교가 마곡지구로 이전하면서 발생되는 이적지 일부를 활용해 특수학교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안)을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그러나 당시 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사업이 지연되면서 계획은 무기한 보류됐다.
강서구를 지역구로 둔 김성태 의원은 주민설명회를 통해 공진초 부지에 인근의 허준박물관, 허준테마거리 등 한의특화지역에 걸맞은 국립한방의료원을 건립하고 특수학교는 마곡지구에 부지를 마련해 설립하겠다고 밝혔고 보건복지부 역시 타당성 조사에 나서면서 힘을 실어줬다.
복지부의 용역을 받은 보건산업진흥원이 한약진흥재단과 함께 지난 2016년 6월부터 11월까지 1억3000만원을 투입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립한방의료원 건립과 관련 접근성, 인접성, 상징성, 부지 가격, 부지 규모 등을 바탕으로 서울 인근 지역 7개 후보 지역 중 강서구 가양동 공진초 이적지가 29점 만점에 21점으로 1순위로 선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게다가 서울시교육청 역시 지난 2015년부터 2년여에 걸쳐 서울주택도시공사에 5차례에 걸쳐 지속적으로 특수학교 대체부지(마곡지구 내) 제공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특수학교 건립을 둘러싼 갈등은 확대됐다.
///끝
///시작
///면 19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지정 외 과목 허위 광고시 전문병원 취소
///부제 이찬열 의원,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
///본문 특정 분야의 전문병원이 지정받은 진료과목 외 질환에 대해 전문병원인 것처럼 허위광고를 할 경우 전문병원 지정이 취소되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이 추진된다.
이찬열 바른미래당 의원은 지난 5일 이같은 내용의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법은 병원급 의료기관 중에서 특정 진료과목이나 특정 질환 등에 대해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을 전문병원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특정 분야의 전문병원으로 지정받은 병원에서 지정받은 분야 외의 진료과목이나 질환에 대해 전문병원으로 지정받은 것처럼 광고를 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개정안에는 전문병원 지정의 취소 사유로 ‘해당 전문병원이 지정받은 진료과목이나 질환이 아닌 분야에 대해 지정받은 것처럼 광고하는 경우’를 추가했다.
///끝
///시작
///면 21
///세션 기고
///이름 남동현 교수 상지대 한의대 진단생기능의학교실
///제목 “정량화된 값 제공으로 정확한 변증 수행하게 될 것”
///부제 ‘설진기 분야 최초로 식약처 의료기기 품목허가 및 제조허가 획득
///본문 설진기(CTS-1000, 의료영상분석장치)를 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 품목허가와 제조허가를 받기까지는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2008년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에 설진(舌診)에 대한 논문 한 편이 게재되었다.
한국의 한 연구자가 호주의 대체의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설진의 신뢰도에 대해 연구한 결과였다. 논문의 요지는 육안으로 수행한 설진의 신뢰도가 매우 낮으며, 낮은 신뢰도는 임상경력의 길고 짧음에 상관없이 모두 낮았다는 내용이었다. 이 연구결과는 이전에 필자가 갖고 있던 선입견을 뒤흔들어 놓기에 충분했다.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진단방법인 설진은 다른 진단법에 비해 믿을 수 있으며, 다만 임상경력이 부족한 한의사에 의해 설진이 수행될 경우 오진의 위험성은 높을 수 있다는 막연한 생각을 갖고 있었기에 상당히 충격적인 보고가 아닐 수 없었다. 따라서 신뢰도 있는 설진법을 찾는 것이 당시 한의 진단학 분야를 객관화, 정량화하기 위해 가장 먼저 극복해야 할 과제라는 점을 인식하게 됐다.
설진기의 특징은 신뢰성, 유효성, 안전성 확보
신뢰도 높은 혀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일정하고 표준화된 조명조건을 구현해야 했으며, 혀는 일정한 위치에 위치되어야 했고, 안정적으로 전체 혀 영상을 얻을 수 있어야 했다. 그러나 사람들마다 얼굴의 생김새가 달라 차폐환경을 구현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고, 설근부까지 정확하게 촬영이 가능하도록 골고루 혀에 빛이 조사되도록 조명을 설계하는 것은 물론 혀 배면부와 카메라의 시축을 최적화시키는 일 등은 모두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었다.
촬영된 혀 영상으로부터 설진에 필요한 필수적인 평가지표들을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필요했다. 당시 다양한 평가지표들이 제안된 상태였기 때문에, 어떤 평가지표들을 계산해야 할지도 불명확했다. 하지만 주위의 많은 전문가분들의 도움으로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나갔고, 마지막 힘든 관문을 통과했다.
전원만 공급된다면 이 설진기를 이용해 전국의 모든 한의의료기관에서 표준화된 설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설진기의 독특한 차폐구조 덕분이다. 외부의 광이 설진기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폐하면서 혀가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설계했다. 또 설근부터 설첨부까지 혀의 배면부 전체 영역이 모두 촬영되도록 설계됐다. 이러한 구조는 신뢰도 높은 검사결과를 얻는 것을 가능하도록 했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혀 촬영장치는 혀 전체의 영상을 얻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설근 부분의 영상을 얻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에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다. 높은 신뢰도를 갖는 설진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외부광 차폐, 적절하고 정확한 혀 위치, 혀 전체에 고른 조명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이것이 가능해야 촬영된 영상을 분석해 정확한 진단도 가능하다. 이번 설진기는 이 같은 설진기의 필수적인 전제조건들을 충족시킴으로써 신뢰성, 유효성,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번 설진기에 기대하는 효과는 매우 다양하고 파급효과도 점점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단순한 체외형 의료용카메라의 경우 신의료기술로 선정될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매우 낮다. 설진기와 가장 유사하면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체외형 의료용카메라로는 1차 의원급에서 흔히 사용하는 인두경이 있다. 아이들이 감기에 걸렸을 때 입 속 편도선이나 구인두벽의 아데노이드의 상태를 촬영하여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해주는 장치다.
신의료기술과 한의 보장성 확대로 이어질 것
이러한 장치를 이용해 인두를 살핀다고 하더라도 추가 의료수가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단순 촬영장치는 기본 진찰요소 중 하나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설진기도 혀를 단순히 촬영하는 장치라면 신의료기술로 선정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번에 허가를 받은 설진기는 표준화된 환경에서 혀를 촬영하고, 촬영된 혀 영상을 분석하여 설태의 후박상태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며, 설질과 설태 뿐만 아니라, 한의사가 분석하고자 하는 부분을 자유롭게 지정해 지정된 부분의 색상정보를 인간의 눈으로 인식하는 것과 가장 유사하게 분석하여 정량화된 값으로 제공함으로써 한의사가 정확한 변증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물론 설진을 통해 이루어지는 진단행위들이 이번 설진기를 통해 모두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설진을 수행함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들은 구현되었다. 또 설진기를 이용한 연구들이 지금까지 국내외적으로 다수 이뤄지고 있어 이번 설진기는 조만간 신의료기술로 선정될 가능성이 낮지 않다. 신의료기술 선정은 곧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의미한다.
최근 한의계는 역량 중심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실무평가 중심의 국가고시 개편에 대한 요구를 받고 있다. 그러나 역량과 실무 중심의 교육이나 평가를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객관화된 진단도구가 필수적이다. 설진기는 지금까지 어려웠던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 것이다. 아직까지 맥진기는 PBL(문제기반학습)이나 CPX(진료수행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에 불명확한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설진기는 한의사가 눈으로 망진하는 혀 영상을 표준화된 조건에서 획득할 수 있고,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변증별 혀 영상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미진했던 한의학의 특징을 살린 PBL이나 CPX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해졌으며, 객관적인 평가도 가능해졌다.
설진기의 국제표준 선점은 한·중·일 전통의학 분야의 주도권 경쟁에서 중요하다. 최근 설진기의 일반적인 요구사항을 골자로 하는 국제표준이 중국과 일본을 제치고 우리나라에서 주도해 제안한 안이 국제표준 제정의 바로 전 단계까지 진행됐다. 큰 변수가 없는 한 2019년 상반기에 ISO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예정이다. 그 국제표준안은 우리나라에서 제안한 만큼 이번 설진기를 비롯해 국내에서 개발한 설진기의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객관화된 진단도구는 역량 중심 교육에 큰 도움
맥진과 설진은 변증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다. 그러나 지금까지 맥진기는 개발이 되었으나 맥진기를 통해 얻은 결과를 변증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해 임상에서는 제한적으로만 활용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반면에 설진기는 그 검사결과를 한의사가 눈으로 보고 바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와 함께 그 결과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치료결과의 변화도 환자와 함께 볼 수 있으며, 그 변화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는 설진기를 이용하면 변증을 보다 용이하게 객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으로 남겨진 과제는 설진기를 보급하고 신의료기술 선정을 통해 보장성을 확대하는 일이다. 현재 설진기는 과제 참여기업이었던 대승의료기기와 기술이전 협상을 진행 중이다. 특히 신의료기술 선정은 한의계 의료기기 시장의 확대에 중요한 촉진제가 될 수 있다.
또 현재의 설진기는 설진기로서 갖춰야 할 최소한의 핵심기능만이 구현된 상태이며, 앞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들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설진기는 한의학 고유의 설진 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가 ‘구취(입냄새)’다. 구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진성 구취의 대표적인 원인이 설태이기 때문에, 설태를 신뢰도 있고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구취 상태를 평가하고 구취 치료의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 밖에도 설진기가 개발되지 않아 이뤄지지 못했던 설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이러한 연구는 설진기의 적응증을 확대시키고 설진기의 보급을 촉진시킬 것이다.
앞으로도 한의학 임상에서 활용 가능한 많은 진단용 의료기기가 개발되기를 바란다. 유효성과 안전성이 검증된 진단용 의료기기가 다양해질수록 한의 진료는 다채로워지고, 진단의 정확도와 신뢰도는 향상된다.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한의학의 미래는 진단용 도구가 얼마나 풍성해지는가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다.
///끝
///시작
///면 22
///세션 종합
///이름 하재규 기자
///제목 한의협, “응급의약품 사용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
///부제 응급의약품 구비 의무화 및 보수교육 동영상 제작 전파
///부제 응급의약품 사용 고발 ‘각하’ 국민 건강과 생명 지킴이 수행 
///본문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는 양방의 한의원 응급의약품 사용 고발건이 ‘각하’ 결정된 것에 대하여 “의료인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일에 충실해야 한다는 지극히 합당한 결정”이라고 환영의 뜻을 표하고 “향후 응급의약품의 적극적 사용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이와 관련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6월 에피네프린과 항히스타민 등의 응급의약품을 한의의료기관에서 사용하도록 안내했다는 이유로 대한한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 이사회 결의 찬성자들과 응급의약품을 한의의료기관에 공급한 제약사 및 해당 제약사 대표를 약사법과 의료법 위반으로 고발조치한 바 있다.
다만, 수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의사협회는 대한한의사협회와 이사회 결의 찬성자들에 대해선 고발을 철회했다.
의사협회의 이 같은 고발건과 관련해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약사법 제44조 제1항 제1호는 이 사건에 적용될 여지가 없으며, 고발인의 추측만을 근거로 수사를 개시할 만한 구체적인 사유나 정황이 충분하지 않다”며 각하 결정을 내렸다.
이에 대해 대한한의사협회는 “이미 우리 협회에서는 한의의료기관 내에 응급의약품을 비치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의료인의 당연한 책무임을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응급상황 및 대처방안에 대한 사이버 교육 강좌를 개설하고, 회원들에게 이를 전파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의사협회가 제작한 동영상 강좌인 ‘한의진료 중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과 그 대처’는 △봉약침과 전신급성과민반응(에피펜 사용법 추가) △기흉 위험 경혈의 탐혈과 해부학적 이해 △한의사를 위한 기본소생술(기흉, 아나플락시스, 훈침)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이버 보수교육 과정 중 필수과목으로 지정돼 평점이 부여된다.
특히 이 사이버 교육 강좌는 공지된 지 3일만에 300여명이 넘는 한의사들이 수강하고, 지속적으로 수강요청이 쇄도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한의사협회는 “검찰의 각하 결정이 난만큼 양방은 한의의료기관 내 응급의약품 비치 의무화와 이에 대한 사용을 방해하는 어떠한 행태도 취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의사협회는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한 한의사들의 응급의약품 사용에 맹목적으로 반대하기에 앞서, 본인들이 스스로 언론에 밝힌 ‘수술실 내 CCTV 설치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발언에 책임을 지고 이에 필요한 협의체 구성 등 후속조치를 추진하는데 진정성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
///시작
///면 22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공시지가 30% 인상시 건보료 최대 13% 올라
///부제 윤종필 의원 “서민 부담 커져…신중한 접근 필요”
///본문 주택 공시가격이 30% 인상될 경우 지역가입자의 재산보험료가 최대 13% 인상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윤종필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공시지가 변동에 따른 건강보험료 변화’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지역가입자 중 주택을 보유한 286만1408세대의 재산보험료 부과액은 총 2586억원인데, 공시지가가 10%가 인상될 경우 재산보험료 부과액은 2706억원, 20%를 인상하면 2806억원, 30%를 인상하면 2931억원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지가를 30% 인상하면 건보공단은 지역가입자로부터 총 345억원(13%)의 보험료를 더 걷게 되는 셈이다.
예컨대 연간 1000만원의 소득, 자동차(쏘나타), 공시지가 6억원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A세대의 경우 소득보험료는 8만4680원이며, 자동차 보험료는 1만4480원, 재산보험료는 16만1480원으로 월 26만640원의 건강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 공시지가 상승으로 주택가격이 9억원으로 오르면 월 보험료는 2만2000원이 인상된 28만2640원이 부과되는 것이다.
윤종필 의원은 “내년 건강보험료가 2011년 이후 최고치로 인상되는데 공시지가마저 인상된다면 국민들의 건보료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된다”며 “공시지가 인상은 실질적으로 자영업자 등 서민들의 부담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끝
///시작
///면 23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한의학 BIG 콘서트… 한의계 임상의와 연구자 교류의 장
///부제 강연·패널토론·포스터세션 등 다양한 포맷의 학술 교류 이어져
///본문 한의계의 임상의와 연구자들이 함께 교류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열렸다.
한의정보협동조합은 지난 1~2일 양일간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주)버키와 공동으로 한의학빅콘서트를 개최했다.
한의사 80여명과 동반 가족을 포함해 150명 가량이 참여한 이번 행사는 연구자와 임상의 사이의 간극을 줄이고 함께 토론하고 교류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개최 비용은 김창업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교수의 재능기부로 마련된 ‘철인28호 장학기금’과 한의정보협동조합의 조합 운영비, 한의플래닛을 운영하는 (주)버키의 전상호 대표의 개인기부금을 통해 준비됐다.
행사 첫째날에는 ‘연구자와 학생들 모임의 장’을 시작으로 김창업 교수와 조준영 꽃마을한방병원 원장의 강연, 와인파티와 함께하는 포스터 세션 등의 다채로운 순서로 꾸며졌다. 포스터 세션에는 총 17개의 포스터가 제출돼 선보였으며 장동엽 연구원(가천대 생리학교실), 박사윤(가천대 생리학교실), 배효진(가천대 생리학교실) 한의사가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이튿날에는 송미덕 대한한의사협회 학술부회장의 축사와 함께 김창업 교수, 채윤병 교수(경희대 경락의과학과), 이원행 원장(동의방약학회 학술이사)가 참여해 한의계의 학술문화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다.
또 대한스포츠한의학회와 한국의사한의사복수면허자협회의 강연에 이어 이향숙 경희대학교 경락의과학과 교수의 강연과 우수 포스터 시상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를 기획한 김창업 교수는 “그 어느 때보다 일선 한의사들이 임상 현장을 넘어 한의학을 보다 엄밀하게 학술적으로 연구,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학술모임에서 그들의 에너지가 융합해 새로운 흐름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다운 한의정보협동조합 이사장은 “일방적인 정보 전달 및 보수평점 획득을 위한 보수교육에서 벗어나 한의계의 다양한 주인공이 폭넓게 만나서 어울릴 수 있는 자리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협회 및 학회 차원에서 다양한 기획들이 나올 수 있는 동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번 행사를 공동 주최한 전상호 (주)버키 대표는 “한의계에 함께 소통하고 토론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행사가 시금석이 되길 바란다”며 “한의플래닛을 비롯한 다양한 온오프라인을 통해 앞으로도 학술적 토론과 소통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23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한 · 중 양국간 식치 최신 연구동향 ‘공유’
///부제 ‘동북아 식치 문화 교류’ 주제로 발표 진행…현지 언론서도 큰 관심 나타내
///부제 한의학연 CAP융합연구 식치연구사업단, ‘한·중 식치 문화교류 학술 심포지엄’
///본문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김종열 · 이하 한의학연) CAP융합연구 식치연구사업단은 지난달 23일 중국 대련에서 ‘2018 한 · 중 식치 문화교류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 양국의 식치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동북아 식치 문화 교류’를 주제로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다.
한의학연이 주최하고, 중국 대련대학이 후원한 이번 심포지엄은 한의학연 CAP식치연구사업단 고병섭 박사의 개회사와 중국 대련 웨이터아오(維特奧) 국제병원 양사오원(楊曉文) 원장 및 한국의사학회 김남일 회장의 축사에 이어 한국과 중국의 전문가들의 논문 발표가 이어졌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기조발표자로 나선 한의학연 안상우 박사는 ‘한국 전통 식치의 변천과 특징’을, 또한 중국 대련대학 정셴웨(鄭賢月) 교수는 ‘중국 식료 연구동향 소개’를 주제로 각각 발표를 진행했다.
기조 발표 이후에는 양국의 발표자들이 자국의 왕실문헌 속 식치 사례를 비롯해 역사와 철학사상, 문헌, 문화교류 등 다양한 영역에서 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의견을 교환했다.
한편 CAP융합연구사업단은 심포지엄 후 대련대학 및 대련 웨이터아오(維特奧) 국제병원을 방문, 양국간 식치 관련 공동연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중국의 식치 관련 의료시설과 실버타운을 견학했다.
특히 한국 학자들의 대련 방문에 대해 중국 현지 언론도 많은 관심을 표명, ‘대련개방선도구(大連開放先導區)’는 8월30일자 민생(民生)면에 심포지엄 개최 등 관련 내용을 보도했으며, 지역 ‘대련개발구 방송국’에서도 취재를 나와 ‘중한지교(中韓之橋)’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끝
///시작
///면 23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의료생협의 사무장병원 악용 원천 차단한다
///부제 천정배 의원 대표발의, 개설단계 규제 강화…지자체 감독 권한 복지부로 일원화
///본문 사무장병원을 설립해 부당이득을 취하는 의료생협이 증가하는 가운데 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법안이 추진된다.
지난 4일 천정배 민주평화당 의원은 이같은 내용의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 제45조제1항제4호에 따르면 조합은 조합원의 건강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보건 · 의료사업’을 할 수 있게 돼 있다. 이 조항을 근거로 지난해 12월까지 개설된 의료생협 운영 의료기관만 해도 1037개에 달한다.
지난달 보건복지부의 사무장병원 근절대책 발표에 따르면 의료생협 소속 의료기관 253곳을 단속한 결과 203곳(80%)이 사무장병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개정안에는 기존 소비자생활협동조합에 따라 설립된 의료생협이 의료기관을 개설 · 운영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미 설립된 의료생협은 협동조합기본법에 따른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전환해 지자체가 갖고 있던 관리 · 감독 권한을 보건복지부로 일원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천정배 의원은 “정부의 안일했던 태도가 많은 사무장병원 개설 · 운영을 증가시켰다”며 “개설단계부터 규제를 강화해 국민의 건강권 수호와 올바른 보건의료 체계 확립을 위해 기여할 것”이라고 법안 발의 배경을 밝혔다.
///끝
///시작
///면 24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봉독 시술시 응급상황, 이렇게 대비하세요~”
///부제 임상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에 대한 응급처치법 소개
///부제 면역통증의학회, ‘봉독 사용 중 나타날 수 있는 응급처치’ 주제 세미나 개최
///본문 최근 부천 여교사 아나필라시스 쇼크 사망사고와 관련 한의계 내부에서도 응급상황 발생시 응급의약품을 사용하는 등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는 가운데, 봉독을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한의사 연구모임인 ‘면역통증의학회’가 지난 1일 봉독 사용 중에 나타날 수 있는 응급처치를 주제로 한 강의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허호 원장(경희미소한의원)은 발표를 통해 “봉독을 시술한 후 곧바로 돌아서지 마라”고 강조하며, “(봉독 시술 후에는)환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특히 시술 후 5분 이내 잘 나타나는 급성 저혈압 반응이 나타나는지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고 밝혔다.
허 원장은 이어 “급성으로 저혈압이 발생해 안색이 창백해지고 혼절이 발생하면 즉시 구비된 응급의약품을 시술하고 상급병원으로 환자 이송을 준비해야 한다”며 “더불어 사전에 실시하는 스킨테스트는 전완부 내측에 1000:1로 희석한 봉독 0.05cc를 피내시술하고, 15분 후 홍반의 크기를 확인하는 정해진 방법으로 정확하게 시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급성히스타민 반응 중 호흡기로 나타나는 증상의 경우에도 응급의약품의 사용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허 원장은 “숨이 차고 부어오르며, 피부가 붉게 부으면서 호흡곤란이나 소양감이 심해지는 경우 응급의약품을 투약하거나 가까운 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경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그러나 이는 2〜8시간 사이 회복이 될 수 있는 것으로, 급성 저혈압으로 나타나는 쇼크 상황과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허 원장의 설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아나필락시스 쇼크 반응은 처음 벌에 쏘이거나 봉독 시술을 받으면서만 나타나는 증상이 아니라 몇 차례 정상적으로 시술을 받던 환자에게도 발생할 수 있고, 스킨테스트 중에도 쇼크나 히스타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환자의 건강상태 및 심리적 불안상태에 따라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봉독 시술시에는 다양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허 원장은 임상에서 봉독을 시술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주의사항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손바닥·발바닥 등 부위와 상부경추 주변 발제부 주변은 시술시 쇼크나 급성적 히스타민 반응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인 만큼 진료 초기에는 시술을 피해야 하며, 또한 심장 수술을 하거나 신장에 문제가 있는 환자, 임산부 등은 쇼크 발생시 예후가 불량할 수 있어 가급적 봉독 시술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하는 한편 쇼크 사망의 발생이 10만건당 1회라는 통계상 매우 적은 가능성이긴 하지만 안전 시술을 통해 사고 예방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어진 강의에서 선병석 원장(안아픈한의원·면역통증학회 총무이사)은 “과음 후 컨디션 좋지 않거나 긴장 불안이 심한 경우에는 평소와 같은 봉독 시술을 해도 히스타민 반응이 더 강하게 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가능한 피내시술이 좋고 말초보다는 척추 주변의 시술에 중점을 두는 것이 좀 더 안전한 시술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선 원장은 “스킨테스트 이후 대기하는 경우 및 침·물리요법 등을 시행하면서 환자를 확인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며 “이 때 환자의 얼굴에 핏기가 없어지는 느낌이 오는 경우 일반적인 절차는 혈압 체크 후 응급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환자 얼굴에 핏기가 없어지고 혼절하는 상황이라면 수축기 혈압이 매우 낮아져 맥도 잡히지 않아 저혈압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만큼 즉시 응급의약품을 투약하고 쇼크에 따른 환자대응 후 상급병원 이송을 준비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런 처치를 통해 보통 119가 도착하기 전에 환자의 의식이 돌아오고 혈압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선 원장은 “급성히스타민 반응의 경우에도 환자가 목이 간지럽다고 하거나, 잔기침을 시작하게 되면 즉시 응급의약품 투약을 하는 것이 환자의 고생을 덜고 안전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역시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환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해당 응급의약품을 준비하고 있다가 긴급 투약하거나, 가까운 의원에서 치료받도록 하고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선 원장은 이어 최초 스킨테스트나 초기 진료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나중에 쇼크나 급성히스타민 반응을 보이게 되는 경우는 환자의 컨디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환자가 체력적으로 문제가 심하거나 심리적으로 안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시술을 피해야 하며, 또한 봉독 시술시 특징적으로 평소 위장질환이 자주 있다거나 자궁통이 있는 경우 및 봉독 시술 후 극심한 경련성 통증을 겪게 되는 경우에는 상급병원으로 즉시 응급전원시켜 진통제를 정맥투약해야 진정되는 만큼 시술시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고동균 원장(자연생한의원·자연생탕전실대표)은 “봉독의 주요 성분들은 단백질로, 이들 성분들이 안정되지 않아 변성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며 “실제 열이나 자외선뿐 아니라 교반 등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서도 변성이 일어날 수 있으며, 또 봉독 내 효소에 의한 변성반응도 있을 수 있는 만큼 제품 변질에 의한 부작용이나 과민반응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한편 △반드시 냉장보관할 것 △추가적인 열소독을 하지 말 것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흔들어 사용하지 말 것 △침전이 발생한 봉독은 즉시 폐기할 것 등의 봉독 관리상 주의사항에 대해 강조했다.
///끝
///시작
///면 26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대한암한의학회-대한약침제형연구회 암 임상연구 위해 맞손
///부제 개원 한의사의 우수 암 치료 임상증례 논문 활성화 기대
///본문 대한암한의학회와 대한약침제형연구회가 암 관련 임상 연구논문 활성화 사업을 위한 업무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
지난달 29일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상지영서대학교 전통산업진흥센터에서 가진 MOU 체결식에는 대한암한의학회 홍상훈 회장, 유화승 교수(부회장), 주종천 교수(부회장), 유준상 교수(국제이사)와 대한약침제형연구회 권기록 회장, 반경태 이사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두 기관은 암 관련 우수한 임상연구 논문이 발표될 수 있도록 토양을 다지는 일에 협력하고자 1차적으로 암 치료 관련 우수 임상 사례를 논문화하는 사업에 노력키로 했다.
또 대한암한의학회지의 학술진흥재단 등재지로 위상을 격상시키는 노력도 함께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대한약침제형연구회는 연 2000만원씩 2년간 총 4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홍상훈 대한암한의학회 회장은 “암 치료 관련 우수한 임상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우수한 연구 성과는 논문으로 발표돼 국민들에게 알려져야만 추후 암 치료에서 한의계의 역할을 담보받을 수 있다”며 “이번 협약 체결로 우수한 연구 사례를 가지고 있는 개원 한의사들의 치료 경험을 학회 소속 교수들과 함께 논문화해 우수 암 치료 임상증례가 묻히는 일이 없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기록 대한약침제형연구회 회장은 “이번 MOU는 치료의학으로서 한의학의 우수성을 증거로 남기고자 하는 작업”이라며 “누군가는 씨앗을 뿌려야 나중에 열매를 얻을 수 있는데 암 치료 관련 임상논문 활성화는 한의학의 미래를 위한 작은 출발이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26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3회 연속 미흡등급 받는 건강검진기관 ‘퇴출’
///부제 건강검진기본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본문 앞으로 건강검진기관(이하검진기관) 평가결과 3회 연속해 미흡등급을 받은 검진기관은 지정이 취소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건강검진기본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지난 5일부터 10월15일까지 40일간 입법예고했다.
그동안 검진기관에 대한 지속적인 질 향상 요구와 미흡등급을 받은 검진기관에 대한 행정처분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이번 개정안에서는 평가결과 미흡등급을 받은 기관에 대해서는 교육 및 자문을 실시한 후 일정 기간(약 6개월) 이내에 개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재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현재는 미흡등급을 받은 기관에 대해 교육, 자문을 실시하고 있지만 재평가는 별도로 실시하지 않고 있다.
미흡등급을 받은 검진기관에 대한 행정처분도 강화했다.
처음 미흡등급기관에는 ‘경고’를, 연속 미흡등급기관에는 ‘업무정지 3개월’, 연속해서 3회 미흡등급기관은 ‘지정취소’ 처분을 받게 된다.
현재는 미흡등급을 받은 기관에 대해 교육 및 자문 실시 이외의 행정처분은 없었다. 이로 인해 검진기관의 질 향상을 유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검진기관 평가를 회피할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평가를 거부하는 악용사례를 방지하고 미흡등급기관에 대한 행정처분 수준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의도적으로 평가를 거부하는 검진기관에 대한 행정처분도 현재 1차 업무정지 1개월 → 2차 업무정지 2개월 → 3차 업무정지 3개월 처분에서 1차 업무정지 3개월 → 2차 지정 취소로 강화했다.
이번 개정안에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오는 10월15일까지 복지부 건강증진과로 의견을 제출하면 된다.
한편 검진기관 평가는 3년 주기로 실시되며 지난 1차(2012~2014) 평가에서는 858개 기관, 2차(2015~2017) 평가에서는 191개 기관이 미흡등급을 받았다.
3차(2018~2020) 평가는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병원급 이상(2018~2019 상반기), 의원급(2019~2020)으로 구분해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평가 결과는 의료기관 종별로 평가 후 순차적으로 각 검진기관에 통보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에 공개된다.
///끝
///시작
///면 27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건보재정 정부부담 약속 깬다면 문케어 붕괴될 것”
///부제 2007년 정부부담 관련 법률 개정 이후 지난해까지 17조원 미납부
///부제 건보노조, 정부부담 납부기준 ‘전전년도 결산상 보험료 수입액’으로 개정 촉구
///본문 국민건강보험법에서 규정한 건보재정 20%의 정부부담금이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대폭 축소될 전망인 가운데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이하 건보노조)은 지난 5일 “건보재정 정부부담의 약속이 깨진다면 문재인케어는 붕괴될 수밖에 없다”며, 정부부담 납부기준 개선 등을 통해 정부 지원규모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건보노조는 “이달 초 국회 예산결산위원회에 제출될 2019년도 건보재정 정부부담은 7조8732억원으로 내년도 건보료 예상수입액(57조8100억원)의 13.6%로 확인됐으며, 이는 건강보험법에서 규정한 정상적인 정부부담금 12조7193억원에서 4조8461억원, 즉 38%가 축소된 금액”이라며 “2019년 건보재정 정부부담금이 2017년에 이어 3년 연속 13%선에 그칠 것으로 예상돼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고 밝혔다.
건보노조는 이어 “의학적으로 필요한 비급여의 전면 급여화를 추진하는 문재인케어의 재원조달은 △누적적립금 중 10조원 활용 △연평균 보험료 3.2% 인상 △정부부담금의 정상화라는 세 개의 축으로 설계돼 있지만 정부부담의 축은 훼손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이는 곧 문재인케어의 붕괴를 뜻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지난해 12월4일 국회에서는 개원 이래 처음으로 2018년도 정부부담금을 2200억원을 삭감해 본회의에서 통과시킨 바 있으며,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문재인케어가 올해는 국회, 내년에는 예산당국에 의해 발목이 잡힌 형국이라는 지적과 함께 건보법에 규정된 20% 정부부담은 국회의 변칙과 예산당국의 반칙으로 과소지원이 매년 반복되고, 앞으로도 전혀 개선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건보노조는 “2022년까지 보장성 강화 소요비용인 30조6000억원은 그야말로 문재인케어 팩키지 비용일 뿐 급격한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의료비 급증 등 다른 요인에 의한 지출액은 포함되지 않은 것”이라며 “이에 따라 정부부담금의 반복되는 축소는 문재인케어 실현은 고사하고 건강보험의 지속 가능성마저 어렵게 할 것임은 불보듯 하다”고 꼬집었다.
이 같은 과소지원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건보노조는 “정부부담 기준이 ‘당해 연도 보험료 예상수입액’이라는 불명확한 개념으로 규정돼 있으며, ‘예산의 범위’라는 단서조항이 있어 이를 사후 정산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로 인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건보재정 정부미납액이 17조1770억원(국고 7조1950억원·건강증진기금 9조9820억원)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연례적인 ‘건강보험 정부부담 축소지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대응책과 관련 건보노조는 “현행 건강보험법의 정부부담 기준인 ‘해당연도 보험료 예상수입액’을 ‘전전년도 결산상 보험료 수입액’으로 확정해 정부지원 규모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한편 시급성을 감안해 국가재정법에 의한 정부예산 편성절차에 위반되지 않도록 이번 정기국회에서 건강보험 정부부담 관련 국민건강보험법(제108조)과 건강증진법(부칙2조)의 제·개정을 의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끝
///시작
///면 28
///세션 기고
///이름 김남일 교수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제목 醫史學으로 읽는 近現代 韓醫學 (388)
///부제 1971년 1월15일자 漢醫師協報를 보니 “鍼灸分科學會 조직을 決議했던 바로 그 해”
///본문 1971년 1월15일자 ‘漢醫師協報’(韓醫新聞의 前身)에는 1971년 희망찬 새해를 맞아 한의학의 발전을 위해 분주했던 당시의 분위기가 반영돼 있다. 아래에 이날 기사를 요약해 당시의 한의계의 상황을 인식해 보고자 한다.
○세계침구학술대회 준비작업: 제3회 세계침구학술대회 개최를 1973년 5월 개최 목표로 준비위원회 구성을 위한 사전 회합을 경희대 이창빈 학과장이 개최했다. 金昌化(한온한의원 원장) 등이 참석한 이 자리에서는 전체 예산과 경희대의 지원 경비 등을 논의하고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朴炳昆의 『漢方臨床 40年』 출판: 經驗醫學 大著인 朴炳昆 先生(정성한의원 원장)의 『漢方臨床 40年』이 출판됐다. 이 책은 한의학의 전반적인 病症治驗例와 口, 齒, 耳, 鼻, 咽喉 疾患, 眼科, 外科, 皮膚病, 性病, 婦人科, 産科, 小兒科의 순서로 원인, 증상, 진단, 치료별로 구분해 漢洋方對比 한방의 우수성을 적출하고 특히 치법에 있어 表裏陰陽虛實을 참작한 古方, 後世方, 국내외 經驗方, 著者治驗方 등 3000여방의 해설을 수록하고 있다.
○濟韓한방병원 竣工式: 한의사협회 경북지회장 卞廷煥 先生은 종합병원 건립을 목표로 대구시 동구 상동 소재 2000여평 대지에 700여평 건물을 1970년 7월 착공한 바 있는데 1970년 12월26일 하오 2시 대구시장을 비롯한 많은 한의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준공식을 가졌다.
○서울시한의사회 臺灣 다이베이시(臺北市) 中醫師會와 자매결연: 대한한의사협회 서울시지부 朴勝九 會長은 1970년 12월 臺灣 鍼灸節行事에 참석하는 한편 臺北市 中醫師會(회장 吳海峰)와 자매결연을 체결하고 귀국했다.
○鍼灸分科學會 構成 決議: 대한한의학회는 분과학회 구성문제와 학회지 발간 문제 등을 비롯한 학회운영건을 토의하기 위해 1970년 12월30일과 1971년 1월11일 하오 6시 중앙회관에서 이사회를 개최하고 학회지 발간을 위한 원고의 현상 모집과 鍼灸分科學會組織에 필요한 자금을 기채사용하기로 결의하고 이사회에 일임키로 했다.
○故 禹吉龍 先生 追慕碑 建立 전국적 협조: 故 禹吉龍 先生 追慕碑 建立推進委員會(위원장 柳吉榮)는 1970년 12월22일 상오 11시 부산시 서구 당부동 묘소에서 추모비 제막식을 엄수했다. 故 禹吉龍 先生은 동지들과 뜻을 같이 해서 국민의료법 중 한의사제도 창안에 진심 전력해 무려 1년여 활동 끝에 끈덕진 방해 공작을 물리치고 보건부와 국회요로에 수백번이나 출입하면서 건의와 진정으로 맹활약을 전개하여 同法의 제정을 성공시켜 한의사제도를 창설, 오늘날의 각광을 받게 한 불후의 공적을 세웠다.
○MBC TV에 귀국좌담 방송: 서울시한의사회 朴勝九 會長, 학회이사 崔鎭昌, 한성한의원 원장 李貞圭 등은 1970년 12월29일 아침 MBC 모닝쇼 TV에 출연해 臺灣 中醫師會 학술대회 참석 등에 대한 보고좌담회를 함.
○李炳幸 會長 鍼道의 革新 太極鍼法 發見: 『鍼道源流重磨』를 저술 중인 李炳幸 先生(古典醫學硏究會 會長)은 일혈로 사상을 정확하게 분별하고 8혈로 많은 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태극침법을 발견하고 200여명의 임상실습에서 정확무결한 효율을 얻었다고 발표했다. 1월5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자신이 연구한 『鍼道源流重磨』 출판을 위한 고전 정리 중 발견했다는 태극침법은 태극의 원리에 의한 고전침법으로 사상의학적인 신묘한 탁효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침시술로 사상을 정확하게 분별하고 8혈만을 시침해서 즉석에서 효험을 볼 수 있는 것이다.
○1971년 새해를 맞이해서: 前 중앙회장 성제원한의원장 金定濟, 前 중앙회장 大韓한의원장 李範成, 前 중앙회장 의림사 사장 裵元植, 한의사협회 부회장 李燮, 한의사협회 부회장 李相國 등이 새해를 맞아 글을 게재함.
///끝
///시작
///면 29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퇴원 후 갈 곳 없는 환자들…대안은?
///부제 ‘재활난민과 사회복귀, 무엇이 필요한가’ 국회 토론회
///본문 퇴원 후 갈 곳 없는 이른바 ‘재활난민’의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해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하나로 묶는 지역사회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지난달 3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윤소하 정의당 의원 주최로 열린 ‘재활난민과 사회복귀, 무엇이 필요한가’ 국회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현행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의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환자의 기능 회복에서 나아가 사회 적응까지 이어지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은주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과장은 일본 재활의료 체계와의 대조를 통해 “한국은 지역사회의 재활 및 요양서비스 미흡으로 퇴원 이후 재활에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어 지속적인 재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환자에게 조기 재택 복귀를 독려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일본의 경우 퇴원 이후에도 개호보험에 근거해 개호노인보건시설, 요양형병원, 지역포괄케어병상, 유료노인홈, 방문진료, 방문간호, 방문재활, 방문목욕 등 다양한 지역포괄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내에는 일본의 케어매니저와 같은 지역 포괄 지원을 리드하는 직종이 부재해 퇴원 이후 지역사회의 재활 및 요양서비스 수급을 가이드 해 줄 적절한 연계 창구가 모호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범석 일본 군마대학교 교수는 “일본에서 말하는 지역 포괄케어라는 것은 자택에서 30분 거리 안에 의료, 개호예방, 개호 등 모든 서비스를 받는 시스템”이라며 “의료와 개호(돌봄)를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가 큰 화두였던 일본은 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등 개호군이 모여서 1년에 몇 차례 연수회를 열고 환자들을 대상으로 롤플레이를 하는 등 공통의 언어를 갖고자 하는 노력들을 꾸준히 해왔다”고 조언했다.
김소영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은 “우리나라는 재활병원은 치료하는 곳이라는 개념이 아직도 강하다”며 “재활의 의미를 신체적 재활에만 한정하지 않고 심리적·사회적 요인까지 총체적으로 확대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정은영 보건복지부 의료기관정책과장은 “재활난민문제와 장애 환자들의 사회복귀 어려움에 대해 정부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며 “치료와 간병의 개념부터 급성기에서 회복기로 넘어가는 치료과정의 획일성, 물리치료와 작업치료의 수가차이, 요양시설과 병원의 기능 중복 및 기관 난립, 퇴원 후 일상복귀 및 재활치료·재가서비스의 부실, 보험체계의 구조적 한계 등 재활난민을 양산하는 각종 문제가 의료서비스 공급체계 전반과 복합적으로 얽혀있다”고 설명했다.
정 과장은 이어 “작년 10월부터 시범사업을 하고 있는데 수가가 제대로 안 돼 있는 상황에서 정말로 재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모델로 갈 수 있도록 검토 중”이라며 “시범사업 15개 기관에서 급여 외에 비급여 대상 환자까지 자료를 받고 경증과 중증을 구분하는 재활환자 분류체계 작업을 하고 있어 12월까지는 수가 체계를 마련하고 모델이 확정되면 그 때 다시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의사나 치료사 주도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환자를 중심으로 일본같은 케어매니저가 보험부터 치료계획, 지역 내 활동 및 생활 보조까지 포괄한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포괄케어센터에서 환자를 지원하고 보호하는 역할이 유기적으로 이뤄질 수 있어야 할 것”이라며 “커뮤니티케어의 한 부분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끝
///시작
///면 29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자생의료재단, 대학생 ‘희망드림 봉사단 2기’ 출범
///부제 전국 대학교 재·휴학생 자원봉사자 50명으로 구성…향후 1년간 활동
///본문 자생의료재단이 지난달 31일 자생한방병원 지하 1층 대회의실에서 ‘자생의료재단 희망드림 봉사단 2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자생의료재단 희망드림 봉사단’은 대학생들에게 자원봉사 참여기회를 제공하고, 자생의료재단의 의료 인프라를 통한 봉사활동과 연계해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시작된 것으로, 지난 2016년 봉사단 1기가 1년간의 활동을 마쳤으며 올해 2기가 새로 조직돼 공헌 활동을 이어나가게 됐다.
전국 대학교 재·휴학생 자원봉사자 총 50명으로 구성된 희망드림 봉사단 2기 봉사자들은 이날 발대식에서 위촉장을 받았으며, 1기 봉사자도 참석해 지난 활동에 대한 소감을 나누는 등 사회공헌에 대한 철학을 공유하고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간을 가졌다.
봉사단은 지난 5일 충남 서산시에 개최된 한의의료봉사 참여를 시작으로 ‘가을 수확 철 농촌 일손 돕기’, ‘희망드림 자선 바자회’, ‘사랑의 김장 담그기’, ‘뜨끈뜨끈 사랑의 연탄나누기’ 등 향후 1년간 자생의료재단이 주최하는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또한 자생의료재단의 사회공헌활동뿐만 아니라 조별로도 나뉘어 개별 봉사활동을 직접 기획하고 진행하게 되며, 자생의료재단은 이들이 원활하게 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이날 신준식 자생의료재단 명예이사장은 축사를 통해 “병만 고치는 의사는 ‘소의(小醫)’, 마음을 고치는 의사는 ‘중의(中醫)’, 사회의 병을 고치는 의사를 ‘대의(大醫)’라고 한다”며 “희망드림 봉사단 2기 학생들이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긍휼지심(矜恤之心)’과 ‘측은지심(惻隱之心)’의 정신을 마음에 새기고 장차 큰 일을 해낼 대의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자생의료재단은 희망드림 봉사단 이외에도 △농촌 의료지원 △자생 글로벌 장학사업 △저소득층 학업지원사업 △해외 나눔의료 사업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끝
///시작
///면 29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청연한방병원, 농협 임직원 건강 증진에 앞장
///부제 지역사회 발전 위한 사회공헌… NH 전남지역본부와 협약
///본문 청연한방병원(이하 청연)이 지난 4일 광주 서구 청인컴퍼니 9층에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NH농협지부 전남지역본부(이하 전금노 농협지부 전남본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전금노 농협지부 전남본부 소속 임직원의 건강 증진을 위해 추진된 이번 협약은 우대혜택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협약식에는 고용준 청연 미래전략센터 이사장, 강수우 청연 부병원장, 안종팔 전금노 농협지부 전남본부 위원장, 설준홍 전금노 농협지부 전남본부 목포신안지부장, 박내춘 NH농협 목포신안지점장 등 각 기관 임직원이 참석했다.
안종팔 위원장은 “지역 의료기관과 협약을 맺고 우리 노조원들의 건강 증진에 힘쓸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 청연과 함께 직원들의 건강과 복지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용준 이사장은 “전금노 농협지부 전남본부와 협약을 통해 소속 노조원들의 건강 증진에 청연이 조금이나마 이바지했으면 한다”며 “건강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도 앞으로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
///시작
///면 30
///세션 기고
///이름 한상윤 한의사/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제목 한의학 교육의 현재와 미래⑤
///부제 어떤 학생을 선발할 것인가?
///본문 “한의대에 필요한 적성은 무엇인가요?”
입시철을 앞두고 한의대 수험생들이 드나드는 인터넷 사이트들에서는 이런 질문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댓글로 답을 주는 사람들은 같은 수험생들도 있겠고 먼저 한의대에 입학한 한의대생도 있을 것이다. 그만큼 다양한 대답이 나올 것 같지만 실상은 거의 비슷한 내용으로, 짧은 시간에 자료를 암기하는 능력, 시험 기간에 지치지 않고 버티는 체력 등의 현실적인 조언이 주를 이룬다.
그런 능력들이 학교 생활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과연 텍스트를 읽고 빠르게 암기하며, 방대한 학업량에도 지치지 않는 능력이 한의대생이나 한의사가 되기 위한 핵심적인 자질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명석한 두뇌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학교에 입학한 이후 적응을 하지 못해 방황하기도 하며 전문직으로서 의료인의 사회적 책무를 망각한 채 부도덕하거나 비양심적인 행위로 대중을 실망시키는 사람도 존재하는 것을 보면, 단순히 시험 성적을 잘 받고, 무사히 진학하여 의료인이 되는 것만을 목표로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사회가 요구하는 의료인의 역량은 이제 더 이상 학업적, 인지적 능력에 머무르지 않는다. 미국의과대학협회는 ‘Medical School Objectives Project’와 같은 보고서에서 미래 의료인의 역량으로 사회적 책무성, 의사소통능력, 자기계발 태도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은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안에서 최대한 교육해야 하겠지만 정해진 시간 안에 방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해야 하는 여건 하에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군다나 이미 가치관과 생활 태도가 어느 정도 형성된 이후의 성인 교육이라는 점에서 대학 입학 후의 교육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대학 입학 전형과 학생 선발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의료인의 자질을 미리 갖춘 학생을 선발한다면 의학 교육의 효율성을 달성함과 동시에 더 바람직한 역량을 갖춘 의료인을 양성,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대학은 학생 선발에서 평가 요소의 다각화를 모색해야 한다. 학생의 학업 성취도 뿐 아니라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문제해결능력 등 비 학업적인 측면의 요소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현재 12개 한의과대학에서는 수시와 정시로 전형을 나누어 실시하고 있으며 학교에 따라 다양한 단계를 도입해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논술로는 문제 파악 능력, 비판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표현 능력 등을 측정할 수 있고 면접은 심층 면접을 통해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능력과 대처 능력, 동료 집단 안에서의 적응성이나 소통능력을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면접과 논술 등에서 이미 판에 박힌 정형화된 문제를 여전히 암기식으로 대비하는 풍토 역시 존재한다. 따라서 대학은 면접 문항과 논술 문항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바람직한 의료인상에 부합하는 학생을 선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순한 면접문항이나 논술문항에서 벗어나 보다 더 포괄적으로 지원자의 다양한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할 필요도 있다. 영국의 페닌슐라 의과대학은 지원자의 학업 능력 이외에 의사소통, 이타심과 사회에 이익이 되는 행동, 융통성, 의사결정능력, 협동심, 정직함, 반성적 태도, 자기통찰력, 질병과 의학에 대한 통찰력, 관리능력 등 10가지 영역을 평가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구조화된 면접 질문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2004년 캐나다의 McMaster 의과대학에서 개발되어 현재 미국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로 확산된 학생 선발도구인 다면인적성면접(multiple mini-interview)역시 선발방식 변화의 중요한 예로 들 수 있다.
다면인적성면접은 학생의 비학업적인 특성을 보기 위해 객관구조화진료시험(OSCE)의 원리를 면접에 적용한 것으로서 한 학생이 여러 면접 스테이션을 거치며 제시되는 문제에 답을 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주로 구체적인 문제 상황 하에서의 판단력과 평소 가치관, 인성을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몇몇 의과대학에서도 입학 전형에 도입, 실시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다면인적성면접이 단순히 선발도구로서 기능할 뿐 아니라 입학 후의 학업성취도와 학교 생활과도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McMaster 의과대학은 이 면접 점수가 OSCE점수와 임상수행능력 등과 높은 상관도를 보인다고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국내 서울대 의대에서도 다면인적성면접 수행군이 비수행군에 비해 더 타인과 사회지향적이며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도를 비교했을 때 다면인적성면접 수행군이 의예과 7개 과목 모두에서 비 수행군보다 더 높은 성적을 받았다고 한다. 동일한 다면인적성면접을 수행하고 입학한 학생들을 비교했을 때 그 점수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도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면인적성면접이 의예과 학업 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지원자의 다양한 인성, 적성을 파악하기 위해 도입한 면접 방식으로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까지 유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지적 역량과 비인지적 역량을 고루 갖춘 학생을 선발하여 교육하는 것이 의과대학이 가진 중요한 사회적 의무라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의료인을 양성하는 기관으로서 대학은 의료 역량의 핵심 요소를 추출하여 그에 맞게 학생 선발 단계를 끊임없이 발전시키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9월은 수시모집의 시즌이다. 올해는 12개 한의대 수시모집의 비중이 55.2%로 확대되었다고 한다. 심의(心醫)를 꿈꾸는 모든 수험생들의 건승을 빈다.
///끝
///시작
///면 31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식약처, 올해 말까지 일부 조영제 공급 점진적 중단
///부제 “가돌리늄의 뇌 잔류로 인한 위해성 밝혀지지 않아”
///부제 조영제 부작용 건수, 2009년 대비 10.8배 증가
///부제 조영제 투여환자 10명 중 7명 조영제 사전검사 받아본 경험 없어
///본문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MRI 촬영에 사용하는 일부 조영제의 공급을 올해 말까지 점진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가돌리늄 조영제의 뇌 잔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아직 확인되지 않아 잠재적인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는 설명이다.
가돌리늄 조영제는 MRI 촬영시 장기, 혈관, 조직 등의 병변 상태를 선명한 영상으로 보기 위해 투여하는 의약품으로 중금속인 가돌리늄을 함유하고 있으며 화학 구조에 따라 ‘거대고리형(macrocyclic agent)’ 및 ‘선형(linear agent)’으로 분류된다.
가돌리늄 조영제는 신장을 통해 대부분 제거되지만 미량의 가돌리늄이 뼈나 피부, 장기 등 체내에 잔류할 수 있으며 거대고리형 제제에 비해 선형 제제가 더 많이, 더 오래 잔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가돌리늄의 체내 잔류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작용은 신원성 전신섬유증(NSF)이 있다.
특히 가돌리늄이 뇌에도 잔류하는 것으로 보고됐으나 이로 인한 위해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식약처는 가돌리늄 조영제의 체내잔류에 대한 정보를 안전성 서한을 통해 2017년 11월30일과 올해 5월25일 등 2회에 걸쳐 제공하고 지난 3월 거대고리형 제제를 선형 제제보다 우선 사용하도록 허가사항을 변경한 바 있다.
이에 추가로 이번에 국내외 허가 현황, 이상사례, 사용실태 등을 조사하고 관련 학계·의료전문가의 의견과 중앙약사심의위원회의 자문 결과 등을 토대로 추가적인 안전조치의 필요성을 검토해 해당 품목 제조·수입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올해 말까지 일부 선형 제제(가도베르세타미드, 가도디아마이드, 가도펜테틴산)의 공급을 점진적으로 중단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다만 간 조영제로서만 사용 중인 ‘가도세틱산’ 선형 제제는 간에서 흡수되므로 공급 중단되는 대상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또 간 및 중추신경계조영제로서 허가된 ‘가도베네이트’ 선형 제제도 공급 중단되는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는 대신 ‘간 조영’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도록 허가를 변경할 예정이다.
공급 중단 대상은 3성분 제제 7개사 13품목이며 허가사항 변경 대상은 가도베네이트 성분 제제 1개사 2품목이다.
식약처는 가돌리늄 조영제 사용시 가돌리늄이 체내에 잔류할 수 있으므로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의 필요성을 신중히 판단하고 검사시에는 필요한 최소용량만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가돌리늄의 체내 잔류가 거대고리형 제제에 비해 선형 제제 사용시 더 많이 더 오래 잔류하는 만큼 반복해 조영제를 투여해야 하는 환자, 임부, 신장애 환자, 소아, 염증 질환 등을 가진 고위험군 환자는 특별히 유의해 거대고리형 제제를 우선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와 함께 임신 중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환자, 신장애 환자, 최근 MRI 촬영 환자나 반복 촬영 환자는 MRI 촬영 전에 보건의료 전문가에게 해당 사실을 알려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식약처에 따르면 조영제 부작용 건수는 2009년 대비 2016년 10.8배나 늘었다.
목숨을 잃은 경우도 25건에 이른다.
서울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병원 등 7개 병원에서 과거 컴퓨터단층촬영(CT) 등 X-선 진단·검사시 조영제를 사용한 환자(19만4493건)를 대상으로 약물 이상반응의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과거 조영제 이상반응 경험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았던 경우에 비해 과민반응 발생이 68배, 이상반응 경험 가족력이 있는 경우 14배,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7배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한국소비자원의 조영제 투여환자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10명 중 7명(68%)은 조영제 사전검사를 받아본 경험이 없었으며 조영제 투여와 관련된 설명을 듣지 못한 경우가 14%, 서면 동의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도 20%에 달했다.
최근 법원은 편두통으로 내과를 찾은 42살 김모씨가 뇌 CT 촬영을 한 뒤 조영제에 의한 과민성 쇼크로 두시간만에 숨진 사건에 대해 병원측이 조영제 처방 전에 환자의 과거 병력 등을 확인하지 않은 책임을 물었다.
///끝
///시작
///면 31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홍천군보건소, ‘갱년기 한방 건강 교실’ 실시
///본문 홍천군보건소가 지난 4일부터 한의약 건강관리법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기능이 저하되기 쉬운 중년 및 장년층의 건강유지를 위한 ‘갱년기 한방건강 교실’을 운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소에 따르면 주요 프로그램은 갱년기의 신체적·정신적·심리적 변화에 대한 건강 상담 및 이론 교육과 함께 한방체조, 요가명상과 정신건강증진복지센터와 연계한 수면장애 및 스트레스관리, 기타와 함께하는 노래교실, 웃음치료, 원예활동하기 등 체험 프로그램 등이다.
주 2회씩 10주간 운영되며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기초건강측정과 기초체력측정으로 사전·사후 비교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보건소 관계자는 “40~50대 중장년이 갱년기를 적극적이고 당당하게 맞이함으로써 건강하고 행복한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모든 질환이 발병하기 전 사전에 예방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사회 주민들이 스스로 건강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끝
///시작
///면 31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심평원 인천지원, ‘의료자원 현황관리 가이드’ 배포
///부제 신설된 보건의료자원 현황 변경신고 방법 등 수록
///본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인천지원(이하 인천지원)은 지난 6일 인천 지역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의료자원 현황관리 가이드’ 책자를 제작·배포했다.
‘의료자원 현황관리 가이드’는 요양기관에 의료자원 현황 신고 방법 및 내용을 안내해 신고 오류에 따른 요양기관의 행정적 부담을 덜어주고자 제작됐으며, 인천 지역 병·의원 및 보건소 등 2600여개 기관에 배포됐다.
이번에 발간된 책자의 내용은 ‘보건의료자원 현황 및 변경신고 안내’와 ‘Q&A’ 등으로 구성돼 있다. 보건의료자원 현황 및 변경신고 안내에는 시설·인력·장비 현황, 식대·차등제 신고 대상 및 기준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 새로 시행하는 수면다원검사 실시기관 현황신고 및 입원환자 병문안관리 현황신고도 함께 수록됐다.
김수인 인천지원장은 “요양기관이 잘못된 신고로 불편을 겪지 않도록 가이드가 요양기관 행정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인천지원은 요양기관과의 지속적인 소통으로 현장 중심·고객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확대, 인천시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동반자로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33
///세션 세무칼럼
///이름 조인정 세무사·연세교토 세무회계 대표
///제목 한의원 세무칼럼 136
///부제 사무장병원 관련 세금 이슈는?
///본문 최근 건강보험 재정적자가 눈덩이처럼 불면서 여기저기서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보건당국이 건강보험 재정을 갉아먹고 국민건강에 위협요소인 사무장병원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국세청의 세금 추징도 병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사무장병원에 대한 세금 이슈에 대해서 다뤄보기로 하자.
국세청은 그동안 사무장병원은 부가세 면세 대상이 아님을 확고히 했다.
지난 2016년 유권해석에서 비의료인이 의료인 명의로 병원을 개설,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소위 사무장병원) 부가가치세 면제 여부와 부가가치세가 부과되는 경우 매입세액공제 여부를 알려달라며 의뢰한 유권해석에서 국세청은 사무장병원은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며 이 경우 면세사업자 명의로 발급받은 세금계산서의 매입세액은 등록 전 매입세액에 해당되어 공제받지 못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또한 2017년 조세심판원 역시 사무장병원에서 제공한 의료서비스는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이 아니라고 결정했다.
부가가치세법 제26조는 대통령령으로 정한 의료 보건용역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면제한다고 규정한다. 이와 관련해서 동법 시행령 제35조를 살펴보면 의료법에 따른 의사 및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또는 간호사가 제공하는 용역을 면제 대상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다만 쌍커플 수술, 코성형 수술 등 성형수술과 여드름 치료술, 제모술, 탈모치료술 등 피부미용시술은 제외하고 있을 뿐이다.
작년에 조세심판원도 위 부가가치세법 규정에 대해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의료보건용역으로서 의료법에서 규정한 자격을 갖춘 자가 법률에 의해 의료기관을 개설,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만 면제대상으로 하겠다는 취지라고 해석했다.
따라서 사무장병원에서 제공한 의료용역은 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부가가치세 면제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또한 사무장병원의 의료용역 관련 요양급여 비용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게 전액 환수당했다고 하더라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서 제외할 수 없다고 했다. 결국 조세심판원은 사무장병원과 같은 위법한 의료기관 개설, 운영시 채용된 정식 면허를 가진 의사나 간호사가 제공한 의료서비스에 대해서 부가가치세 면제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것이다.
현재 성형외과나 피부과를 제외한 대부분의 의료업은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이지만 사무장병원처럼 의료법상 적법한 개설 취지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 국세청은 면세 요건을 엄격히 해석, 부가가치세를 추징할 예정이다.
다만 행정법원에서는 공단부담금에 대해서만 부가가치세 면세라고 판결하였는데 공단부담금은 이미 공단이 환수해갔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를 매길 수 없다고 판단한 듯하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앞으로 보건복지부는 의료법인 설립요건을 강화하는 등 진입단계부터 사무장병원을 불법 개설하지 못하게 차단할 계획이다. 의료법상 법인 설립기준을 구체화해 현재 지자체별로 지침으로 운영 중인 법인 설립기준을 조례로 만들어 운영하도록 하기로 했다. 아울러 복지부 공무원에게 주어진 특수사법경찰권한을 활용,상시전담 단속체계를 구축하고 사무장에게 면허를 대여해준 의사가 자진신고하면 의료법상 면허취소 처분을 면제하며 요양급여비용 환수처분도 감면해주는 제도를 3년간 한시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사무장병원 개설자체에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 벌금을 물도록 처벌규정을 신설하고 사무장에 대해서는 10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형량을 늘릴 방침이다.
또 의료인이 다른 의료인 명의로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경우 모든 유형의 사무장병원에 대한 요양급여 비용 지급보류근거를 마련하기로 했다. 지급보류 시기도 현행 수사결과 통보시점에서 수사개시시점으로 앞당기고 환수 결정 이후 별도 독촉절차 없이 체납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환수처분의 실효성을 높이기로 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가 대거 적발, 처벌, 계도 대상에 포함되는 사무장병원들은 세금 추징 또한 피할수 없을 전망이다. 실무상 국세청이 보건복지부와 사무장병원 단속에 같이 참여하기는 어렵지만 적발된 사무장병원은 세무조사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며 사무장병원이 통상 의사와 사무장의 동업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 개인에 대한 세무조사와 부가가치세라는 철퇴를 때릴 수 있기 떄문이다.
문의사항 Tel : 010-3422-1650
| Freecolt@naver.com
///끝
///시작
///면 34
///세션 인터뷰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한의대 교육 수준?…지금보다 더 올려야”
///부제 권순재 전졸협 회장 “역량 강화가 곧 의료인 자부심” 강조
///부제 “한의사 국시, 학생들의 의견 대변할 것”
///본문 [편집자 주]
한의과대학 교육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각 한의과대학과 교육기관은 역량 있는 한의사 양성과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위해 ‘임상역량 강화’와 ‘교육 표준화’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공언한 상황. 이에 대해 권순재 전국한의과대학 졸업준비협의체 학생회 회장을 만나 최근 한의과대학 교육 개편에 대해 학생들의 생각과 바람을 들어봤다.
Q. 전국한의과대학 졸업준비협의체 소개를 부탁한다.
전국한의과대학 졸업준비협의체(이하 전졸협)는 전국에 있는 12개의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본과 4학년들로 구성돼 있는 비영리 임의단체다. 등록된 소재지는 대전시 서구 괴정동에 있는 공동사무실이다. 이곳에서 정기회의 및 임시회의를 하고 있다. 참여와 봉사의 가치 아래 한의과대학 졸업예정자 및 한의사 국가고시 응시예정자의 학구열을 높이고 권익과 편의를 신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Q. 전졸협 회장으로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은.
한의사 국가고시 대비를 위한 19권의 자료 출판과 모의고사 시행이다. 한의사 국가고시의 변화를 미리 분석하고 응시자들의 정보 격차를 해소해 응시자들이 다년간 배웠던 교과내용을 충분히 복습해 실전에서 실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올해는 운영 방식을 개선하고, 단체 설립 및 저작권 등록을 통해 임원과 회원의 권리를 보장하고, 단체의 정당성을 확립하는데 힘썼다. 또한 졸업예정자인 회원들을 위해 진로 조사뿐만 아니라 한의사의 진로를 11개 파트로 분류해 설명한 ‘醫林’을 처음으로 출판했다. 앞으로 중점이 될 사업으로는 학습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동영상 강의, 어플(App) 등을 검토하고 있다.
Q. 한의학 교육을 지난 6년간 받아오면서 어떤 부분(ex. 실습시수, 실습인프라 등)이 개선돼야 한다고 느꼈는지.
2012년에 시행된 한의학교육에 대한 재학생 만족도 설문조사(권상우 외 2명,대한한의학회지 제33권 제1호,2012년 3월, 6p)에 따르면 재학생이 생각하는 한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개선점은 첫째가 교과내용 개선이었다. 둘째는 교수법 개선이었다. 내가 입학하기 전 시행된 설문조사지만, 그 때와 견주어 봤을 때 현재 두 부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일부 과목을 제외하고 개편되지 않은 교과서가 대다수다. 또 한의과대학에서는 여전히 강의 교수 초빙과 교육 피드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것이 한의과대학에 한정된 문제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쫓기는 집단이 아닌 준비된 집단이 되려면 몇 수 앞을 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이 실습 전 역량을 갖추기 위해 기초의학 종합평가를 높은 수준으로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의학교육 평가 인증의 기준도 단계를 강화해 한의과대학의 질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한다고 본다.
Q. 한의과대학 교육 개편은 재학생들의 지지와 협조가 필수다. ‘임상역량 강화’라는 목표를 위해 전졸협이 할 수 있는 지점은 어디에 있다고 보는가.
여러 기관과 단체에서 임상역량 강화를 위해 협력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혁신적인 성과가 있으려면 이로 인해 발생하는 변화의 정도가 크거나, 속도가 빨라야 할 것이다. 전졸협은 모든 한의과대학의 본과 4학년이 회원이고 동시에 임원이 소속되어 있기에 소통이 빠르고, 또한 역량이 우수한 학생들이 실무를 맡아 양질의 자료를 전달할 수 있다. 전졸협은 교내외 변화가 급격하더라도 이를 완충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
Q. 한의과대학 교육 개편과 관련해 협회에 바라는 점은.
‘이기는 습관’(전옥표 저)이라는 책에 ‘조직이 직원에게 해줄 수 있는 최상의 복지는 지독한 훈련이다’라는 말을 감명 깊게 읽었다. 한의과대학이 우리에게 해줄 수 있는 최상의 것은 지독한 교육이 아닐까? 실습, 시험 등의 평가에 학생들의 성과가 정규분포를 그린다고 가정했을 때 한의과대학 교육 관련 협회에서는 정규 분포의 평균이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준보다 몇 단계 높게 만들어주었으면 좋겠다. 이것이 학생들의 역량이 되고 의료인으로서 자부심이 될 것이라 믿고 있다.
Q. 한의계 정책 추진과 관련 최근 한의협으로부터 연대 제의를 받았다.
한의계 정책 추진과 관련해서 학생과 결부되는 사안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싶다. 특히 한의사 국가고시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의견을 대변해 줄 수 있을 것이고, 이를 참조해준다면 감사할 것이다. 또한 학생측에서 다수가 원하는 한의계 정책이라면 별도의 팀을 구성해서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다. 나와 다른 임원들은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기에 내부 교육을 통해 이와 같은 사안들이 전달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
Q. 졸업 후 어떤 한의사가 되고 싶나.
환자에게 부끄럽지 않게 정직한 사람이 되고 싶다. 그 후에는 나의 꿈을 위해 하는 일이 동료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끝
///시작
///면 35
///세션 기고
///이름 김동건 노원자생한방병원
///제목 ♦KMCRIC와 함께 임상논문 쉽게 읽기
///부제 무릎 관절염에 침·약물 병행 치료 효과
///본문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KMCRIC 제목
만성 무릎 관절염에 효과적인 침 치료
서지사항
Mavrommatis CI, Argyra E, Vadalouka A, Vasilakos DG. Acupuncture as an adjunctive therapy to pharmacolog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due to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3-arme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Pain 2012;153(8):1720-6.
연구설계
3-arm, single blind, randomised sham control trial
연구목적
무릎 관절염의 약물 치료에 대한 부가적 치료로서의 침 치료 효과 (통증 경감, 뻣뻣한 증상 감소, 신체기능 개선 및 삶의 질 향상)를 분석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대상
무릎 관절염으로 진단된 환자 120명 (Kellgren-Lawrence score 2점 이상, 무릎 관절 통증 3개월 이상)
시험군중재
침 + etoricoxib
(침: biweekly, 8 weeks, 3번째 세션부터는 전침 추가/etoricoxib: 60 mg tablet, once a day, 60 days)
대조군중재
1. 가짜침 (피부를 뚫지 않음, 같은 혈자리, 같은 전침 자극) + etoricoxib
2. etoricoxib
평가지표
1. 1차지표: WOMAC index와 3개의 subscales(pain, stiffness, phtsical function) (8주)
2. WOMAC index (4, 12주)
3. VAS (4, 8, 12주)
4. Quality of life(SF-36) (8주)
5. Pain test (4, 8, 12주)
주요결과
1차 결과지표 (WOMAC index와 3가지 subscale, 8주) 모두 약물 치료에 침 치료를 병행한 것이 나머지 두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결론
삶의 질에서의 mental component를 제외한 모든 1차, 2차 지표에 대해 침 치료와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다른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릎 관절염에 대해 약물 요법에 침 치료를 부가적으로 하는 것은 가짜침에 약물 치료를 하거나, 약물 치료만 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KMCRIC 비평
이 논문에서는 우리가 무릎 관절의 문제에 흔히 쓰는 경혈 (족삼리, 음릉천, 혈해, 양릉천, 슬안, 학정 등)에 침 치료를 하며 진통소염제 (etoricxib 60mg)를 복용한 그룹이 가짜 침 치료와 진통소염제 복용 그룹 또는 진통소염제만 복용한 그룹과 비교했을 때 통증 감소 및 삶의 질의 개선 등의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일단 8주 동안 매주 2회를 치료한 것은 일반적으로 한의원을 비롯한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치료 횟수이고 치료 효과 측정도 12주 (3개월)까지 하여 그 정도 기간 동안 증상이 호전된다면 환자들이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기간이라고 사료되므로 임상에서 충분히 이 논문을 참고할 만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가짜침의 방식은 진짜침과 혈위는 똑같이 하되 피부를 뚫지 않은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실제로 침 치료를 할 때 피부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침 치료에 있어서 어느 정도 깊이 이상을 자입하는 것이 더 효과가 높을 것이라는 것을 좋은 연구설계와 수행을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보여주었다. 좀 더 보완할 것은 무릎 관절염은 발병이 되면 평생 관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 질환이므로 앞으로 좀 더 긴 기간의 치료 및 관찰된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된다고 생각된다.
KMCRIC 링크
http://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RCT&access=R201208039
///끝
///시작
///면 38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4차 산업혁명 시대, 한의약·천연물의약품 연구는?
///부제 한의학 소재 활용한 신약 개발 연구사례 공유… 한의학을 현대과학적으로 해석·증명이 ‘필수’
///부제 한의학연, 혁신리더 포럼 Dr. K 개최…김선영 ㈜바이로메드 대표이사 초청 강연
///본문 한국한의학연구원(이하 한의학연)은 지난 4일 한의학연 제마홀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한의약 R&D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한의학 혁신리더 포럼 Dr. K- ㈜바이로메드 김선영 대표이사편(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를 개최했다.
‘한의학 혁신리더 포럼 Dr. K(Desig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K-medicine·이하 Dr. K)’는 한의학연이 기획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를 견인할 국내 R&D 분야별 최고 전문가를 초청해 지식 공유와 소통을 통해 한의학 미래를 설계하고 R&D 혁신을 추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Dr. K’의 첫 강연은 지난달 31일 퇴임한 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이자 바이오 벤처기업 ㈜바이로메드를 창업한 김선영 대표이사를 초청해 ‘전통의학의 현대화·과학화를 통한 혁신 의약 및 기능성 소재의 개발’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날 강연에서 김선영 대표이사는 한의학 소재로 신약 개발 연구 사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한의학을 현대과학적으로 해석하고 증명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또한 △치매 치료 천연물 의약품 개발 연구(임상의학부 정수진 연구운영팀장) △노화 관련 질환 치료를 위한 한약 개발(한약연구부 채성욱 책임연구원) 등 한의학연 연구책임자들이 현재 추진 중인 한약 신약개발 사업의 주요 내용에 대한 발표도 함께 진행됐다.
이밖에도 발표 이후 가진 자유토론에서는 김종열 한의학연 원장을 좌장으로 ㈜바이로메드 김선영 대표이사, 한풍제약 조형권 대표이사, 한의학연 정수진 팀장·채성욱 박사가 패널로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특히 조형권 대표이사는 한의학연이 추진 중인 한약 개발 연구에 관심을 보이며, 임상시험까지 성공해 제품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연구개발을 당부했다.
이와 관련 김종열 원장은 “이번 강연을 통해 한의학의 의학적·임상적 가치를 현대과학적으로 해석하고 증명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공감했다”며 “한의학연이 과학기술에 기반한 한의학의 미래 가치 창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편 Dr.K 2회차 강연은 카이스트 정재승 교수를 초청해 ‘뇌공학과 인공지능 시대’를 주제로 10일 오후 4시 한의학연 대강당에서 개최되며,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참가신청은 웹페이지(https://onoffmix.com/event/150285)에서 가능하다.
///끝
///시작
///면 38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남원시,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S라인 클래스’ 참여자 모집
///부제 오는 11일까지 접수…한의약적 치료 등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본문 남원시보건소는 지역주민의 비만 관리를 위해 한의약 건강증진 비만(대사증후군)관리교실에 참여할 20명을 모집한다.
대사증후군이란 만성적인 대사장애로 인해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죽상경화증 등의 여러 가지 질환이 나타나는 상태로, 대사증후군은 치료법이 따로 없고, 식이요법·운동요법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비만은 각종 암과 관절질환 등의 발병률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는 만큼 적절한 체중 관리가 반드시 필요한 질병이다.
이에 따라 남원시보건소는 오는 17일부터 11월9일까지 2개월 동안 주 3회 일정으로 체계적인 비만 관리를 위해 한의약 비만교실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사상체질 진단과 함께 한의사, 영양사, 운동지도자, 등 분야별 전문가가 강사로 참여해 비만 이론 교육과 식이교육, 운동지도, 개별 상담 및 한의약적 처치(이침, 투약 등), PT, 줌바댄스, 필록싱, 기공체조 등 유산소운동 및 근력운동 등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신청기간은 오는 11일까지며, 신청대상은 만 20∼55세 미만 지역주민이다. 전체 신청자를 대상으로 사전 신체계측 체성분( InBody)검사 25 이상, 혈액검사, 혈압, 혈당검사 등과 한의사 개별면담을 실시한 후 최종 참여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남원시보건소 관계자는 “앞으로도 비만관리교실 이외에도 다양한 한의약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운영, 지역주민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프로그램 신청에 관한 기타 궁금한 사항은 보건소 한방재활담당(063-620-7977,7971)으로 문의하면 된다.
///끝
///시작
///면 39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식약처, 2019년도 예산 5033억원 편성
///부제 제주 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 조성 등 올해 대비 6.1% 증액
///본문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2019년도 예산으로 5033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올해 예산 4745억원 대비 6.1%(288억원) 증액된 것으로 식약처 출범 이후 예산안이 5000억원을 넘어 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예산안을 살펴보면 5033억원의 예산 중 사업비는 3536억원으로 올해 3304억원보다 7.0%(232억원)가 증액됐으며 기본경비는 158억원(올해 대비 2.6% 증액), 인건비 1339억원(올해 대비 4.0% 증액)이 책정됐다.
사업비 중에서는 올해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증액된 것은 지방청 운영비(83억원)로 124.3% 증액됐다.
그 다음으로는 식품 기준 규격관리 선진화(68억원) 23.6%, 바이오생약 안전성 제고(87억원) 17.6%, 의약품 안전성 제고(256억원) 17.4%, 수입식품안전성 제고(71억원) 9.2%, 식의약품 행정지원(567억원) 9.0%, 식생활영양 안전성 제고(613억원) 4.6%, 과학적 안전관리 연구 및 허가심사 안전성 제고(999억원) 4.2%, 식품안전성 제고(467억원) 1.7% 증가했다.
반면 위해관리 선진화(214억원)는 1.4%, 농축수산물 안전성 제고(24억원) 4.0%, 의료기기 안전성 제고(87억원) 2.2% 감소했다.
사업내용별로 보면 식의약 안전관리 시스템 개선을 위해 (아)열대성생약의 과학적 품질관리를 위한 제주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 조성 예산이 올해 11억원에서 50억원으로 증액됐으며 부산지방청 통합청사 이전 지원금은 42억원이 책정됐다.
수입식품통합시스템 구축을 포함한 정보화 사업 예산도 119억원에서 135억원으로 증액 편성됐다.
의료제품 공급기반 확충 및 원료에서 부작용까지 관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의약품설계비나 품질고도화 시스템 모델 개발 52억원, 해외 제조소 안전관리를 위한 현지실사 확대 3억원, 의료기기 전주기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운영 17억원, 임상시험 검체분석 신뢰성 확보를 위한 검체분석기관 지정사업 2억원으로 예산이 증액됐다.
식약처는 “국민이 주인인 정부, 내 삶을 책임지는 국가를 만들기 위해 국민과 함께 안전의 기본은 확실히 지키면서 안전을 기반으로 혁신성장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2019년도 주요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끝
///시작
///면 39
///세션 사설
///제목 저출산 극복을 위한 난임치료의 올바른 방향
///본문 아기를 낳고 싶어도 낳기 어려운 난임 환자의 수가 급증세다. 2012년 약 19만명이었던 것이 2017년 상반기 기준 25만명을 넘어섰다. 이렇다 보니 난임 환자를 치료해 그들의 출산을 돕는 것은 의료인 모두의 사명이자 책무다.
그런 차원에서 최근 김명연 국회의원과 대한의사협회가 주최한 ‘저출산 극복을 위한 난임치료의 올바른 정책토론회’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 토론회에 적지않은 기대를 걸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토론회 주제 발표자로 양방의료계의 입장에서만 편향적 주장을 서슴지 않는 ‘바른의료연구소’ 관계자를 참여시킨 것은 매우 잘못됐다.
바른의료연구소 관계자는 난임치료의 올바른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보다는 주제 발표의 전체 시간을 지자체의 한의약 난임사업에 대해 비난하는 것으로 일관했다.
그것도 객관적 판단이 아닌 자의적 해석으로 지자체의 한의약 난임사업이 마치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몰고 갔다. 정부가 난임치료를 위해 투입하는 예산이 양방 분야가 한의약 분야와는 비교조차 불가할 정도로 엄청 많다는 것은 애써 눈감은 채 곁가지를 잡고 한의약 난임치료를 문제삼는 것은 너무나 잘못됐다.
이로 인해 난임치료의 올바른 방향 찾기라는 토론회의 핵심이 묻혀 버리고 토론 자체가 엉뚱한 쪽으로 흘러가도록 방치한 것은 토론회를 주최한 의사협회의 졸렬함도 한 몫한다.
이날 한의사협회 손정원 보험이사가 토론자로 참석해 양방의 한의약 난임치료 사업 결과 보고는 심각한 오류를 지니고 있음을 정확히 지적해 방청객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달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손 이사는 한의약 난임사업의 성공률, 투여되는 한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 논란 등 양방에서 제기하고 있는 잘못된 부분을 상세히 반박하는 한편 올바른 난임치료 사업의 방향은 한·양방이 의료직역간의 갈등에서 벗어나 오로지 난임부부를 위해 힘을 합칠 때만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이명수 보건복지위원장은 지난 10년간 정부가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무려 130조원의 관련 예산을 쏟아 부었음에도 불구하고 출산율 제고에는 기여하지 못했음을 지적했다.
바로 이 지점이 토론회의 핵심이 됐어야만 했다. 난임치료를 위한 엄청난 예산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배분할 것이며, 이런 상황에서 의료인들은 어떤 역할로 출산율 증가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인가를 모색해야만 했다.
의사협회가 어떤 의도로 바른의료연구소 관계자를 주제 발표자로 선정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그를 선정한 것은 큰 실책이다. 그로 인해 힘들게 마련한 ‘저출산 극복을 위한 난임치료의 올바른 정책토론회’는 전혀 올바르지 못했다.
///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