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면보기

2018-08-20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의신문 작성일19-07-11 16:07 조회35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tmp/pdf/20180820.2177
///제 2177호
///날짜 2018년 8월 20일
///시작
///면 1, 2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국민건강 위해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가능할 것”
///부제 대만 이수대학 시순전 교수, 중의사의 X-ray 활용 과정 상세히 설명
///부제 국민건강에 도움되는지가 최대 관건…교육 및 실습, 국시 통한 검증 뒷받침
///부제 한국한의학연구원, ‘대만 중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권한 인정사례’ 세미나
///본문 지난해 12월25일부터 대만 중의사가 X-ray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 가운데 대만 중의사들의 현대의료기기 사용권한 인정사례를 되돌아보는 한편 이를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접목해 해결방안을 강구해 보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지난 13일 한의학연 구암관 대회의실에서 ‘대만 중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권한 인정사례’를 주제로 제1회 연구 · 정책 연계프로그램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시순전 대만 이수대학 중의학과 교수는 ‘대만 중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사례’라는 제하의 주제 발표를 통해 대만의 의료체계 및 교육과정, 대만 중의사가 현대의료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 일련의 과정들을 상세하게 소개하는 한편 고동균 대한한의사협회 의무이사, 정홍강 대만 중국의약대학 연구원, 이준혁 한의학연 한의학정책연구센터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띤 질의응답이 오갔다.
이날 시순전 교수에 따르면 대만의 중의사 배출과정은 중의과대학에서의 단독전공(7년제) 및 중의학 · 서의학 복수전공(8년제), 학사 후 중의학과 졸업자(5년제) 등의 정규교육과정을 이수한 경우와 함께 검정고시를 통해 배출되는 중의사가 있다. 정규교육과정에서는 중의과대학의 경우 서의사의 커리큘럼과 거의 같은 수준의 서의학 교육을 이수하게 되며, 학사 후 과정 역시 서의학 교육이 45% · 중의학 교육이 5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시 교수는 “대만과 한국은 전통의사의 면허 · 교육이 서의사와 분리돼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의료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대만에서도 한국과 같이 자신이 등록한 면허에 한해서만 그에 해당하는 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며 “그러나 중의학이나 서의학 모두 인체를 다루는 학문인 만큼 공통되는 영역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대만 의료법에서도 이를 명확히 구분하는 조항은 없는 것이 실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시 교수는 “이러한 상황에서 대만 중의사들은 환자들을 진료하면서 골절 등의 경우에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중의사들에게 X-ray 사용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정부에 주장해 왔다”며 “이를 위해 중화인민 중의사공회 전국연합회(이하 연합회)에서는 다양한 통로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온 결과 지난해 12월 중의사가 X-ray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얻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대만 중의사의 X-ray 사용이 급물살을 탄 배경에는 2013년 대만 감사원에 ‘왜 중의사들이 의료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지’를 주요 내용으로 한 질의를 했고, 이에 감사원에서 서의학대학과 같은 수준의 서의학을 공부했다면 사용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답변을 내놓으면서부터다.
이에 앞서 90년대 대만 중의사들은 일반 혈액 · 생화학 검사, 소변 · 대변 검사 등의 이화학적 검사의 경우 중의사들이 정규교육과정에서 서양의학에 대한 완벽한 교육(필수적인 서의학교육)을 이수했다는 이유로 활용이 가능했던 만큼 X-ray 사용 역시 이 같은 취지에서 본다면 얼마든지 사용이 가능하다는 답변으로 연합회측은 해석했다.
이 같은 감사원 답변을 근거로 연합회에서는 대만 위생복리부와의 논의를 시작했고, 위생복리부에서는 대만 서의사협회와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수년간 협의를 거친 후 지난해 말 X-ray 사용권을 획득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만의 서의사협회는 공식문서를 통해 중의과대학 교육 내에 X-ray와 심전도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충분히 포함돼 있다는 내용을 정부에 전달했다.
이에 따라 대만 중의사들은 중의학과 복수 전공 또는 단독 전공(학사 후 중의학과 졸업자 포함)으로 졸업한 중의사들은 중의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이미 서양의학과 관련된 훈련을 실시했으며, 질병 상태에 근거한 확진시 필수 또는 보조진단 용도로 병정에 근거해 확진시 필수 또는 보조진단으로 일반 방사선 검사를 비롯해 혈액 · 생화학 검사, 소변 · 대변 검사, 정지 상태 심전도 등을 처방할 수 있으며, 기초적인 판독도 진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시 교수는 대만 중의사들이 이같은 성과를 이끌어내기까지는 교육과정 및 실습, 국가시험을 통한 검증과 더불어 무엇보다 국민건강 증진에 초점을 맞춰 진행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시 교수는 “중의학이나 서의학 모두 국민건강을 증진하는 학문인 만큼 국가에서도 어떤 보건의료정책을 결정할 때 국민건강에 도움이 되느냐, 아니냐는 물론 국민들이 원하는지를 등 국민의 관점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있다”며 “한국에서도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 문제를 놓고 정부와 의사협회와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국민건강에 초점을 맞춰 해결방안을 강구해 나간다면 한국의 한의사들도 의료기기 사용권한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 교수는 이어 “또한 의료기기 사용을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교육은 물론 현장 실습과 더불어 국가시험을 통해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 정부로부터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당위성을 인정받아야 하며, 더불어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근거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며 “이와 함께 대만에서는 한국과는 달리 총액계약제가 시행된 것도 양방과의 마찰 없이 의료기기 사용권한을 인정받을 수 있는 하나의 요소가 됐다”고 덧붙였다.
///끝

///시작
///면 2
///세션 종합
///이름 이규철 기자
///제목 대만에서도 중의사의 의료기기 사용 허가됐다
///부제 대만 위생부, 지난해말부터 의료기기 사용한 의료업무 허용 공시
///부제 ISOM 한국-대만지부 이사회도 함께 개최…제19회 ICOM 준비 점검
///본문 대한한의사협회는 지난 11일 중화민국중의사공회(이하 대만중의사공회) 진왕전 회장과의 간담회를 개최, 대만 위생부는 지난해 12월25일부로 대만 중의사가 의사검사, 방사선검사, 심전도 검사 등의 범위 내에서 의료기기를 사용토록 공시한 것을 확인했다.
대문 위생부가 배포한 공문에 따르면, 대만 내 의료기기 사용에 있어 의사 자격을 갖춘 중의사는 검사 시행, 검사 발행 및 판독이 가능하며, 중의학계 8년제(양의사 중의사 자격시험 모두 응시가능) 또는 7년제(중의사 자격시험만 가능) 졸업학력의 중의사 자격이 주어진 자는 검사항목서를 발행, 기초적 판독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는 단계별 중요성에 따라 의료 범위를 공유함으로써 중의사들의 진료항목이 넓어짐을 의미한다.
대한한의사협회는 대만 중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해 적극 환영한다고 화답하는 한편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과 관련한 정책방향 설정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대만중의사공회와의 지속적인 교류 협력을 통해 양국의 한의사·중의사의 역량을 확대 발전시키도록 협조하기로 했다.
이 자리에서는 한국의 한의약육성법과 대만의 중의약 관련 법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대만중의사공회 진왕전 회장은 “현재 대만은 ‘중의약발전법입안계획’, ‘중의의료기구자행조제약관리기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며 “한국의 한의약육성법을 참고하여 선진 국가의 전통의약제도 및 국가 정책 수립에 참고할 것”이라면서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
대한한의사협회 방대건 수석부회장은 “대만의 ‘중의약발전법’ 제정을 위해 관련 자료 등을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양 기관의 상호 화합 및 우의 강화를 위해서도 한층 더 노력하겠다”고 밝힌데 이어 한의약육성법 제정 배경 및 한의약 발전의 미래상 등을 설명했다.
간담회에 앞서 ISOM 한국-대만지부 이사회도 진행됐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오는 11월 24일부터 26일까지 대만에서 개최되는 제19회 ICOM의 포스터 논문 모집 및 구두 발표자 초빙 등 준비 현황을 점검했다. ISOM 대만지부 관계자들은 대만 정부에서도 제19회 ICOM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총통으로부터 대회 개최 관련 축하 서한과 정부지원금 약 2억원을 받은 사실을 알렸다.
또한 이번 대회에서는 ISOM 이사국인 대만, 일본, 한국이 국가별 세션을 운영하기로 했으며, 각국에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홍보활동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한편 이날 이사회에 참석한 ISOM 대만지부 임원들은 진왕전 부회장, 시순전 부사무총장, 진준명 이사, 진조종 이사, 정홍강 대만중의사공회 국제이사(통역) 등이다. 국내에서는 한의협 방대건 수석부회장을 비롯해 ISOM 한국지부 이응세 사무총장, 이종안 이사, 변준석 이사, 김인태 이사, 고성규 이사 등이 참석했다.
///끝

///시작
///면 2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한약진흥재단, 250여종 한약재서 1320여종의 천연물질 확보
///부제 국내 320개 기관에 1219종 공급
///본문 한약진흥재단 응용제품팀 천연물 물질은행은 지난해 46개 기관에 240여종의 천연물질을 분양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천연물 물질은행에서 확보한 천연물질은 한약 및 한약재에 함유된 성분들로 한약재에 함유된 지표성분 또는 유효성분을 말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국내에서 유통되는 한약재의 품질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의약품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다.
중국 중의과학원의 투유유 교수는 청호에 함유된 성분인 아르테미신이 말라리아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으며 한약재인 팔각회향 성분은 신종플루의 치료제인 타미플루의 원료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천연물 물질은행은 지금까지 약 250여종의 한약재를 이용해 총 1320여종의 천연물질을 확보해 국내 320개 기관에 1219종을 공급했다.
이렇게 분양된 천연물질은 다양한 산업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 물질은행 연구원 조명래 박사에 의하면 지난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DIGST 등과 공동연구를 수행, 감초의 주요성분인 리퀴리티게닌이 신경세포 사멸 억제에 관여하는 ‘RNF146 단백질’ 발현을 유도해 퇴행성 뇌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천연물 물질은행은 천연물질 확보 노력과 함께 블록버스터급 한약재 성분 발굴을 위해 관련 연구기관에 확보된 천연물질을 지속적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응세 한약진흥재단 원장은 “천연물 물질은행은 국내 한약재 및 한약의 표준화와 한약재에 함유된 성분의 유효성을 활용한 한의약 산업의 발전을 위해 지금도 꾸준히 한약재 성분들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원들은 미래 대한민국의 한의학 발전에 큰 힘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3
///세션 인터뷰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한의약 보장성 강화로 국민 접근성 높여야
///부제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여당 간사)
///본문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20대 국회 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여당 간사로 선임된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초선, 성북 을)으로부터 향후 포부와 소감, 한의약 분야의 정책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 20대 국회 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여당 간사로서 포부 및 소감은.
흔히 상임위 간사를 ‘최전방 공격수이자, 최후방 수비수’라고 빗대어 이야기 한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보건복지위원회 간사로서의 책임감은 더욱 막중하게 느끼고 있다.
이번 보건복지위에서는 민생 현안 문제는 물론 문재인정부의 개혁과제들을 실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 합리적인 국민연금 개편안 마련, 아동수당 도입, 부양의무제 폐지, 장애인등급제 폐지, 식탁의 안전, 우리 아이들의 안전한 보육환경을 만드는 일도 등한시 할 수 없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최선을 다할 것이다.

◇ 특히 중점을 두는 법안이나 쟁점이 있다면?
‘보건 분야’에서는 문재인케어의 실행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 현 국민건강보험법 제108조는 매년 예산의 범위에서 해당 연도 보험료 예상수입액의 14%에 상당하는 금액을 건보에 국고로 지원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실제 보험료 수입의 14%를 넘게 지원한 것은 2009년 한 번 뿐이다. 건보법 제108조의 본래 취지는 보험료 수입액의 14%에 해당하는 금액을 국고에서 매년 보조해 국민 의료비 부담 절감에 지속적으로 활용하라는 것인데 그 취지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9월에 발의한 ‘국민건강보험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이러한 현실을 보완하기 위해서였다. 건보 재정에 대한 국고보조 14%를 명문화하고 사후정산제를 도입하는 것이 골자다.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정부 지원 비율을 준수하도록 해 문재인케어가 차질 없이 시행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복지 분야’에서는 외로운 죽음, 고독사 문제에 꾸준히 관심을 두고 있다. 고독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지만 아직까지도 정확한 통계가 없다. 무연고사망자로 고독사 현황을 겨우 가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무연고사망자 통계수치마저 기초 지자체별로 집계하는 기준이 달라 우리 주위에 숨겨진 고독사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지난해 8월 ‘고독사예방법’(고독사 예방 및 1인가구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한 법률안)을 발의했다. 고독사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인 조사와 대책 수립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국가 차원에서 정확한 고독사 실태조사를 하고 함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 해빙 모드 상황에서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남북 교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민족의학인 한의학에 거는 기대나 당부가 있다면?
지난 4월 남북 정상은 판문점 선언을 통해 “민족적 화해와 단합의 분위기를 고조시켜 나가기 위하여 각계각층의 다방면적인 협력과 교류 왕래와 접촉을 활성화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여러 분야 중 남한에서는 한의학, 북한에서는 고려의학이라 불리는 한국 전통의학도 교류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전통의학은 분단 이후 각자의 체제 속에서 발전해 왔지만 한국 전통의학의 고유한 의학 이론인 ‘사상의학’을 근본으로 정통성을 유지하며 발전시켜 왔다. 전통의학은 남과 북의 여러 분야 중 거의 유일하게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는 분야다.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현존하는 차이들을 줄인다면 남측의 자본과 기술, 북측의 인력과 한약 자원 및 토지 이용이 맞물려 상호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전통의학의 남북교류가 활발해지면 한반도 전통의학의 정체성 확립과 함께 우수성 홍보 및 위상 제고를 도모할 기회도 많아질 것이다.

◇ 첩약, 난임 치료, 추나 등 한의약 분야 보장성 강화에 대한 견해는.
최근 5년간 한의약 분야 건강보험 점유율은 3%대에 그치고 있다. 건강보험으로 보장되지 않는 나머지 비용은 환자 개인이 내는 만큼 접근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한의약 분야 보장성을 강화해 국민들이 받고 싶은 의료를 저렴하고 편하게 받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감한다. 국민들이 다양한 의료서비스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다만 한의약 분야 보장성 확대는 정부만의 노력으로 이뤄질 일이 아니다. 한의계의 노력 또한 병행돼야 할 것이다. 보장성 강화를 위해 한의약의 유효성 및 안전성 등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근거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한의계가 한의약에 대한 임상연구와 효과와 표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본다. 모든 답은 현장에 있는 만큼 함께 이야기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만들고 싶다.

◇ 남기고 싶은 말은.
상임위 질의 때마다 부처 책임자들에게 “전문가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 “늘 현장과 소통하고 대화하라”고 강조해 왔다. 다양한 직역,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보건복지위원회는 소통과 대화가 가장 필요한 상임위원회다. 지금도 보건복지위원회에는 다양한 민생현안이 산적하게 쌓여 있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국민과 함께 정책을 실현하려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소외됐다고 느끼는 국민이 없도록, 국민과 같은 시선으로 임할 것이다. 보건복지위원으로서, 간사로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
///끝

///시작
///면 4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한의사의 ‘응급의약품’ 사용 반대? 국민의 생명은 뒷전인 양의계
///부제 한의협, 이기주의의 극치를 보이는 양의계에 사죄 촉구
///본문 한의사의 ‘응급의약품’ 사용을 둘러싸고 한의계와 양의계가 첨예하게 부딪치고 있다.
최근 한의계가 국민의 생명보호를 위해 ‘응급의약품’ 사용을 선언하자 즉각 양의계가 반대하고 나섰다.
한의원에서 사용하는 약침은 안전성과 효과가 전혀 검증되지 않고 있으며 한의원에서 응급의약품을 사용하면 법적책임을 끝까지 묻겠다고 엄포를 놓은 것.
이에 한의계가 발끈했다.
13일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는 “거짓 정보와 선동으로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해 ‘응급의약품’을 적극 활용키로 한 한의계의 당연한 책무이자 정당한 명분을 희석시켜 버리려는 불순한 의도로밖에 생각할 수 없다. 여론 호도로 애써 폄훼하고 자직능의 이익 지키기에만 몰두하고 있는 양의계의 모습에 분노한다”며 양의계에 이 같은 행태에 대해 즉각적인 중단과 사죄를 촉구했다.
먼저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는 지난 10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봉침이 안전성과 효과가 없다고 주장했으나 한의협은 이를 명백한 오류라고 지적했다.
벌독을 정제해 인체의 경혈에 투여하는 약침술의 일종인 봉침은 각종 통증과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이는 이미 수많은 학술논문과 연구결과를 통해 검증된 바 있을 뿐 아니라 현행법상 한의사가 시술하는 것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양의사들도 봉침의 일종인 ‘아피톡신’을 환자 치료에 사용하고 있으며 그 보다 많은 한의사들이 이를 진료와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이같은 봉침의 효과를 무시하고 안전성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양의계 자신에게 문제가 있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과 다름아니라는 설명이다.
또한 한의협은 봉침의 경우 아주 드물게 ‘아나필락시스’라고 불리는 쇼크를 동반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나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봉침 이외에 다른 약물이나 자연물질로부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같은 만약의 비상사태에 대비해 한의의료기관에서 ‘응급의약품’을 구비해 놓자는 논의만으로 의협이 한의계를 고발하고 심지어 이를 공급하던 제약회사까지 찾아내 고발조치하는 이기주의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한의협은 “의협이 봉침에 대한 알러지 반응으로 발생하는 쇼크를 마치 봉침 자체에 안전성 문제가 있는 것으로 몰아가는 것은 ‘비난을 위한 비난’에 불과하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해외 의료선진국에서는 위급한 상황에서 응급구조사가 응급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일선에서 다양한 환자들을 진료하는 대한민국의 한의사들이 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과잉 반응하는 것은 직능의 아집이라고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환자의 생명은 등한시 한 채 독선과 오만에 빠져 한의약 깎아내리기에만 급급한 의협의 이기적인 태도를 국민들이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경고하며 한의협을 의료인 단체에서 제외하자는 이야기를 아무런 거리낌 없이 하는 의협이야말로 그 후안무치한 태도에서 벗어나 스스로 부끄러워하고 진솔하게 반성해야 할 것임을 엄중히 충고한다”고 밝혔다.
양의계를 향해 환자의 생명이 위태로운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것보다 더 우선 시 되는 것이 있는지를 반문한 한의협은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위해 ‘한의약육성법’에 기초한 한의학적 근거와 원리에 따라 ‘응급의약품’을 사용할 권리와 의무가 있음을 다시 한번 선언하며 앞으로 이 같은 중차대한 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방해와 훼방을 놓는 그 어떠한 세력에 대해 한의계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단호히 응징할 것임을 국민 앞에 강력하게 천명한다”고 엄중히 경고했다.
///끝

///시작
///면 4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환자의 응급상황 대비에 한 · 양방이 따로있나?
///부제 서울시한의사회, 의료기관 내 응급의약품 비치 의무화 요구
///본문 서울특별시한의사회가 의료기관 내 응급의약품 비치 의무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의료인은 언제나 환자를 진료함에 있어 최선의 주의를 다할 의무가 있고 환자의 응급상황에 대비하는데 한방과 양방이 따로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13일 서울시한의사회는 성명서를 통해 “의료행위는 그 특성상 불가피하게 약물 부작용 등의 예측 불가능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며 “전국의 모든 한 · 양방 의료기관은 응급의약품을 비치해야한다. 만약 응급 상황에 대비한 응급의약품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다면 이는 소중한 생명에 대한 가치를 경시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보건복지부에 의료기관내 쇼크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진통제, 항생제, 조영제로 인한 쇼크 실태를 즉시 조사할 것을 요구하고 의료기관내 응급 약품의 비치를 강제화하는 제도 마련을 촉구했다.
이와함께 한의 의료기관 내 응급의약품 비치를 조직적으로 방해하고 있는 양의계는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파렴치한 행위를 멈추고 의료기관 내 응급의약품 비치를 강제화하는 제도 마련에 솔선할 것을 요구했다.
///끝

///시작
///면 5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국회는 서발법 논의 즉각 중단해야 한다”
///부제 한의협 등 보건의약 5개 단체 성명… 생명보다 돈이 먼저인가?
///부제 의료 영리화·상업화 단초 제공할 서발법 제정 시도 결사 저지할 것 ‘천명’
///본문 대한한의사협회를 비롯한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대한간호협회는 지난 10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최근 국회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이하 서발법)에 보건의료 분야를 포함해 논의 중인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보건의약단체들은 “서발법은 영리병원, 원격의료, 건강관리서비스 등 의료서비스에 대한 진입 규제를 완화해 의료 영리화를 허용하는 법안”이라며 “이 법안이 통과된다면 의료는 국민 보건복지 안전망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최소 투자 이익이 속성인 기업들의 영리 추구의 각축장이 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들 단체들은 “무분별하고 불법적인 영리병원의 난립으로 인해 의료 이용의 문턱은 높아지고 의료비가 비싸져 국민들은 고통을 받게 될 것”이라며 “보건의약인들은 자본논리, 시장논리에 휘둘려 최선의 의료행위에 제약을 겪으며 역시 고통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보건의료단체들은 국민 건강과 생명이 걸린 보건의료 분야에는 절대 경제논리로 재단해서는 안되는 영역임을 강조하며, 서발법 등 의료영리화 움직임이 있을 때마다 함께 연대해 목소리를 내왔다.
실제 2014년 11월 정부의 서발법 추진 당시에는 ‘보건의료는 이윤 창출의 도구가 아니다. 우리는 보건의료 영리화 정책을 반대한다’라는 제하의 성명서 발표로 공동 대응하는 한편 2016년 1월에도 ‘서발법에서 보건의료 분야를 제외하라’는 공동 성명 및 캠페인을 통해 강력한 반대입장을 재차 천명한 바 있다.
이번에 다시 논란이 되고 있는 서발법은 보건의약단체들 뿐만 아니라 수많은 시민단체들도 격렬히 반대하는 사안이었던 만큼 국회에서 서발법 관련 공개 토론회와 보건의료단체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수많은 문제점을 확인하고, 2015년 3월17일 당시 여야대표 등이 만나 동 법안에서 보건의료 분야를 제외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런데 돌연 국회는 지난 7일 민생경제법안 태스크포스(TF) 제3차 회의를 열어 서발법을 포함한 규제혁신 법안 및 민생법안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고, 자유한국당이 제안한 서발법에 대해 각 당이 통과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기로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보건의약단체들은 “국민을 위해 쇄신하겠다던 자유한국당은 정작 민심을 외면하고 국민건강을 자본에 팔아먹으려 하는가? 아울러 전임 정부 당시 ‘돈보다 생명이 먼저’라고 외치며 강력히 반대했던 더불어민주당은 당론이 바뀐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이는 주권을 가진 국민들을 우롱하고 배신하는 행위로밖에 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특히 이들 단체들은 “경제의 활성화나 서비스의 발전이라는 허울을 뒤집어 쓴 채 국민건강을 볼모로 의료의 양극화를 초래하고, 국민들에게 재앙적 의료비 부담을 야기하는 것은 물론 의료의 공공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것이 자명한 이 악법의 논의 자체를 즉각 중단하고, 이와 관련해 발의된 법안을 모두 폐기해야 할 것”이라며 “국회도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자본 친화적 논의를 배제하고, 국민의 건강권 확보를 최우선 목표로 삼아 국민을 위한 건강한 보건의료체계의 구축과 제도적 지원을 위한 발전적 논의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또한 “대한민국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고 있는 우리 보건의약단체들은 의료 영리화·상업화의 단초를 제공할 서발법 제정 시도를 결사 저지, 신뢰받는 국민 건강의 파수꾼으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끝

///시작
///면 5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내달 1일 ‘제4차 한의학 교육 심포지엄’ 개최
///부제 한평원, 역량중심 한의학교육의 목표설정 및 우수사례 공유
///본문 한의학 교육에 대한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미래를 모색하는 한의학교육 심포지엄이 다음달 1일 오후 1시부터 서울역 삼경교육센터에서 개최된다고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이하 한평원)이 지난 13일 밝혔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성과기반교육의 평가(김영전 원광대 의대 교수) △대전대 교육과정 개편 사례(장은수 대전대 교수) △우석대 역량 중심 졸업역량 설정 사례(김홍준 우석대 교수) △원광대 졸업역량 설정 및 CQI 개발 사례(정명수 원광대 교수) △한의학교육 평가인증의 성과와 개선방안(신상우 한평원 원장) 등의 주제로 강의가 열릴 예정이다.
이번에 제4차를 맞은 한의학교육 심포지엄은 변화하는 시대에 발 맞춰 한의과대학 평가인증과 한의학교육에 대한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기획됐다.
참가를 원하는 한의대 교수 및 학생 등은 오는 30일까지 한평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고해 사전 등록하면 된다.
한평원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은 역량중심 한의학교육에 대한 실제적인 사례를 통해 각 한의대에서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힌트를 얻어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한의힉 교육의 미래의 방향설정을 위한 건설적인 공론의 장이 될 것” 이라며 “한의학교육에 관심이 있는 많은 분들의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6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한의사·의사가 의료용 대마 제대로 활용하도록 가이드라인 만들 것”
///부제 한국 카나비노이드 협회 창립… 대마 임상시험 포함한 시범사업 추진
///부제 카나비노이드 의학은 전통의학과 현대의학 각 분야에서도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
///본문 지난 12일 국민인식 개선을 위해 창립된 비영리사단법인 ‘한국 카나비노이드 협회’가 민간 차원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아 대마 임상시험을 포함한 시범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창립총회에는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의사협회, 대한보건협회 등 보건의료계 대표들이 참석해 의료용 대마 합법화에 지지의사를 보냈으며 츠비 벤트위치(Zvi Bentwich) 이스라엘 사해과학연구센터 소장, 라미 베르디(Rami Verdi) 티쿤 올람 CEO, 노중규 제이헴프코리아 대표는 전세계 의료용 대마 시장의 트랜드와 대마의 의료적 효능에 대해 발표했다.
권용현 한국 카나비노이드 협회장은 “카나비노이드 의학은 전통의학과 현대의학 각 분야에서도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혁용 대한한의사협회장은 “대마는 수천년 동안 통증을 제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 약재인데 1976년 환각 등을 이유로 정부가 대마관리법을 제정했고 2000년부터는 마약류관리법으로 대마를 엄격히 관리 중”이라며 “반면 중국은 2003년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한 이후로 연구개발에 매진해 전세계 대마 의약품 특허 건수 중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며 조속한 의료용 대마 합법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카나비노이드를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견한 팀의 일원으로 이스라엘에서 최초로 카나비노이드를 임상에 적용하면서 대마 합법화의 근거를 마련한 츠비 벤트위치 소장은 “이스라엘은 수십 년간 임상과 연구로 대마 관련 많은 데이터와 근거를 쌓고 있다”며 한국 카나비노이드 협회를 통해 한국 의료계에 임상 노하우를 전달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라미 베르디 CEO는 “블록체인 기술과 생체정보를 활용해 의료용 대마 허용에 대한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현재 우리나라는 대마 껍질을 벗긴 대마 씨앗만 허용되고 있는데 사실 효능은 대마 껍질까지 통째로 먹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창립총회 후 티쿤올람, 요크브릿지캐피탈, 프라즘 등 4자간 의료용 대마 유통과 사용에 대한 블록체인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한 MOU를 체결한 한국 카나비노이드 협회는 대마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한 각종 캠페인을 진행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아 임상시험을 포함한 시범사업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창립총회에 앞선 지난 10일 의료용대마합법화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는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의료용 대마 합법화를 촉구했다.
운동본부에 따르면 WHO에서 카나비노이드가 인체에 대한 위해, 남용 및 의존 우려가 전혀 없다고 발표하면서 현재 카나비노이드는 올림픽 도핑 대상에서 조차 제외됐을 뿐 아니라 오히려 올림픽 선수들이 통증 조절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만 하더라도 아베 총리의 부인인 아베 아키 여사가 직접 의료용 대마 홍보에 나서 지난 2013년부터 자국 내 대마 관련 제품들이 유통됐으며 현재는 지하철 옥외 광고도 하고 있을 정도다.
난치성 뇌전증을 앓고 있는 7살 아이를 위해 카나비노이드를 해외직구했다가 기소유예를 받았던 황주연 의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환자가 의사 처방을 받아 신청하면 식약처가 직접 수입해 환자들에게 주는 방식은 환자에게 제품이 오기까지 시간이 약 2개월 넘게 걸리게 된다”며 “해외에서는 카나비노이드가 대마 추출물이기는 하지만 마약 성분이 없어 환각 증세와 같은 부작용이 없어 비타민 정도로 취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카나비노이드는 뇌전증은 물론 식이장애, 말기암, 통증, 치매 등 여러 질환에 긍정적인 효과가 많다”며 “대마와 카나비노이드를 분리해서 합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권용현 한국 카나비노이드협회장도 “기존 의료 체계와 행정 체계에 카나비노이드를 끼워 맞추기보다는 사용이 시급한 환자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며 “의사와 한의사들이 의료용 대마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우선 협회 차원에서라도 가이드라인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끝

///시작
///면 7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한의협, “카나비노이드 사용에 적극 협력”
///부제 한의협-카나비노이드협, 카나비노이드 최신 연구동향 공유
///부제 최혁용 회장 “한약재로 등록시켜 한의사 처방할 수 있어야”
///본문 한의사의 카나비노이드(의료용 대마) 사용을 위해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가 한국카나비노이드협회(이하 카나비노이드협회)와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최혁용 한의협 회장은 지난 13일 서울 남산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카나비노이드협회 이사진들과 만나 카나비노이드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과 해외 현황 등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만남에는 카나비노이드협회 권용현 회장(의사)과 강성석 상임고문(목사), 최빌 이사, 츠비 벤트위치(Zvi Bentwich) 이스라엘 사해과학연구센터 소장, 라미 베르디(Rami Verdi) 티쿤 올람 CEO 등이 참석했다.
카나비노이드는 임상에서 다발성 경화증이나 만성통증, 파킨슨병, 크론병, PTSD, AIDS 등 여러 질환에 있어 치료제로 쓰인다. 주로 대마오일의 형태로 많이 쓰이며 대마오일의 주성분은 환각효과가 없는 카나비디올(CBD)로 구성돼 있다.
권용현 카나비노이드협회 회장은 “카나비노이드가 필요한 환자와 환자 보호자들이 많이 있음에도 카나비노이드 사용을 담은 개정법률안이 국회에 계류돼 있다”며 “의료계와 한의계 모두 함께 쓸 수 있도록 개정법률안이 통과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빌 이사는 “이스라엘과 캐나다는 정부로부터 관리 교육을 받은 카나비노이드 취급 가게들이 대마오일을 환자에게 판매하고 있지만 문제가 발생한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강성석 상임고문도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금지 약물 목록에서 카나비디올 성분은 제외할 정도로 안전성은 정평이 나 있다”면서 “실제 이번 평창동계올림픽에서도 캐나다 선수들은 CBD 파스를 붙이고 경기를 치렀지만 문제가 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츠비 벤트위치 소장은 “이스라엘은 수십 년간 임상과 연구로 대마 관련 많은 데이터와 근거를 쌓고 있다”며 “최근 연구 결과 의료용 대마가 소아 뇌성마비 환자에게 현격한 효과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스라엘에서 세계 최초로 카나비노이드를 임상에 적용해 지난 18년 동안 AIDS와 크론병, 파킨슨병을 연구, 치료하고 있는 카나비노이드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이다.
이에 최혁용 회장은 “카나비노이드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전 세계가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하고 있다. 특히 의약품 대마 사용이 합법인 중국은 전 세계 대마초 의약품 특허 건수 중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면서 “카나비노이드 한약재 등재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만들어 나가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 회장은 카나비노이드를 전문 한약재로 둬 한의사가 처방할 수 있도록 하고, 대마오일은 건강기능식품으로 묶되 의사가 처방전을 발급하는 형태로써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자는 방안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중국처럼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식물 전초는 한약 카테고리로 묶이는 만큼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주체가 한의사”라며 “대마 생산 및 유통을 엄격히 해 약재로만 쓰일 수 있도록 하면 환자 치료에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미 베르디 티쿤 올람 CEO도 “만약 한의협이 카나비노이드에 대한 임상시험 데이터를 요구한다면 지난 18년 동안 축적해 온 카나비노이드 임상연구 자료를 내어 주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카나비노이드협회는 카나비노이드 사용에 대한 법적, 제도적, 의학적 근거 마련을 통해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 하고자 지난 12일 본격 창립했다.
카나비노이드의 효능과 효과가 인체에 유익함에도 불구하고, 그 물질이 유래되는 식물 모두가 현행법상 불법으로 간주돼 환자 및 환자 보호자가 마약사범으로 몰리고 있다는 실정에 따른 것이다.
///끝

///시작
///면 7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산재결정 전 특별진찰 기간 중에도 치료비용 지급
///부제 근로복지공단, 특별진찰 기간 중 증상악화 예방을 위한 조치
///본문 앞으로 업무관련성이 명확하지 않더라도 업무관련성 특별진찰 기간 중 치료비용을 인정하고 추가로 산재가 인정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특별진찰 실시일부터 업무상 재해 결정일까지 치료비용을 근로복지공단이 부담한다.
현행 산재보험법령(산재보험법 제119조 및 시행령 제117조)에 의하면 산재 해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특별진찰 기간 중 증상이 위독하거나 증상악화 방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치료비용을 지급할 수 있다고 규정해 놓았지만 그동안은 구체적 가이드라인이 없어 실제로는 치료비용이 지급된 사례가 없었다.
이에 근로복지공단이 재해노동자가 치료비 부담없이 적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아 증상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업무관련성 특별진찰 기간의 치료비용 인정 범위’ 를 정해 8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것.
치료비용 인정 대상자는 뇌·심혈관질환 또는 근골격계질환의 업무상 재해(질병) 여부 판단을 위해 업무관련성 전문조사(특별진찰) 의뢰된 산재노동자로 증상이 위독하거나 진찰 중 치료하지 않으면 증세가 급격히 악화돼 진찰과 향후 치료에 지장이 있는 경우 의학적 소견에 따라 적용되는 모든 치료를 인정해 준다.
심장질환은 발병일과 무관하게 치료비용을 인정하고 뇌혈관질환과 근골격계질환은 각 증상의 호전기간을 감안해 발병일로부터 각각 2년, 1년 이내 특별진찰을 실시한 경우 치료비용이 인정된다.
이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치료비용을 인정하되 해당 기간을 초과한 경우라도 증상악화 방지를 위해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학적 소견이 있는 경우의 치료는 인정한다.
치료비용 인정기간은 진찰 요구에 따른 실제 진찰 시작일부터 치료비용을 인정하되 증상의 업무관련성 정도에 따라 2단계로 구분해 치료비용을 인정한다.
1단계는 원칙적으로 업무관련성 전문조사(특별진찰)에 따른 진찰종료일까지의 치료를 인정하지만 투약 처방이 진찰 종료일부터 7일 이내 시행된 경우에는 그 범위 내에서 추가 인정이 가능하다.
2단계에서는 업무관련성 전문조사 결과 뇌심혈관 질병은 △1주 평균 60시간 초과하는 경우로서 업무관련성이 명확한 경우 △1주 평균 52시간 초과 및 업무부담 가중요인이 있는 경우로서 업무관련성이 명확한 경우, 근골격계 질병은 △업무 부담요인이 ‘매우 높음’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업무관련성이 명확한 경우에 해당될 경우에는 업무상의 재해 결정일까지 치료를 인정해 준다.
예를 들어 A사업장 생산직 근로자로 근무하던 중 상지를 많이 사용하는 업무로 인해 회전근개 파열 진단을 받아(질병진단일 : 2017.8.2, 요양급여신청일:2018.7.25, 특별진찰 실시일:2018.8.1) 근골격계질환으로 산재를 신청한 경우 질병진단일로부터 특별진찰실시일까지 1년이 경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업무관련성 특별진찰 기간 중 치료비용을 지급하고 만약 특별진찰 의료기관의 업무관련성 전문조사 결과 업무부담 요인이 ‘매우 높음’인 경우 업무상 재해 결정일까지 특별진찰 의료기관에서 치료비용 지급이 가능하다.
이번 업무관련성 특별진찰 기간의 치료비용 인정에 따라 연간 약 2500여명의 노동자가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되며 근로복지공단은 향후 정신질환 등도 특별진찰 대상자로 확대할 예정이다.
심경우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은 “산재노동자가 재해 초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면 치료기간이 장기화되는 등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므로 재해 초기부터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이규철 기자
///제목 교통사고로 한의진료 받은 환자 85.2% ‘증상 호전’
///부제 원광대 광주한방병원, 외래 및 입원환자 대상 연구결과 발표
///본문 교통사고에 대한 한의치료 효과 및 만족도가 다시 한 번 확인됐다.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7월호에 게재된 ‘교통사고 환자 237예에 대한 한의치료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에서 교통사고 치료를 받은 외래 및 입원 환자의 85.2%가 증상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의치료에 대한 만족도 측면에서는 환자의 75.1%가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50대 이상 환자 많고, 양방의료기관
거쳐 내원하는 환자 비율 높아
설문대상자는 총 237명으로 성별은 남성 118명(49.7%), 여성 116명(48.9%)으로 비슷했으며, 연령에 따른 분포는 30세 미만 43명(18.1%), 30세 이상 40세 미만 40명(16.9%), 40세 이상 49세 미만 51명(21.5%), 50세 이상 100명(42.2%)으로 비교적 40대 이상의 환자가 많이 분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통사고 후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에 최초로 내원한 환자는 91명(38.4%)이었고, 타 한방병원 또는 한의원을 거쳐 내원한 경우는 46명(17.8%), 양방병원 또는 양방의원을 거쳐 내원한 경우는 97명(41%), 한방 및 양방의료기관을 모두 거쳐 온 경우는 3명(1.3%)으로 집계되는 등 양방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다 한의의료기관으로 옮기는 환자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발생일로부터 경과일은 1주 이내가 77명(32.5%), 1~2주 이내가 70명(29.5%), 3~4주 이내가 49명(20.7%) 등으로 1주 및 2주 이내의 환자가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치료를 받은 기간은 1주 이내 93명(39.2%), 1~2주 이내 92명(38.8%)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교통사고 후 상해 치료를 위해 한방병원을 선택한 이유에 대한 5점 척도 결과에서는 ‘양방치료보다 한방치료를 선호하기 때문’이라는 항목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3.81±0.865), ‘한방치료 경험이 있는 주변사람의 권유’(3.79±0.752), ‘교통사고 치료에 있어 한의의료가 양방의료보다 효과가 우수하다고 생각하기 때문’(3.77±0.796), ‘양방병원보다 진료비가 저렴해서’(2.69±0.829)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의 의료서비스 결과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좋은 점수를 매겼다.
치료 후 증상 개선의 정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호전 34명(14.3%), 호전 168명(70.9%)으로 대부분의 환자(85.2%)가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
한의치료에 대한 민족도는 매우 만족 37명(15.6%), 만족 141명(59.5%)으로 응답자의 75.1%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치료방법별로는 부항, 침, 약침, 추나, 한약, 한의물리치료 등의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항목의 금액 적정성에 대한 의견으로 ‘약침 치료’의 경우 적정하다는 의견이 141명(59.5%), 비싸다는 의견이 76명(32.1%)으로 조사되었고, 한약은 비싸다 105명(44.3%), 적정하다 104명(43.9%), 추나 치료는 적정하다 99명(41.8%), 비싸다 81명(34.2%)으로 조사되었다.
교통사고로 치료가 필요한 주변인에게 한방병원을 추천할 의향에 관한 설문의 답변으로는 추천하겠다가 185명(78.1%), 교통사고 이외 근골격계 통증 질환으로 한방병원을 이용할 의향에 관한 설문으로는 이용하겠다가 173명(73%)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성별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에 따른 만족도는 40세 이상 50세 미만에서 가장 높았고, 50세 이상 군에서 가장 낮게 조사됐다.
해당 연구자들은 “교통사고 치료에 대한 한의치료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해서는 광고 매체 등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좋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불편 증상을 개선시켜 만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환자의 재내원 의향 및 주변인에게 추천할 의향을 고취시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17년 2월1일부터 8월31일까지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에 교통사고 발생 후 내원해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의 한방재활의학과 신희라, 박경태, 염승용, 권영달 및 침구의학과 양무학, 대한한방병원협회 김영배 등이 저자로 참여했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10월 국감에서 논의될 정부 부처별 과제는?
///부제 국회입법조사처, 2017회계연도 결산 위원회별 분석 자료 발간
///본문 10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논의될 정부 부처별 과제로는 원격의료, 건강보험 지출 규모 분석 등이 꼽혔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이 같은 내용의 ‘2017회계연도 결산 위원회별 분석’ 자료를 지난 13일 발간했다. 부처별 주요 현안으로 제시된 사업 과제는 보건복지부 37개, 식품의약품안전처 7개 등 총 44개다.
보건의료 분야의 중점 이슈를 살펴보면 취약지 원격협진 네트워크 구축 사업의 실적 저조와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사업의 관리 강화 필요성, 의료취약지 의료지원 사업의 집행실적 저조, 디지털헬스케어 정보제공 사업의 관리 강화 필요성 등이 개선 또는 쟁점 과제로 꼽혔다.
또한 건강관리체계 구축지원 사업의 시범사업 수행방식이 부적절하고, 전공의 등 육성 지원 사업 대상자의 균형성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경우 부당이득금 징수율 제고가 필요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수입 · 지출 규모가 적정한지, 지출 예산이 과다하게 추계된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또 심평원 자체 수입 예산 과소 추계 문제, 심평원 예비비 관련 정관 규정 변경 등을 통한 적정규모 예비비 편성 필요성,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손해배상금 대불제도 재원 마련 관련 개선방안 검토 필요성에도 주목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경우 과징금 · 과태료 수납률 제고와 부정확한 추계 개선 필요성, 논스톱 국가시판승인체계 구축 · 운영 사업의 집행 부진 등이 쟁점으로 제시됐다.
///끝

///시작
///면 8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심평원, ‘8월 요양기관 정기 현지조사’ 계획 공고
///부제 건보 분야, 입내원일수 거짓청구 및 기타 부당청구 등 56개소 대상
///본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지난 10일 홈페이지를 통해 ‘8월 요양기관 정기 현지조사 계획’을 공고했다.
건강보험 분야의 경우 현장조사는 지난 16일부터 29일까지, 서면조사는 지난 16일부터 종료시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조사 대상기관 수는 현장조사 23개소(요양병원 3개소 · 의원 11개소 · 한의원 5개소 · 치과의원 3개소 · 약국 1개소) 및 서면조사 33개소(의원 3개소 · 약국 30개소) 등 총 56개소다.
이달 정기 현지조사에서는 현장조사의 경우 입 · 내원일수 거짓청구를 비롯해 산정기준위반청구, 기타 부당청구 등을, 또한 서면조사는 약국 조제료가산 불일치 상위기관, 방사선 단순촬영 후 증량청구 의심기관, 미신고 · 미검사 장비 사용 후 부당청구기관 등을 중점으로 점검하게 된다.
이와 함께 의료급여의 경우에는 지난 16일부터 29일까지 2주간 진행되며, 병원 3개소 · 의원 3개소 · 한의원 2개소 · 치과의원 1개소 · 약국 1개소 등 총 10개소를 대상으로 △입 · 내원일수 거짓청구 △미근무 비상근 인력에 따른 부당청구 △의료급여 절차규정 위반 등에 대해 조사한다.
///끝

///시작
///면 9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폭염으로 고생하는 어르신들의 건강 지킴이로 나서
///부제 인천시한의사회, 대한노인회 인천시연합회에 건강한약 전달
///본문 최근 기록적인 폭염이 연일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인천광역시한의사회가 폭염으로 인해 고생하는 어르신들의 여름 건강 지킴이로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인천시한의사회는 지난 10일 대한노인회 인천광역시연합회(이하 인천연합회) 인천노인복지관을 방문, 최근 폭염으로 인해 생기는 각종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어르신들의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여름철 건강한약 100박스를 전달했다.
인천시한의사회가 준비한 2500여 만원 상당(100박스)의 한약은 더운 여름철 어르신들의 기력 저하를 막아주고, 식욕 저하 및 어지럼증, 구토, 두통 등 다양한 여름철 증상들에 효과가 좋은 한약이다.
황병천 인천시한의사회장은 “올해와 같은 기록적인 무더위에 제일 취약하신 계층이 바로 어르신들”이라며 “인천시한의사회에서는 어르신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작은 정성을 마련했으며, 여름철 건강한약으로 무더운 여름을 무탈하게 넘어가는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황 회장은 이어 “앞으로도 인천시한의사회에서는 어르신들을 위해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사업들을 고민하고, 연구해 보다 많은 어르신들이 건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박용렬 회장 등 인천연합회 임원들도 인천시한의사회의 정성에 매우 감사한 마음을 표하며, 인천연합회 소속 어르신들에게 잘 전달하겠다고 화답했다.
전달식 이후 가진 인천시한의사회와 인천연합회간 간담회에서는 한의약은 노인계층의 선호도가 높은 것은 물론 각종 노인성 질환이나 만성질환에 강점을 갖고 있는 만큼 향후 경로당주치의 사업, 치매사업 등을 함께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내달 중 각 구 노인회 지회장들과 인천시한의사회 분회장과의 간담회를 개최, 보다 세부적인 사안들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전달식에는 인천시한의사회 황병천 회장·최동수 부회장·문영춘 부회장·안철우 약무이사·신원수 총무이사, 김현호 미추홀구분회장 등이 참석했으며, 인천연합회에서는 박용렬 회장 등이 참석했다.
///끝

///시작
///면 9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한약 드시고 무더운 여름 건강히 보내세요〜”
///부제 경남한의사회, 2000만원 상당 한약 도내 취약계층 어르신께 전달
///부제 조길환 회장 “폭염에 취약한 어르신들, 여름철 무더위 이겨내는데 도움 되길”
///본문 경상남도한의사회(회장 조길환)가 최근 기록적인 폭염으로 온열환자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취약계층 어르신들의 건강을 책임질 여름보약을 전달하는 ‘여름보약 전달식’을 가졌다.
지난 9일 경남도청 행정부지사 집무실에서 진행된 이번 ‘여름보약 전달식’은 경남한의사회가 도내 취약계층 어르신들의 온열병 및 냉방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경상남도에 2000만원 상당의 여름보약 100제를 기증하고, 경상남도가 이를 (사)대한노인회 경상남도연합회로 전달해 도내 취약계층 어르신들에게 전달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남한의사회에서 기증한 여름보약은 기를 보해주고 조혈능력을 높여줌으로써 최근 이어지는 폭염에 취약계층 어르신들의 떨어진 기력을 회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조길환 회장은 “여름이면 식욕이 떨어지고, 온 몸이 나른해져 의욕이 없어지고, 매사 피곤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데 한약으로 기력을 보충하고, 체력도 증강시킬 수 있다”며 “폭염에 취약한 어르신들이 미력하나마 여름철 무더위를 이겨내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한경호 경상남도 행정부지사는 “재난재해가 발생하면 늘 홀로어르신 등 사회적 약자들의 피해가 커 고민이 많았는데, 경남한의사회에서 신경을 써줘서 매우 감사하며, 대한노인회 경상남도연합회는 이러한 소중한 마음이 도내 어르신들께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부탁드린다”며 “경남에서도 최근 폭염을 재난에 준하는 수준으로 관리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 점차 피해를 줄여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9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우리 동네 한의사 주치의 ‘한자리에’
///부제 일산동구보건소, ‘韓主醫 힐링타임’ 추진
///본문 고양시 일산동구보건소는 지난 8일 우리 동네 한방주치의사업인 ‘韓主醫(한주의) 힐링타임’ 추진을 위해 관내 7개 한의의료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韓主醫(한주의) 힐링타임’은 동별 담당 한의사 1인과 방문간호사 1인으로 구성된 2인, 총 7개 주치의 사업팀이 월 1회 각각 동별 한의 방문진료를 실시하는 것으로 고혈압, 당뇨 다음으로 많은 질환인 관절염의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7개 한의의료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매월 4∼5명의 일산동구 지역 내 독거노인 및 거동불편자 등 취약계층 가정에 직접 찾아가 한의진료 및 침 시술, 건강교육, 한의약적 건강상담 등을 지원하게 됐다.
참여 의료기관은 △동국대학교일산한방병원 △일산자생한방병원 △하얀마음한의원 △숲속부부한의원 △백마성동한의원 △이원행 화접몽한의원 △경희대성한의원이다.
보건소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동별 담당 한의사를 주치의로 취약계층 한의 방문진료를 지속 실시한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경로당 중심이 아닌 대상자 가정으로 직접 찾아가는 맞춤형 한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으로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의 건강 격차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9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2018년 하반기 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 회원 모집
///부제 진해보건소, 한방 골관절염 예방교실· 한방양생 프로그램 등
///본문 경남 창원시 진해보건소는 한의약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전문교육·신체활동과 한방치료(침 시술)를 병행한 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오는 9월3일부터 11월29일까지 13주간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한방기초이론에 근거한 한방양생교육 ‘행복을 더해주는 한방양생 프로그램’ △기공체조를 통해 하체근력과 관절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한방 골관절염 예방교실’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과 실버요가를 병행한 ‘한방 낙상예방 프로그램’ 등 3개 강좌며, 1인당 1개 강좌 신청이 가능하다.
수강생 모집은 오는 20일과 21일 이틀간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건소에 방문 접수하면 된다.
조현국 소장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한의학에 호감도가 높은 중년과 노년층 주민들에게 한의약적 건강관리법을 널리 알리고 스스로 건강생활을 실천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진해보건소 건강증진담당(055-225-6138,6146)으로 문의하면 된다.
///끝

///시작
///면 10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유전자원 이용 및 공유법, 본격화 되다
///부제 지난 18일 시행… 국내 생물주권 보호 나고야의정서 대처
///본문 유전자원의 접근·이용 및 이익 공유에 관한 법률(이하 유전자원법)이 지난 18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에따라 환경부, 농림부, 과기부, 산자부, 외교부, 복지부, 농진청 등 관계부처들은 범부처 합동 전략팀(태스크포스)을 구성하고 국민 편의를 위한 ‘통합신고시스템’을 준비 중이다.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에서 접근·점검신고 등 관련 절차를 온라인 사이트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내부평가를 거쳐 이달 중 정식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관련 산업계, 다수의 전문가가 참여한 ‘나고야의정서 대응 협의체’를 발족해 해외 유전자원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사례별 대응방안 마련 등 국내 산업계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산림청도 자체적으로 국립수목원,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국립산림과학원과 함께 산림분야 나고야의정서 대응 전략팀(태스크포스)을 구성, 관련 법령 정비, 정보제공, 산림생명자원 관리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국토의 64%를 차지하는 산림에 서식하는 생물종이 약 2만 여종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해외유전자원 이용부담 감소를 위해 소재 발굴과 산림생명자원 수집·보존·특성평가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세계 각국에서도 자국의 유전자원 보호를 위해 관련된 법령과 절차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관련 산업계 및 연구계는 해외 유전자원 법령과 절차를 사전에 확인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해외 유전자원 활용 시 이용하기 전에 자원 제공국의 법령과 절차를 꼼꼼히 확인해야 하며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이 운영하고 있는 정보공유체계인 ABS-CH(absch.cbd.int) 사이트를 통해 자원제공국의 국가연락기관(NFP:National Focal Point)을 확인, 관련된 절차와 정보를 문의하는 것이 요구된다.
조준규 산림자원과장은 “국내 생물주권을 보호하고 기업의 해외생물자원 이용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유용한 산림생명자원을 발굴,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나고야의정서는 생물다양성 협약 부속 의정서로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용으로부터 나오는 이익을 자원제공국과 이용국이 상호합의조건에 따라 공정하게 나누도록 하는 국제협약이다.
2010년 일본 나고야에서 채택돼 2014년 10월12일 발효됐으며 우리나라도 나고야의정서의 국내 이행법률인 유전자원법을 지난해 1월17일 제정하면서 나고야의정서 98번째 당사국 지위를 확보하고 같은해 8월17일 당사국이 됐다.
다만 국내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신고, 해외 유전자원의 이용에 따른 절차준수신고 등의 의무사항들은 1년간 시행이 유예돼 지난 18일부터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다.
///끝

///시작
///면 10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질병관리본부,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일제 실시
///본문 17개 시 · 도와 질병관리본부가 8월16일부터 10월31일까지 전국의 약 23만 명을 대상으로 ‘2018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방식은 보건소 소속 조사원이 표본추출로 선정된 조사가구를 방문(전국 254개 보건소, 지역별 평균 900명 표본 추출), 노트북에 탑재된 전자조사표를 이용해 조사대상자와 1:1 면접을 통해 진행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흡연, 음주, 식생활 등의 건강행태와 삶의 질 등 지역별 200~250여개의 설문문항을 조사하며 올해 처음으로 키와 몸무게를 직접 측정해 보다 정확한 지역별 비만율을 산출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는 내년 3월에 질병관리본부와 254개 각 보건소에서 공표할 예정이다.
17개 시 · 도지사와 질병관리본부장은 조사된 모든 내용이 각 지역을 위해 소중하게 활용될 것이고 통계법에 의해 철저히 비밀이 보장되므로 조사원이 방문했을 때 조사에 적극 참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지역보건법’ 제4조(지역사회 건강실태조사)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지역사회 건강실태조사 방법 및 내용)에 근거해 실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되는 254개 지역사회 건강통계는 각 지역에 필요한 건강정책을 수립하고 맞춤형 보건사업 추진으로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활용되고 있다.
///끝

///시작
///면 11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서울시, 전국 최초로 ‘마을의사’가 찾아가는 건강돌봄서비스 실시
///부제 10월부터 성동·노원·은평·관악 4개구 보건소 전담팀 운영
///부제 2022년까지 전 자치구 확대 의료취약계층 지원 강화
///부제 “현장성 뛰어난 한의진료 포함시켜 의료서비스 질 높여야”
///본문 서울특별시가 오는 10월부터 보건소에 마을의사 등 전문인력팀으로 구성된 건강고위험군 전담 ‘건강돌봄팀’을 구성, 대상자를 직접 찾아가는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우선 올해 성동·노원·은평·관악 4개구 보건소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25개 전 자치구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15일 서울특별시의 발표에 따르면 ‘건강돌봄팀’은 마을의사를 중심으로 간호사, 약사, 임상영양사, 물리치료사, 치과위생사, 의료사회복지사, 정신전문요원, 치과위생사, 방문간호사 등 분야별 전문인력으로 구성된다.
마을의사는 건강 포괄평가, 관리계획 수립, 지역 의사회 등과 네트워크 구축 등의 건강돌봄팀 업무를 총괄, 조정하며 임상영양사는 영양상태 심층평가, 영양보충식품 지원 및 관리하며 물리치료사는 방문재활운동을 지도·관리한다.
의료사회복지사는 대상자의 사회·심리적 요구도 등을 파악해 필요한 보건·의료·복지 자원을 연계해 사회적 기능회복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찾아가는 건강돌봄 서비스’는 보건소(지소) 건강돌봄팀이 지역 내 보건·의료·복지 분야 자원을 연계, 대상자 특성에 맞는 포괄적 건강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 관리하는 서비스로, 대상자 발굴→건강상태 평가, 건강관리계획 수립, 케어서비스 제공→보건의료서비스 연계→지속관리 등 4단계로 진행한다.
설문조사, 문진→검사, 신체계측, 영양상태, 우울·자살경향성·치매 위험도, 허약 등 건강을 포괄평가하고 대상자 특성에 맞게 건강관리 계획을 수립한다.
이 계획에 맞춰 영양 보충식품 제공, 재활운동 등 맞춤형 케어서비스를 제공하고 특히 치매·우울 심층검사 및 전문가 상담 또는 입원 등 치료가 필요할 경우 전문센터(치매·정신)나 의료기관에도 연계한다.
서울특별시는 올해 4개구에서 시범운영 후 미비점을 보완해 2020년 15개 구, 2022년 25개 구로 확대 실시할 방침이다.
나백주 서울특별시 시민건강국장은 “고령화 시대에 의료 취약계층일수록 만성질환 유병률은 높고 적정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마을의사 중심의 건강돌봄 서비스를 실시한다”며 “서울시는 건강돌봄 서비스를 통해 시민들이 만성질환을 지속 관리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찾아가는 건강돌봄서비스’를 가장 필요로 하는 분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한의진료 서비스를 포함시키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찾아가는 건강돌봄서비스’가 만성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을 함께 갖고 있으면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에게 가장 절실히 필요하고 그동안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의학을 활용한 주치의사업이나 지역사업을 실시한 결과에서 한의사의 방문진료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는 사실은 이에 대한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한의사의 방문진료에 대한 만족도가 두드러진 이유는 한의진료가 갖고 있는 뛰어난 현장성에 기인한다.
양방과 달리 한의사는 방문 현장에서 건강상담과 함께 실질적인 치료까지도 가능하다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한의사들의 참여 의지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끝

///시작
///면 11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평창군, 장애인대상 한의약 건강증진 시범사업 운영
///부제 16일부터 ‘위대한 변화(change)의 시작’ 프로그램 14주 동안 진행
///본문 평창군보건의료원에서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의 한 분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인 ‘위대한 변화(change)의 시작’을 지난 16일부터 진부면 장애인복지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다.
장애인 12명을 대상으로 주 1회 14주 동안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표준화프로그램으로 개발, 평창군에서 시범적으로 시작하는 사업이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인의 이차 질환 예방, 증상 유지 및 개선을 위한 한의학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일반건강관리, 명상의 이해, 건강식 생활, 한의학적 교육, 경혈 마사지, 이압 요법, 동의보감 안마도인 체조 등을 진행한다.
또한 도예, 원예, 규방, 웃음치료 등 취미활동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주로 집에서 생활하게 되는 장애인들의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한왕기 평창군수는 “장애인의 행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장애인과 가족 모두가 행복한 해피700 평창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끝

///시작
///면 11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고전번역원, ‘승정원일기’ 남북 공동번역 추진
///부제 성사되면 완역 기한 2051년에서 2045년으로 6년 앞당겨질 전망
///본문 한국고전번역원이 북한에 ‘승정원일기’ 공동 번역을 제안해 주목된다.
서울 은평구 진관동 신청사 이전을 맞아 지난 7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신승운 한국고전번역원장은 북한 사회과학원 산하 민족고전연구소와 함께 승정원일기 정조 부분의 공동 번역 사업 추진을 위해 통일부에 북한주민접촉 승인 요청을 했다고 밝혔다.
국보 303호이자 세계기록유산인 승정원일기는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승정원에서 낸 문서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다.
고전번역원은 1994년부터 전체 2390책 가운데 545책을 번역해 현재 번역률은 22%며 완역 기한을 2051년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북한과 공동번역이 성사되면 승정원일기 전체 완역 기한은 2051년보다 6년 이른 2045년으로 앞당겨질 전망이다.
사실 2014년에도 남북 공동 번역을 추진한 바 있으나 남북관계 경색으로 무산된 바 있다.
신 원장은 “문집 총간을 비롯해 고전번역원이 그동안 찍은 책을 북한에 10질 이내로 보내 교류를 시작한 뒤 2021년부터 10년간 연간 35책을 번역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북이 아직 번역하지 않은 부분이어서 공동 번역을 하기에 가장 적합하다”며 “단순한 공동 번역에 머물지 않고 이념과 정치를 넘어 역사 인식을 공유하는 작업이라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전번역원은 서울 은평구 진관동에 지상 6층·지하1층, 연면적 7360㎡의 청사를 마련, 지난 10일 개관식을 가졌다.
지하 1층에는 보존서고, 지상 1층에는 고전번역전문도서관이 있다. 지상 2∼6층은 사무실과 강의실로 사용된다.
///끝

///시작
///면 13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뇌졸중 재발률 낮추는 ‘청혈단’ 치료효과 입증
///부제 청혈단 복용환자 재발률 6.2%인 반면 양약 단독 치료시에는 재발률 9∼15%
///부제 경희대한방병원 중풍센터 정우상·권승원 교수팀, ‘Journal of Evidence-Based Integrative Medicine’에 연구결과 게재
///본문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중풍센터 정우상·권승원 교수팀(공동연구자 조기호·문상관·진철 교수)이 뇌졸중 재발률을 낮추는 한약인 ‘청혈단’의 효과를 확인했다.
청혈단은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중풍센터와 한약물연구소가 공동으로 개발한 한약으로, 항고지혈증·항고혈압·항동맥경화증 등의 효과와 더불어 특히 혈관탄력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준다.
정우상·권승원 교수팀은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소혈관성 뇌경색 환자 400명을 대상으로 추적관찰을 실시해 분석한 결과 청혈단을 단독 복용하거나 양약과 함께 복용한 환자는 양약만으로 치료한 환자보다 재발률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총 5년간의 관찰 결과, 청혈단 복용 환자 195명 중 12명(6.2%)에게만 재발이 나타난 반면 양약 단독 치료시에는 재발률이 9∼15%로 나타나, 청혈단 복용 환자가 양약 단독 복용한 환자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 소혈관성 뇌경색 치료에 청혈단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동양인은 소혈관성 뇌경색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높은 혈압에 의해 혈관벽이 점차 두꺼워져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혈관성 뇌경색 치료에는 항혈전효과가 강한 약물보다는 혈관벽이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에 청혈단은 혈관내피세포 기능을 강화해 혈관 탄력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소혈관성 뇌경색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 권승원 교수는 “주로 항혈전효과를 내는 양약과는 달리 청혈단은 혈관내피세포 기능을 강화하는 항동맥경화효과를 가진다”며 “따라서 소혈관성 뇌경색 환자에 한·양방 협진치료를 진행한다면 부작용 없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개방형 의학 저널인 ‘증거기반통합의학저널(Journal of Evidence-Based Integrative Medicine)’에 게재됐다.
///끝

///시작
///면 13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혈압약’ 복용하는 노인, 무더위에 자칫 생명 잃을 수도
///부제 심한 탈수증상 및 콩팥의 동맥경화증 환자는 특히 주의
///본문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온열질환자는 1043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5.20∼7.21) 대비 61% 증가했으며, 이 가운데 65세 이상 환자가 전체 28.4%(296명)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폭염에 취약한 노인과 만성질환자는 각별한 건강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폭염의 1차적인 신체 반응은 바로 ‘땀’으로, 무더위 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는 수분과 염분 보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혈압약을 복용하는 노인들의 경우 과도하게 수분과 염분이 배출될 경우에는 생명까지 위협받게 돼 더욱 주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임천규 교수(경희대학교병원 신장내과)는 “여름은 고혈압 환자에게 있어 비교적 안심할 수 있는 계절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혈압으로만 봤을 때 여름에는 낮아지고 겨울에는 높아지기 때문”이라며 “이 같은 이유로 고혈압 환자는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안심하며 혈압 조절을 소홀히 하기도 하지만, 혈압약을 복용하면서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혈압이 더 낮아져 자칫 생명에 위협을 느낄 수 있다”고 밝혔다.
즉 혈압약을 복용한 상태에서 땀을 과도하게 배출하게 되는 경우 수분과 염분 소실이 보충되지 못하면 혈액량이 부족해져 저혈압이 발생하거나 혈액 내 나트륨이 떨어져 의식을 잃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 배경에는 혈압약의 성분에 있는데, 안지오텐신 차단제는 심장과 콩팥 합병증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하며, 특히 신장 사구체혈관의 높은 압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어서 처방률이 높다.
하지만 수분과 염분이 부족할 때는 사구체 최소 압력보다 더 낮아질 수 있는데, 이는 사구체 여과율을 감소, 신기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이 약은 고령이거나 탈수가 심한 경우, 콩팥의 동맥경화증이 심한 환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임 교수는 “안지오텐신 차단제에 이뇨제를 추가한 복합제를 먹는 환자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과도한 땀 배출로 혈액 내 나트륨이 갑자기 떨어져 의식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 야외활동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14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국내 전통지식 보호 위한 다양한 정책 수립 필요”
///부제 법적 대응체계 구축 및 전통지식에 대한 국내 책임기관 규정 마련 논의 필요
///부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전통지식 보호에 관한 국제적 논의와 시사점’ 심층분석 보고서 발간
///본문 최근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전통지식 및 유전자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전통지식 보호를 위한 다양한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전정화 전문위원(법제연구팀)·김영모 전임연구원(정책연구팀)은 최근 ‘전통지식 보호에 관한 국제적 논의와 시사점-전통의약과 지식재산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라는 제하의 심층분석 보고서를 발간, 전통지식에 대한 국제적 논의 및 국외의 전통지식 보호 제도·현황을 소개하는 한편 향후 국내 전통지식 보호를 위한 다양한 과제를 제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특히 중국의 경우 풍부한 유전자원 및 오랜 역사를 토대로 한 전통지식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은 물론 과거 유전자원 약탈의 경험으로 공격적이고 진보적인 법제도 및 국가정책을 수립, 강력한 보호의 움직임이 파악되고 있다.
실제 중국에서의 전통지식 관련 입법 현황을 살펴보면 ‘중의약법’에서는 목적, 대상, 국가 및 담당기관의 역할, 중의약서비스 관련 사항, 지방정부에 대한 지원, 의료기관 및 의료인에 대한 규정, 전통중약의약품 지원, 중국한방의약품 평가시스템 수립, 중의약 연구 및 생산에 대한 규정, 중의사 양성에 대한 규정, 중의학 전통 및 문화 전승, 법적 책임 등을 명시하고 있으며, 또한 ‘전리법’에서는 전통지식이 외국에 의해 도용·남용되는 상황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보호를 강화, 생물유전자원을 취득·이용해 완성된 발명의 경우 생물유전자원의 출처와 원시출처를 설명 또는 공개토록 하고 있다.
또 ‘생물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 관리 조례’는 생물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의 보호를 위해 2017년 공개된 신규 법안으로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대한 강력한 보호를 시사, 민간이 아닌 국가가 전통지식 보호체계를 수립해 전통지식이 보호되고 전승되도록 장려하고 지원할 것을 규정하고 있으며, 전통지식 등록제도 및 집단관리를 실시해 이익공유 계약을 체결할 것도 명시하고 있다.
이같은 법률적 토대를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는 전통지식 관련 정책으로는 △중의약 특허관리방법 △전국중약자원조사 △중의약 전통지식 전문계획 △중약현대화발전강요 △중의약 정책체계 건설규획 등이 있다.
이 가운데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되고 있는 ‘중의약 정책체계 건설규획’의 경우 중의약 정책체계를 전반적으로 구축하고, 중의약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정책을 연구·실시해 향후 중의약 발전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중의약 관련 정책, 중서의 결합과 민족의, 과학기술 발전, 전승 및 전파 등 11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또한 인도의 경우에는 아유르베다, 싯다, 요가 등의 다양한 전통지식 및 전통의학을 보유하고 있으며, 풍부한 유전자원을 토대로 국가 자원을 관리하고 있으며, 전통지식전자화사업에 역점을 두고 보호를 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캄포디아에서는 △보건 분야에 있어서 전통적인 의약제제의 생산 및 수출입에 관한 시행령 △전통의약제제 판매시설의 개업 및 위치 변경에 관한 절차 및 요건에 대한 시행규칙 △의약제제에 대한 국가정책 시행규칙 등의 법률로 전통의학을 보호하고 있다.
특히 보고서에서는 전통지식에 대한 국제적 논의 및 국외 법제도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가 추진해야 할 전통지식 보호를 위한 과제도 제시했다.
저자들은 “나고야의정서 발효 등에 따라 세계적으로 전통지식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전통의약의 세계화에 관심도 증대되고 있는 만큼 국내의 전통지식 보호와 발전을 위한 국제적 동향 파악과 국내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며 “국제기구에서의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대한 논의의 시류를 파악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방향성 구축이 필요한 것은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 유전자원에 대하여는 이용국의 입장이 강하지만 전통지식 부분에 있어서는 제공국의 입장이 될 수도 있는 만큼 부처간 논의 등을 통한 포지셔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국제기구에서의 논의는 국제사회 전체에 대한 약속과 미래전략이 될 수 있다”며 “향후 논의에 대한 모니터링 및 상호협력체계 구축, 국내외 분쟁 및 갈등에 대응해 산재된 쟁점 정리 및 개선 논의 등이 실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국내 전통지식의 보호와 발전을 위해 국외의 법제도 및 정책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국내시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국 등의 경우 강력하게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국내적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통지식의 지식재산권 보호 관련해 전통지식을 활용한 특허 출원을 통해 관련 특허 확보, 지리적 표시제도 등 상표제도 내에서 전통지식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 독자적인 방법으로 전통지식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보호 모델을 검토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

///시작
///면 17
///세션 종합
///이름 하재규 기자
///제목 ‘붉은 깃발’ 걷어내기로 규제혁신 속도낼 전망
///부제 의료기기 산업, 원격의료, 영리병원 등 의료분야 규제 혁신 대두
///부제 한의원 · 한방병원 현대의료기기 활용시 자연스럽게 산업 활성화
///부제 한의정협의체 논의 결과 주목, 한의 의료기기 사용 미뤄선 안돼
///본문 문재인정부의 ‘붉은 깃발’ 걷어내기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체외진단기기 허용 간소화, 의료기기 산업 육성, 원격의료 허용, 영리병원 허용 등 의료 분야의 규제혁신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는 지난달 19일 문재인 대통령이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를 방문, 의료기기 산업 분야에서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혁신 방안을 마련하라는 지시 이후에 각 부처에서 규제 혁신을 위한 정책 제시가 잇따르고 있는데 기인한다.
‘붉은 깃발’ 걷어내기는 1861~1896년 영국이 자동차 속도를 제한하기 위해 차 앞에 붉은 깃발을 든 사람이 걸어가도록 의무화한 붉은 깃발법(적기 조례)을 말하며, 당시 마차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 속도를 내지 못하게 한 반시장적 규제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올 2월 확대경제장관회의 개최,
분야별 50건 규제 혁신 계획 발표
이와 관련 정부는 올 2월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경제 분야 현장규제 개선 과제 27건, 신(新) 서비스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혁신 14건, 행정규제·그림자규제 혁신 9건 등 모두 50건에 이르는 1단계 규제 혁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가운데 시행령·규칙 등 행정입법을 통해 17건을 해결하며, 고시·지침·내규 및 유권해석 등을 통해 27건을 해결하고, 법 개정이 필요한 6건은 개정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하여 규제 개혁을 한다는 방침이었으나 실제 개선된 사례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당시 제시됐던 규제 개혁 과제 중 보건의료 분야와 관련된 것들로는 △식품영양성분 오차에 대한 기업부담 완화(표시기준 개정, ‘18.3분기): (기존)식품영양성분 표시오차 발생시 즉시 과태료 부과→ (개선)식약처 공인기관(2개 이상)의 측정값 사용시 일부오차 허용 △치과기공소 개설시 시설구비요건 유연화(시행규칙 개정, ‘18.4분기): (기존)치과기공소 개설시 주조기, 기공용 모터, 컴프레서, 초음파 청소기, 진동기, 트리머 등 14종 시설구비 의무→ (개선) CAD/CAM · 3D프린터 등 기존 장비(주조기 등)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장비 보유시 시설구비요건 충족 인정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보건의료 분야 규제혁신 과제,
현재까지 개선 결과 도출 미흡
이와 더불어 △의료행위 범위 판단을 위한 민관합동 법령해석팀 운영(‘18.1분기): (기존)의료법상 의료행위 불명확으로 헬스케어 상품·서비스 출시 애로→ (개선)민관합동 법령해석팀 신설(3월), 원스톱 유권해석으로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 △송도 경자구역내 국내종합병원 설립 허용(‘18.1분기): (기존)특정부지(경자구역內)에 투자개방형 병원만 입주허용(10년간 全無)→ (개선)투자개방형 병원 부지에 국내종합병원 설립 허용 등이 규제 개혁 대상에 포함됐었다.
그러나 특별한 규제 개혁이 없이 지지부진한 상태로 이어져 오다가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규제혁신 발언 이후 체외진단기기 허용 간소화, 의료기기 산업, 원격의료, 영리병원, 개인정보 이용을 통한 빅데이터 활용 등의 사안이 급부상하고 있다.
이 가운데 원격의료 허용, 영리병원 설립, 개인정보를 이용한 빅데이터 활용 등은 의료의 쏠림현상과 의료 양극화, 개인정보 무차별 노출 등의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라 규제 혁신까지는 쉽지 않은 과정이 예상되고 있으며, 체외진단기기 허용 간소화는 대통령의 지적 이후에 복지부에서 곧바로 개선안을 발표해 조만간 규제 개혁이 이뤄질 전망이다.
복지부는 이와 관련, 체외진단기기는 물론 인공지능(AI), 3D 프린팅, 로봇 등을 활용한 미래유망 혁신·첨단의료기술이 최소한의 안전성이 확보된 경우 우선 시장진입을 허용한 후 임상현장에서 3~5년간 사용하여 축적된 풍부한 임상 근거를 바탕으로 재평가를 한다는 계획이다.
의료기기 산업 육성 해법은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있어
이와 함께 의료기기 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개선안은 연구중심병원에 ‘산병협력단’ 설립을 허용해 병원이 혁신적 의료기술 연구와 사업화 허브로 발전 가능한 기반 마련에 나서며, 환자진료 경험을 토대로 혁신 의료기기 개발을 선도할 연구의사 육성, 국산 의료기기 성능개선 지원, ‘의료기기산업육성법’ 제정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의료기기 산업 육성에 있어 핵심 사안인 한 · 양방 의료기관의 차별없는 현대 의료기기 활용은 배제돼 있어 규제 혁신의 실질적인 개선 방향이 잘못됐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한의사협회는 “의료기기 산업 육성·발전-환자 진료 편의성 보장의 해법은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있다”면서, “전국의 한의원과 한의병원에서 필요로 하는 의료기기에 대한 새로운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의료기기 산업은 자연스럽게 불황에서 벗어날 수 있음은 물론 일자리 창출 효과도 가져올 것”이라는 논평을 발표한 바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복지부에서는 이와 관련한 뚜렷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운영 중인 한의정협의체의 논의 결과만 주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시급한 것은 시급한대로 빨리 규제 개선을 이뤄 문 대통령이 강조한 의료기기산업 육성의 규제 개혁과 궤를 같이할 수 있는 신속한 행정의 답을 내놓아야 할 때다.
///끝

///시작
///면 18
///세션 기고
///이름 한약진흥재단 한의신약팀 소재현 팀장
///제목 한약진흥재단 한의약소재은행
///부제 만성·난치성 질환 타깃 한의신약 개발의 중심
///본문 [편집자 주] 한약진흥재단은 한의약의 표준화, 과학화, 세계화로 한의약의 미래가치를 창출하고, 한의약을 통해 국민건강과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국내 유일의 한의약 산업 진흥기관으로서 한의약육성법에 따라 2016년 2월 출범됐다. 그러나 한의계에서 조차 한약진흥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연구성과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란에서는 한약진흥재단에서 어떠한 일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한약진흥재단(원장 이응세)은 한의약 혁신을 통해 국민의 건강한 삶과 국가 경제에 기여하는 한의약 산업 진흥기관이다. 한약제제 제형 개선 및 품질검사, 한의신약 개발 등 한의약을 활용한 산업화를 지원하는 한의약기술본부를 두고 있으며, 우수 한약재 생산기술 개발, 약효 표준화, 의약품 안전성 기반 조성 등 한약자원 고도화 사업을 맡고 있는 한약자원본부가 있다. 또한 한의약 정책 개발 및 세계화, 한의약 신뢰도 제고, 보장성 강화 등 근거중심의 한의약 정책을 추진하는 한의약정책본부와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을 두고 있다.
그 가운데 한의약기술본부 한의신약팀은 고혈압, 고지혈증, 아토피 등 만성·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한의신약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 한의약소재은행이 있다. 한의약소재은행은 250여종의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천연물질 1320여종을 확보하고 있는데, 한약재 유래 천연물질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이와 함께 한약재 발효(생물 전환)를 통해 한약재의 활용성을 높인 한방바이오 소재 6000여종도 보유하고 있다. 한의약소재는 국내 기관, 연구소, 기업, 대학 등에 연구 및 제품개발 소재로 공급되어 한의약 산업 발전과 한의약 표준화에 기여하고 있다.
한의약소재은행의 천연물질은 한약재에 들어있는 여러 성분 중 유효성분을 밝히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한약재를 이용한 제품의 표준화를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 유효성분은 한약재의 품질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되는데, 규격 한약재는 유효성분이 일정 함량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기존 한약재 및 한약제제에 미생물 효소를 활용해(생물 전환) 만든 한방 바이오 소재는 한약제제, 한방화장품, 한방 식품 개발 등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한의약소재은행의 천연물질은 지난해 46개 기관에 240여 종이 분양되었고, 지금까지 1219종이 공급되었다. 발효(생물전환)물질은 지난해 LG화학 등 기업과 경북대학교 등 대학 연구기관에 600여종이 분양되는 등 한의약을 이용한 여러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한의약소재은행은 유상 분양과 무상 분양 형태로 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유상분양의 경우 일정금액의 실비를 받고 제공하며 무상분양은 향후 산업화에 대한 권리를 협의해 나누어 가지는 조건이다. 이와 함께 산업화를 위해 대량의 소재가 필요한 경우 공동연구 형태로 소재의 생산, 분석, 표준화 등을 지원한다. 분양은 한약진흥재단 홈페이지(www.nikom.or.kr)를 통해 분양신청서를 제출, 심의를 거쳐 진행한다.
한약진흥재단 한의약소재은행은 기술개발의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성균관대 의과대학,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한의약소재은행의 천연물질을 이용한 공동연구 결과, 감초의 주요성분인 리퀴리티게닌이 신경세포 사멸 억제에 관여하는 ‘RNF146 단백질’ 발현을 유도, 퇴행성 뇌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한약재 용담, 야명사, 석위 등을 발효(생물전환) 연구한 결과 항염증 효과가 증대되었으며, 이 내용을 한국응용생명화학회에 발표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연속 우수논문발표상을 받았다. 지난해는 ‘발효(생물전환) 오매 추출물이 혈관질환에 미치는 잠재적 혈관보호 효과’라는 연구로 한국응용생명화학회 우수논문상과 기술상을 받으며 응용생명화학 분야 기술 발전에 공헌했다.
한의약소재은행의 소재를 이용한 새로운 한약제제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백수오, 이엽우피소의 독성 시험을 통한 안전성 검증으로 대국민 불안감 해소에 기여한 한의신약팀은 지난해 11월 혈전 및 여성갱년기 완화에 효과가 있는 한약제제를 개발해 ㈜노브메타파마에 기술을 이전했다. 이는 2년 전 가짜 백수오 사건으로 한약재를 이용한 여성 갱년기 완화 제품이 국민의 신뢰를 잃은 적이 있기에 더 큰 의미로 다가온다. 신뢰를 되돌리기 위해 여성 갱년기 완화에 효과가 있는 새로운 소재를 찾아, 믿을 수 있는 효과를 입증한 것이다.
한약진흥재단 한의신약팀은 한의약소재은행 소재를 이용해 항암, 여성갱년기 완화, 과민성대장증후군,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 질환을 타깃으로 새로운 한약제제를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가시적인 성과들이 속속 나올 예정이다. 유수의 연구소, 기업, 대학과 공동 연구뿐만 아니라 홍콩 퓨라팜 제약과의 연구 등 해외로 발을 넓혀 나가고 있다.
다양한 질병과 싸우는 이들에게 우리 한의약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존 한약제제의 새로운 효능을 밝혀내고, 한약재의 조합을 통해 만성 질환을 치료할 혁신적인 한약제제를 개발하는 것. 한약진흥재단 한의신약팀은 한의 발전과 인류 건강을 위해 지혜를 모으고 있다.
///끝

///시작
///면 19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정신질환 관리, 대안은 커뮤니티케어에 있다
///부제 국민 안전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관리체계 정책토론회
///부제 지속적인 치료관리… 의료계와 지역사회 접점 필요
///본문 자살, 우울증, 중독 등 정신질환이 국가적 차원의 보편적 문제로 대두된 가운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커뮤니티케어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지난 10일 국회 의원회관 2세미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윤일규·정춘숙 의원 주최로 열린 ‘국민 안전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관리체계 정책토론회’에서 ‘정신질환을 위한 커뮤니티케어 강화 방안’으로 발제를 맡은 임준 서울시립대 교수는 “시설 중심이 아닌 지역 중심으로의 공급 체계에 대한 재편을 논의하지 않고서는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위기를 막아낼 수 없다”며 “현재 우리나라는 단 하나의 보건소에서 모든 기능을 수립하다보니 서비스가 양질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어 보건소는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컨트롤타워 역할, 규제 기능을 하는 식으로 분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커뮤니티케어 확립을 위한 향후 과제로 △퇴원 환자의 지역사회 단기 훈련형 거주 서비스 모델인 중간집(Half House) 시범사업 △공공후견인, 정차보조인 지원사업 퇴원연계계획 수립 △퇴원 후 사례 관리(중간집 이후 주거시설 연계, 복지서비스 연계) 등을 제시했다.
최준호 신경정신의학회 법제이사는 “환자가 퇴원하고 지역사회로 돌아가 적응하고 행복을 추구하도록 하는 게 정신질환 치료의 목표인데 현재는 환자가 오랫동안 병원에 있다 지역 사회에 가면 다시 돌아오는 ‘회전문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환자가 퇴원할 때는 단순히 증상이 없어졌다를 확인하는 정도가 아니라 자택으로 돌아가 행복을 추구할 정도의 능력이 발휘되는가 등을 살피는 게 진료의 기본 과정이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경덕 정신간호사회장은 “정신건강복지법에 의해 현재 시설은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재활 시설로 구분돼 있고 각 기관이 본연의 역할을 해야 하는데 현재는 재활시설이 부족하다보니 복지센터가 다 하고 있다”며 “복지센터는 전체 지역 주민 중 대상자를 발굴하고 적절히 치료받도록 연계하는 허브 역할을 하고, 재활 시설은 실제 치료 대상자가 중심이 되는 케어 센터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 회장은 “급성과 만성의 인력 기준이 현재는 같이 묶여 있는데 그에 따른 수가 차이도 있어야 한다”며 “특히 데이케어센터의 경우 재활치료에 대한 수가를 보전해 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홍정익 보건복지부 정신건강 정책과장은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20~30년 전부터 정신질환자들을 입원, 입소 등으로 사회에서 격리시키는 식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같이 살아가는 식으로 패러다임이 바뀐 지 오래”라며 “정신건강복지법 역시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인정하며 보호입원(가족) 중심에서 탈피,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는 식으로 개정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그러나 이 분들을 탈원화 하는 일에 지역사회가 준비돼 있지 않다면 실현하기 어렵다”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지역 사회에서 건강과 복지를 연결해 돌보는 체계를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병원과 지역 사회가 단절되지 않고 연계될 수 있는 지속적 치료방법에 대해 의료계와 지역 사회가 접점을 찾아나가는 시범사업을 개발하려 한다”며 “법이 바뀌고 시행된 지 1년이 안된 시점에서 단기간에 확충되진 않겠지만 체계를 점차 잡아가고 투자가 늘어난다면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

///시작
///면 19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65만명에게 본인부담상한액 초과 의료비 8000억원 ‘환급’
///부제 복지부·건보공단, 개인별 본부금상한액 확정 따라 14일부터 실시
///본문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7년도 건강보험료 정산이 완료돼 개인별 본인부담상한액이 확정됨에 따라 상한액 초과금액을 지난 14일부터 돌려준다고 밝혔다.
2017년도 의료비에 대해 본인부담상한제를 적용한 결과 총 69만5000명이 1조3433억원의 의료비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본인일부부담금이 2017년도 최고 본인부담상한액(514만원)을 초과한 19만9000명에 대해서는 건보공단에서 5264억원을 이미 지급했다. 또한 최근 개인별 본인부담상한액 확정으로 상한액 초과 본인일부부담금이 결정된 65만6000명에 대해서는 지난 14일부터 총 8169억원을 환급하고 있다.
2017년도 본인부담상한제 적용 대상자와 지급액은 2016년 대비 각각 8만명(13.1%), 1675억원(14.2%)이 증가했으며, 이는 난임시술 및 임신부 산전초음파 검사 보험 적용, 중증 치매 및 노인틀니 본인부담률 인하 등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2017년도 본인부담상한제 적용 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소득이 낮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많은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적용 대상자의 약 47%가 소득분위 하위 30% 이하에 해당했으며, 지급액은 소득분위 하위 10%가 전체 지급액의 17.9%를 차지해 다른 소득분위별 지급액 비율(8.4〜10%)보다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전체 대상자의 63%, 지급액의 약 7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따라 건보공단은 환급 대상자에게 지난 14일부터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 지급신청 안내문(신청서 포함)을 발송했다. 안내문을 받은 사람은 전화 및 팩스, 우편, 인터넷 등을 통해 본인명의의 계좌로 환급해 줄 것을 건보공단에 신청하면 된다(문의: 1577-1000, 건보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이와 관련 고형우 복지부 의료보장관리과장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에 따라 보험 급여 항목이 늘어나면서 본인부담상한제 환급금액도 △9902억원(‘15년) △1조1758억원(‘16년, 18.7%↑) △1조3433억원(‘17년, 14.2%↑) 등으로 나타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저소득층의 의료비 혜택이 증가했다”며 “더불어 올해 1월부터 소득하위 50% 이하 저소득층에 대해 본인부담상한액을 전년대비 약 27~35% 인하한 만큼 내년에는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이 대폭 경감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19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영천 한약 축제서 희귀한약재 만나세요
///부제 10월 7~9일 한의마을 준공행사도 진행
///본문 희귀 한약재의 본고장인 영천에서 제16회 한약축제가 오는 10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동안 동의참누리원 한의마을에서 개최된다.
첫날인 7일에는 한의마을 준공행사, 한약축제 개막행사 MBC 특집콘서트 녹화 등이 진행되며 8일과 9일에는 영천포도아가씨선발대회와 영천시민노래자랑이 각각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한약재 및 야생화 전시장과 한의마을 한방테마거리가 설치될 예정이며 영천 약초 및 한약상 거리와 영천우수한방제품 특판관을 통해 영천의 약초 산업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이밖에 한방족욕체험, 한방차카페, 약선요리, 뷰티체험 등 힐링체험관과 한방경연, 한방퀴즈, 한방타임세일, 인증샷대회 등 다양한 체험 활동도 마련돼 있다.
한편 축제가 열리는 영천은 국내 한약재 유통량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한약재 유통의 중심 지역으로, 한약축제는 2003년 처음 시작된 이후 매년 10월 영천시를 대표하는 축제로 자리매감해 왔다.
///끝

///시작
///면 22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실손보험으로 미용시술을?…“보험사기 의심 하세요”
///부제 금감원 ‘보험사기 피해예방 알쓸신잡’ 시리즈, 보험사기 사례 및 대응요령 안내
///본문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지난 9일 ‘보험사기 알쓸신잡’ 시리즈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휘말릴 수 있는 보험사기 사례 및 대응요령을 알기 쉽게 정리해 안내하는 한편 금융소비자정보포털인 ‘파인’에도 게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는 일상생활 속에서 병원 이용시 보험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한 것으로 우선 ‘불필요하게 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하거나, 보험금으로 무료시술을 받게 해주겠다는 제안은 일단 의심하세요’라고 안내하고 있다.
실제 내원한 환자에게 실손보험 가입 여부를 불필요하게 확인한 후 보험금으로 의료비용을 해결해 주겠다며 미용시술 등을 권유하고 환자는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이에 동조하지만, 미용시술은 실손보험 약관상 보장대상이 아니므로 허위확인서 등을 통해 보험금을 청구하게 돼 보험사기에 해당한다.
또한 일부 보험설계사들은 공짜로 입원·치료를 받게 해주겠다며 보험을 권유·체결하고, 결탁한 병원을 통해 보험금 편취를 조장하는 사례도 있다.
이와 관련 금감원은 “보험상품은 우연한 사고(질병, 상해 등)를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고의로 사고를 내거나 사고내용을 조작·확대해서 보험금을 청구하는 행위는 보험사기로 처벌받을 수 있다”며 “편의를 봐주겠다는 유혹에 넘어가 질병·상해의 내용을 조작·확대하는 행위에 가담하고 ‘이 정도는 괜찮겠지’라고 안일하게 생각하는 그 순간, 스스로를 보험사기자로 내몰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진료사실과 다른 진료확인서는 요구하지도, 받지도 마세요’라는 항목의 경우 일부 병원에서는 돈벌이 수단으로 환자들을 적극 유치하기 위해, 또 일부 환자들은 보험회사로부터 보험금을 많이 받기 위해 별다른 죄의식 없이 실제 진료사실과 다르게 작성된 입·퇴원 확인서, 진단서 등의 발급을 제안하거나 요구하고, 이를 근거로 보험금을 부당편취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금감원은 “입원기간을 늘리거나 통원을 입원으로 기재한 입·퇴원 확인서 등 사소한 점이라도 의료기록을 조작해 보험금을 수령하면 그 자체가 명백한 범죄행위”라며 “의료 관련 보험사기 특성상 의사·간호사 및 환자·보험설계사 등 다수의 공모가 수반되며, 문제병원은 계속해서 보험사기에 연루되는 만큼 당장은 넘어가더라도 언젠가는 적발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의심스러운 병원은 이용을 피하고, 수상한 점은 신고하세요’라는 항목에서는 일부 재무상태가 취약한 병원이나 사무장병원에서는 브로커 등을 통해 서류상으로만 입원하고 일명 ‘나이롱환자’를 모집해 허위 진료확인서를 발급해주고 수수료 명목으로 보험금을 분배하며, 병원은 허위 진료기록은 근거로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요양급여를 수령하는 형태다.
이러한 경우 문제병원은 수익 보전을 위한 과잉진료를 주로 하며, 보험사기 연루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환자는 정상적인 진료를 받더라도 추후 병원의 사기혐의로 덩달아 조사받는 불편을 겪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입원환자 대부분이 병실에 없거나 기록 관리 없이 외출이 자유로운 병원, 진료기록을 실손 보장항목으로 조작하는 병원, 수익 목적의 사무장병원으로 소문난 병원 등은 가능한 이용을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끝

///시작
///면 22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의료기기 거짓·과대광고 전년대비 80% 증가
///부제 식약처, 의료기기 거짓·과대광고 점검 결과 발표
///본문 의료기기로 오인할 수 있는 광고에 대한 주의가 각별히 요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올해 상반기 의료기기를 광고·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를 점검한 결과 거짓·과대광고가 지난해 상반기(1020건) 대비 크게 증가했으며 이중 의료기기로 오인할 수 있는 광고가 많았기 때문이다.
지난 16일 식약처에 따르면 의료기기를 광고·판매하는 홈쇼핑, 인터넷 쇼핑몰 등 온라인 사이트 6624곳을 점검해 의료기기 거짓·과대광고 1832건을 적발했다.
온라인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2월 사이버조사단을 발족시키면서 온라인 광고를 집중적으로 점검해 지난해 상반기보다 적발건수가 80%나 늘어난 것이다.
위반 유형별로 살펴보면 △공산품 등을 질병 예방·치료 효과 등을 표방하며 의료기기인 것처럼 광고(오인 광고) 1164건 △의료기기 효능·효과를 허가받은 내용과 다르게 거짓 또는 과대광고 575건 △심의 받은 내용과 다르게 광고 70건 등이다.
오인 광고의 대표적인 사례는 공산품인 팔찌를 판매하면서 ‘혈액 순환, 통증 완화, 면역력 강화’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 광고다.
의료기기 효능·효과를 거짓·과대광고한 사례로는 개인용저주파자극기에 대해 ‘비만해소, 피부미용에 효과’ 등 허가받지 않은 내용의 광고와 음경확대기(성기동맥혈류충전기)에 대해 ‘전립선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 등으로 과장 광고해 적발됐다.
비뇨기과의사회에서는 음경확대기의 경우 발기를 유발하는 제품으로 음경 확대 효과에 대해서는 확인된 바 없으며 장시간 사용시 피부 괴사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식약처는 소비자들이 의료기기 거짓·과대광고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상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하고 광고매체 광고 담당자, 의료기기업체 등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끝

///시작
///면 22
///세션 종합
///이름 이규철 기자
///제목 부산대학교 한의전, 양산시 원동면에서 하계 의료봉사
///본문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원장 권영규)과 부산대학교 한방병원(병원장 신병철)은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양산시 원동문화체육센터에서 원동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계 의료봉사활동을 펼쳤다.
이번 의료봉사활동에는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소속 의료진과 한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로 구성된 ‘동제의료봉사단’ 등 총 53명이 참여했으며 한방내과, 침구의학과, 재활의학과 등 7개 진료과목을 실시하고 3일 동안 507명의 지역민들에게 무료 한의진료를 제공했다.
박재화 원동면장은 의료봉사활동 현장을 찾아 “매년 지역주민을 위해 휴일도 없이 무료로 진료해 주는 동제의료봉사단에게 지역주민을 대표해 감사드린다”며 “진료에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적극 지원하겠다”고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끝

///시작
///면 23
///세션 종합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대한한의학회 한의약 경제성평가 및 비교효과연구학회
///부제 한의약 경제성 평가로 임상진료지침 등재 근거 마련
///부제 해외 유수 경제성평가학회와 워킹그룹 설립… 한의약 존재 타당성 확보
///본문 한의 의료보장성 강화 연구와 비용 효과분석 등으로 한의약의 경제성을 평가하는 ‘한의약 경제성평가 및 비교효과 연구학회’가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015년 12월 총 52명이 모여 설립한 이 학회는 신의료기술의 건강보험 급여 여부와, 기존 치료 행위들의 국가 권고 임상진료지침의 등재 여부 등을 판정하는 데 근거가 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보험을 통해 우수 한의 기술들이 임상현장에 쓰이도록 하기 위해서다.
한의원이나 병원에서 개발한 신의료기술이나 신약 허가 등을 받기 위해서는 식약처의 품목허가를 위한 효능 및 효과 평가 연구 결과가 필요하다. 이렇게 품목허가를 얻은 의약품이나 치료기술 등이 경제성평가 연구 결과를 추가로 확보하게 되면, 이를 근거로 침술·보험한약제제처럼 건강보험의 급여 항목이 여기에 포함된다.
학회는 설립 이후 한의 경제성평가 연구회를 설립하고 한의 경제성평가 연구를 수행해 왔다. 경제성평가연구회는 한의 임상기술의 보험 등재를 위해 꾸려진 전문가 네트워크다. 한의 경제성평가 연구는 한의 경제성평가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방법론 세미나를 개최하고, 우수한 한의약 임상기술의 경제성평가 연구를 학계와 공동으로 진행해 왔다. 지난 2015년 7~8월에 총 3회에 걸쳐 관련 세미나가 진행됐다.
회장은 김남권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맡고 있으며 강형원 원광대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이준혁 한국한의학연구원 팀장이 각각 부회장과 기획이사를 맡고 있다. 학회는 현재 대한한의학회 예비 회원학회로 등록돼 있다.
학회는 현재 국가 시범사업 연구와 한의임상진료지침개발연구를 시행 중이다. 김남권 회장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의·한의 협진 모니터링센터’의 연구 주관 책임을 맡고 있으며 현재 약 50개 병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의·한 협진 시범사업’의 임상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 ‘의약품 경제성 평가 및 성과 연구 국제학회(ISPOR)’에서 보완대체의학 분야 워킹그룹을 설립해 학회와의 연계 방안을 모색 중이기도 하다. 학회 회원들이 지난해 ISPOR의 아시안 챕터에서 5개국 연구자를 초빙, 보완대체의학 분야의 경제성평가와 비교효과연구에 대한 각국 현황을 발표하는 워킹그룹 세션을 최초로 개최해 주목을 받았다.
학회는 이 같은 국내외 네트워크와 연구 활동을 통해 한의약 분야의 비교효과와 경제성평가 연구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시범사업에 학회의 연구 모형이 적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학회는 적극적인 연구 지원 뿐만 아니라 학회의 연구자 네트워크와 노하우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해외 연구진과 지속적인 교류로 설립한 ISPOR 산하의 보완대체의학 분야 워킹그룹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김남권 회장은 “우리 학회는 한의약 분야의 유일한 임상연구 모형 개발과 분석 방법론을 연구하는 학회로서 국내·외 여러 기관 소속의 임상연구, 통계분석, 경제성평가 등의 연구 방법론 전문가들 뿐만 아니라 한의원 및 한방병원 등에 근무하는 임상의들이 학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며 “또한 임상연구의 경험이 없는 일반인들이나 일선 의료인들이 본인의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서 시행하는 치료행위에 대한 임상 데이터를 사용해 본인의 치료기술에 대한 비교효과와 경제성 등을 입증하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연구 지원체계를 구축해 제공하고 있다. 보건의료 체계에서 한의약 존재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한의약의 과학화와 세계화에 참여할 수 있는 한의사 및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끝

///시작
///면 24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개인별 장내미생물 조사로 맞춤형 한약 처방 가능성 열어
///부제 한약의 난소화성 물질이 장내 유익균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로 작용
///부제 한약진흥재단, 한약 섭취에 따른 장내미생물 분포 변화와 영향 연구 추진
///본문 같은 한약 처방이라도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체질에 따른 장내미생물과 한약의 상관관계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세계적으로 뜨거운 관심을 받아 주목된다.
한약진흥재단 한의신약팀은 경북대학교 신재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장의 건강을 위해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곽향정기산을 섭취한 후 장내미생물의 변화양상’에 대한 연구결과를 지난 6월 27일에서 29일까지 여수에서 열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와 지난 7월 1일에서 4일까지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ASM 2018에서 구두 및 포스터로 발표했다.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곽향정기산을 섭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장내미생물의 다양성이 증가했으며 대변의 양상도 좋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장에 존재하는 브리보텔라균과 박테리오데스균의 함량이 50% 미만인 사람들은 곽향정기산을 섭취한 후 오히려 심한 설사를 일으키고 장내미생물의 균형도 파괴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나타나지 않지만 가끔 특정 개인에게서만 나타나는 부작용 또는 같은 처방이라도 치료 결과가 좋은 사람들이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있는 현상을 이러한 체질과 장내미생물 그리고 한약의 상관관계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환자에게 한약을 처방하기 전에 장내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함으로써 특정 한약재와의 궁합을 미리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한약의 가능성이 열린 것으로 기대했다.
소재현 한의신약 팀장은 “최근 한약의 난소화성 물질이 인간의 장을 튼튼하게 해주는 장내 유익한 미생물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로 작용한다는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응세 한약진흥재단 원장은 “한국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프리바이오틱스 제품을 복용해왔는데, 그것이 바로 한약”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한의 환자들의 케이스를 면밀히 분석해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약진흥재단은 공동연구팀을 구성해 한약섭취에 따른 장내미생물 분포의 변화와 이에 따른 영향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인간은 자신의 세포 수보다 1~10배 많은 미생물과 공생하면서 살아가고 있는데 최근 장에 존재하는 장내미생물이 잘 못 되면 비만이나 염증성장질환, 과민성대장염, 알레르기, 관절염, 당뇨병이나 심지어 우울증까지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끝

///시작
///면 24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문케어 강행시 집단행동”… 의협, 정부에 최후 통첩
///부제 ‘제2기 의료개혁쟁취투쟁위원회 조직화 선언
///부제 최대집 회장 “대화 해결 불가능할 땐 대정부 투쟁
///본문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오는 9월 말까지 문재인케어 정책 변경을 위한 회의개최를 정부 등에 요구하며 강력 대응을 예고했다. 이를 위해 의협은 ‘제2기 의료개혁쟁취투쟁위원회(제2기 의쟁투)’ 설립을 공식화기로 했다.
최대집 의협 회장(사진)은 1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문재인케어 특별기자회견을 개최하고 “문재인케어의 정책 전환을 오늘 이 자리에서 국회 · 정부 · 청와대에 공식 요청하는 동시에 제2기 의쟁투 조직화를 선언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급진적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더 큰 부작용이 발생하기 전에 국민을 위해 지금 정책 변경을 해야 한다”면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진정성을 갖고 대화에 임하겠지만, 대화에 의한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는 대정부 투쟁으로 나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 근거로 “매년 3.2% 이내의 건보료 인상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오는 2019년 건보료를 3.49% 인상했다”면서 “또 건보료 부과체계 개편을 서두르면서 74만명의 국민들에게 급진적으로 과도한 건보료를 부과했다”고 제시했다.
이어 “이는 이미 급진적 보장성 강화 정책이 국민들에게 건보재정 부담을 지우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필수의료에 해당하는 비급여를 점진적, 단계적으로 급여화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3600개의 비급여를 100개 내외로 줄이고 30조의 재정 부담을 2조원 가량으로 낮춰야 한다”면서 “또 양적 보장성 강화를 목표로 한다면 건강보험 급여 항목의 현행 본인 부담률을 20%, 10% 등으로 인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건보재정 투입의 단계적 확대 계획안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국민적 합의에 기초한 단계적 건보료 인상을 위해 3개년 내지 5개년 계획이 발표돼야 한다”고도 밝혔다.
이와 함께 최 회장은 보건의료제도 개혁과 건강보험제도 개혁을 위해 범국민적 연대기구도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시민사회진영에서 사회적 연대 · 협력 운동을 제안해 온다면 그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한 것이다.
최 회장은 마지막으로 “정부는 당장 지금의 잘못된 건보 급여기준을 바꾸는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둬야 할 것”이라며 “제2기 의쟁투가 중심이 된 의료계의 집단행동 여부는 국회 · 정부 · 청와대의 정책 변경에 달렸다”며 집단행동 강행을 암시했다.
///끝

///시작
///면 24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대만 위생복리부 일행, ‘중의약육성법’ 제정 연구 위해 한약진흥재단 방문
///본문 대만 위생복리부 진빙기 과장(중의약사) 등 공무원 일행 5명이 지난 13일 한약진흥재단을 방문해 연구실 등을 살펴봤다.
대만 중의약 육성법 제정 및 원내조제 중약 관리시스템 연구를 위해 한국 한의약 관련 연구기관 현황 조사를 위해서다.
///끝

///시작
///면 26
///세션 종합
///이름 하재규 기자
///제목 인구절벽과 지방소멸은 더 이상 미래 문제가 아니다
///부제 전국 시군구 228개 중 89개 ‘소멸위험’, 저출산 고령화 탓
///부제 고용정보원 보고, 철원·부산중구·경주·김천 등 소멸위험지역
///본문 대한민국 비수도권의 모든 ‘도’지역은 인구 소멸위험지수가 1.0 미만인 ‘소멸주의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이상호 연구위원이 지난 13일 발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 지역은 2013년 75개(32.9%)에서 2018년 89개(39%)로 늘어났다.
비수도권의 모든 ‘도’ 지역이 인구 소멸주의단계에 진입한 것은 물론 비수도권 ‘광역시’ 중에서도 부산(0.76)과 대구(0.87) 역시 ‘소멸주의단계’에 진입했다.
이 가운데 전남의 소멸위험지수는 0.47로 전국 최저 수준이고, 세종시의 소멸위험지수는 1.59로 전국에서 가장 소멸위험이 낮게 나타났다. 기존 시군구 소멸위험지역 89개 외에 강원도 철원군(0.48),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시(0.494), 김천시(0.496) 등이 새롭게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했다.
경남 사천시(0.507), 전북 완주군(0.509)도 올해 내에 소멸위험지수가 0.5미만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광역시 단위에서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곳은 부산 영도구(0.427)와 동구(0.450)를 비롯 경북도청 소재지인 안동시(0.445)도 포함됐다.
이는 지방소멸의 문제가 더 이상 농어촌 낙후지역만이 아니라, 지방 대도시권역 및 공공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거점지역까지 실질적인 위험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읍면동 기준 소멸위험지역은 1503개로 43.4%를 차지했는데, 이는 2013년 7월 기준 1229개 35.3%였던 것과 비교할 때, 274개(7.9%p)가 증가한 것이다.
읍면동 수준의 소멸위험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남 81.1%, 경북 76.8%, 전북 75.9%, 충남 70.2% 등의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난 5년간(2013~2017) 소멸위험지역(읍면동)에서 타지역으로 유출된 인구는 367만6044명이었고, 타지역으로부터 소멸위험지역으로 유입된 인구는 341만3622명으로 전체적으로는 26만2422명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특히 20대의 경우 일자리, 대학 진학, 결혼·출산·양육 등의 이유 때문에 수도권으로의 유출이 37.4%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고용위기지역에 포함돼 심각하게 인력이 유출된 곳은 전남 목포, 영암과 경남 거제시, 울산 동구 등이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저출산·고령화에 기인한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 한국사회는 이미 교육, 고용, 부동산, 지방재정,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경제적 위험들이 현실화되고 있다”면서 “인구의 정체·쇠퇴 국면에서 비수도권 지역은 수도권(광역대도시)으로의 인구유출로 인해 인구감소의 충격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또 “인구절벽과 지방소멸의 연쇄효과는 지역단위를 세분화(시도→시군구→ 읍면동)할수록 그 심각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면서 “최근의 소멸위험지역은 도청 소재지, 산업도시, 광역대도시로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기존의 농어촌 지역은 귀농 등에 의한 중고령층 인구 유입에도 불구하고 청년인구 유출로 불균형 상태이며, 조선업, 자동차 등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지역의 산업기반을 붕괴시키면서 지방의 인구유출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특히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청년인구의 유출을 억제하고 지역의 내생적 성장을 위한 밑거름이 되기 위해서는 물리적 인프라(하드웨어) 중심의 혁신뿐만 아니라 교육, 교통, 주거, 문화 등과 관련된 생활양식(소프트웨어)의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끝

///시작
///면 28
///세션 기고
///이름 김남일 교수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제목 論으로 풀어보는 한국 한의학 (142)
///부제 許道의 醫女養成論 “세계의학사에 유례가 없는 제도를 만들어내다”
///본문 조선 초기 의료제도에 있어서 획기적 변화를 추동해낸 두 개의 제도를 꼽는다면 醫書習讀官制度와 醫女制度를 들 수 있을 것이다. 醫書習讀官制度는 士族 출신으로 젊고 총명한 관리를 뽑아 醫書를 習讀케 한 제도이다. 世宗 때부터 三醫司 등에서 醫學提調, 儒醫敎授官 등을 두어 의서를 습독시켰으며, 世祖 2년(1456년)에 처음으로 習讀廳에 醫書習讀官을 두었다. 典醫監에서 습독의 성적을 평가하여 성적이 우수한 자는 삼의사에 채용하고 더욱 탁월한 자는 顯官을 제수하고 성적이 불량한 자는 그만두게 하였다. 이 제도는 뛰어난 인재들이 의학에 입문하여 교육시켜 더 높은 수준으로 올려주는 역할을 해주어 의학 발전을 추동시켰다.
조선 초기 醫女制度도 의학의 발전에 긍정적 역할을 하였다. 1406년 태조 6년 3월16일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나온다.
“그윽이 생각건대, 부인이 병이 있는데 남자 의원으로 하여금 診脈하여 치료하게 하면, 혹 부끄러움을 머금고 나와서 그 병을 보이기를 즐겨하지 아니하여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원하건대, 倉庫나 宮司의 童女 수 10명을 골라서, 脈經과 針灸의 法을 가르쳐서, 이들로 하여금 치료하게 하면, 거의 전하의 살리기를 좋아하는 덕에 보탬이 될 것입니다.”
이와 같은 건의를 하고 있는 인물은 허도(許道, 생몰년대 미상)이다. 許道는 檢校漢城尹·知濟生院事을 역임한 조선 초기의 관리이다. 그가 위와 같은 건의를 태조에게 하여 의녀제도가 창설되게 된 것이다. 의녀제도는 유교적 통치원리가 국가의 교시가 된 조선 초기에 남녀유별의 원칙으로 남자 의사를 꺼리는 여성 환자들의 질병 치료를 위해 배려하고자 설립된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제도이다. 지방에서도 의녀가 선발되어 중앙의 제생원에 보내어져 교육 이수 후 복귀하여 근무하게 되었다. 의녀에 선발된 자들에게는 婦人科, 脈法 등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교육되었으며, 총명하여 선발된 자들을 먼저 四書 등을 교육한 후에 제생원에 맡겨져 의학을 교육시키도록 체계적인 교육과정도 마련되었다.
1422년(세종 4) 11월에 禮曹와 承政院으로 하여금 濟生院에서 행해지는 의녀 교육을 감독하도록 하였고, 세종 5년 3월에는 醫女 가운데 나이 어리고 총명한 자 3·4명을 골라 특별교육을 시키게 하였다. 醫女의 교육은 濟生院이 세종 6년(1424년)에 惠民局과 합병되면서 다시 혜민국에서 棄兒, 孤兒의 護養과 함께 醫女의 교육의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가 바뀌기도 하였다.
이들에 대한 교육 내용은 주로 鍼灸나 調劑法 등과 같이 임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분야와 産婦人科에 관한 것이었다. 이들에게는 처음에 『脈經』과 鍼灸法을 가르쳤고, 뒤에 調劑法이 추가되었으며, 1430년(세종 12) 12월부터는 매월 『産書』를 考講하게 하는 등 교수 과목이 점차 추가되었다. 醫女는 모든 산부인과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진료시의 편의를 도모하려는 목적이 강하였으므로 깊이 있는 産婦人科의 지식이 필요하지는 않았고, 실제로 부인들이 重한 병을 앓는 경우 더 의학수준이 높은 일반의원들이 치료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교육내용도 실용적이고 간편하여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는 임상지식들이 많았다. 또한 이들은 官妓 출신으로서 학문적 바탕이 빈약하였기 때문에 “先讀書識字, 後習讀醫方”의 방침이 생겨나게 되었다. 濟生院의 醫女는 반드시 먼저 독서를 하여 문자를 익힌 다음 醫書를 배우게 하고, 또한 지방에서 올라온 醫女도 해당 관아에서 먼저 『千字文』 , 『孝經』 , 『正俗篇』 등을 가르쳐서 글을 조금 익힌 뒤에 보내도록 요청하였다. 그리고 다른 의원들과 마찬가지로 勸懲法을 마련하였는데, 1463년(세조 9) 5월에 학업성적에 따라 월급을 차등 지급하였고, 1478년(성종 9)에는 의녀가 읽을 책을 『直指脈』, 『銅人經』, 『加減十三方』, 『産書』 등으로 다시 정하였고, 醫女 교육을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함으로써 더욱 철저를 기하고 무능한 자는 탈락시켰다. 産科專門書인 『産書』 나 『胎産要錄』 에 諺解가 붙어 있는 것도 醫女나 産婆들에게 알기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이상, 『韓醫學通史』, 대성의학사, 2006 참조함).
///끝

///시작
///면 30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작약’, 북에서는 ‘함박꽃’… 식물명 절반이 남한과 다르다
///부제 북한지역서만 자라는 고유종 장군풀 등 58종
///부제 남한 문헌에 기록돼 있지 않는 식물 총 314종
///부제 남북 차이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 발간
///본문 ‘작약’이 북한에서는 ‘함박꽃’으로 불리는 등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 이름의 절반이 남한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1월부터 최근까지 북한 지역 식물 3523종이 담긴 ‘조선식물지’를 ‘국가생물종목록’과 비교했다.
그 결과 약 50%인 1773종의 식물명이 남한과 달랐다.
식물명이 다른 경우를 유형별로 분류해 보면 외래어 순화, 비속어 배척 등 남북한의 정책적인 원인에 의한 차이가 18% 정도였고 합성명사(-나무, -풀 등)의 유무와 같은 단순한 차이가 약 10%, 두음법칙의 미사용 등의 표준어 표기법 차이가 약 7%였다.
이외에 기준명(속명)의 차이나 문화의 차이에 따라 다른 것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미나리아재비목에 속한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은 북한에서 함박꽃으로 불렸는데 이 식물은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에 분포한다.
장미목에 속한 자도나무(Prunus salicina Lindl.)는 중국에 분포하며 한반도의 중부지방 이북에서 서식하는데 북한에서는 추리나무로 불린다.
마디풀목에 속한 소리쟁이(Rumex crispus L.)는 북한에서 송구지로 부르며 나물로 식용한다. 이 식물은 한반도를 비롯해 북반구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연구진은 남한의 경우 국명을 최초 부여한 문헌의 선취권을 인정해 국명이 정해지는 반면 북한의 경우 국가 또는 일부 학자에 의해 제시된 통일된 정책적 기준으로 식물명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또 한자어, 외래어, 비속어 등을 식물명에서 배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식물명에 지역 명칭 사용도 피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북한 식물학자(임록재 박사 등 18명)에 의해 북한 지역의 식물학적 연구를 총합적으로 정리, 2000년에 발간된 ‘조선식물지’에는 식물 총 200과 996속 3523종이 수록돼 있으며 이중 전 세계에서 북한지역에서만 자라는 고유종이 장군풀, 쌍실버들 등 58종으로 조사됐으며 남한 문헌에 기록돼 있지 않는 식물도 총 314종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재배하는 종과 분류학적으로 재검토가 필요한 139종을 제외한 175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할 예정이다.
또한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를 토대로 ‘국가생물종목록’과 북한의 ‘조선식물지’의 차이점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을 지난 15일 발간했다.
이 책은 남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의 차이점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나란히 기록했으며 북한 지역에서만 분포하는 식물과 남한 문헌에 기록된 적이 없는 한반도 자생 식물은 따로 표시했다.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은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http://www.nibr.go.kr) 생물다양성 이북(E-book)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끝

///시작
///면 30
///세션 종합
///이름 김대영 기자
///제목 한약재 백출… 항염증 및 면역세포 기능 조절 효과 생체실험으로 규명
///부제 연구결과, 국제학술지 e-CAM 게재
///본문 한의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약재 백출이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세포 기능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규명돼 주목된다.
장형석한의원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한 실험에서 염증을 유발시킨 생쥐에 백출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후 혈액과 세포에서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를 관찰했다.
그 결과 염증이 생길 때 증가하는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혈청농도가 백출을 처리한 그룹이 처리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각각 20%와 4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백출의 전신성 염증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또한 백출은 CD4 T 세포의 수와 MHC 클래스 II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Th1 반응보다 Th2 반응을 촉진시킴으로써 면역계에 영향을 줬다.
면역계의 중요 세포인 CD4 T 세포의 발현을 향상시키고 Th1 세포와 길항작용을 하는 Th2 세포의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의 조절에 있어서도 백출을 응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동안 백출에 대한 연구는 세포 내 실험이 대부분이었고 생체 실험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부족했으나 이번 연구는 생체 실험을 통해 백출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이번 연구논문(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Water Extract on Macrophage and T Cell Inflammatory Response in Mice)은 국제학술지 E-CAM 8월 최신호에 게재됐다.
논문의 제1저자인 곽태경 박사(사진·장형석한의원)는 “백출은 한의학에서 주로 소화기 계통의 치료와 체력을 보강하는 보약의 구성 약물로 사용돼 왔다”며 “이번에 밝혀진 백출의 항염증 효능과 면역조절 작용을 감안하면 보다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저자인 장형석 박사(장형석한의원)는 “그동안 척추관절 질환의 치료에도 백출을 응용해 왔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백출을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끝

///시작
///면 30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건보공단, 최하위 등급 장기요양기관 수시평가 실시
///부제 10월부터 12월까지…‘17년도 정기평가결과 최하위 등급 476개 기관 대상
///부제 수시평가 실시 전 사전 컨설팅 실시 등 다양한 서비스 질 강화
///본문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은 지난 16일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2017년도 재가급여 평가’ 결과 최하위(E) 등급을 받은 476개 기관 등에 수시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수시평가는 전년도 재가급여 장기요양기관 평가결과 최하위(E) 등급을 받은 476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 그동안의 개선사항 등을 평가하게 되며, 이외에도 절대평가 기준의 일부 대분류 영역 점수를 충족하지 못해 등급이 낮아진 B∼D등급 133개 기관 중 신청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한편 2017년도 재가급여 수시평가 결과 수시평가를 받은 482개 기관의 평균점수는 68.3점으로 2016년도 평균점수인 58.5점과 비교해 9.8점이 상승했으며, 그 가운데 등급이 상향된 기관은 296개소로, 61% 이상이 등급이 상향돼 수시평가가 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보공단에서는 수시평가를 받는 기관의 평가 부담을 줄이고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수시평가를 실시하기 전 최하위(E) 등급 기관에 대해 특성을 고려한 맞춤식 상담 등 컨설팅을 실시하고, 그 밖에 하위(B~D) 등급 기관에 대해서도 사후관리, 멘토링 제도 운영 등 서비스 질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건보공단은 2018년도 수시평가 대상기관, 평가방법 등을 포함한 계획을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에 공고하고, 수시평가 결과 또한 공개해 국민이 기관을 선택하는데 용이하게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끝

///시작
///면 31
///세션 기고
///이름 김지혜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침구과 교수
///제목 ♦KMCRIC와 함께 임상논문 쉽게 읽기
///부제 뜸·양약 병행 치료, 무릎 통증 완화에 효과
///본문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KMCRIC 제목
무릎 통증에 대한 뜸 치료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서지사항
Kim SH, Lee KJ, Choi YM, Kim JY, Yook TH, Lee SL, Kim JU. Moxibustion Treatment for Knee Pain: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15:32(3)135-46. doi: 10.13045/acupunct.2015046.

연구설계
슬통에 뜸 치료를 시행한 임상연구 및 SR을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목적
슬통에 대한 뜸 치료 임상 논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기존의 임상 근거들을 평가하고자 함.

질환 및 연구대상
2015년 5월 27일 이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존 임상연구 중 슬통 환자에 대한 뜸 중재 임상연구

시험군중재
1. 뜸의 종류: 직접구/ 간접구/ 수지뜸
2. 사용된 혈위: 독비 (ST36) 6편, 내·외슬안 5편, 아시혈 4편, 그 외 혈해 (SP10), 복토 (ST32), 곡천 (LR8), 족삼리 (ST36), 양릉천 (GB34), 음릉천 (SP9), 양구 (ST34) 등
3. 치료 기간: 10일~6주, 하루 1~3회, 주당 3~7회
4. 치료 횟수: 10~18회, 평균 14회

대조군중재
1. 샴뜸 (2편)
2. 일상생활 치료군 (2편)
3. 서암봉 치료 (1편)
4. 온습포 (1편)

평가지표
VAS, WOMAC, SF-36, NRS, ROM, BDI 등

주요결과
1. 총 5편의 RCT에서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효과적인 호전 반응이 있었음.
2. 한 편의 RCT에서 BDI를 제외한 이외 평가 척도에서 시험군의 결과가 효과적이었음.
3. 두 편의 SR에서 뜸 치료와 양약 치료를 병행한 치료가 양약 치료만 시행했을 때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뜸 치료가 양약 치료보다 슬통에 효과적인 결과가 있었다고 기술됨.
4. ROB 평가상 총 6편의 RCT 중 3편만이 무작위배정 위험이 낮았으며, 할당은닉에 대해서는 1편의 논문만 낮은 위험도였음. 4편의 논문이 맹검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저자결론
슬통에 대한 뜸 치료 연구의 양적 부족과 낮은 질로 인하여 충분한 근거를 제시할 수 없었던 바, 향후 잘 설계된 임상연구를 통해 높은 근거 수준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KMCRIC 비평
본 논문은 슬통에 대한 뜸 치료의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치료 근거를 알아보기 위해 쓰여진 논문입니다. 논문의 수가 적은 점, 비뚤림 위험 평가상 높은 위험도를 준 항목이 많아 연구의 질을 낮게 본 점 등을 종합하여 뜸 치료의 근거가 낮으며 향후 질 높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분석에 포함된 임상연구의 시험대상자 수나 전후 평가 항목의 수치 등이 논문에 기술되지 않아, 독자들의 판단을 돕기 위한 추가적인 정보가 아쉽습니다.
예를 들어 Zhao 등 [1]의 참고논문의 경우, 본 논문의 저자는 할당은닉에 대한 비뚤림 위험을 높다고 평가하여 질이 낮은 연구라고 하였으나, 본문을 확인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할당은닉이 잘 수행되어 비뚤림 위험이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각 군당 55명의 참가자를 확보하고, 6주간의 치료, 총 24주간의 평가를 하여 비교적 잘 구성된 연구로 보이며, 두 군 간의 통증 수치 차이 또한 뚜렷합니다 (p<0.001).
본 논문의 분석에 포함된 연구들은 슬통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질환군이 퇴행성 슬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이라는 매우 다른 질환에 대한 연구가 함께 분석되는 등 이질성이 높아 각 연구에 대한 상세한 기술이 아쉽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전후의 효과 크기 분석 등이 언급되지 않아 논문의 기술만으로는 뜸 치료의 효과에 대한 추정이 어려우나, 분석한 RCT, CT에 관한 표를 참고하면, 임상연구에서 슬통에 자주 쓰이는 상용혈에 대한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는 점은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6개의 논문 중 4개의 논문에서 중재에 대한 맹검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듯이, 뜸 치료의 특성을 고려할 때 가짜 뜸을 설정하는 것은 향후에도 뜸 연구에 대한 큰 과제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는 환자가 직접적인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중재에서 항상 화두가 되는 것으로 여러 방향의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효과적인 가짜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되고 있지만 [2],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중재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 결과 분석 방법이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는 연구 결과를 접하는 독자들에게도 중요한 지점으로서, 맹검 여부로 연구의 질을 단정하여 결과를 배제하기보다는 중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판적인 수용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참고문헌
[1] Zhao L, Cheng K, Wang L, Wu F, Deng H, Tan M, Lao L, Shen X. Effectiveness of moxibustion treatment as adjunctive therapy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Arthritis Res Ther. 2014 Jun 24;16(3):R133. doi: 10.1186/ar4590.
https://www.ncbi.nlm.nih.gov/pubmed/24962039

[2] Zhao B, Wang X, Lin Z, Liu R, Lao L. A novel sham moxibustion devic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Complement Ther Med. 2006 Mar;14(1):53-60; discussion 61.
https://www.ncbi.nlm.nih.gov/pubmed/16473754

KMCRIC 링크
http://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SR&access=S201509999
///끝


///시작
///면 32
///세션 종합
///이름 최성훈 기자
///제목 美 정골의학 현장을 가다③
///부제 지금 DO대학 학생들은 ‘로봇 마네킹’으로 실습한다
///부제 MSU LAC, 로봇으로 혈액 투석 · 분만 등 가르쳐
///부제 이론보다 실습 위주 교육으로 임상역량 강화에 집중
///부제 커닝햄 학장보 “수기치료 고집 아닌 실사구시 통해 이뤄낸 결과”
///본문 “뛰어난 의료 전문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제 상황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렇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학습은 임상 스킬을 획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미시간주립대(MSU) 임상진단평가실습교육센터(Learning and Assessment Center, LAC)에서 운영 담당자로 근무 중인 킴 패더른 간호사는 LAC의 목적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다.
MSU LAC는 미래의 MD와 DO, 수의사, 간호사를 길러내기 위한 학습 및 평가 센터다. 여기서 학부생들은 임상 현장에서 필요한 실습 교육을 받는다.

MSU LAC, 우수한 시설 구비로 ‘정평’
MSU LAC는 14개의 모형 진료실과 4개의 모의 입원실, 그리고 SIM이라는 이름의 로봇 마네킹이 설치된 모의 치료실 3개로 구성돼 있으며, 지난 2005년 설립됐다.
4개 단과대학이 모두 모여 있는 대학은 MSU가 유일하기 때문에 MSU LAC는 미국 내 어떤 대학보다 시설이 우수한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기자가 만난 MSU LAC 관계자들도 이러한 실습 인프라에 대해 자부심이 넘쳤다.
먼저 MSU LAC는 약 300여평 남짓한 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전체적인 실습 시스템은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술기실습실을 방불케 했다. 학생들이 국가시험을 보고 면허를 취득하기 전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할 기회와 경험을 충분히 줄 수 있는 실습 기자재들로 즐비했다.
하지만 분명한 차이점도 있었다. 입구를 쭉 따라가자마자 나오는 비디오센터는 21개 모의 실습실 모든 곳을 실시간 녹화·중계한다.
여기서 교수들은 학생들이 진단·치료하는 모습을 지켜볼 수 있어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이 비디오센터에서는 SIM도 실시간 조종이 가능해 학생들에게 예기치 못한 돌발 상황을 과제로 줄 수도 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이 비디오센터는 외부 서버와도 연결돼 있어 평가자의 집에서도 학생들의 임상실습을 지켜볼 수 있고, SIM을 원격으로 조종할 수도 있다.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 초점
비디오센터 다음 방에 위치한 모의 처치실에는 베드에 링거를 꽂은 채 누워있는 SIM이 놓여있었다. SIM은 호흡, 맥박 뿐만 아니라 땀이나 눈물과 같은 배설물도 배출이 가능하다.
실습생들은 처치실 상단에 놓인 액정 화면을 통해 과제를 확인하면 SIM에게 주사제 투여, 혈액 투석, 분만, AED 처치를 할 수 있다.
평가자는 그 처치 과정을 건너편에 있는 불투명 유리창을 통해 지켜볼 수 있게 돼 있다. SIM의 가격은 기종에 따라 최소 2만 달러에서 최대 5만 달러까지 달한다.
모의 처치실을 나오면 14개의 모형 진료실이 늘어서 있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문 앞에 걸린 환자 증상을 확인한 뒤 진찰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완성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환자 역할에는 전문 배우들을 고용한다. 진료실에 들어가기 전 이들에게 사전 고지와 출혈이나 외상 등 분장도 실시한다.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설정을 하지만 가장 철저하게 지키는 원칙은 따로 있다. 바로 환자들에게 ‘묻는 질문에만 대답하라’고 지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킴 패더른은 “배우들은 무조건 묻는 질문에만 대답하라고 철저히 교육시킨다. 그래야지만 학생들이 환자에게 구체적인 질문을 많이 던지게 된다”면서 “질문을 통해 학생들은 환자를 정확히 진단하고 처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무 중심 교육이 MSU 정골의대
최상위권 유지하는 밑거름
이어 그는 “학생들이 면허 시험을 보기 전까지 최대한 많은 수의 환자를 보게 하는 게 우리 센터가 지향하는 목표점”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진료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을 최우선으로 두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실무 중심 교육은 MSU 정골의대(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COM)의 자부심이기도 하다. 이를 토대로 MSU COM이 미 전역 36곳 정골의대 중 최상위권을 유지하게 해준 밑거름이 된 것.
하지만 DO들이 오스티오패시에만 머무른 채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산과학 등 현대화 된 의학을 배우려 하지 않았다면 이런 기회조차 없을 거라고 이들은 말한다.
MSU COM 빌 커닝햄(Bill Cunningh
am) 학장보는 “DO들이 오스티오패시에 머무르지 않고 수술, 화학 및 생물요법 등을 교과과정에 적극 반영하기 시작한 결과”라며 “그 결과 수기치료 외에도 수술치료, 약물처방 등 MD와 마찬가지로 제한 없는 모든 영역의 진료가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끝

///시작
///면 33
///세션 세무칼럼
///이름 조인정 세무사연세교토 세무회계 대표
///제목 한의원 세무 칼럼 135
///부제 내년부터 달라지는 세법은?
///본문 이번호에서는 내년부터 달라지는 세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1. 주요 개정안
항목
현행
개정안
 근로장려금 확대
 단독 85만원, 맞벌이 250만원
 단독 150만원, 맞벌이 300만원
 자녀 장려금 확대
 자녀 1인당30~50만원
 50~70만원
 일용근로자 공제 확대
 1일 10만원
 15만원
 국외전출세 강화
 적용세율 20%
 과세표준 3억원 이하 20%, 3억원 초과 25%
 모바일 상품권 인지세 과세
 신설
 5만원 이하 200원, 10만원 이하 400원, 10만원 초과 800원
 LNG(KG당) 제세부담금 인하
 91.4원
 23원
 노후 경유차 교체 세금 감면
 신설
 개별소비세등 143만원 한도 감면
 납부 환급 불성실 가산세 인하
 1일 0.03%
 1일 0.025%
 체납 가산금율 인하
 최초 체납시 3%, 매월 1.2%
 매월 0.75%
 부가가치세 가산세율 인하
 공급가액의 1%
 공급가액의 0.5%
 현금영수증 발급 위반 가산세
 거래대금의 50%
 거래대금의 20%
 세무조사 녹음권 인정
 신설
 세무공무원, 납세자 세무조사 과정 녹음 가능
2. 집주인이 알아야 할 개정안
항목
현행
개정안
 주택임대소득 과세
 비과세
 2천만원 이하 분리과세
 임대소득과세 필요경비
 60%
 등록사업자 70%, 미등록50%
 임대소득 기본공제 축소
 임대사업자 4백만원 공제
 미등록사업자 2백만원 공제
 임대보증금 과세 배제
 3억원+60㎟이하
 2억원+40㎡
 주택임대사업자 미등록 가산세
 신설
 면세 공급가액의 0.2% 가산세
 종부세 공정시장가액 비율 인상
 80%
 2019년 85%, 2020년 90%
 주택 종부세율 인상
 0.2-2%
 0.85~2.5%
(3주택 인상 0.2~2.8%)
 종합합산 토지 종부세율 인상
 0.75-2%
 1~3%
 종부세 분납 확대
 500만원 초과,2개월
 200만원 초과, 6개월

이번 세법 개정안 중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이 부동산에 대한 세법 개정안인데 임대주택 양성화라는 정부의 목적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났다. 작년 말에도 임대사업자에게 임대주택 등록을 유도하기 위해서 재산세 감면, 양도소득세 혜택, 종합부동산 합산 배제, 건강보험료 혜택 등을 통해서 임대사업자등록자를 획기적으로 늘렸는데 올해 개정안에서는 등록한 임대사업자에게는 더 큰 혜택을 주는 한편 등록하지 않은 임대사업자한테 불이익을 주어서 임대사업자등록을 더 적극적으로 푸쉬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간 주택임대수입이 2000만원이고 분리과세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납세자가 부담할 임대소득세는 임대사업자로 등록했는지 여부에 따라 최대 105만원의 차이가 난다. 앞으로 정부의 이런 의지는 정책에 더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3. 기업 세법 개정안
 항목
 현행
 개정안
 고용증대세제 확대
 신설
 청년친화기업 500만원 추가 공제
 육아 휴직 복귀 인건비 세액공제
 중소기업 10%,중견기업 5%
 위기지역 창업 기업 세액감면

 5년간 법인세 100% 감면
 직무발명 보상금 비과세 확대
 300만원
 500만원
 현금영수증 허위 수취 가산세
 신설
 허위 수취금액의 2% 가산세
 문화접대비 확대
 100만원 이하 증정용 미술품
 미술품 손금 산입 한도 확대
 500만원 이하
 1천만원 이하

4. 직장인이 알아야 할 2018년 세법 개정안
 항목
 현행
 개정안
 기부금 세액공제 확대
 2천만원 초과시 30% 공제
 1천만원 초과시 30% 공제
 산후조리원 의료비 공제
 신설
 최대 30만원 세액 공제
 실손보험금 의료비 공제
 실손 보험 보전액 공제대상 제외
 박물관, 미술관 입장료 공제

 입장료 30% 공제
///끝

///시작
///면 35
///세션 종합
///이름 강환웅 기자
///제목 더위 먹은 줄 알았더니 알고 보니 ‘자율신경 실조증’
///부제 덥고, 피곤하고, 식은땀까지…소화 및 땀, 체온 조절기능 무너진 것
///부제 청서익기탕 등 한약으로 기력 보충·소화기능 활성화해 몸의 균형 회복
///본문 #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요즘 41세 회사원 A씨는 몸이 나른하고 쉽게 피곤해지며 밤에 잘 때 식은땀을 흘리는 등 몸이 예전 같지 않다. 그냥 더위를 먹은 것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매년 같은 증상이 반복되는 것 같아 한방병원을 찾았더니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균형이 무너졌다고 했다. 바로 자율신경 실조증이었다.
한여름 찜통더위에 시달리는 A씨와 같은 사람들은 위와 같은 증상을 더위를 먹었다고 생각한다. ‘더위를 먹다’라는 말은 ‘더위 때문에 몸에 이상이 생기거나 병이 생겼다’라는 의미로, 현대의학에서는 일사병·열사병과 같이 장기간 햇볕에 노출돼 혈액과 체액이 손실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을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더위에 지쳐서 기운 없고 식은땀도 흘리며 잠도 못 자고 소화도 안 되는 상태 즉 ‘더위 먹음’의 실체는 무엇일까?
이와 관련 고석재 강동경희대병원 한방내과 교수는 “우리 몸에는 교감과 부교감, 이 두 자율신경계가 있는데, 이 두 신경계의 균형이 무너지면 소화관의 운동, 땀의 분비, 체온 조절 등과 같은 인체의 생리적인 부분에 문제가 생긴다”며 “이를 자율신경 실조증이라고 하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더위 먹음’도 자율신경이 담당하는 체온과 땀 조절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한의학에서는 ‘자율신경 실조증’의 경우 무너진 균형이 기혈음양 중 어디인지 찾아내고, 증상과 개인에 따라 달리 처방해 ‘항상성’을 회복할 수 있게 도와주는, 즉 교감과 부교감 신경의 균형 회복을 돕는데 중점을 두고 치료하고 있다.
실제 조선시대 궁중 내의원에서는 ‘제호탕(여름철 더위를 대비한 한약)’을 만들어 임금에 바쳤치는가 하면, 일반 백성들은 쑥이나 익모초(益母草)즙을 마셔 원기를 회복하고 식욕을 돋웠다.
제호탕의 주원료 중 하나인 ‘매실(오매)’은 한의학적으로 갈증을 멈추고 열독을 풀어주며 소화를 도와 식욕을 증진시키며, ‘쑥(애엽)’은 설사와 복통을 멎게 하는 한편 ‘익모초’는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동의보감’이 편찬된 이후에는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이나 생맥산(生脈散) 등과 같은 한약을 활용해 여름철 더위를 풀어줄 뿐 아니라 기력을 보강하고 소화 기능을 활성화해 무너진 음양기혈을 회복시켰다.
특히 청서익기탕과 생맥산은 오늘날에도 많이 쓰이고 있는 한약으로, 두 약에 동시에 들어있는 오미자는 땀으로 인해 쇠한 기력을 보충하고 갈증을 멈추며, 맥문동은 심장과 폐의 열을 식혀주는 효능이 있다.
이와 관련 고 교수는 “스트레스와 과로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자율신경 실조증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이제 흔한 질환이 됐다”며 “더위를 먹었다고 찬 음료나 음식을 과하게 섭취하거나 지나치게 냉방을 하면 무너진 음양기혈은 더 회복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특히 “음양기혈의 어느 부분이 과하고 부족한지 알고 그에 따른 적절한 처치를 받는다면 아무리 더위가 심하다 할지라도 우리 몸은 저절로 ‘항상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한 고 교수는 “자율신경은 외부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실내와 외부의 기온차를 지나치게 하지 말고 무리한 활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끝

///시작
///면 35
///세션 종합
///이름 이규철 기자
///제목 복지부에서 안내하는 당뇨병 가이드 당뇨병 이해와 관리
///부제 이럴 땐 이런 앱
///본문 [편집자 주] 본지에서는 독자들이 일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앱)을 정기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한국인 2형 당뇨병에 최적화된 당뇨병 치료 방법을 연구하고자 구성된 보건복지부 지정 2형 당뇨병 임상연구센터(KNDP)에서 당뇨병 관련 각종 임상 지침 등을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소개한다.
경희대학교병원 등 KNDP 협력 병원 전문가의 노하우를 그대로 담아낸 이 앱은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고 간편하게 당뇨병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당뇨병의 개요부터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식사 · 운동 · 약물요법, 몸이 아플 때나 여행 중의 관리 등을 안내한다.
*다운로드 방법 : 구글 앱스토어에서 ‘당뇨병 이해와 관리’ 검색 후 다운로드
///끝


///시작
///면 36
///세션 기고
///이름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전형준 교수
///제목 中의 무섭게 발전해 가는 의·한 통합암치료…한국 한의학이 세계 속에서 나아갈 미래는?
///본문 얼마지나지 않은 올해 5월 처음으로 베이징에 머물면서 중국중의과학원 광안문병원 종양과를 참관할 때가 떠오른다. 그 당시 책으로만 봐오던 중의학의 실제 암치료 임상현장을 눈앞에서 본다는 것만으로도 감격하던 기억이 있다. 이번 여름에 다시 한 번 중국을 접할 새로운 기회가 왔고, 다시 가보기로 했다. 아직 중국의 큰 도시들도 가보지 않은 입장에서 간쑤성 란저우라는 도시는 가기에도 멀고 생소하기만 한 곳이었다. 도착한 날 마침 큰 비가 왔으나 본격적인 회의가 시작된 학회장의 열기는 뜨겁기만 해, 비교적 청량한 란저우의 날씨를 무색하게 했다.

점차 정교해지고 있는
중서의결합 암치료 체계와
한국 한의학 암치료의 고민
우리가 참가한 ‘2018년 전국중의종류청년논단회의’는 중화중의약학회에서 주관하고 중국중의과학원종류연구소와 깐수성 중의약학회 등이 함께 개최하는, 전국 종양과 중의사들이 주역이 되어 진행되는 대규모의 학회였다
이번 학회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발표 내용은 ‘예방’ 즉 ‘치미병’에 관한 것이었다. 암에 관한 예방을 말하는 것뿐 아니라 이미 걸린 암의 진행과 전이에 대한 예방까지 포함한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암에 대한 예방논리는 앞으로의 전체 한의계가 먹고 살 ‘대로(大路)’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한의계가 개입할 수 있는 일이 많다. 향후에 있어 낙인처럼 작용할 유전자학의 논리를 극복할 방안은 예방 논리 이외에는 답이 없을지도 모른다. 중서의결합 암치료의 경우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기존 치료에 비해 현저한 생존률의 연장을 보여주며 통합암치료의 효과를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하지만 이보다도 더 주목을 끄는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안후이성립병원 중의과 교수인 리핑은 중의학의 종양학 이론이 품고 있는 주요한 문제점에 대해 강설하였는데,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기반 논리를 점차 잊어버리려고만 하는 국내 한의계의 세태와 비교되는 부분이었다. 즉, 과학의 논리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중의학의 종양학 이론 자체가 내함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점 및 앞으로 개선시켜 논의해야 할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보자고 청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전통의학과 과학의 양갈래 길을 함께 걸어가면서 어느 한쪽에 대해서도 소홀하지 않은 자세와 분위기가 매우 부러웠다.

초점은 늘 환자에…
의료진의 손을 떠난 방치가 아니라
환자 편의를 위한 자세가 필요
학회기간 동안 깐수성 종양병원을 참관할 기회가 있었다. 이 병원은 1500여 병상 중 500병상을 중서의 결합과에 배정을 해놓을 정도로 적극적으로 통합암치료를 시행하는 곳이다. 무엇보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점은 환자가 생활 속에서 스스로 만들어 복용할 수 있는 차 또는 약선음식을 총정리하여 배포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용량, 제작법부터 적응환자와 효능까지 상세하게 적어놓았다. 한국의 수많은 암환자들에게는 소위 암에 좋다는 것을 전문의료진 상담없이 알아서 복용하는데 대한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환자들에게 아무거나 먹지 말라고 매번 상담해도 환자는 몸에 좋다는 것을 찾아다닐 수밖에 없다. 차라리 이에 대해 전문가 집단이 약선음식과 약차에 대한 자료집을 공개적으로 발간해 내놓는 것은 환자와 의료진 양쪽이 모두 안심할 만한 일이다.
깐수성 종양병원의 약 100여가지의 약선음식을 포함하는 이 자료집은 암환자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자료집의 머릿말에는 치료에 있어 식생활의 중요성을 논하며 이것이 곧 삶의 질을 높이며 체내 환경을 개선하여 암환자의 생존기간을 늘려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논리는 세계적 추세인 생활밀착형 통합암치료 논리와 조금도 다를 바 없었다.
그 외에도 암환자의 증상관리와 삶의 질 제고를 목적으로 한 세세한 요법들을 다 갖춰놓았다. 중의회복 종합치료실에서는 마사지요법, 각 증상에 따른 피부침요법 및 복용할 수 있는 산제 제형의 약물들을 갖춰놓았고, 누워있는 시간이 많은 암환자의 통증 및 부작용 관리를 위해 베개에 약물을 넣어 불편감을 완화시키기도 하였다. 약선식료실에는 항종양처방의 주제(酒)와 고제(膏)가 함께 있었으며 환자가 퇴원 이후 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약제온포도 구비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효과가 작다고 쓸데없이 여길 것이 아니라 환자의 편의를 위해 생각해 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이런 현상을 단순히 의료진의 손을 떠난 방치라고 여길 것만이 아니다. 의료진이 나서지 않고 관망만 하다가 벌어지게 될 좋지 않은 결과에 대해서도 현실적으로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 한의암치료가 나아갈 길…
실정은 다르나 결국 초점은
환자 중심으로 개선시켜 나가야
아무리 다른 나라에 좋은 점이 많더라도 국내에 적용하는데는 여러 가지 차이로 인해 어려움이 따르게 마련이다. 한국은 중국과 달리 한의학에 대한 전국민의 문화적 인식기반도 점차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고, 국가적인 지원도 집중화되어 있지 못하여 연구와 발전에 턱없이 부족하며, 과학화, 통합치료연구 및 한의학 치료체계 자체에 관한 분석과 개선이라는 여러 가지 일들이 목전에 닥친 복잡한 상황이다.
하지만 위와 같은 국제적 의료의 큰 흐름 속에서 현시점 한의학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외부와 서슴없이 끝없이 교류해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버린다면, 그리고 모든 것의 시작과 끝을 환자에 둔다면 결국 언젠가는 암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고 남은 삶을 좀 더 인간답게 살도록 하는데 주도적으로 기여하게 되리라 생각한다.
통합치료가 반드시 어떤 특정한 방식이어야만 한다는 생각에 갖혀서도 안 될 것이며, 한국의 의료여건 현실을 환자 중심으로 개선시켜 나가는 것이 이 시대의 한의사들이 지닌 소명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끝으로 이번 기회를 만들어주신 동서암센터 유화승 교수님과 여정을 함께해주신 대한통합암학회 최낙원 이사장께 마음 깊이 감사를 표하는 바이다.
///끝

///시작
///면 38
///세션 인터뷰
///이름 민보영 기자
///제목 워라밸 & 소확행❶
///부제 머슬마니아 최인서 원장 (청담부부한의원) 직접 개발한 힙업 프로그램으로 스포츠모델 4위 차지
///부제 허리 통증 완화 위해 시작… 남편 지지로 내년 머슬마니아 세계권 도전
///본문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원 진료 외에 취미, 동호회 활동 등으로 제2의 삶을 누리고 있는 한의사의 일상과 도전 과정을 싣는다.
Q. 피트니스 활동과 한의원 진료를 병행하고 있다.
건강을 위해서 시작한 운동일 뿐이었는데, 어느새 정신을 차려보니 국내 최대 피트니스대회(머슬마니아 스포츠모델 부문 4위 입상)에 나가 입상까지 하게 됐다. 아직도 얼떨떨하다. 그럼에도 제가 두 가지 일을 병행할 수 있는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남편과 함께 한의원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바쁠 땐 남편이 일을 맡아 해주고, 반대로 남편이 외부일로 바쁠 땐 제가 병원을 지킨다. 부부가 함께 같은 곳을 향해 나아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째는 피트니스와 한의학이 제겐 크게 다르지 않다. 몸을 좀 더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일이지 않나. 피트니스 활동을 하며 알게 된 지식을 임상에서 환자들과 공유하고, 반대로 한의학 공부를 통해 알게 된 지식을 피트니스에 적용시켜 몸을 돌보기도 한다. 저한텐 이 둘의 경계가 명확히 나눠져 있지 않다. 둘 다 제 삶의 일부다.

Q. 피트니스 모델로 활동하는데 어려움은 없었는지.
대회를 준비하는 모든 선수들이 정말 열심히 한다. 잠을 줄여가며 하루 종일 운동하고, 식단을 관리한다. 실제로 함께 대회를 준비하는 다른 선수들이 대회를 한 달 정도 앞두고 헬스장에 살다시피 하는 것을 보면 솔직히 부러웠다. 처음엔 마음이 너무 조급해졌다. 그 때 남편이 말했다. “남들보다 부족한 것만 바라보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너만의 장점을 찾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도전하는 것만으로도 의미는 충분하다.” 정신이 들었다.
그때부터 주변 선수들과 비교하지 않고 저만의 방식으로 끝까지 해내야겠다고 생각했고, 대회가 끝난 지금 제 자신을 더욱 사랑하게 됐다.

Q. 이론으로 배운 한방다이어트의 지식이 실제 몸만들기에 어떻게 적용됐는지 궁금하다.
제가 이론으로 배운 한방다이어트에 관한 모든 지식을 동원했다. 총 3단계입니다.
1단계는 체지방 제거기다. 저는 체질적으로 잘 붓고 스트레스에 예민한 편이다. 그래서 제게 맞는 다이어트한약을 지어 하루 3번씩 먹었다. 저에게 맞는 보약과 함께 대사량을 올려주고, 식욕을 억제시키는 약재를 넣었다. 식욕이 저하되면서 보약이 함께 들어가니 몸이 무리가 되지 않아 쉽게 지방을 제거할 수 있었다. 이 기간엔 오직 유산소 운동만 했다. 빨리 걸어도, 느리게 걸어도 지방의 분해정도는 비슷하기 때문에 하루 30분정도 가볍게 산책했다. 대신 식단조절은 철저하게 했다.
2단계. 적정 몸무게에 도달하면 반드시 기초대사량을 올려야 한다. 전 52kg으로 다이어트를 종료했기 때문에 52kg 곱하기 2.2 곱하기 12를(1372kcal)한 최종 기초 대사량까지 올려주는 기간이 있었다. 청담부부한의원에서는 이 기간을 요요방지 프로그램이라고 해서 진행하고 있는데 일반인들도 쉽게 할 수 있다.
주별로 100~200kcal씩 칼로리를 증가시키며 최종 대사량까지 도달하게 하는 작업이다. 이때 주의할 것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비율이 4:4:2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식이성 발열효과를 최대한 이용하는 방법이다. 내가 먹은 음식이 알아서 칼로리를 소모시켜주는 개념이다. 단백질의 경우 약 20~30%, 탄수화물은 5~10%, 지방은 0~5%다. 같은 칼로리를 섭취해도 소모되는 칼로리를 높여서 대사량을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는 거의 한약을 먹지 않는다.
마지막 단계인 근육량 늘리기 단계는 저도 미지의 영역이었다. 그래서 선수들만 전문적으로 훈련시키는 이성현 트레이너를 찾아갔다. 의외로 식단이 사람이 먹을 만한(?)식단이어서 깜짝 놀랐다(웃음). 고구마 500g, 닭가슴살 500g. 그리고 방울토마토 마음껏 먹기.
하루 2~3시간만 운동할 시간밖에 없다고 하니 이렇게 말했다. “남들 3개 하는 효과를 인서씨는 한 번에 내면 된다.” 막히는 게 뚫리는 기분이었어요.
근육량을 늘리는 단계에서는 공진단을 먹었다. 동의보감을 보면 공진단은 기혈보충과 원기회복, 보혈작용 등의 효능이 있으며 타고난 원기를 든든히 하여 신수(腎水)와 화수(心火)가 잘 오르내리게 하면서 오장이 조화되고 병이 생기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할 정도로 명약이다. 평소에 먹던 양의 탄수화물보다 절반가량 줄어들다보니 체온이 떨어지면서 몸살이 나는 등 면역력이 저하됐다. 그래서 직접 만든 공진단을 복용하면서 대회 마지막 2주를 버텼다.

Q. 몸에 약침과 전기 자극을 주면 ‘몸짱 만들기’가 좀 더 수월해진다는데 이 원리는.
건강한 근육과 건강하지 않은 근육을 ‘기절한 근육’이라고 하겠다. 살아있는 근육과 기절한 근육의 차이는 근육 내 생리학적관점에서 봤을 때 미토콘드리아 수와 수분 량이 다르다는 점이다. 미토콘드리아 수가 다르다는 것은, 에너지 저장량이 다르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운동을 하더라도 근육맨들은 한 시간 운동하면 개운하다고 하고, 약골들은 한 시간 운동하면 기절한다. 그래서 애플힙을 만드는 시술과정에서 근육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는 약침시술과정이 들어간다.
그렇다고 약침만 맞으면 되는 건 아니다. 운동선수들은 뇌와 근육의 연결통로가 일반인보다 3배 정도 발달돼 있다. 이를 ‘모터 유닛’이라고 한다. 엉덩이 근육을 운동해야겠다고 인지하면 보디빌더는 해당근육에만 집중을 해서 그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다. 그런데 처음 PT를 배우A면 동작을 잘 배워도 어떤 근육이 발달되는지 알기 어렵다. 꾸준히 운동을 해서 근육에서 ‘ 여기 근육이 있다’는 신호를 뇌에 끊임없이 보내면 그 때 뇌가 ‘아 여기 근육이 있구나’ 하고 발달을 시킨다. 꾸준히 운동을 해야 한다. 그래서 약침 시술을 받고 나면, 숨만 쉬어도 운동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탄력시술이 들어간다. 모터 유닛을 전부 살리는 작업이다. 전기 자극이 들어가기 때문에 뇌와 근육의 연결통로가 빠르게 형성된다.

Q. ‘힙업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양방 힙업 시술의 흔한 부작용은 엉덩이가 가슴에 비해 움직임이 큰 부위이기 때문에 양쪽이 비대칭으로 잡힐 확률이 크고, 시술부위가 아무는 동안 엎드려 자야한다는 점이다. 또 항문위에 절개라서 아무는 데 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제가 개발한 힙업프로그램은 기절해 있는 근육을 살려주는 작업이기 때문에 건강에도 좋고, 라인도 살고, 다리도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다만 지켜야 할 게 있다. 첫째는 주3회 3주간 시술을 꼭 시간을 맞춰서 받을 것. 둘째는 단백질 섭취와 하루 6~8시간을 밤10~2시 수면을 취할 것. 셋째는 스트레스 받지 말 것. 근섬유주위에 위성세포에서 근 수축을 시키는 미오신과 액틴이라는 단백질을 만든다. 이 단백질이 만들어지면서 근비대가 이뤄진다. 한 번 자극을 받으면 위성세포는 최대48시간까지 작용한다. 이 때문에 2일에 한번 씩 시술이 들어가야 하고, 유의한 근비대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것은 3주 이후부터다. 최소3주는 무조건 시간에 맞춰 시술을 받아야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밤10~2시에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은 골격근에서 분비되는 IGF은 단백질 합성 작용을 한다. 또 단백질을 분해하는 코티솔 호르몬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분비된다. 그렇기 때문에 애플힙을 진행하는 동안은 웃으면서 행복하게 푹 자고, 단백질을 많이 먹고 쉬면 된다.

Q. 내년 9월 머슬마니아 세계대회를 준비하는 각오는.
이번 국내 대회를 마치고 여러 아쉬운 점이 있었다. 좀 더 몸을 만들어서 좀 더 나은 바디라인을 만들고 싶다. 세계대회는 한국선수로서 나가는 것인 만큼 책임감도 크지만, 한편으론 부족한 저에게 이렇게 큰 기회를 주신 데 감사드린다.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이라는데 저는 상에 대한 욕심보다, 모든 것이 끝난 훗날 나 스스로에게 최선을 다했다고 말할 수 있길 바란다.
///끝

///시작
///면 39
///세션 종합
///이름 윤영혜 기자
///제목 의료생협 빙자 ‘사무장 병원’ 적발… 건보재정 59억원 축내
///부제 경찰, 생협 이사장·병원 원무과장 등 11명 불구속 기소
///본문 의료생협을 빙자해 ‘사무장 병원’을 4년간 불법운영하며 50억원이 넘는 건보 재정을 축낸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부산 금정경찰서는 의료법·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혐의로 부산의 A 의료생협 이사장 B(45)씨와 요양병원 원무과장 등 11명을 불구속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B씨 등은 2013년께 부산에서 설립 요건을 갖추지 않은 의료생협을 만든 뒤 요양병원을 개설해 4년간 불법 운영하며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59억원 상당의 요양급여를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B씨 등은 의료생협을 설립하면 의사 면허가 없더라도 병원을 개설할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한 것으로 경찰 조사결과 드러났다.
특히 B씨는 병원 개설에 필수사항인 의료생협을 만들려고 조합원 300여 명을 등재한 뒤 1억원 이상의 출자금 전액을 자신이 대납한 채 열지도 않은 창립총회, 발기인대회를 한 것처럼 속여 부산시 인가를 받았다.
B씨 등은 인가받은 의료생협 명의로 80병상 규모의 ‘사무장 병원’을 건립한 뒤 의사와 간호사를 고용해 운영했다.
병원의 중요안건은 이사회 의결을 거쳐 결정돼야 했지만 B씨는 지인으로 의료생협 이사와 감사를 모두 구성해 한 번도 이사회를 열지 않고 사실상 독단적으로 병원을 운영해왔다.
그런 뒤 B씨는 정례적으로 이사회를 개최해 왔다고 부산시에 허위로 보고했다고 경찰은 전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수사 의뢰를 받은 경찰은 요양병원을 압수수색해 의료생협 설립자료 등을 확보해 분석하고 의료생협 조합원을 전수조사해 이들의 혐의를 밝혀냈다.
경찰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수사결과를 통보해 현재 A 의료생협 설립인가 취소와 요양급여 환수 절차를 진행 중이다.
///끝

///시작
///면 39
///세션 사설
///제목 의료기기, 의약품 등 규제 혁파가 답이다
///본문 대한한의사협회는 지난 9일 환자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한의학적 근거와 원리에 따라 ‘전문의약품 응급키트’ 사용에 적극 나설 것을 선언했다. 에피네프린,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 등의 ‘전문의약품 응급키트’는 한의 진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적절하고도 효과적으로 대처하는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관련 지난 5월 한의협 제9회 정기 이사회에서도 에피네프린,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 등의 전문의약품을 한의의료기관에 구비, 사용토록 할 것을 회원들에게 안내하기로 한 바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의사협회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정부는 불법 행위와 무면허 의료행위를 조장하고 방조하는 한의사단체에 대해 법적·행정적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데 이어 한의사협회를 고발 조치했다고 밝히는 등 정당한 한의의료행위를 옥죄는 행태를 서슴지 않고 있다.
의사협회의 무조건적인 반대에 부딪혀 엄연한 의료인인 한의사가 봉독 이상반응(일명 아나필락시스 쇼크)에 필요한 에피네프린과 항히스타민 등의 응급상황 대비 의약품을 단지 ‘전문의약품’이라는 이유만으로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는 것은 크게 잘못된 처사이다.
사실 이 문제도 의료기기 규제와 별반 다르지 않다. 한의사, 의사, 치과의사는 모두가 똑 같은 의료인임에도 그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한의사만 유독 차별을 받고 있다.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제10조 ①항에서 진단용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 자격기준에 ‘의사, 치과의사 또는 방사선사’는 가능토록 했으나 한의사를 배제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에 더해 약사법 제23조(의약품제조) ③항에서 ‘의사 또는 치과의사는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을 처방할 수 있고’라고 규정하면서, 한의사를 제외한 조항 역시 대표적인 규제 적폐(積幣)다.
의료기기와 의약품의 사용은 환자의 건강증진과 생명보호에 있다. 그렇기에 비전문가가 아닌 의료인만 취급토록 법으로 규정해 놓은 것이다. 여기까지는 결코 규제가 아니다. 그러나 더 세부적으로 들어갔을 때 의료인 중 유독 ‘한의사’만 여기저기서 차별받고, 배제되는 현실은 바로 잡아야 할 규제 중의 규제다. 대통령의 규제 혁파(革罷) 지시에도 해당 부처에서는 이와 관련한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정부가 나서지 않는 이상 관련 규제를 개선하기 위한 현장의 목소리는 더 뜨거워질 수 밖에 없다.
///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backward top home